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1924A -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 - Google Patents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1924A
KR20090021924A KR1020070086832A KR20070086832A KR20090021924A KR 20090021924 A KR20090021924 A KR 20090021924A KR 1020070086832 A KR1020070086832 A KR 1020070086832A KR 20070086832 A KR20070086832 A KR 20070086832A KR 20090021924 A KR20090021924 A KR 20090021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ld
hot water
shower
showe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
Original Assignee
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 filed Critical 김현
Priority to KR1020070086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1924A/ko
Publication of KR20090021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9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1Fixing a tap to the sanitary appliance or to an associated mounting surface, e.g. a counterto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2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ucet ha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워 헤드로부터 토출구 또는 토출구로부터 샤워 헤드로의 급수 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작동이 빈번한 개폐 손잡이 개폐구조를 견고히 함으로써 수도꼭지의 수명이 장기간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A)는,
샤워 헤드 측 유출공(11) 및 냉·온수 유입공(12, 13)과 토출구 측 유출공(14) 및 냉·온수 유입공(15, 16)이 형성된 유로형성부(10)와;
통공(21, 21') 및 조절홈(22, 22')이 형성되고, 통공(21, 21') 및 조절홈(22, 22') 둘레의 상·하면에 기밀을 위한 패킹(23)이 마련된 기밀유지판(20)과;
통공(31, 31') 및 조절홈(32, 32')이 마련되고, 외축 둘레 내부의 양측에 호형 슬라이드홈(33)이 마련되며, 상면 중앙에 반구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 요홈(34)이 형성된 연결판(30)과;
상면에 기어부(41)가 형성되고, 저면에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대칭형태의 요홈(42, 42')이 형성되며, 요홈(42, 42') 사이의 중앙에 볼스프링(43)이 마련된 슬라이드부재(40)와;
하단부에 원형기어부(51)가 형성되고, 고정하우징(2) 저면 양측 각각에 돌출막대(53)가 마련된 작동축(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수도꼭지, 샤워 헤드, 토출구, 전환, 급수, 몸체, 손잡이, 유로형성부, 기밀유지판, 연결판, 슬라이드부재, 작동축

Description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tap in combined use with shower}
본 발명은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샤워 헤드로부터 토출구 또는 토출구로부터 샤워 헤드로의 급수 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작동이 빈번한 개폐 손잡이 개폐구조를 견고히 함으로써 수도꼭지의 수명이 장기간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욕실 내에는 토출구를 통한 냉·온수 토출 또는 샤워 헤드를 통한 냉·온수 토출이 가능한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가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손잡이(200') 조작에 의해 급수 및 냉·온수 토출량 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수도꼭지 몸체(100')에 형성되는 토출구(110')를 통한 냉·온수 토출은 단순한 손잡이(200')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나 샤워 헤드(300')를 통한 냉·온수 토출은 손잡이(200') 외의 별도 수단의 조작을 거쳐 토출구(110')로부터 샤워 헤드(300')로 급수 전환을 한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었다.
즉, 샤워 헤드(200')를 통한 냉·온수 토출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몸체(100)에 작동버튼(400)을 마련함으로써 작동버튼(400)의 조작을 통해 토출 구(110')로의 물공급을 폐쇄하고 샤워 헤드(300')로의 물공급을 개방하는 급수 전환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만 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작동버튼(400)을 통한 급수 전환이 이루어지는 기존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는 샤워 헤드(300)를 통한 냉·온수의 토출 가능한 것이었으나 그 과정상에 급수 전환을 위한 사용자의 동작을 요하는 것이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번거로움을 느끼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존 샤워기 겸용 수도 꼭지는 작동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부위 특히, 개폐 손잡이부(200')가 취약하여 