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999B1 - 비데의 유로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 Google Patents

비데의 유로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999B1
KR100838999B1 KR1020070054911A KR20070054911A KR100838999B1 KR 100838999 B1 KR100838999 B1 KR 100838999B1 KR 1020070054911 A KR1020070054911 A KR 1020070054911A KR 20070054911 A KR20070054911 A KR 20070054911A KR 100838999 B1 KR100838999 B1 KR 100838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discharge
bidet
hole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택
길태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세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to KR1020070054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9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2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 F16K3/2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with cylindrical valve me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데의 유로조절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세정수의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회전체와 고정체를 포함하는 유로전환부; 및 회전연결축을 통해 상기 회전체에 연결된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에는 회전 조절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체에는 배출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체에는 상기 회전 조절공과 연통 가능한 배출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유로 중 적어도 1개는 관통 형성된 배출공 및 상기 배출공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배출턱으로 구성된 턱붙이 유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비데의 유로조절밸브에 따라, 밸브유량 및 유로의 조절이 매우 용이하고, 자체의 부피가 작아져 콤팩트한 구성이 가능하게 되며, 2개 이상의 유로를 동시에 개방한 후 1개 유로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비데, 밸브, 유로, 회전체, 고정체, 모터, 턱붙이, 배출, 와이드, 세정

Description

비데의 유로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FLOW PATH CONTROL VALVE OF A BIDET, AND A BIDET INCLUD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비데 노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유로조절밸브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종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일부를 투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유로전환부의 회전체 구성을 나타내며 (a)는 평면도이고, (b)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유로전환부의 고정체 구성을 나타내며 (a)는 평면도이고, (b)는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유로의 종류별 유로전환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주요 구성부호의 설명>
100... 하우징
110... 유입공
120... 비데 배출공
130... 와이드 배출공
140... 세정 배출공
150... 세척 배출공
160... 공기흡입구
200... 유로전환부
210... 회전체
211... 회전 조절공
220... 고정체
300... 회전연결축
400... 스프링
600... 지지판
700... 고정체의 배출유로
710... 턱붙이 유로
710a... 안쪽 세정유로
710b... 바깥쪽 세정유로
710c... 비데유로
710d... 와이드유로
720... 보조 배출공
1000... 비데의 유로조절밸브
본 발명은 비데의 유로조절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로와 유량을 동시에 설정할 수 있고 2방향 유로를 동시에 개방할 수 있으며 그 선택된 유로에서 유량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비데의 유로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비데는 좌변기에 부속되는 장치로서, 그 본체의 일측에 위치하는 조작 스위치(또는, 버튼)를 조작하여 노즐을 통해 세정수를 분사시킴으로써 항문세척이나 여성의 질 세척 등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이를 위해, 노즐의 팁에는 세정수가 분사되는 출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출수공을 통해 세정수가 고압으로 분사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상기 노즐팁에서 각각의 유로를 조절하기 위한 유로조절밸브가 각각 별도로 배치되어 있어서 부피를 많이 차지하고 구조도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한편,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16309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는 이와 같은 일반적인 비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유로조절밸브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비데 노즐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유로조절밸브(100)는, 일측에 회전축(111)이 형성되며, 이 회전축(111)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텝모터(110)와, 상기 회전축(111)에 연결되어 스텝모터(11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조절부재(120)와, 상기 샤프트조절부재(120)를 내부에 수용하며, 세 정수가 유입되는 하우징(130)과,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로 유입된 세정수를 가압된 버튼에 따라 급수로를 변환시키도록 스텝모터(110)의 회전으로 작동하는 회전부재(140)와, 상기 회전부재(140)를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견고하게 밀착시키는 스프링(150)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르면 회전부재(140)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항문세정이나 국부세정을 위한 유로를 개폐하는 단순한 기능을 수행할 뿐 다양한 유로와 유량을 선택할 수 있는 구성은 없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소정 유로내의 유량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었으며, 2개의 유로를 동시에 개방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장소에서 다양한 기능에 대응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고 유량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2개의 유로를 동시에 개방할 수도 있는 비데의 유로조절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비데의 유로조절밸브는,
세정수의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회전체와 고정체를 포함하는 유로전환부; 및
