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8739A - 비데용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비데용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8739A
KR20200038739A KR1020180118314A KR20180118314A KR20200038739A KR 20200038739 A KR20200038739 A KR 20200038739A KR 1020180118314 A KR1020180118314 A KR 1020180118314A KR 20180118314 A KR20180118314 A KR 20180118314A KR 20200038739 A KR20200038739 A KR 20200038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washing water
bidet
discharge ho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8093B1 (ko
Inventor
박성호
김재학
Original Assignee
박성호
김재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호, 김재학 filed Critical 박성호
Priority to KR1020180118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093B1/ko
Publication of KR20200038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1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the form of a fine jet, e.g. for use in wind-screen w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05B1/34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 B05B1/342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with channels emerging substantially tangentially in the swirl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 B05B15/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discharged by cleaning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데용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터를 구비한 구동부(1)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정역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일측 단부에서 개방되게 절개된 절개부(31)가 형성된 조절판(3), 상기 조절판(3)의 하측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배출구들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밸브바디(6)를 구비하여 노즐부에 형성된 두개의 전후측 노즐공들로 세정수를 공급하도록 된 비데용 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3)은 상부 하우징(5)에 수용되고, 하부 하우징(7)에 제공된 밸브바디(6)에 대하여 스프링(4)에 의해 탄성력의 작용하에 회전가능하게 밀착되어 배치되며, 상기 밸브바디(6)에는 하방으로 관통되게 복수개의 배출홀(61,62,63,64)들과 자가세척용 배출홀(65)들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7)에는 상기 배출홀(61,62,63,64,65)들 각각에 연통되는 파이프 형태의 배출구(71,72,73,74,7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71,72,73,74,75)들은 비데의 세정수 공급부(8)에 형성된 4개의 공급관(81,82,83,84)에 각각 연결되어 세정수가 작동모드에 따라 노즐들로 복수의 모드들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조절판의 회전 위치에 따라 조절판의 절개부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비데의 다양한 모드에 따라 노즐들을 통해 세정수로 세척과 세정을 수행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저감시키며,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데용 밸브장치{A VALVE APPARATUS FOR BIDET}
본 발명은 비데용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개의 노즐에서 세정수를 직수 형태로 분사하여 항문을 세척하고, 세정수를 미스트 형태로 확산하여 세정하도록 된 비데용 노즐들로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으며 단순화된 구조로 유량을 조절하도록 개선된 비데용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Bidet)는, 용변 후, 휴지를 사용하지 않고 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정수로 용변자의 항문이나 여성의 국부를 세정한 후, 항문이나 국부 주위에 잔존하는 물기를 건조기에서 공급되는 온풍으로 건조시키는 장치로, 최근에는 편의성과 함께 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비데는 일반가정에서 위생청결을 위해 사용될 뿐만 아니라, 치질, 방광염, 질염, 설사로 인한 쓰라림 등을 방지하기 위한 의료용으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여성의 월경과 산후조리 시에도 매우 유익하게 사용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비데는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이나 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구성을 이루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직수에 의해 항문을 세척하는 비데모드와, 항문이나 여성 국부의 세정을 위한 세정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특히, 세정수를 노즐을 통해 분사하여 저자극적으로 부드러운 세정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세정효과를 향상시키고, 기포가 터질 때 발생하는 음이온에 의한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세정수로서의 물에 공기가 섞이게 하여 에어버블(Air bubble)을 갖는 세정수를 공급하기도 한다.