수도꼭지의 수명을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해당업계에서는 작동버튼을 통한 급수 전환이 불필요한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가 제안되고 있으나, 기존에 제안된 작동버튼을 통한 급수 전환이 불필요한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는 작동버튼이 없는 것일 뿐 번거로운 전환과정을 거치는 것이어서 그 효과가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고,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및 유지보수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으며, 여전히 개폐 손잡이부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구조 및 작동이 간단함으로써 샤워 헤드로부터 토출구 또는 토출구로부터 샤워 헤드로의 급수 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작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내구성이 향상됨으로써 수도꼭지 자체의 수명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는,
몸체 상단에 개폐 손잡이가 마련되어 개폐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급수 및 냉·온수 토출량 조절이 이루어짐으로써 토출구 또는 샤워 헤드를 통해 냉수 또는 온수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개폐 손잡이 하부의 몸체 내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샤워 헤드로의 냉·온수의 공급을 위한 샤워 헤드 측 유출공 및 냉·온수 유입공과 토출구로의 냉·온수의 공급을 위한 토출구 측 유출공 및 냉·온수 유입공이 형성된 유로형성부와;
상기 유로형성부 상부에 위치하는 원판 형태의 것으로, 유로형성부의 유출공 및 냉·온수 유입공과 상응하는 위치에 통공 및 조절홈이 형성되고, 통공 및 조절홈 둘레의 상·하면에 기밀을 위한 패킹이 마련된 기밀유지판과;
상기 기밀유지판 상부에 위치하는 원판 형태의 것으로, 기밀유지판의 통공 및 조절홈과 동일한 형태의 통공 및 조절홈이 마련되고, 둘레 내부의 양측에 호형 슬라이드홈이 마련되며, 상면 중앙에 반구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 요홈이 형성된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면에 기어부가 형성되고, 저면에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대칭형태의 요홈이 형성되며, 요홈 사이의 중앙에 볼스프링이 마련된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하단부에 슬라이드부재의 기어부와 치합하는 원형기어부가 형성되고, 고정하우징 저면 양측 각각에 하단이 기밀유지판의 요홈 내측으로 삽입되는 돌출막대가 마련된 작동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는 손잡이 조작만으로 샤워 헤드로부터 토출구 또는 토출구로부터 샤워 헤드로의 급수 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고, 그 구조가 간단하므로 제작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작동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개폐 손잡이부가 견고히 이루어짐으로써 수도꼭지 자체의 수명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에서 작동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에서 슬라이드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A)는 몸체(100)와, 개폐 손잡이(200)와, 유로형성부(10)와, 기밀유지판(20)과, 연결판(30)과, 슬라이드부재(40)와, 작동축(5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상기 몸체(100)는 전방에 토출구(110)를 구비하는 것이고, 저면에 샤워 헤드(300)로 이어지는 배관(120)을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개폐 손잡이(200)는 몸체(100) 상면의 중앙에 마련되는 것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젖혀짐으로써 냉·온수의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고,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냉·온수 토출량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손잡이 커버(210)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다.
상기 유로형성부(10)는 몸체(100) 상면 중앙에 마련되되 특히, 개폐 손잡이(200) 하부의 몸체(100)에 마련되는 것으로, 샤워 헤드를 통한 냉·온수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샤워 헤드 측 유출공(11) 및 냉·온수 유입공(12, 13)과, 토출구(110)를 통한 냉·온수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토출구 측 유출공(14) 및 냉·온수 유입공(15, 16)이 마련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유로형성부(10)에서 샤워 헤드 측 유출공(11)은 당연히 샤워 헤드로 연결되는 배관(120)으로 이어지는 것이고, 토출구 측 유출공(14)은 당연히 토출구(110)로 이어지는 것이다.
이때, 샤워 헤드 측 냉·온수 유입공(12, 13)은 토출구 측 냉·온수 유입공(15), 간격을 두고 대칭되되 그 위치를 서로 반대로 하는 것이다.
즉, 샤워 헤드 측 냉수 유입공(12)이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 토출구 측 냉수 유입공(15)은 우측에 위치하는 것이고, 샤워 헤드 측 냉수 유입공(12)이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 토출구 측 냉수 유입공(15)는 좌측에 위치하는 것이다.
