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0899A - 유로 전환 밸브 - Google Patents

유로 전환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0899A
KR20160010899A KR1020140090203A KR20140090203A KR20160010899A KR 20160010899 A KR20160010899 A KR 20160010899A KR 1020140090203 A KR1020140090203 A KR 1020140090203A KR 20140090203 A KR20140090203 A KR 20140090203A KR 20160010899 A KR20160010899 A KR 20160010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holes
fixed disk
mai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주
진성월
김영표
정다운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0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0899A/ko
Publication of KR20160010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8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16K11/07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with flat sealing 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slide valves with flat obtura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16K3/06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in the form of closure plates arranged between supply and discharge passages
    • F16K3/08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in the form of closure plates arranged between supply and discharge passages with circular plates rotatable around their cent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 밸브는 물이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부 및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복수개의 배출부가 구비되는 밸브 하우징, 상기 밸브 하우징 내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배출부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고정 디스크 및 상기 고정 디스크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회전함에 따라 상기 유입부와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의 선택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슬릿부가 구비된 회전 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 중 적어도 두 개는 상기 슬릿부의 회전 시 상기 슬릿부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로 전환 밸브{Flow Channel Change Valve}
본 발명은 유로 전환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유로에 동시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유로 전환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로 전환 밸브는 유체가 흐르는 유로 중 특정의 유로를 선택가능하도록 조절하는 밸브를 의미한다.
여기서, 유로 전환 밸브는 다양한 기술에 적용 가능하며, 일 예로써, 화장실에 설치되는 비데의 출수유로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통상, 비데로 통칭되는 세정기는 좌변기의 시트 상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용변을 마친 후 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정수로 사용자의 항문 또는 여성의 국부를 세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노즐은 사용자의 항문을 세척하는 세정 노즐과, 여성의 국부를 세정하는 비데 노즐 및 좌욕 기능 작동 시 좌욕 수류를 토출하는 좌욕노즐 등이 구비된다.
이때, 비데에는 세정 노즐, 비데 노즐 또는 좌욕 노즐로 세정수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 전환 밸브가 내부에 장착된다.
따라서, 유로 전환 밸브의 작동에 따라 각각의 노즐로 세정수가 분배되어 흐르게 된다.
한편, 비데의 좌욕기능은 비데에 구비된 좌욕 노즐을 통해서 좌욕 수류를 분사 하여 좌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노즐에서 토출되는 강한 수압의 직선 수류는 항문을 긴장시키므로, 단기적으로 항문의 내압을 증가시켜 항문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비데의 좌욕 기능을 실행하기 전에 사용자의 항문 긴장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좌욕 기능 실행 시 사용자의 항문 긴장을 완화시켜 줄 수 있는 유로 전환 밸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 밸브는 물이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부 및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복수개의 배출부가 구비되는 밸브 하우징; 상기 밸브 하우징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배출부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고정 디스크; 및 상기 고정 디스크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회전함에 따라 상기 유입부와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의 선택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슬릿부가 구비된 회전 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 중 적어도 두 개는 상기 슬릿부의 회전 시 상기 슬릿부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 밸브에서 상기 관통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배출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주관통홀과 상기 주관통홀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분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 밸브에서 상기 관통홀 중 하나에는 상기 관통홀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분지홈이 구비되며, 상기 슬릿부는 회전 시 상기 분지홈 및 상기 분지홈과 이웃하는 관통홀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 밸브에서 상기 분지홈은 상기 고정 디스크의 상면이 축방향 하측으로 인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 밸브에서 상기 분지홈은 서로 이웃하는 상기 관통홀의 주관통홀에서 이웃하는 주관통홀 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며, 서로 이웃하는 상기 주관통홀 사이의 고정디스크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 밸브에서 상기 슬릿부는 회전 시 상기 고정 디스크 상면에 각각 연장 형성된 상기 분지홈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 밸브에서 상기 주관통홀에서 이웃하는 주관통홀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상기 분지홈은 반경방향으로 일부가 겹쳐지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 밸브에서 상기 분지홈은 상기 주관통홀과 연결된 일측에서 상기 주관통홀과 연결되지 않은 타측으로 갈수록 내부공간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 밸브에서 상기 분지홈이 축방향으로 인입된 깊이는 상기 주관통홀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 밸브에서 상기 관통홀이 구비되는 고정디스크의 저면에는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된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밸브 