이러한 종래 비데용 밸브의 예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5542호(공개일자 2013년04월09일)에는 입수유로에서 유입되는 물이 내부를 통해 흐르도록 마련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연동되어 회전하며, 상기 회전축 내부를 흐르는 물이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며 복수의 출수유로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어져 상기 회전부에서 배출되는 물이 출수유로를 통해 출수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와, 상기 회전축, 상기 회전부 및 상기 고정부를 수용하며 상기 입수유로에 연결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유로 조절밸브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비데용 조절밸브들은 유량과 함께 유로를 동시에 조정하기 어려우며,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5542호(공개일자 2013년04월09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비데용 밸브장치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단순화된 구조로 세척용으로 세정수를 직수로 분사하거나 세정용으로 세정수를 미스트 형태로 확산하여 분사하는 노즐들로 세정수를 효율적으로 분배하여 공급하도록 유로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함과 함께 유량을 조정할 수 있으며, 단순화된 구조로 개선된 비데용 밸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비데용 밸브장치는, 모터를 구비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정역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일측 단부에서 개방되게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조절판, 상기 조절판의 하측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배출구들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밸브바디를 구비하여 노즐부에 형성된 두개의 전후측 노즐공들로 세정수를 공급하도록 된 비데용 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은 상부 하우징에 수용되고, 하부 하우징에 제공된 밸브바디에 대하여 스프링에 의해 탄성력의 작용하에 회전가능하게 밀착되어 배치되며,
상기 밸브바디에는 하방으로 관통되게 복수개의 배출홀들과 자가세척용 배출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에는 상기 배출홀들 각각에 연통되는 파이프 형태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들은 비데의 세정수 공급부에 형성된 4개의 공급관에 각각 연결되어 세정수가 작동모드에 따라 노즐들로 복수의 모드들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급관즐중 하나는 노즐부 상면에 형성된 후측의 유로와 연통되고, 유로는 전측에 형성된 유로에 연통되어 세정수를 와류 형태로 노즐공들에서 확산분사하도록 되며, 상기 공급관은 노즐부에서 하부캡으로 밀폐되는 하부에 형성된 유로에 연통되고 상기 공급관은 노즐부의 하부에 형성된 유로와 연통되어 세정수를 노즐공들에서 통해 직수 형태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절판의 절개부가 밸브바디의 배출홀에 배치될 때, 세정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가 상기 배출홀과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세정수 공급부의 공급관을 거쳐 노즐부의 유로를 통해 노즐공에서 직수 형태로 분사되어 항문을 세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판이 회전되어 절개부가 배출홀에 배치될 때, 세정수가 상기 배출홀과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노즐의 공급부의 공급관을 거쳐 노즐부의 후측의 유로에서 와류 형태로 유동하여 공급되어 노즐부의 보스와 노즐캡 저면 사이의 간극을 통해 가압된 상태에서 후측의 노즐공을 통해 타원형 형태로 확산되어 분사되어 항문을 세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판의 절개부가 두개의 배출홀들로 각각 연통되는 홈들에 공통적으로 배치될 때, 세정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가 홈이 연통된 배출홀에 연결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공급관과 노즐부의 유로들을 통해 노즐공에서 직수분사와 확산 분사의 복합 형태로 항문을 세척과 세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조절판의 절개부가 배출홀과 배출홀 사이에서 왕복이동할 때, 세정수가 후측 노즐공에서 직수 형태로 세정수를 분사한 다음, 세정수가 노즐공에서 직수 형태로 항문에 분사된 다음 노즐공에서 항문 주변으로 확산분사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조절판의 절개부가 배출홀에 배치될 때, 세정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가 배출홀에 연통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노즐부의 공급관과 노즐부 하부의 유로를 통해 노즐공에서 직수 형태로 국부로 분사되어 세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조절판의 절개부가 배출홀에 배치될 때, 세정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가 배출홀에 연통된 배출구를 거쳐 공급되어 노즐부의 공급관과 노즐부 상면의 유로를 통해 노즐공에서 미스트 형태로 확산분사되어 국부를 부드럽게 세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절판의 절개부가 배출홀에 배치될 때, 세정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가 배출홀에 연통된 배출구를 통해 상기 4개의 공급관들중 적어도 2개의 공급관들로 동시에 연통되어 노즐부의 전후로 형성된 2개의 노즐공들로 공급되어 노즐들을 자가세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비데용 밸브장치는 밸브바디에 형성된 원호형태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폭이 증가되고 계단식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세정수 배출구에 대해, 밸브바디의 상측에 배치되는 조절판의 절개부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간편한 구조로 세정수가 배출되는 유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음과 함께, 비데의 다양한 모드에 따라 노즐들을 통해 세정수로 항문과 국부를 선택적으로 세척과 세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구성을 콤팩트하고 단순화하여 부품 절감을 통해 제조비용을 저감시키며,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비데용 밸브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비데용 밸브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비데용 밸브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밸브바디의 평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밸브 바디가 장착된 하우징에서 밸브 바디의 유로용 홀들에 대응하여 하우징에 장착된 배출구에서 세정수가 배출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비데용 밸브장치가 사용되는 비데의 노즐의 개략적인 분해
도 9는 도 8의 노즐부의 종단면도.