상기 기밀유지판(20)은 원판 형태의 것으로, 유로형성부(10) 상부에 안착되는 것이며, 유로형성부(10)의 각각의 유출공(11, 14) 및 냉·온수 유입공(12, 13, 15, 16)과 상응하는 위치에 통공(21, 21') 및 조절홈(22, 22')이 형성된 것이고, 통공(21, 21') 및 조절홈(22, 22') 둘레의 상·하면에 기밀을 위한 패킹(23)이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기밀유지판(20)은 그 통공(2, 21') 및 조절홈(22, 22')이 유로형성부(10)의 각 유출공(11, 14) 및 유입공(12, 13, 15, 16)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유로형성부(10)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이며, 전후방의 삽입홈(24)에 유로형성부(10)의 돌기(17)가 결합됨으로써 그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판(30)은 원판 형태의 것으로, 기밀유지판(20) 상면에 안착되는 것이며, 기밀유지판(20)의 통공(21, 21') 및 조절홈(22, 22')과 동일한 형태의 통공(31, 31') 및 조절홈(32, 32')이 마련된 것이고, 외측 둘레의 내부 양측에 호형 슬라이드홈(33)이 각각 마련된 것이며, 상면 중앙에 반구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 요홈(34)이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연결판(30)은 그 통공(31, 31') 및 조절홈(32, 32')이 기밀유지 판(20)에 형성된 통공(21, 21') 및 조절홈(22, 22')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기밀유지판(20)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이며, 전후방의 삽입홈(35)에 유로형성부(10)의 돌기(17)가 결합됨으로써 그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조절홈(32, 32')은 급수량 조절을 위해 외측으로 향하면서 점차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드부재(40)는 연결판(30)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면에 기어부(41)가 형성된 것이고, 저면에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대칭 형태의 요홈(42)이 형성된 것이며, 저면 중앙부에 볼스프링(43)이 마련된 것이다.
이때, 볼스프링(43)의 형태 및 크기는 연결판(30)에 형성된 요홈(34)의 형태 및 크기에 상응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축(50)은 슬라이드부재(40)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하단부에 슬라이드부재(40)의 기어부(41)와 치합하는 원형기어부(51)가 형성된 것이고, 고정하우징(52)의 저면 양측 각각에 돌출막대(53)가 마련된 것이다.
이때, 작동축(50) 상단은 개폐 손잡이(200) 내부에 결합됨으로써 개폐 손잡이(200) 조작에 의해 동작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A)의 사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A)는 몸체(100) 상단의 개폐 손잡이(200)(이하 '손잡이'라 함)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손잡이(200)를 전방 또 는 후방으로 젖힘으로써 토출구(110) 또는 샤워 헤드(300)를 통한 냉·온수의 토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손잡이(200)를 전방으로 젖혔을 때 토출구(110)를 통해 냉·온수가 토출되도록 하는 경우 세면시 손잡이(200)와 사용자 간에 접촉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손잡이(200)를 전방으로 젖혔을 때 샤워 헤드(300)로부터 냉·온수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200)의 젖힘 동작에 의해 토출구(110) 또는 샤워 헤드(200)로부터 냉·온수가 토출되는 것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손잡이(20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 즉, 도 3a에서와 같이 작동축(50)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슬라이드부재(40) 저면은 연결판(30)에 마련된 조절홈(32, 32')의 개방을 차단하게 되어 유로형성부(10)의 각 냉·온수 유입공(12, 13, 15, 16)으로 유입된 냉·온수는 기밀유지판(20)의 조절홈(22, 22')을 거쳐 연결판(30)의 조절홈(32, 32') 내에 충전상태로 머물게 되므로 토출구(110) 또는 샤워 헤드 어디에서도 냉·온수 토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손잡이(200)를 전방으로 젖히게 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이 손잡이 내에 결합된 작동축(50)이 젖혀지게 되는데, 작동축(50) 선단의 원형기어부(51)는 슬라이드부재(40)의 기어부(41)와 치합된 상태인 바, 슬라이드부재(40)는 기어부(51, 41) 작동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여 연결판(30) 전방에 마련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워 헤드측 조절홈(32)을 개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슬라이드부재(40)의 후방 이동에 따른 연결판(30)의 조절홈(32) 개방에 의해 유입된 냉·온수는 개방된 연결판(30)의 조절홈(32)에 인접하는 슬라이드부재(40)의 요홈(42)을 거쳐 개방된 연결판(30)의 조절홈(32)에 인접하는 연결판(30)의 