회전연결축을 통해 상기 회전체에 연결된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에는 회전 조절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체에는 배출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체에는 상기 회전 조절공과 연통 가능한 배출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유로 중 적어도 1개는 관통 형성된 배출공 및 상기 배출공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배출턱으로 구성된 턱붙이 유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유로는 2개 이상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2개의 배출유로는 턱붙이 유로이며, 그 중 적어도 1개의 턱붙이 유로의 배출턱은 배출공으로부터 단부쪽을 향해 점차 높아지는 깊이를 갖고, 나머지 턱붙이 유로의 배출턱은 일정한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공으로부터 단부쪽을 향해 점차 높아지는 깊이를 갖는 턱붙이 유로의 배출턱은 단계적으로 더 높아지는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유로는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되 적어도 2개는 반경방향 위치까지의 거리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조절공은 2개 이상 형성되되 적어도 2개는 상기 배출유로의 반경위치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2개의 회전 조절공은 상기 회전연결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쪽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체에는 상기 회전 조절공과 연통 가능한 보조 배출공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턱붙이 유로는 바깥 반경위치에 2개가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유로는, 바깥 반경 위치에 이웃하여 형성된 3개의 턱붙이 유로와, 상기 안쪽 반경 위치에 형성된 1개의 턱붙이 유로와, 상기 회전 조절공과 연통 가능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보조 배출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바깥 반경 위치의 2개의 턱붙이 유로는 관통된 배출공으로부터 단부쪽을 향해 단계적으로 더 높아지는 깊이를 갖는 배출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체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해 상기 회전연결축의 둘레에는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에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공으로부터 단부쪽을 향해 점차 높아지는 깊이를 갖는 턱붙이 유로중 하나는 상기 배출공을 중심으로 다단 배출턱과 홀단 배출턱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유로조절밸브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도 3은 도 2의 종단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일부를 투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유로전환부의 회전체 구성을 나타내되 (a)는 평면도이고, (b)는 저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서 유로전환부의 고정체 구성을 나타내되 (a)는 평면도이고, (b)는 저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유로의 종류별 유로전환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유로조절밸브(1000)는, 세정수의 유입공(110)과 각종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 내에 수용되며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회전체(210)와 고정체(220)를 포함하는 유로전환부(200), 회전연결축(300)을 통해 상기 회전체(210)에 연결된 모터(M)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0) 내에는 회전체(210)에 탄성력을 가하여 고정체(220)에 밀착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400)이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상기 스프링(400)은 회전연결축(300)의 둘레에 배치되되, 지지판(600) 등 상부 고정부와 회전체(210) 사이에 양단이 배치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에는 유입공(110), 비데 배출공(120), 와이드 배출공(130), 세정 배출공(140), 및 세척 배출공(15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공(110)에는 공기흡입구(160)가 형성되어 있어 세정수가 압력차에 의해 막히는 경우 없이 자연스럽게 통과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는 모터(M)가 배치되어 있으며 스텝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M)에는 회전연결축(300)이 연결되어 있어 상기 회전체(210)에 회전동력을 전달한다.
도면에서, 구성부호 310은 중간 연결부로서 회전연결축(300)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210)에 회전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회전체(210)는 회전연결축(300)과 연결되어 모터(M)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부재로서 회전 조절공(211)이 관통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히, 상기 회전 조절공(211)은 2개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연결축(300)으로부터 반경방향 위치까지의 거리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물론, 기능이 단순할 경우 상기 회전 조절공(211)이 1개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정체(220)에는 배출유로(700)가 다양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기능이 단순할 경우에 상기 배출유로(700)는 한 두개 정도로 줄어들 수도 있다.
상기 배출유로(700) 중 적어도 1개는 관통 형성된 배출공(711)과, 상기 배출공(711)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곡선형으로 연장되는 다단 배출턱(712)과, 상기 배출공(711)을 사이에 두고 다단 배출턱(712)의 반대쪽에 형성된 홀단 배출턱(713) 으로 구성된 턱붙이 유로(71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턱붙이 유로(710)의 다단 배출턱(712)의 위치에 회전체(210)의 회전 조절공(211)이 위치한 경우 세정수가 상기 다단 배출턱(712)을 따라 이동하여 배출공(711)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출공(711)을 통해 배출된 세정수는 상기 모터(M)의 제어에 의한 회전조절공(211)의 위치변화로 맛사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턱붙이 유로(710)의 홀단 배출턱(713)의 위치에 회전체(210)의 회전조절공(211)이 위치한 경우, 세정수가 상기 홀단 배출턱(713)을 따라 이동하여 배출공(711)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출공(711)을 통해 배출된 세정수는 상기 모터(M)의 제어에 의한 회전조절공(211)의 위치변화로 쾌변(스팟)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면에서, 턱붙이 유로(710)는 세정유로(710a)(710b), 비데유로(710c), 및 와이드유로(710d)로 구성된다. 상기 세정유로(710a)(710b)는 항문세정시에 세정수가 지나가는 통로가 되며, 비데유로(710c)는 여성의 질세정시에 세정수가 지나가는 통로가 된다. 또한, 와이드유로(710d)는 광각분사기능을 수행하는 유로로서, 노즐팁(미도시)에서 세정유로(710a)(710b)를 지나는 직선류에 토크를 가하는 회전류를 만들어내는 유로이다.
