KR102378621B1 -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 - Google Patents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621B1
KR102378621B1 KR1020210071560A KR20210071560A KR102378621B1 KR 102378621 B1 KR102378621 B1 KR 102378621B1 KR 1020210071560 A KR1020210071560 A KR 1020210071560A KR 20210071560 A KR20210071560 A KR 20210071560A KR 102378621 B1 KR102378621 B1 KR 102378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raw water
filter
hol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규
Original Assignee
김춘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규 filed Critical 김춘규
Priority to KR1020210071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2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ucet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01D35/046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the filtering element being mounted in the faucet plu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provisions against scalding, e.g. temperature limiting devices, external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1Taps specially designed for dispensing boiling water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은, 토출기가 연결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냉,온수공급관을 통해 유입되는 냉, 온수를 단독 또는 혼합시켜 상기 본체부 외부로 노출된 레버에 의해 토출시키는 냉온수 조절 밸브부; 및 상기 냉온수 조절 밸브부의 배출구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원수를 선택적으로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도전의 본체부와 토출기의 사이에 필터부를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필요에 따라 필터링수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냉온수 조절 밸브부를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하므로 유해물질의 발생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 {HYDRNAT HAVING FILTER}
본 발명은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한 수도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전은 급수 배관의 말단에 위치하여 물을 개폐시키는 장치로서, 설치 위치나 용도 또는 기능에 따라 다양한 타입으로 나뉠 수 있다.
욕실, 샤워실 및 싱크대 등과 같이 보일러로부터의 온수를 사용하는 실내에는 냉수관과 온수관이 설치된다.
이러한 싱크대 등에 설치되는 수도전은 사용자가 원하는 온수 및 냉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온수와 냉수를 혼합하여 수온을 맞출 수 있도록 하는 밸브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수도전과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1737402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냉온수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기능에만 한정 사용이 가능하므로 필터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필터를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737402호(2017.05.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수도전에 필터를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원수 또는 필터링수를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한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은, 토출기가 연결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냉,온수공급관을 통해 유입되는 냉, 온수를 단독 또는 혼합시켜 상기 본체부 외부로 노출된 레버에 의해 토출시키는 냉온수 조절 밸브부; 및 상기 냉온수 조절 밸브부의 배출구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원수를 선택적으로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온수 조절 밸브부는 합성수지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토출기는 플렉시블 파이프 또는 경질 파이프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하부에 제1, 2 원수 공급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 원수 공급공에서 이격된 상측에 원수 배출공 및 필터링수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부에 토출공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원수 및 필터링수 배출공과 상기 토출공 사이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과정에서 양측에 형성된 원수 통과공과 필터링수 통과공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원수 배출공과 상기 필터링수 배출공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손잡이; 및 상기 제2 원수 공급공과 상기 필터링수 배출공의 사이에 구비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토출기가 연결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냉,온수공급관을 통해 유입되는 냉, 온수를 단독 또는 혼합시켜 상기 본체부 외부로 노출된 레버에 의해 토출시키는 냉온수 조절 밸브부; 및 상기 냉온수 조절 밸브부의 배출구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원수를 선택적으로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하부에 제1, 2 원수 공급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 원수 공급공에서 이격된 상측에 원수 배출공 및 필터링수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부에 토출공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원수 및 필터링수 배출공과 상기 토출공 사이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과정에서 양측에 형성된 원수 통과공과 필터링수 통과공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원수 배출공과 상기 필터링수 배출공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되, 이동량에 따라 상기 원수 통과공과 필터링수 통과공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원수 배출공과 상기 필터링수 배출공 중 어느 하나와 연통 정도를 조절 가능한 손잡이; 및 상기 제2 원수 공급공과 상기 필터링수 배출공의 사이에 구비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토출기가 연결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냉,온수공급관을 통해 유입되는 냉, 온수를 단독 또는 혼합시켜 상기 본체부 외부로 노출된 레버에 의해 토출시키는 냉온수 조절 밸브부; 및 상기 냉온수 조절 밸브부의 배출구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원수를 선택적으로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하부에 제1, 2 원수 공급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 원수 공급공에서 이격된 상측에 원수 배출공 및 필터링수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부에 토출공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원수 및 필터링수 배출공과 상기 토출공 사이에 위치되어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과정에서 양측에 형성된 원수 통과공과 필터링수 통과공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원수 배출공과 상기 필터링수 배출공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되, 이동량에 따라 상기 원수 통과공과 필터링수 통과공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원수 배출공과 상기 필터링수 배출공 중 어느 하나와 연통 정도를 미세 조절 가능한 손잡이; 및 상기 제2 원수 공급공과 상기 필터링수 배출공의 사이에 구비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도전의 본체부와 토출기의 사이에 필터부를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필요에 따라 필터링수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냉온수 조절 밸브부를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하므로 유해물질의 발생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에서 필터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에서 냉온수 조절 밸브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 중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에서 필터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에서 냉온수 조절 밸브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 중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100)은 본체부(110), 냉온수 조절 밸브부(120) 및 필터부(130)를 포함하되, 주방 등의 싱크대에 벽붙이 형태 등으로 설치된다.
