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092B1 - 비데용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비데용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092B1
KR102108092B1 KR1020180118313A KR20180118313A KR102108092B1 KR 102108092 B1 KR102108092 B1 KR 102108092B1 KR 1020180118313 A KR1020180118313 A KR 1020180118313A KR 20180118313 A KR20180118313 A KR 20180118313A KR 102108092 B1 KR102108092 B1 KR 102108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housing
control plate
ai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8738A (ko
Inventor
박성호
김재학
Original Assignee
박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호 filed Critical 박성호
Priority to KR1020180118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092B1/ko
Publication of KR20200038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08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two or mor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데용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터를 구비한 구동부(1)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정역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일측 단부에서 개방되게 절개된 절개부(31)가 형성된 조절판(3), 상기 조절판(3)의 하측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배출구들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밸브바디(4), 상기 조절판(3)과 밸브바디(4)를 수용하는 하우징(5)을 구비하는 비데용 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4)에는, 외주면에 인접하여 원호형태로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폭이 증가되고 계단식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세정수 배출구(41,42)와, 상기 세정수 배출구(41,42)들 사이에서 직경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세정수 배출공(44,45)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판(3)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배출구(41,42)와 배출공(44,45)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조절판의 회전각도에 따라 조절판의 절개부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세정수가 배출되는 유량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간편한 구조로 세정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비데의 다양한 모드에 따라 노즐을 통해 세정수로 세척을 수행하거나, 공기가 혼합된 세정수를 버블 형태로 분사하여 항문이나 국부를 부드럽게 세정하는 등의 여러 모드를 수행할 수 있어 구성을 콤팩트하고 단순화하여 부품 절감을 통해 제조비용을 저감시키며, 제품에 대한 만족도와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데용 밸브장치{A VALVE APPARATUS FOR BIDET}
본 발명은 비데용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순화된 구조로 세정효과를 높이기 위해 물과 공기를 혼합한 버블 세정수와 물을 복수의 배출관들로 선택적으로 공급함과 함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의 비데용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Bidet)는, 용변 후, 휴지를 사용하지 않고 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정수로 용변자의 항문이나 여성의 국부를 세정한 후, 항문이나 국부 주위에 잔존하는 물기를 건조기에서 공급되는 온풍으로 건조시키는 장치로, 최근에는 편의성과 함께 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비데는 일반가정에서 위생청결을 위해 사용될 뿐만 아니라, 치질, 방광염, 질염, 설사로 인한 쓰라림 등을 방지하기 위한 의료용으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여성의 월경과 산후조리 시에도 매우 유익하게 사용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비데는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이나 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구성을 이루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직수에 의해 항문을 세척하는 비데모드와, 항문이나 여성 국부의 세정을 위한 세정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특히, 세정수를 노즐을 통해 분사하여 저자극적으로 부드러운 세정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세정효과를 향상시키고, 기포가 터질 때 발생하는 음이온에 의한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세정수로서의 물에 공기가 섞이게 하여 에어버블(Air bubble)을 갖는 세정수를 공급하기도 한다.