하우징의 배출부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 밸브에서 상기 고정 디스크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는 밀폐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 밸브에서 상기 밸브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고정 디스크 상부에 결합되어 유입부에서 유입된 물이 흐르는 공간을 제공하고 하부가 개방된 내부 하우징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 디스크는 상기 내부 공간에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 밸브에서 상기 내부 하우징의 측벽에는 유입부와 연통되어 상기 내부 하우징 내측으로 물이 흐르도록 하는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 밸브에서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는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 동력원에 연결되어 회전 디스크를 회전시키도록 돌출 형성된 회전축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 축은 상기 회전 디스크에 삽입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 밸브에서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는 탄성부재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회전디스크에 접촉하여 탄성 지지력을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 밸브는 미스트 수류 분사 노즐 및 좌욕 수류 분사 노즐에 동시에 물을 흐르도록 하여 좌욕 기능 실행 전 사용자의 항문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 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디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디스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디스크의 저면도이다.
도 7의 (a)는 도 4의 B-B'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고, 도 7의 (b)는 도 7의 (a)에 개시된 분지홈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 밸브에서 고정 디스크와 회전 디스크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 밸브에서 회전 디스크가 일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 디스크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디스크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디스크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디스크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고정 디스크와 회전디스크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 디스크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 밸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 밸브의 분해사시도 이고, 도 3은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 밸브(500)는 밸브 하우징(100), 고정 디스크(200) 및 회전 디스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하우징(100)은 유로 전환 밸브(5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재로서, 밸브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유로 전환 밸브(500)의 구동 시 사용되는 각종 부재들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밸브 하우징(100)에는 물이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부(110) 및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유입부는(110)는 밸브 하우징(100)의 측벽 일측이 관통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유입부(110)를 형성하는 밸브 하우징(100)의 외주면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호스와 연결되는 유입관(1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입관(111)은 별도의 물 저장탱크와 호스 등에 의해 연결되어 유입부(110)를 통해 밸브 하우징(100)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반경 방향 내측 또는 외측은 도 2를 기준으로 고정디스크(200)의 중심에서 외주면을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하며, 축 방향 상측 또는 하측은 도 2를 기준으로 고정 디스크(200)의 상면에서 하면을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하고, 원주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고정 디스크(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밸브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유입부(110)에서 밸브 하우징(100)으로 공급된 물이 배출되는 복수 개의 배출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배출부(120)는 밸브 하우징(100)의 내측 하부에 인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배출부(120)는 밸브 하우징(100)의 내측 바닥면에서 돌출 구비되는 격벽(122)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또한, 밸브 하우징(100)의 내측 바닥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단턱(123)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단턱(123)에는 후술할 고정 디스크(200)가 안착된 상태로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배출부(120)는 밸브 하우징(100)의 하부가 관통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배출부(120)를 형성하는 밸브 하우징(100)의 외면은 축방향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호스와 연결되는 배출관(12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배출관(121)은 세정 노즐, 비데 노즐, 미스트 수류 분사 노즐 및 좌욕 수류 분사 노즐에 호스에 의해 연결되어 각각의 노즐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세정 노즐, 비데 노즐, 미스트 수류 분사 노즐 및 좌욕 수류 분사 노즐은 예시에 불과할 뿐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배출관(121)은 도시 세정 노즐, 살균 노즐 등 다양한 노즐에 연결될 수 있으나, 이러한 구성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디스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디스크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디스크의 저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B-B'에 따른 단면도 및 그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고정 디스크(200)는 후술할 회전 디스크(300)와 결합하여 물이 흐르는 통로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밸브 하우징(100) 내부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즉, 고정 디스크(200)는 밸브 하우징(100)의 내측 바닥면에 구비되는 단턱(123)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디스크(200)에는 상기 복수개의 배출부(120)와 연통하는 복수개의 관통홀(2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밸브 하우징(100)으로 공급된 물은 고정 디스크(200)의 관통홀(210) 및 배출부(120)를 통과하여 밸브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 될 수 있다.