통공(31)을 통해 유출되어 기밀유지판(20)의 샤워 헤드 측 통공(21)과 유로형성부(10)의 샤워 헤드 측 유출공(11)을 거쳐 샤워 헤드를 통해 토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손잡이(200)를 후방으로 젖히게 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이 손잡이 내에 결합된 작동축(50)이 젖혀지게 되는데, 작동축(50) 선단의 원형기어부(51)는 슬라이드부재(40)의 기어부(41)와 치합된 상태인 바, 기어부(51, 41) 작동에 의해 슬라이드부재(40)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판(30) 후방에 마련된 토출구 측 조절홈(32')을 개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슬라이드부재(40)의 전방 이동에 따른 연결판(30)의 조절홈(32') 개방에 의해 유입된 냉·온수는 개방된 연결판(20)의 조절홈(32')에 인접하는 슬라이드부재(40)의 요홈(42')을 거쳐 개방된 연결판(30)의 조절홈(32')에 인접하는 연결판(30)의 통공(31')을 통해 유출되어 기밀유지판(20)의 토출구 측 통공(21')과 유로형성부(10)의 토출구 측 유출공(14)을 거쳐 토출구(110)를 통해 토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샤워 헤드를 통한 냉·온수 토출 및 토출구(110)를 통한 냉·온수 토출 과정에서 손잡이(200)를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작동축(50) 또한 회전하게 되는바, 작동축(50)의 원형기어부(51)와 치합된 기어부(41)에 의해 슬라이드부재(40)가 회전되므로 회전에 의해 일방향으로 치우치는 슬라이드부재(40)의 저면이 도 4c 또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판(30)의 토출구 측 또는 샤워 헤드 측 조절홈(32, 32') 한 쌍 중에서 어느 하나만이 개방되도록 하면서 슬라이드부재(40)의 회전폭이 커짐에 따라 개방된 조절홈(32, 32')의 개방 정도가 점차로 커지게 되므로 손잡이(200) 회전에 의해 냉·온수의 토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손잡이(200)는 연결판(30)의 일 조절홈(32, 32')이 완전 개방된 상태 이후에는 더 이상 회전할 필요가 없는 것인 바, 본 발명에서는 작동축(50)의 고정하우징(52) 저면에 돌출막대(53)를 형성하여 돌출막대(53)가 연결판(30)에 마련된 슬라이드홈(33) 내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돌출막대(53)가 슬라이도홈(33)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폭만큼 손잡이(20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본원 발명에 의한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A)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00)가 젖혀지지 않은 상태 즉, 슬라이드부재(40)가 연결판(30) 중앙부에 위치함으로써 연결판(30)의 조절홈(32, 32') 개방이 차단된 상태를 초기상태로 하는 것인 바, 본원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초기상태를 쉽사리 인지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부재(40)에 볼스프링(43)을 마련하고 연결판(30)에 반구형 요홈(34)을 형성하여 슬라이드부재(40)가 초기상태인 경우 즉, 슬라이드부재(40)가 연결판(30) 중앙부에 위치하는 경우 슬라이드부재(40)의 볼스프링(43)이 연결판(30)의 요홈(34)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초기상태를 쉽사리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손잡이(200)가 전방으로 젖혀졌을 때 샤워 헤드로부터 냉·온수 토출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손잡이(200)가 전방으로 젖혀졌을 때 토출구(110)로부터 냉·온수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에서 작동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에서 슬라이드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도 5는 기존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의 외형을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로형성부 11 : 샤워 헤드 측 유출공
12 : 샤워 헤드 측 냉수 유입공 13 : 샤워 헤드 측 온수 유입공
14 : 토출구 측 유출공 15 : 토출구 측 냉수 유입공
16 : 토출구 측 온수 유입공 17 : 돌기
20 : 기밀유지판 21, 21' : 통공
22, 22 : 조절홈 23 : 패킹
24: 삽입홈 30 : 연결판
31, 31' : 통공 32, 32' : 조절홈
33 : 슬라이드홈 34 : 요홈
35 : 삽입홈 40 : 슬라이드부재 41 : 기어부 42, 42' : 요홈
43 : 볼스프링
50 : 작동축 51 : 원형기어부
52 : 고정하우징 53 : 돌출막대
100, 100' : 몸체 110, 110' : 토출구
120, 120' : 배관 200, 200' : 개폐 손잡이
210 : 손잡이 커버 300, 300' : 샤워 헤드
400 : 작동버튼 A, A' :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

Claims (7)

  1. 몸체 상단에 개폐 손잡이가 마련되어 개폐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급수 및 냉·온수 토출량 조절이 이루어짐으로써 토출구 또는 샤워 헤드를 통해 냉수 또는 온수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개폐 손잡이 하부의 몸체 내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샤워 헤드로의 냉·온수 의 공급을 위한 샤워 헤드 측 유출공 및 냉·온수 유입공과 토출구로의 냉·온수 의 공급을 위한 토출구 측 유출공 및 냉·온수 유입공이 형성된 유로형성부와;