도 10은 도 8의 노즐부의 횡단면도.
도 11은 도 8의 노즐부에서 두개의 노즐공들을 통해 세정수가 직수 형태로 분사되게 하부에 유로가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하북캡이 제거된 상태의 조즐부의 사시도.
도 12는 도 9의 노즐부에서 노즐캡이 제거되어 노즐부 상면에 형성되어 노즐공들에서 세정수가 확산되어 분사되기 위한 나선형의 유로를 보여주는 조즐부의 평면도.
도 13은 조절판의 절개부가 도 4의 배출홀(61)에 배치될 때, 후측의 노즐공에서 세정수가 직수 분사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조절판의 절개부가 도 4의 배출홀(62)에 배치될 때, 후측의 노즐공에서 세정수가 확산 분사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조절판의 절개부가 도 4의 배출홀(61,62)와 연통되는 홈(611,621)들에 배치될 때, 후측의 노즐공에서 세정수가 직수분사와 함께 확산분사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조절판의 절개부가 도 4의 배출홀(61,62)들 사이에서 왕복이동할 때 후측 노즐공에서 직수 분사와 확산분사가 번갈아서 발생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조절판의 절개부가 도 4의 배출홀(63)에 배치될 때, 전측의 노즐공에서 세정수가 국부 세척을 위하여 확산분사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조절판의 절개부가 도 4의 배출홀(64)에 배치될 때, 전측의 노즐공에서 세정수가 미스트 형태로 국부 세정을 위해 확산분사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비데용 밸브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3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비데용 밸브장치는 모터, 바람직하게는 스텝모터와 상기 구동부의 하측에 내장되어 모터에 의해 정역회전가능한 커플링부재(11)를 구비한 구동부(1)와, 상기 구동부(1)의 커플링부재(11)에 결합되어 정역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일측 단부에서 개방되게 절개된 절개부(31)가 형성된 조절판(3)을 내장하는 상부 하우징(5), 상기 조절판(3)의 절개부(31)의 위치에 따라 개폐되는 복수의 유로용의 홀들이 형성된 밸브바디(6)가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바디의 홀들에 각각 연통되게 복수의 배출구들이 형성된 하부 하우징(7)을 포함한다. 상기 조절판(3)의 상면에는 탄성수단으로서의 스프링(4)이 배치되어 하측의 밸브바디에 조절판이 밀착되게 탄성력을 제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바디(6)에는 하방으로 관통되게 복수개의 유로용의 홀들이 후술하는 노즐부에 전후로 형성된 2개의 노즐들로 세정수를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홀들은 4개의 배출홀(61,62,63,64)들과 자가세척용 배출홀(65)들로 구성되며, 상기 배출홀(61,63,64)들은 원호 형상의 요홈으로 바닥이 계단식으로 경사지고 일측 단부가 관통홀로 형성되며, 상기 타측 단부에서 일측 단부의 관통홀 쪽으로 폭이 증가되어 밸브바디(6) 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조절판(3)의 절개부(31)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배출홀(61,63,64)들을 통해 배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이 변화되므로 세정수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홀(61,62)들은 서로 인접하여 형성되고 서로를 향한 쪽에 단차지게 홈(611,621)들이 반경방향 내측과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홈(611,621)들은 배출홀(61,62)들로 연통되어 홈(611,621)들로 유입되는 세정수는 배출홀(61,62)들을 통해 동시에 배출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5)에는 세정수 유입구(51)가 측부에 형성되고, 유입된 세정수는 조절판(3)의 절개부(31)와, 상기 조절판 하측에 배치된 밸브바디(6)에 형성된 배출홀(61,62,63,64,65)들중에서 조절판(3)의 회전 위치에 따른 절개부(31)의 위치에 대응되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배출홀을 통해 배출된다.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7)에는 상기 배출홀(61,62,63,64,65)들 각각에 연통되는 파이프 형태의 배출구(71,72,73,74,7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71,72,73,74)들은 도 8에 도시된 비데의 세정수 공급부(8)에 형성된 4개의 공급관(81,82,83,84)에 각각 연결되어 세정수가 밸브를 통해 노즐로 공급된다. 상기 배출구(75)는 4개의 공급관(81,82,83,84)들중 적어도 2개의 공급관들과 연통되어 노즐부(9)에 제공되는 노즐캡(91)에서 전후로 형성된 2개의 노즐공(911,921)으로 공급되어 노즐들을 자가세척되게 한다.