따라서, 관통홀(210)은 배출부(120)에 대응되게 고정 디스크(200)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고정 디스크(200)의 저면에는 관통홀(210)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된 결합부(2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결합부(220)는 밸브 하우징(100)의 배출부(12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부(220)는 배출부(120)의 형상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배출부(120)의 내면과 결합부(220)의 외면은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디스크(200)와 배출부(120) 사이에는 O링(Oring) 등과 같은 밀폐수단(230)이 구비될 수 있으며, 밀폐수단(230)은 전술한 밸브 하우징(100)의 단턱(213) 및 격벽(12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각각의 배출부(120)를 독립적으로 밀봉할 수 있다.
한편, 관통홀(210) 중 적어도 하나는 배출부(120)의 상부에 구비되는 주관통홀(210a)과 주관통홀(210a)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분지홈(210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관통홀(210a)은 고정 디스크(200)를 관통하여, 배출부(120)와 직접적으로 연통할 수 있으며, 분지홈(210b)은 고정 디스크(200)의 상면이 축방향 하측으로 인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분지홈(210b)의 고정 디스크(200)의 상면에서 인입된 깊이(L2)는 주관통홀(210a)의 깊이(L1)보다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주관통홀(210a)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형태이고, 주관통홀(210a)에서 연장형성된 분지홈(210b)은 고정 디스크(200)에 홈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분지홈(210b)은 주관통홀(210a)로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추가 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분지홈(210b)을 통해 공급된 물은 주관통홀(210a)로 유입된후 상기 주관통홀(210a) 하부에 구비된 배출부(12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분지홈(210b)의 형태는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추가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구조이면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즉,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분지홈(210b)의 변경가능한 예들에 대해 설명하면, 분지홈(210b)은 원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될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도 9 참조), 고정 디스크(200) 상부에서 바라볼 때 좌우가 대칭인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도 10 참조).
뿐만 아니라, 분지홈(210b)은 서로 이웃하는 관통홀(210)의 주관통홀(210a)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주관통홀(210) 사이의 고정 디스크(200) 상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분지홈(210b)은 고정 디스크(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으로 서로 다른 거리에 구비되어 분지홈(210b)의 일부는 고정 디스크(200)의 반경방향으로 일부가 겹쳐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분지홈(210b)은 하나의 관통홀(210)에서 연장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즉, 도 11을 참조하면, 분지홈(211b)은 하나의 관통홀(211)에서 이웃하는 관통홀(212)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슬릿부(310)는 회전 시 상기 분지홈(211b)과 상기 분지홈(211b)에 이웃하는 관통홀(212)을 연결할 수 있다.
더하여, 분지홈(210b)은 주관통홀(210a)과 연결된 일측에서 주관통홀(210a)가 연결되지 않은 타측으로 갈수록 내부공간이 감소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지홈(210b)의 폭을 감소시키면서 연장 형성하여 내부공간을 감소시킬 수도 있으며, 분지홈(210b)이 인입된 깊이(L2)를 상기 주관통홀(210a) 로 갈수록 감소시킴으로써 내부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도 7의 (b)참조).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분지홈(210b)의 형태는 제안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주관통홀(210a)로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추가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구성이면 다양하게 변경 가능함을 밝혀둔다.
분지홈(210b)은 회전 디스크(300)에 구비되는 슬릿부(310)와 동시에 연결되어, 적어도 두 개의 배출부(120)로 물이 흐르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회전 디스크(300)는 고정 디스크(200) 상부에 모터 등의 구동부(1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회전함에 따라 유입부(110)와 관통홀(210)의 선택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슬릿부(31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회전 디스크(300)는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슬릿부(310)는 상기 회전 디스크(300)의 외면이 회전 디스크(300)의 중심부를 향해 인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회전 디스크(300)의 상면에는 회전축(420)이 삽입되기 위한 회전축 삽입부(320)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축(420)으로부터 효과적으로 회전력을 전달 받기 위해 걸림홈(321)이 구비될 수 있다.