본체부(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냉온수 조절 밸브부(120)가 위치되며, 냉온수 조절 밸브부(120)의 냉, 온수 개폐량 조절을 위한 축부(128)가 전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본체부(110)는 주방 등의 벽면을 통해 연장되는 냉, 온수 공급관(126a, 126b)의 단부가 내부까지 위치된다.
냉온수 조절 밸브부(1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냉, 온수 공급관(126a, 126b)을 통해 유입되는 냉, 온수를 단독 또는 혼합시켜 축부(128)에 결합된 레버(122)에 의해 토출시킨다.
이러한, 냉온수 조절 밸브부(120)는 황동으로 제작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사출성형시킴으로써 납이나 니켈 등과 같은 유해물질 발생을 방지한다.
여기서, 냉온수 조절 밸브부(120)는 공지 기술로 냉, 온수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배출하는 구성 및 기능과 같은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더욱이, 냉온수 조절 밸브부(120)는 측방향으로 냉수 공급관(126a)이 연결되는 냉수 유입공(124a)과, 온수 공급관(126b)이 연결되는 온수 유입공(124b)이 각각 형성되고, 상방향으로 필터부(130) 또는 토출기(140)가 연통되도록 배출구(124c)가 형성된다.
이때, 토출기(140)는 주름관인 플렉시블 파이프나 "∩"자 형상을 갖는 경질 파이프 등을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다.
필터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온수 조절 밸브부(120)의 배출구(124c)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원수를 선택적으로 필터링한다.
이때, 필터부(130)는 부착되는 경우 배출구(124c)과 토출기(140)의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필터부(130)가 분리되는 경우 배출구(124c)에 토출기(140)가 직접 연결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필터부(130)는 몸체(1310), 필터(1320) 및 손잡이(1330)로 구성되어, 손잡이(1330)의 좌우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원수 또는 필터링수를 사용 가능하다.
몸체(1310)는 하부에 냉온수 조절 밸브부(120)의 배출구(124c)와 연통되도록 연결관(1312)이 구비되고, 연결관(1312)에서 이격된 상측에 원수 배출공(1314a) 및 필터링수 배출공(1314b)이 형성되며, 상부 중심에 토출기(140)가 나선구조에 의해 결합되도록 토출공이 형성된다.
이때, 연결관(1312)은 제1 원수 공급공(1312a)과 제2 원수 공급공(1312b)으로 분기 형성되어 원수를 제1, 2 원수 공급공(1312a, 1312b)으로 동시 공급하게 된다.
원수 배출공(1314a)은 제1 원수 공급공(1312a)의 상측에 위치되고, 필터링수 배출공(1314b)은 제2 원수 공급공(1312b)의 상측에 위치된다.
필터(1320)는 제2 원수 공급공(1312b)과 필터링수 배출공(1314b)의 사이에 입구와 출구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제2 원수 공급공(1312b)을 통해 배출되는 원수를 필터링한 후 필터링수 배출공(1314b)으로 배출되게 한다.