도 8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의 세정수 공급부(8)에는 상하로 형성된 2개의 공급관(81,82)과, 좌우로 형성된 2개의 공급관(83,84)들이 제공되고, 상기 상하의 공급관(81,82)들은 상기 전후로 형성된 2개의 노즐공(911,921)과 각각 연통되고, 또한 2개의 좌우의 공급관(83,84)들도 2개의 노즐공(911,921)과 각각 연통되어, 공급관(81,82,83,84)들중 어느 하나로 세정수가 공급되면 노즐공(911,921)들중 어느 하나를 통해 세정수가 분사되어 세척 또는 세정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노즐부(9)의 후측에 형성된 노즐공(911)은 항문 세척 및 세정을 위한 것으로, 단면이 원형부분(912)과, 상기 원형부분의 양측이 확장되어 전체적으로 타원형부분(913)으로 형성되어 항문 세척시에는 세정수가 원형부분(912)을 통해 직수로 분사되어 항문을 세척하게 되고, 항문 세정시에는 세정수가 후술하듯이 유로 확장으로 감암된 상태로 타원형부분(913)을 통해 상대적으로 보다 넓게 확산되어 분사되어 항문과 그 주변을 부드럽게 세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노즐부(9)의 전측에 형성된 노즐공(921)은 주로 여성의 국부 세척 및 세정을 위한 것으로, 단면이 세정수 공급유로 보다 확장된 원형으로 형성되어 직수 형태로 공급되는 세정수가 확장된 노즐공(921)을 통해 확산되면서 분사되어 민감한 여성 국부를 세척하고, 세정시에는 후술하듯이 협소하게 된 유로에서 확장된 형태의 노즐공을 통해 감압된 상태로 되어 세정수가 노즐공에서 미스트 형태로 분사되어 국부 주변을 더욱 부드럽게 세정하도록 한다.
상기 노즐부(9)의 개방되어 하부캡(93)으로 밀폐되는 하부에는 공급관(82)과 연통되며 하측이 개방된 유로(94)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94)는 노즐공(911)과 연통되어 공급관(82)으로 공급되는 세정수가 노즐부(9)의 유로(94)를 통해 노즐공(911)으로 직수 형태로 분사되어 항문을 세척하도록 된다.
상기 노즐부(9)의 개방된 하부에는 공급관(84)과 연통되는 유로(95)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95)는 노즐공(921)과 연통되어 공급관(84)으로 부터 유로(95)를 통해 공급되는 세정수는 전측의 노즐공(921)으로 직수 형태로 공급되어 원형으로 확장된 노즐공(921)을 통해 원형으로 분사되어 국부를 세정하도록 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공급관(81)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9) 상면에 형성된 후측의 유로(96)와 연통되고, 도 10에 도시된 유로(83)는 도 11에서 전측에 형성된 유로(97)에 연통된다.
상기 후측의 유로(96)는 노즐부(9)의 상부에서 관통홀이 형성된 보스(961)를 중심으로 환형의 공간이 형성되고 앞쪽에 분배돌기(962)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노즐캡(91)의 저면에는 상기 분배돌기(962)의 뒤쪽에서 보스(961)을 둘러싸게 배치되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원통형으로서 양측이 절개된 유동가이드부(963)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공급관(81)을 통해 유입되는 세정수가 상기 노즐부(9) 상부로 유입되어 분배돌기(962)의 양측으로 분배되어 공간의 양측으로 유입된 다음, 상기 유동가이드부(963)의 양측으로 유동되면서 양측의 절개된 부분을 통해 세정수가 와류 형태로 보스(961) 주변으로 유입되며, 이때, 상기 보스(27)와 노즐캡(24)의 저면 사이의 협소한 간극을 통해 가압된 상태로 노즐공(911)으로 유입된 다음 노즐공(911)의 확장된 타원형부분(913)을 통해 감압 분사되어 항문 주변을 세정하게 된다.