즉, 회전 디스크(300)는 걸림홈(321)에 회전축(420)의 걸림돌기(421)가 삽입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슬릿부(310)는 회전 디스크(300)가 회전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고정 디스크(200)의 관통홀(210)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밸브 하우징(100)으로 공급된 물은 슬릿부(310)와 연통된 관통홀(210)을 따라서 선택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다만, 분지홈(210b)이 구비되는 관통홀(210) 간에는 동시에 물이 배출될 수 있는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내부 하우징(400)은 밸브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고정 디스크(200)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내부 하우징(400)은 고정 디스크(200)와 결합하여 물이 흐르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하우징(400)의 측벽에는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유입부(110)와 연통된 개구부(41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내부 하우징(400) 내측 상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구동부(10)와 같은 외부 동력원에 연결되어 회전 디스크(300)를 회전 시키도록 돌출 형성된 회전축(420)이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축(420)은 회전 디스크(300)의 회전축 삽입부(320)에 삽입되어 회전 디스크(300)를 회전 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축(420)의 걸림돌기(421)가 회전 디스크(300)의 걸림홈(310)에 걸림됨으로써 효과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회전축(420)의 외측에는 일단이 회전 디스크에 접촉하여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43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즉, 탄성부재(430)는 회전 디스크(300)에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여, 회전 디스크(300)와 고정 디스크(200)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 밸브에서 고정 디스크와 회전 디스크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 밸브에서 회전 디스크가 일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 디스크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 밸브(500)에서 물이 유입되고 배출되는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개의 관통홀(210)을 제1 주관통홀(211a) 및 제1 분지홈(211b)을 구비하는 제1 관통홀(211), 제2 주관통홀(212a) 및 제2 분지홈(212b)을 구비하는 제2 관통홀(212) 및 분지홈(210b)을 포함하지 않는 제3 및 제4 관통홀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이때 제1 관통홀(211)은 미스트 수류 분사노즐(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관통홀(212)는 좌욕수류 노즐(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회전 디스크(300)의 슬릿부(310)가 복수개의 관통홀(210)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유입부(110)는 배출부(120)와 연결되지 않으며, 유입부(110)를 통하여 공급된 물은 내부 하우징(400)과 고정 디스크(200) 사이의 공간에 머무르게 된다.
이때, 회전 디스크(300)가 회전하여 슬릿부(310)가 제3 또는 제4 관통홀(213, 214) 상부에 위치하여 연결되는 경우, 물은 제3 또는 제4 관통홀(213)을 통하여 흐르게 되고, 제3 또는 제4 관통홀(213, 214)과 연결되는 배출부(120)에 의해 최종적으로 유로 전환 밸브(500)외부로 배출된다.
마찬가지로, 회전 디스크(300)의 슬릿부(310)가 제1 관통홀(211) 또는 제2 관통홀(212)과 연결되는 경우, 물은 제1 관통홀(211) 또는 제2 관통홀(2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다만, 도 8의 (b)를 참조하면, 회전 디스크(300)의 슬릿부(310)가 제1 관통홀(211)에 연결된 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관통홀(212)이 구비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관통홀(211)의 제1 분지홈(211b)과 제2 관통홀(212)의 제2 분지홈(212b)이 동시에 슬릿부(310)와 연결되는 구간이 생긴다.
이 경우, 물은 슬릿부(310)를 통과하여 제1 및 제2 분지홈(211b, 212b)에 동시에 공급되며, 각각 제1 및 제2 주관통홀(211a, 212a)로 유입된 후 배출부(120)로 배출된다.
결과적으로, 물은 제1 및 제2 관통홀(211, 212)에 동시에 공급되어 배출된다.
이어서, 회전 디스크(300)가 계속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슬릿부(310)가 제1 분지홈(211b)가 연결되지 않는 구간부터는 물은 제2 관통홀(212)에만 공급되게 된다.