손잡이(1330)는 몸체(1310)의 내부 중 원수 배출공(1314a) 및 필터링수 배출공(1314b)과 토출기(140)가 연결되는 토출공 사이에 위치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과정에서 양측에 형성된 원수 통과공(1332)과 필터링수 통과공(1334) 중 어느 하나가 원수 배출공(1314a)과 필터링수 배출공(1314b)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도록 한다.
이때, 손잡이(1330)에 형성된 원수 통과공(1332)과 필터링수 통과공(1334)은 원수 배출공(1314a)과 필터링수 배출공(1314b)의 간격보다 넓은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원수 통과공(1332)이 원수 배출공(1314a)과 연통되어 개방되면 필터링수 통과공(1334)은 필터링수 배출공(1314b)과 연통되지 않도록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필터링수 통과공(1334)이 필터링수 배출공(1314b)과 연통되어 개방되면 원수 통과공(1332)은 원수 배출공(1314a)과 연통되지 않도록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손잡이(1330)는 원수를 사용하고자 할 때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원수 통과공(1332)이 원수 배출공(1314a)과 연통되도록 하고, 필터링수를 사용하고자 할 때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필터링수 통과공(1334)이 필터링수 배출공(1314b)과 연통되도록 한다.
이렇게, 원수를 사용하게 되면 필터링수는 사용하지 못하게 되고, 반대로 필터링수를 사용하게 되면 원수는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100)은 원수를 사용하기 위해서 냉온수 조절 밸브부(120)의 상면까지 연통되는 배출구(124c)에서 필터부(130)를 분리시킨 후 배출구(124c)에 토출기(140)를 직접 결합시켜 냉, 온수 공급관(126a, 126b)의 원수가 바로 토출기(140)로 토출되게 한다.
그리고 필터링수를 사용하기 위해서 냉온수 조절 밸브부(120)의 상면까지 연통되는 배출구(124c)에 필터부(130)의 하부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필터부(130)의 상부에 토출기(140)를 결합시켜 냉, 온수 공급관(126a, 126b)의 원수가 필터부(130)를 통과한 후 토출기(140)로 토출되게 한다.
이와 다르게, 사용 여부에 따라 필터부(130)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지 않고 필터부(130)가 장착된 상태에서 손잡이(1330)의 이동으로 선택적으로 원수 또는 필터링수를 사용 가능하다.
즉, 원수의 사용시 손잡이(1330)를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원수 통과공(1332)이 원수 배출공(1314a)과 연통되도록 하므로 제1 원수 공급공(1312a)으로 유입된 원수가 바로 원수 통과공(1332)을 거쳐 토출기(140)로 토출된다.
그리고 필터링수의 사용시 손잡이(1330)를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필터링수 통과공(1334)이 필터링수 배출공(1314b)과 연통되도록 하므로 제2 원수 공급공(1312b)과 필터링수 배출공(1314b)의 사이에 위치된 필터(1320)를 거쳐 원수를 필터링한 후 토출기(140)로 토출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
110: 본체부
120: 냉온수 조절 밸브부
122: 레버
130: 필터부

Claims (4)

  1. 토출기가 연결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냉,온수공급관을 통해 유입되는 냉, 온수를 단독 또는 혼합시켜 상기 본체부 외부로 노출된 레버에 의해 토출시키는 냉온수 조절 밸브부; 및
    상기 냉온수 조절 밸브부의 배출구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원수를 선택적으로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하부에 제1, 2 원수 공급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 원수 공급공에서 이격된 상측에 원수 배출공 및 필터링수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부에 토출공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원수 및 필터링수 배출공과 상기 토출공 사이에 위치되어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과정에서 양측에 형성된 원수 통과공과 필터링수 통과공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원수 배출공과 상기 필터링수 배출공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되, 이동량에 따라 상기 원수 통과공과 필터링수 통과공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원수 배출공과 상기 필터링수 배출공 중 어느 하나와 연통 정도를 미세 조절 가능한 손잡이; 및 상기 제2 원수 공급공과 상기 필터링수 배출공의 사이에 구비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 조절 밸브부는 합성수지 소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기는 플렉시블 파이프 또는 경질 파이프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
  4. 삭제