또한, 전측의 유로(97)는 노즐부(9) 상부에서 보스(971)을 중심으로 외측에 형성된 나선형 가이드부(972)에 의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로(97)로 유입된 세정수는 나선형 가이드부(972)에 의해 와류 형태로 유동하게 되고, 상기 노즐부(9)의 상부에 형성된 보스(971)의 상단과 노즐캡(91)의 저면 사이의 간극을 통해 가압된 상태에서 세정수가 원형으로 확장된 노즐공(921)에서 확산되는 순간 감압되어 미스트 형태로 분사되어 예민한 국부 주변을 부드럽게 세정하게 된다.
도 13에 있어서, 조절판(3)의 절개부(31)가 배출홀(61)에 배치되면, 세정수 유입구(51)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가 상기 배출홀(61)과 배출구(71)를 통해 배출되어 노즐의 공급부(8)의 공급관(82)을 거쳐 노즐부(9)의 유로(94)를 통해 노즐공(911)에서 직수 형태로 분사되어 항문을 세척하게 된다.
도 14에 있어서, 조절판(3)이 회전되어 절개부(31)가 배출홀(62)에 배치되면, 세정수가 상기 배출홀(62)과 배출구(72)를 통해 배출되어 노즐의 공급부(8)의 공급관(81)을 거쳐 노즐부(9)의 후측의 유로(96)에서 와류 형태로 유동한 다음 노즐부(9)의 보스(961)와 노즐캡(91) 저면 사이의 간극을 통해 가압된 상태로 후측의 노즐공(911)을 통해 타원형 형태로 확산되어 분사되어 세척한 항문을 세정하게 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판(3)의 절개부(31)가 배출홀(61,62)들로 연통되는 홈(611,621)들에 공통적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세정수 유입구(51)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가 홈(611)이 연통된 배출홀(61)을 거쳐 배출홀(61)에 연결된 배출구(71)를 통해 배출되어 도 13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급관(84)과 노즐부(9)의 유로(95)를 통해 노즐공(911)에서 직수분사와 확산분사의 복합 형태로 항문을 세척과 세정을 동시에 하도록 한다.
도 16는 구동부(1)의 스텝모터에 의해 조절판(3)의 절개부(31)가 배출홀(61)과 배출홀(62) 사이에서 왕복이동하도록 구동되는 경우의 세정수 분사 형태를 보여주며, 이 경우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측 노즐공(911)에서 직수 형태로 세정수를 분사한 다음, 도 1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정수가 노즐공(911)에서 직수 형태로 항문에 분사됨과 함께 노즐공(911)에서 항문 주변으로 확산분사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판(3)의 절개부(31)가 배출홀(63)에 배치되는 경우에, 세정수 유입구(51)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가 배출홀(63)에 연통된 배출구(73)를 통해 배출되어 노즐부의 공급관(84)과 노즐부(9) 하부의 유로(95)를 통해 노즐공(911)에서 직수 형태로 국부로 분사되어 세척하게 된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바와같이, 조절판(3)의 절개부(31)가 배출홀(64)에 배치되는 경우에, 세정수 유입구(51)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가 배출홀(64)에 연통된 배출구(74)를 거쳐 공급되어 노즐부의 공급관(83)과 노즐부(9) 상면의 유로(97)를 통해 노즐공(911)에서 미스트 형태로 확산분사되어 국부를 부드럽게 세정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조절판(3)의 절개부(31)가 배출홀(65)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세정수 유입구(51)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가 배출홀(65)에 연통된 배출구(75)를 통해 상기 4개의 공급관(81,82,83,84)들중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공급관(81,84)들로 동시에 연통되어 노즐부(9)에 전후로 형성된 2개의 노즐공(911,921)으로 공급되어 노즐들을 자가세척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비데의 다양한 모드에 따라 노즐을 통해 세정수를 여러 모드로 분사하여 항문과 국부를 세척 및 세정하도록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밸브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1 : 구동부 3 : 조절판
4 : 스프링 5 : 상부 하우징
6 ; 밸브바디 7 : 하부 하우징
11 : 커플링부재 31 : 절개부
61,62,63,64 : 배출홀 611,621 : 홈
71,72,73,74,75 : 배출구 81,82,83,84 : 공급관
9 : 노즐부 91 : 노즐캡
911,921 : 노즐공 93 ; 하부캡
94,95,96,97 : 유로

Claims (9)

  1. 모터를 구비한 구동부(1)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정역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일측 단부에서 개방되게 절개된 절개부(31)가 형성된 조절판(3), 상기 조절판(3)의 하측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배출구들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밸브바디(6)를 구비하여 노즐부에 형성된 두개의 전후측 노즐공들로 세정수를 공급하도록 된 비데용 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3)은 상부 하우징(5)에 수용되고, 하부 하우징(7)에 제공된 밸브바디(6)에 대하여 스프링(4)에 의해 탄성력의 작용하에 회전가능하게 밀착되어 배치되며,