이에 따라, 광각 분사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 와이드유로(710d)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세정유로(710a)(710b)와 비데유로(710c)의 다단 배출턱(712)은 배출공(711)으로부터 단부쪽을 향해 점차 높아지는 깊이를 갖는다. 특히, 세정유 로(710a)(710b)와 비데유로(710c)의 다단 배출턱(712)의 바닥은 계단형상으로 되어 있어 다단 배출턱(712)의 단부를 향해 단계적으로 더 높아지는 깊이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회전체(210)가 회전연결축(30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회전 조절공(211)이 다단 배출턱(712)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유압 및 유량이 자연스럽게 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홀단 배출턱(713) 및 다단 배출턱(712)은 도면에서와 같이 단턱지게 형성될 수 있지만, 표면이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매끄럽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안쪽 세정유로(710a)와 바깥쪽 세정유로(710b)는 각각 회전연결축(300)으로부터 반경방향 위치까지의 거리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체(210)의 2개 회전 조절공(211)과 대응되게 설치된다. 이는, 직선류만을 공급하는 기능과, 직선류와 회전류를 동시에 공급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회전 조절공(211)은 회전연결축(300)을 중심으로 반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유로(710a)(710b)와 비데유로(710c)는 서로 이웃하고 있으며 회전체(210)의 회전에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기능한다.
또한, 와이드유로(710d)는 배출턱의 깊이가 일정한 턱붙이 유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드유로(710d)를 통과하는 유량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안쪽 세정유로(710a)와 와이드유로(710d)는 동시에 개방되어 광각 분사를 형성하게 되는데, 와이드유로(710d)가 일정한 유량을 갖고 있으므로 세정유로(710a)를 통과하는 유량을 변화시켜서 광각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체(220)에는 상기 회전 조절공(211)과 연통 가능한 보조 배출공(720)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어 노즐 세척을 위한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는 다양한 유로의 종류별 유로전환부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는데, 도 7(a)는 안쪽 세정유로(710a)와 와이드유로(710d)가 동시에 개방되어 항문세정을 위한 광각분사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7(b)는 바깥쪽 세정유로(710b)가 개방되어 직선류만이 분사되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7(c)는 비데유로(710c)가 개방되어 여성의 질세정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7(d)는 보조 배출공(720)이 개방되어 노즐팁을 세척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상기 세정유로(710a)(710b)와 비데유로(710c)는 배출턱의 깊이가 점차 변하는 턱붙이 유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체(210)를 회전시킴에 따라 유량이 변화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모터(M)에는 통상의 전원 및 제어장치(미도시)가 연결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유로조절밸브의 작용을 기술한다.