다시 말해, 제1 관통홀(211)은 미스트 수류 분사노즐과 연결되고, 제2 관통홀(212)은 좌욕수류 분사노즐과 연결되기 때문에, 일차적으로 미스트 수류가 분사되고 슬릿부(310)가 회전하여 제1 분지홈(211b) 및 제2 분지홈(212b)과 동시에 연결되면, 미스트 수류와 좌욕수류가 동시에 분사되고, 슬릿부(310)가 계속해서 회전하여, 제2 관통홀(212)에만 연결되는 경우 최종적으로 좌욕 수류가 분사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 밸브(500)는 사용자가 좌욕 기능 실행시 초기에는 미스트 수류를 분사하여 사용자의 항문 긴장을 완화 시키고, 이어서, 미스트 수류와 좌욕수류를 분사한다. 이때, 공급되는 물은 미스트 수류와 좌욕수류로 분리되서 공급되기 때문에 좌욕 수류의 수압은 좌욕 분사노즐로만 물이 공급되는 경우보다 낮다. 따라서, 사용자는 좌욕 수류의 수압에 대해 서서히 적응하는 시간을 갖을 수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좌욕수류만을 분사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항문 긴장이 완화된 상태에서 좌욕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관통홀(211)에 하나의 분지홈(211b)이 구비된 경우에 슬릿부(310)는 회전시 상기 분지홈(211b)과 상기 분지홈(211b)에 이웃하는 관통홀(212)을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슬릿부(310) 회전 시 분지홈(211b) 및 상기 분지홈(211b)과 이웃하는 관통홀(212)이 슬릿부(310)에 동시에 연결되는 구간이 생기므로, 물은 분지홈(211b)과 연결된 관통홀(211a) 및 분지홈이 구비되지 않은 관통홀(212)로 동시에 공급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13을 참조하면 별도의 분지홈을 구비하지 않고도 관통홀(210)은 슬릿부(310) 회전 시 슬릿부(310)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즉, 관통홀(210)에 분지홈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슬릿부(310)가 개방된 크기를 조절하여, 슬릿부(310) 회전 시 적어도 두개의 관통홀(210)은 상기 슬릿부에 동시에 연결 가능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밸브 하우징 110: 유입부
120: 배출부 200: 고정 디스크
210: 관통홀 210b: 분지홈
220: 결합부 230: 밀폐수단
300: 회전 디스크 310: 슬릿부
320: 회전축 삽입부 400: 내부 하우징

Claims (15)

  1. 물이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부 및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복수개의 배출부가 구비되는 밸브 하우징;
    상기 밸브 하우징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배출부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고정 디스크; 및
    상기 고정 디스크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회전함에 따라 상기 유입부와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의 선택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슬릿부가 구비된 회전 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 중 적어도 두 개는 상기 슬릿부의 회전 시 상기 슬릿부와 동시에 연결되는 유로 전환 밸브.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배출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주관통홀과 상기 주관통홀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분지홈을 포함하는 유로 전환 밸브.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 중 하나에는 상기 관통홀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분지홈이 구비되며, 상기 슬릿부는 회전 시 상기 분지홈 및 상기 분지홈과 이웃하는 관통홀을 연결하는 유로 전환밸브.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홈은 상기 고정 디스크의 상면이 축방향 하측으로 인입되어 구비되는 유로 전환 밸브.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홈은 서로 이웃하는 상기 관통홀의 주관통홀에서 이웃하는 주관통홀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며, 서로 이웃하는 상기 주관통홀 사이의 고정디스크 상면에 구비되는 유로 전환 밸브.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는 회전 시 상기 고정 디스크 상면에 각각 연장 형성된 상기 분지홈을 연결하는 유로 전환 밸브.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주관통홀에서 이웃하는 주관통홀 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된 상기 분지홈은 반경방향으로 일부가 겹쳐지게 구비되는 유로 전환 밸브.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홈은 상기 주관통홀과 연결된 일측에서 상기 주관통홀과 연결되지 않은 타측으로 갈수록 내부공간이 증가하는 유로 전환 밸브.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홈이 축방향으로 인입된 깊이는 상기 주관통홀로 갈수록 증가하는 유로 전환 밸브.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이 구비되는 고정디스크의 저면에는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된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밸브 하우징의 배출부에 삽입 결합되는 유로 전환 밸브.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디스크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는 밀폐수단이 구비되는 유로 전환 밸브.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고정 디스크 상부에 결합되어 유입부에서 유입된 물이 흐르는 공간을 제공하고 하부가 개방된 내부 하우징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 디스크는 상기 내부 공간에서 회전하는 유로 전환 밸브.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의 측벽에는 유입부와 연통되어 상기 내부 하우징 내측으로 물이 흐르도록 하는 개구부가 구비된 유로 전환 밸브.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는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 동력원에 연결되어 회전 디스크를 회전시키도록 돌출 형성된 회전축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 축은 상기 회전 디스크에 삽입결합되는 유로 전환 밸브.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는 탄성부재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회전디스크에 접촉하여 탄성지지력을 작용하는 유로 전환 밸브.