    상기 밸브바디(6)에는 하방으로 관통되게 복수개의 배출홀(61,62,63,64)들과 자가세척용 배출홀(65)들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7)에는 상기 배출홀(61,62,63,64,65)들 각각에 연통되는 파이프 형태의 배출구(71,72,73,74,7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71,72,73,74,75)들은 비데의 세정수 공급부(8)에 형성된 4개의 공급관(81,82,83,84)에 각각 연결되어 세정수가 작동모드에 따라 노즐들로 복수의 모드들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밸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81)은 노즐부(9) 상면에 형성된 후측의 유로(96)와 연통되고, 유로(83)는 전측에 형성된 유로(97)에 연통되어 세정수를 와류 형태로 노즐공들에서 확산분사하도록 되며, 상기 공급관(82)은 노즐부(9)에서 하부캡(93)으로 밀폐되는 하부에 형성된 유로(94)에 연통되고 상기 공급관(84)은 노즐부의 하부에 형성된 유로(95)와 연통되어 세정수를 노즐공들에서 통해 직수 형태로 공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밸브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3)의 절개부(31)가 밸브바디(6)의 배출홀(61)에 배치될 때, 세정수 유입구(51)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가 상기 배출홀(61)과 배출구(71)를 통해 배출되어 세정수 공급부(8)의 공급관(82)을 거쳐 노즐부(9)의 유로(94)를 통해 노즐공(911)에서 직수 형태로 분사되어 항문을 세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밸브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3)이 회전되어 절개부(31)가 배출홀(62)에 배치될 때, 세정수가 상기 배출홀(62)과 배출구(72)를 통해 배출되어 노즐의 공급부(8)의 공급관((81)을 거쳐 노즐부(9)의 후측의 유로(96)에서 와류 형태로 유동하여 공급되어 노즐부(9)의 보스(961)와 노즐캡(91) 저면 사이의 간극을 통해 가압된 상태에서 후측의 노즐공(911)을 통해 타원형 형태로 확산되어 분사되어 항문을 세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밸브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3)의 절개부(31)가 배출홀(61,62)들로 연통되는 홈(611,621)들에 공통적으로 배치될 때, 세정수 유입구(51)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가 홈(611)이 연통된 배출홀(61)에 연결된 배출구(71)를 통해 배출되어 공급관(84)과 노즐부(9)의 유로(95,96)를 통해 노즐공(921)에서 직수분사와 확산 분사의 복합 형태로 항문을 세척과 세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밸브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조절판(3)의 절개부(31)가 배출홀(61)과 배출홀(62) 사이에서 왕복이동할 때, 세정수가 후측 노즐공(911)에서 직수 형태로 세정수를 분사한 다음, 세정수가 노즐공(911)에서 직수 형태로 항문에 분사된 다음 노즐공(921)에서 항문 주변으로 확산분사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밸브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3)의 절개부(31)가 배출홀(63)에 배치될 때, 세정수 유입구(51)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가 배출홀(63)에 연통된 배출구(73)를 통해 배출되어 노즐부의 공급관(84)과 노즐부(9) 하부의 유로(95)를 통해 노즐공(911)에서 직수 형태로 국부로 분사되어 세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밸브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3)의 절개부(31)가 배출홀(64)에 배치될 때, 세정수 유입구(51)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가 배출홀(64)에 연통된 배출구(74)를 거쳐 공급되어 노즐부의 공급관(83)과 노즐부(9) 상면의 유로(97)를 통해 노즐공(911)에서 미스트 형태로 확산분사되어 국부를 부드럽게 세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밸브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3)의 절개부(31)가 배출홀(65)에 배치될 때, 세정수 유입구(51)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가 배출홀(65)에 연통된 배출구(75)를 통해 상기 4개의 공급관(81,82,83,84)들중 적어도 2개의 공급관(81,84)들로 동시에 연통되어 노즐부(9)에 전후로 형성된 2개의 노즐공(911,921)들로 공급되어 노즐들을 자가세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밸브장치.