먼저, 사용자가 용변 후, 비데의 외부에 노출된 광각 항문세정의 기능버튼(미도시)을 가압하면, 제어장치(미도시)에 의해 스텝모터(M)가 소정각도 회전하고,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210)의 2개 회전 조절공(211)(211)이 고정체(220)의 세정유로(710a)와 와이드유로(710d)에 연통하여 양쪽에서 동시에 세정수 가 공급된다. 이 경우, 상기 회전체(21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면 세정유로(710a)를 통과하는 세정수의 유량이 조절됨으로써 소정의 광각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일반 항문세정 기능버튼을 가압하면, 회전체(210)의 바깥쪽 회전 조절공(211)이 세정유로(710b)와 연통하여 일반 직선류가 노즐팁(미도시)을 통해 배출된다. 물론, 회전체(21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면 세정유로(710b)를 통과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조절하여 분사되는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비데 기능버튼을 가압하면, 회전체(210)의 바깥쪽 회전 조절공(211)이 비데유로(710c)와 연통하여 여성의 질세정을 위한 세정수가 노즐팁을 통해 배출된다. 이 경우, 회전체(21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면 비데유로(710c)를 통과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조절하여 분사되는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노즐팁 상에서 상기 항문세정과 여성의 질세정을 위한 배출구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세정 작업의 이전 및/또는 이후에 노즐팁을 세척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장치에 의해 안쪽의 회전 조절공(211)이 보조 배출공(720)과 연통하여 노즐팁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노즐팁이 세척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낼 뿐이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유로전환부인 회전체와 고정체가 대향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되, 회전체에는 회전 조절공이 형성되어 있고 고 정체에는 배출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유로 중 적어도 1개는 관통 형성된 배출공 및 상기 배출공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곡선형으로 연장되는 배출턱으로 구성된 턱붙이 유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유로를 동시에 개방하는 등 유량 및 유로의 조절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체와 고정체만으로 구성된 유로전환부에 의해 한 장소에서 세정유로, 와이드유로, 비데유로 및 보조 배출공을 형성하여 선택적으로 작동하게 할 수 있으므로 유로조절밸브의 부피가 작아지고 콤팩트한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세정유로와 와이드유로를 동시에 개방한 상태에서 세정유로만의 유량조절이 가능하여 광각 분사의 각도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출유로의 배출턱에 의해 세정수의 유압 및 유량을 조절하여 마사지 또는 쾌변 기능과 같은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Claims (12)

  1. 비데의 유로조절밸브에 있어서,
    세정수의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회전체와 고정체를 포함하는 유로전환부; 및
    회전연결축을 통해 상기 회전체에 연결된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체에는 회전 조절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체에는 상기 회전 조절공과 연통 가능한 배출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유로 중 적어도 1개는 관통 형성된 배출공 및 상기 배출공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배출턱으로 구성된 턱붙이 유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유로조절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는 2개 이상 형성되어 있고, 그 중 적어도 2개의 배출유로는 턱붙이 유로이며, 그 중 적어도 1개의 턱붙이 유로의 배출턱은 배출공으로부터 단부쪽을 향해 점차 높아지는 깊이를 갖고, 나머지 턱붙이 유로의 배출턱은 일정한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유로조절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으로부터 단부쪽을 향해 점차 높아지는 깊이를 갖는 턱붙이 유로의 배출턱은 단계적으로 더 높아지는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유로조절밸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는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되 적어도 2개는 반경방향 위치까지의 거리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조절공은 2개 이상 형성되되 적어도 2개는 상기 배출유로의 반경위치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유로조절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회전 조절공은 상기 회전연결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쪽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유로조절밸브.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에는 상기 회전 조절공과 연통 가능한 보조 배출공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유로조절밸브.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턱붙이 유로는 바깥 반경위치에 2개가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비데의 유로조절밸브.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는, 바깥 반경 위치에 이웃하여 형성된 3개의 턱붙이 유로와, 상기 안쪽 반경 위치에 형성된 1개의 턱붙이 유로와, 상기 회전 조절공과 연통 가능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보조 배출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바깥 반경 위치의 2개의 턱붙이 유로는 관통된 배출공으로부터 단부쪽을 향해 단계적으로 더 높아지는 깊이를 갖는 배출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유로조절밸브.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해 상기 회전연결축의 둘레에는 스프링이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유로조절밸브.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에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유로조절밸브.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으로부터 단부쪽을 향해 점차 높아지는 깊이를 갖는 턱붙이 유로중 하나는 상기 배출공을 중심으로 다단 배출턱과 홀단 배출턱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유로조절밸브.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로조절밸브를 포함하는 비데.