    상기 유로형성부 상부에 위치하는 원판 형태의 것으로, 유로형성부의 유출공 및 냉·온수 유입공과 상응하는 위치에 통공 및 조절홈이 형성되고, 통공 및 조절홈 둘레의 상·하면에 기밀을 위한 패킹이 마련된 기밀유지판과;
    상기 기밀유지판 상부에 위치하는 원판 형태의 것으로, 기밀유지판의 통공 및 조절홈과 동일한 형태의 통공 및 조절홈이 마련되고, 둘레 내부의 양측에 호형 슬라이드홈이 마련되며, 상면 중앙에 반구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 요홈이 형성된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면에 기어부가 형성되고, 저면에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대칭형태의 요홈이 형성되며, 요홈 사이의 중앙에 볼스프링이 마련된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하단부에 슬라이드부재의 기어부와 치합하는 원형기어부가 형성되고, 고정하우징 저면 양측 각각에 하단이 기밀 유지판의 요홈 내측으로 삽입되는 돌출막대가 마련된 작동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부의 샤워 헤드 측 유출공은 샤워 헤드와 연결되는 배관과 이어지는 것이고, 토출구 측 유출공은 토출구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유지판의 통공 및 조절홈은 유로형성부의 각 유출공 및 냉·온수 유입공과 상응하도록 위치하는 것이며, 통공 및 조절홈이 유로형성부의 각 유출공 및 냉·온수 유입공 상부에 위치한 상태로 유로형성부 상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의 통공 및 조절홈은 기밀유지판의 통공 및 조절홈과 상응하도록 위치하는 것이며, 통공 및 조절홈이 기밀유지판의 통공 및 조절홈 상부에 위치한 상태로 기밀유지판 상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
  5. 상기 작동축은 상단이 개폐 손잡이 내부에 결합되어 개폐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거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부의 샤워 헤드 측 냉온수 유입공은 토출구 측 냉온수 유입공과 대칭 형태이되 그 위치를 서로 반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의 각 조절홈은 외측으로 향하면서 점차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
KR1020070086832A 2007-08-29 2007-08-29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 KR200900219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832A KR20090021924A (ko) 2007-08-29 2007-08-29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832A KR20090021924A (ko) 2007-08-29 2007-08-29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924A true KR20090021924A (ko) 2009-03-04

Family

ID=40691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832A KR20090021924A (ko) 2007-08-29 2007-08-29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19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621B1 (ko) * 2021-06-02 2022-03-23 김춘규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621B1 (ko) * 2021-06-02 2022-03-23 김춘규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9830B2 (en) Spin controlled faucet outlet structure
US20190001350A1 (en) Flow control component and shower
KR100838999B1 (ko) 비데의 유로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JP2008133712A (ja) シャワーヘッド
JP2014020551A (ja) 水栓金具用の節湯型カートリッジ
KR101675745B1 (ko) 비데용 노즐장치
KR20090021924A (ko) 샤워기 겸용 수도꼭지
JP4976664B2 (ja) 混合水栓
CN210860016U (zh) 龙头和淋浴设备
KR200445553Y1 (ko) 수격방지를 위한 수도밸브 카트리지
KR200391526Y1 (ko) 수도밸브
JP4334039B2 (ja) 止水機能付シャワーヘッドを備えたシングルレバー式混合水栓
JP2007032798A (ja) プッシュ式水栓
JP2015227672A (ja) シングルレバー水栓
JP2014020550A (ja) 水栓金具用の節湯型カートリッジ
KR200444965Y1 (ko)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수압조절장치
JP2004232691A (ja) プッシュ式水栓
JP2019210653A (ja) 流路切替機構
CN216910659U (zh) 一种用于喷枪的开关结构
CN216428442U (zh) 一种水龙头
JP3369790B2 (ja) シングルレバー式混合水栓に於けるレバーハンドル
KR20050113489A (ko) 수도밸브
KR101279860B1 (ko) 수전금구
KR101339986B1 (ko) 물의 공급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전금구
JP4242714B2 (ja) 水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