이러한 종래 비데용 밸브의 예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5542호(공개일자 2013년04월09일)에는 입수유로에서 유입되는 물이 내부를 통해 흐르도록 마련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연동되어 회전하며, 상기 회전축 내부를 흐르는 물이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며 복수의 출수유로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어져 상기 회전부에서 배출되는 물이 출수유로를 통해 출수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와, 상기 회전축, 상기 회전부 및 상기 고정부를 수용하며 상기 입수유로에 연결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유로 조절밸브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6063호(등록일자 2013년03월20일)에는 스위치 선택을 통해 스텝핑모터 및, 이와 연동하는 샤프트와 로터에 의해 유로형성부의 유로가 선택되고, 선택된 유로와 연결된 배출부로 에어를 포함하는 세정수가 유동되도록 제어하는 비데용 유량조절밸브에 있어서,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공급부와 세정수가 유입되는 세정수공급부는 각각 별도로 형성되어 밸브바디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유로형성부는 상기 배출부의 홈부에 돌기부를 결합시키는 동작을 통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유량조절밸브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비데용 조절밸브들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유량과 함께 유로를 동시에 조정하기 어려우며, 에어 공급을 선택적으로 할 수 없어 에어가 불필요한 직수에 의한 세척시에도 불필요하게 에어가 공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5542호(공개일자 2013년04월09일)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6063호(등록일자 2013년03월20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비데용 밸브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단순화된 구조로 복수의 유로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함과 함께 유량을 조정할 수 있으며, 유로들중 선택적으로 세정수 공급유로들에만 에어가 세정수에 혼입되도록 개선된 구조의 비데용 밸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비데용 밸브장치는, 모터를 구비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정역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일측 단부에서 개방되게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조절판, 상기 조절판의 하측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배출구들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밸브바디, 상기 조절판과 밸브바디를 수용하고 세정수 인입구와 배출구들이 형성된 하우징(5)을 구비하는 비데용 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에는, 외주면에 인접하여 원호형태로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폭이 증가되고 계단식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세정수 배출구들과, 상기 세정수 배출구들 사이에서 직경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세정수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판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배출구들과 배출공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밸브바디에는 세정수 배출구들 사이에서 반경방향 내측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공기 유입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입공에서 유입된 공기가 공기 배출구로 가이드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조절판의 저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바디의 저면에는 원호형태로 형성된 세정수 배출구들의 단부에 개방된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 바디의 저면은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기 공기 유입공, 세정수 배출공들, 및 공기 배출구들이 구획지어 형성되고, 상기 구획들을 기밀되게 유지하도록 경계지역에 팩킹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에는 세정수를 공급하도록 측부에 세정수 유입구가 형성되고, 세정수 배출구와 세정수 배출구가 상기 하우징의 측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가 혼합된 세정수를 배출하도록 배출구들이 하우징의 측부에서 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 내부 공간에서 세정수와 공기가 혼합되기 위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 유입구가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세정수 배출구들과 공기가 혼합된 세정수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비데의 노즐로의 유로에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절판의 절개부가 세정수 배출공의 위치에 배치될 때 하우징의 측부에 형성된 세정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가 밸브바디의 배출공을 통해 유입되도록 하우징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는 출구가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 형성된 세정수 배출구에 연통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절판의 절개부가 세정수 배출공의 위치에 배치될 때 하우징의 측부에 형성된 세정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가 밸브바디의 배출공을 통해 유입되도록 하우징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는 출구가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된 세정수 배출구에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조절판의 절개부가 세정수 배출구에 배치될 때, 조절판 저면에 형성된 원호형의 가이드홈이 공기 유입공의 상측에 배치되어, 공기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 흐름이 가이드홈을 통해 유입되어 세정수 유입구을 통해 유입된 세정수와 혼합되도록 하우징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공기가 혼합된 세정수가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에서 배출되도록 출구가 하우징의 측부에 형성된 세정수 배출구에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조절판의 절개부가 세정수 배출구에 배치될 때, 조절판 저면에 형성된 원호형의 가이드홈이 공기 유입공의 상측에 배치되어, 공기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 흐름이 가이드홈을 통해 유입되어 세정수 유입구을 통해 유입된 세정수와 혼합되도록 하우징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공기가 혼합된 세정수가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에서 배출되도록 출구가 하우징의 측부에 형성된 배출구에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조절판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밸브바디의 배출구들에 대해 조절판의 절개부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배출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 공간으로 배출되는 유량이 변화되어 세정수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비데용 밸브장치는 밸브바디에 형성된 원호형태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폭이 증가되고 계단식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세정수 배출구에 대해, 밸브바디의 상측에 배치되는 조절판의 회전각도에 따라 조절판의 절개부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세정수가 배출되는 유량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간편한 구조로 세정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과 함께, 비데의 다양한 모드에 따라 노즐을 통해 세정수로 세척을 수행하거나, 공기가 혼합된 세정수를 버블 형태로 분사하여 항문이나 국부를 부드럽게 세정하는 등의 여러 모드를 수행하도록 밸브바디에는 세정수 배출구들에서 세정수만 배출되게 하거나, 공기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조절판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유도되어 하우징의 하부에 구획지어진 공간들에서 세정수와 혼합되어 버블 형태로 비데 노즐로 분사되어 항문이나 국부 세정용으로 저자극으로 부드럽게 세정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구성을 콤팩트하고 단순화하여 부품 절감을 통해 제조비용을 저감시키며,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비데용 밸브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비데용 밸브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비데용 밸브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조절부와 본체의 확대된 사시도.