KR1020070054911A 2007-06-05 2007-06-05 비데의 유로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KR100838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911A KR100838999B1 (ko) 2007-06-05 2007-06-05 비데의 유로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911A KR100838999B1 (ko) 2007-06-05 2007-06-05 비데의 유로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8999B1 true KR100838999B1 (ko) 2008-06-17

Family

ID=39771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911A KR100838999B1 (ko) 2007-06-05 2007-06-05 비데의 유로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899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5430A (ko) * 2010-04-15 2011-10-2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유량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KR101598593B1 (ko) 2015-11-02 2016-02-29 주식회사 현대비데 비데용 밸브장치
KR101675745B1 (ko) * 2010-03-31 2016-11-29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용 노즐장치
KR101724567B1 (ko) * 2015-10-08 2017-04-18 주식회사 교원 잔수 개선 비데용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KR20190133956A (ko) * 2018-05-24 2019-12-04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유량조절밸브
KR20200038738A (ko) * 2018-10-04 2020-04-14 박성호 비데용 밸브장치
KR20200038739A (ko) * 2018-10-04 2020-04-14 박성호 비데용 밸브장치
KR102152544B1 (ko) * 2019-11-21 2020-09-04 이재선 기계식 밸브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0350A (ja) 1999-07-12 2001-01-23 Inax Corp 温水洗浄装置
JP2002088873A (ja) 2000-09-13 2002-03-27 Toto Ltd 人体局部洗浄ノズ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人体局部洗浄装置
JP2006104671A (ja) 2004-09-30 2006-04-20 Toto Ltd 衛生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0350A (ja) 1999-07-12 2001-01-23 Inax Corp 温水洗浄装置
JP2002088873A (ja) 2000-09-13 2002-03-27 Toto Ltd 人体局部洗浄ノズ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人体局部洗浄装置
JP2006104671A (ja) 2004-09-30 2006-04-20 Toto Ltd 衛生洗浄装置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745B1 (ko) * 2010-03-31 2016-11-29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용 노즐장치
KR20110115430A (ko) * 2010-04-15 2011-10-2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유량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KR101685953B1 (ko) * 2010-04-15 2016-12-13 코웨이 주식회사 유량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KR101724567B1 (ko) * 2015-10-08 2017-04-18 주식회사 교원 잔수 개선 비데용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KR101598593B1 (ko) 2015-11-02 2016-02-29 주식회사 현대비데 비데용 밸브장치
WO2017078386A1 (ko) * 2015-11-02 2017-05-11 최광민 비데용 밸브장치
JP2018536786A (ja) * 2015-11-02 2018-12-13 チョイ, グワン ミンCHOI, Gwang Min ビデ用弁装置
US10378664B2 (en) 2015-11-02 2019-08-13 Gwang Min CHOI Bidet valve device
KR20190133956A (ko) * 2018-05-24 2019-12-04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유량조절밸브
KR102609492B1 (ko) * 2018-05-24 2023-12-05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유량조절밸브
KR20200038738A (ko) * 2018-10-04 2020-04-14 박성호 비데용 밸브장치
KR20200038739A (ko) * 2018-10-04 2020-04-14 박성호 비데용 밸브장치
KR102108093B1 (ko) 2018-10-04 2020-05-15 박성호 비데용 밸브장치
KR102108092B1 (ko) * 2018-10-04 2020-06-08 박성호 비데용 밸브장치
KR102152544B1 (ko) * 2019-11-21 2020-09-04 이재선 기계식 밸브 시스템
WO2021101262A1 (ko) * 2019-11-21 2021-05-27 이재선 기계식 밸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999B1 (ko) 비데의 유로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RU2534088C1 (ru) Душевая головка
US10086390B2 (en) Multi-function sprayhead
KR102108093B1 (ko) 비데용 밸브장치
CN211796083U (zh) 一种淋浴器
KR101510627B1 (ko) 복수 개의 유입구와 배출구를 갖는 유로전환밸브
KR101675745B1 (ko) 비데용 노즐장치
JP4199347B2 (ja) 止水機構付シャワーヘッド
KR200400234Y1 (ko) 비데용 복합밸브 조립체
CN212203237U (zh) 一种独立控制淋浴器
CN113385315B (zh) 一种带有旋转切换面盖的花洒
CN215843651U (zh) 一种水路切换结构
JP4266303B2 (ja) 吐水金具
KR20180003628U (ko) 선반형 샤워수전의 일체형 개폐 및 수로구조
JP2003225179A (ja) 吐水装置
KR20160010899A (ko) 유로 전환 밸브
KR200357722Y1 (ko) 기계식 비데
CN217491272U (zh) 一种出水组件
JP4199346B2 (ja) 止水機構付シャワーヘッド
JP3930745B2 (ja) 吐水装置
JP4030798B2 (ja) ハンドシャワ
CN212959987U (zh) 一种混水分水一体式水龙头阀芯
US20240125100A1 (en) Faucet structure
JP4486344B2 (ja) 水栓
CN219710466U (zh) 一种清洁喷枪的龙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