KR1020140090203A 2014-07-17 2014-07-17 유로 전환 밸브 KR201600108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203A KR20160010899A (ko) 2014-07-17 2014-07-17 유로 전환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203A KR20160010899A (ko) 2014-07-17 2014-07-17 유로 전환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899A true KR20160010899A (ko) 2016-01-29

Family

ID=55310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203A KR20160010899A (ko) 2014-07-17 2014-07-17 유로 전환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089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593B1 (ko) * 2015-11-02 2016-02-29 주식회사 현대비데 비데용 밸브장치
KR20180028694A (ko) * 2016-09-09 2018-03-19 코웨이 주식회사 좌욕기능을 갖는 비데 및 좌욕기능을 갖는 비데의 제어방법
CN109541094A (zh) * 2018-12-11 2019-03-29 苏州英赛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选择阀以及液相色谱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593B1 (ko) * 2015-11-02 2016-02-29 주식회사 현대비데 비데용 밸브장치
KR20180028694A (ko) * 2016-09-09 2018-03-19 코웨이 주식회사 좌욕기능을 갖는 비데 및 좌욕기능을 갖는 비데의 제어방법
CN109541094A (zh) * 2018-12-11 2019-03-29 苏州英赛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选择阀以及液相色谱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924058U (zh) 基于泵装置的马桶冲刷系统
KR100905629B1 (ko) 진동 충격 분사장치
KR102108093B1 (ko) 비데용 밸브장치
KR100838999B1 (ko) 비데의 유로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CN109853685B (zh) 一种马桶的冲刷装置和马桶的冲刷系统
KR200456056Y1 (ko) 비데의 노즐 세척유닛
KR20160010899A (ko) 유로 전환 밸브
JP2007260563A (ja) 洗浄装置およびシャワーヘッド
KR101224475B1 (ko) 양치 전용잭
JP6028003B2 (ja) 温水洗浄装置内のノズルアセンブリ
KR200400234Y1 (ko) 비데용 복합밸브 조립체
KR200220273Y1 (ko) 샤워기 헤드
JP4548326B2 (ja) 噴流可動ノズル
JP5493589B2 (ja) 人体局部洗浄装置
JP3138904U (ja) シャワーヘッド
CN101949462B (zh) 一种多功能出水龙头
WO2007066801A1 (ja) 水流噴出装置
CN210342126U (zh) 一种马桶的冲刷装置和马桶的冲刷系统
KR20120023506A (ko) 미세기포 발생 샤워헤드
KR20080105452A (ko) 광각분사용 비데 노즐팁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JP2007167573A (ja) 浴槽の機器収納構造
KR101772096B1 (ko) 비데용 노즐
CN217517734U (zh) 一种冲刷系统的双通道喷头
CN216776966U (zh) 一种清洗篮的气路结构
CN102580866A (zh) 一种高压喷嘴及具有该高压喷嘴的用水清洗油污的喷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