KR1020180118314A 2018-10-04 2018-10-04 비데용 밸브장치 KR102108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314A KR102108093B1 (ko) 2018-10-04 2018-10-04 비데용 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314A KR102108093B1 (ko) 2018-10-04 2018-10-04 비데용 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739A true KR20200038739A (ko) 2020-04-14
KR102108093B1 KR102108093B1 (ko) 2020-05-15

Family

ID=70291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314A KR102108093B1 (ko) 2018-10-04 2018-10-04 비데용 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0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82487A (zh) * 2020-07-01 2022-01-04 地尔肠道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坐便器及其工作步骤
KR20220029283A (ko) * 2020-08-31 2022-03-08 지게이트(주) 비데용 밸브
KR20220168343A (ko) 2021-06-16 2022-12-23 최성민 밸브의 디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밸브 어셈블리
KR20230010911A (ko) 2021-07-13 2023-01-20 최성민 비데용 노즐 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999B1 (ko) * 2007-06-05 2008-06-17 주식회사 파세코 비데의 유로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KR20130035542A (ko) 2011-09-30 2013-04-09 코웨이 주식회사 유로 조절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KR101643368B1 (ko) * 2015-12-21 2016-07-28 (주) 아이젠 비데의 분사노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999B1 (ko) * 2007-06-05 2008-06-17 주식회사 파세코 비데의 유로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KR20130035542A (ko) 2011-09-30 2013-04-09 코웨이 주식회사 유로 조절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KR101643368B1 (ko) * 2015-12-21 2016-07-28 (주) 아이젠 비데의 분사노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82487A (zh) * 2020-07-01 2022-01-04 地尔肠道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坐便器及其工作步骤
KR20220029283A (ko) * 2020-08-31 2022-03-08 지게이트(주) 비데용 밸브
KR20220168343A (ko) 2021-06-16 2022-12-23 최성민 밸브의 디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밸브 어셈블리
KR20230010911A (ko) 2021-07-13 2023-01-20 최성민 비데용 노즐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093B1 (ko) 202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8093B1 (ko) 비데용 밸브장치
KR100939144B1 (ko) 위생 세정 장치
KR100905629B1 (ko) 진동 충격 분사장치
KR100838999B1 (ko) 비데의 유로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KR200456056Y1 (ko) 비데의 노즐 세척유닛
KR200411530Y1 (ko) 비데 노즐의 분사팁 구조
KR101510627B1 (ko) 복수 개의 유입구와 배출구를 갖는 유로전환밸브
CN109201359B (zh) 出水部的构造和淋浴装置
KR101675745B1 (ko) 비데용 노즐장치
JP6028003B2 (ja) 温水洗浄装置内のノズルアセンブリ
KR200414063Y1 (ko) 세정모드 조절이 가능한 비데
KR102108092B1 (ko) 비데용 밸브장치
JP4622065B2 (ja) 人体局部洗浄装置
KR100874183B1 (ko) 광각분사용 비데 노즐팁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KR20160010899A (ko) 유로 전환 밸브
JP3718090B2 (ja) 人体局部洗浄装置
KR102353889B1 (ko)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
JP2004011251A (ja) 衛生洗浄装置
JP2005076417A (ja) ノズル装置および衛生洗浄装置
JP3596025B2 (ja) 衛生洗浄装置
KR102292866B1 (ko) 변기 세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장치
JP4255660B2 (ja) 衛生洗浄装置
KR200372461Y1 (ko) 비데 분사노즐의 분사캡 구조
KR200374748Y1 (ko) 온수세정기의 노즐 세척장치
KR200403476Y1 (ko) 2개의 노즐을 갖는 비데의 급수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