KR1020210071560A 2021-06-02 2021-06-02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 KR102378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560A KR102378621B1 (ko) 2021-06-02 2021-06-02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560A KR102378621B1 (ko) 2021-06-02 2021-06-02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8621B1 true KR102378621B1 (ko) 2022-03-23

Family

ID=80963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560A KR102378621B1 (ko) 2021-06-02 2021-06-02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621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6792U (ko) * 1991-02-06 1992-09-17 장병철 화장실 세척기용 온수가열기
JPH0824842A (ja) * 1994-07-14 1996-01-30 Toray Ind Inc 浄水器およびシャワー装置
JPH08215677A (ja) * 1995-02-14 1996-08-27 Toshio Takagi 蛇口用浄水器
KR20020013357A (ko) * 2000-08-08 2002-02-20 타카기 야스오 외부 정수기가 부착된 혼합수도꼭지
KR20080100532A (ko) * 2007-05-14 2008-11-19 주식회사 높낮이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KR20090021924A (ko) * 2007-08-29 2009-03-04 김현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
JP2016003762A (ja) * 2014-06-20 2016-01-12 Toto株式会社 流量調整弁
KR101737402B1 (ko) 2016-05-27 2017-05-18 이명주 수도전
KR20180017907A (ko) * 2016-08-11 2018-02-21 정수룡 샤워 정수장치
KR20180083038A (ko) * 2017-01-12 2018-07-20 주식회사 로운코리아 샤워 필터 장치
JP2020084505A (ja) * 2018-11-21 2020-06-04 株式会社Lixil 水栓装置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6792U (ko) * 1991-02-06 1992-09-17 장병철 화장실 세척기용 온수가열기
JPH0824842A (ja) * 1994-07-14 1996-01-30 Toray Ind Inc 浄水器およびシャワー装置
JPH08215677A (ja) * 1995-02-14 1996-08-27 Toshio Takagi 蛇口用浄水器
KR20020013357A (ko) * 2000-08-08 2002-02-20 타카기 야스오 외부 정수기가 부착된 혼합수도꼭지
KR20080100532A (ko) * 2007-05-14 2008-11-19 주식회사 높낮이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KR20090021924A (ko) * 2007-08-29 2009-03-04 김현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
JP2016003762A (ja) * 2014-06-20 2016-01-12 Toto株式会社 流量調整弁
KR101737402B1 (ko) 2016-05-27 2017-05-18 이명주 수도전
KR20180017907A (ko) * 2016-08-11 2018-02-21 정수룡 샤워 정수장치
KR20180083038A (ko) * 2017-01-12 2018-07-20 주식회사 로운코리아 샤워 필터 장치
JP2020084505A (ja) * 2018-11-21 2020-06-04 株式会社Lixil 水栓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1911A (ko) 샤워기능을 갖는 혼합수전장치
KR102378621B1 (ko)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
KR101955859B1 (ko) 조립식 샤워수전
KR20060063841A (ko) 핸들 겸용 토수구 세면기 수전
CN207989846U (zh) 雾化水龙头
CA2979011C (en) Variable dual flow fitting
JP4266303B2 (ja) 吐水金具
KR100856380B1 (ko) 수전 금구
KR20180003628U (ko) 선반형 샤워수전의 일체형 개폐 및 수로구조
US20040074543A1 (en) Valving and mixing unit
CN209340597U (zh) 一种水龙头阀芯壳体
JPH10306481A (ja) 混合水栓装置
KR200334828Y1 (ko) 이중 배출구를 갖는 수도꼭지
JP3645457B2 (ja) 人体局部洗浄装置
KR101862489B1 (ko) 냉,온수 자동제어 구조를 갖춘 수전금구 몸체
KR200492788Y1 (ko) 측면 레버형 수전 카트리지
JP6497499B2 (ja) 湯水混合水栓装置
CN220060622U (zh) 一种单把双控双出水的厨房龙头
CN210013282U (zh) 一种恒温淋浴水龙头
KR101339338B1 (ko) 수전금구용 카트리지
KR200325292Y1 (ko) 수전금구
KR20100045810A (ko)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
KR20120045781A (ko) 냉온수 혼합 수전
JP2003148638A (ja) 湯水混合水栓
KR200200802Y1 (ko) 수량 및 수온자동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