도 5는 도 2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6은 도 3에서 본체와 조절부가 제거되어 하우징에 물과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과 배출구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A로 표시된 공간과 배출구에서 물만 배출되도록 조절부가 배치된 상태의 개략적인 배치도.
도 8은 도 6에서 B로 표시된 공간과 배출구에서 물만 배출되도록 조절부가 배치된 상태의 개략적인 배치도.
도 9는 도 6에서 C로 표시된 공간과 배출구에서 물과 공기가 혼합된 상태로 배출되도록 조절부가 배치된 상태의 배치도.
도 10은 도 6에서 D로 표시된 공간과 배출구에서 물과 공기가 혼합된 상태로 배출되도록 조절부가 배치된 상태의 배치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비데용 밸브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6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비데용 밸브장치는 모터, 바람직하게는 스텝모터로 구성되는 구동부(1)와, 상기 구동부의 하측에 내장되어 모터에 의해 정역회전가능한 커플링부재(2), 상기 커플링부재(2)에 결합되어 정역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일측 단부에서 개방되게 절개된 절개부(31)가 형성된 조절판(3), 상기 조절판(3)의 하측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배출구들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밸브바디(4), 상기 커플링부재와 조절판 및 밸브바디(4)를 수용하고 세정수 인입구와 배출구들이 형성된 하우징(5)을 포함한다.
상기 조절판(3)은 중앙에 보스가 형성되어 커플링부재(2)와 맞물려 모터 회전 각도에 대응되게 밸브바디(4)에 대하여 회전되며, 조절판의 일측 단부에 절개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는 원호형태로 가이드홈(32)이 상기 절개부(31)의 반경방향 내측에 형성되어 절개부(31)에 의해 세정수의 유로를 개폐하며, 상기 가이드홈(32)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밸브바디(4)에는 외주면에 인접하여 원호형태로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폭이 증가되고 계단식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세정수 배출구(41,42), 상기 세정수 배출구(41,42)들 사이에서 반경방향 내측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공기 유입공(43)과, 상기 세정수 배출구(41,42)들 사이에서 직경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세정수 배출공(44,45), 상기 공기 유입공(43)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조절판(3)의 가이드홈(32)을 통해 유동하여 배출되도록 대칭된 위치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46,4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바디(4)의 저면에는 원호형태로 형성된 세정수 배출구(41,42)의 단부에 대응된 위치에서 개방된 홀(48,4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 바디의 저면은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기 공기 유입공(43), 세정수 배출공(44,45), 및 공기 배출구(46,47)들이 구획지어 형성되고, 상기 구획들을 기밀되게 유지하도록 경계지역에 배치되는 팩킹부재(6)가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5)에는 일측에 수평으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유입구(50)가 측부에 형성되고, 세정수 배출구(51)와 배출구(52)가 하우징의 측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공기가 혼합된 세정수를 도면에 미도시된 비데 노즐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53,54)가 하우징의 측부에서 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 유입구(56)가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어 하우징 내부 공간에서 세정수와 공기가 혼합되어 배출된다.
상기 하우징(5)의 배출구(51,52)(53,54)들은 모두 도면에 미도시된 비데 노즐로의 유로에 연통되어 상기 배출구들을 통해 배출되는 세정수, 및 공기가 혼합된 상태의 세정수가 비데 노즐을 통해 분사된다.
도 7 내지 10은 구동부(1)의 모터에 의해 커플링부재(2)와 맞물려 회전되는 조절판(3)의 회전 위치에 따라 절개부(31)가 밸브바디(4)에서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된 작동모드들을 보여준다.
도 7의 위치에서는, 조절판(3)의 절개부(31)가 세정수 배출공(44)의 위치에 배치되어, 세정수 유입구(50)을 통해 유입된 세정수가 배출공(44)을 통해 도 6의 하우징 내부 공간(51')으로 유입된 다음 출구(51")를 통해 세정수 배출구(51)로 배출되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비데의 노즐에서 직수 형태로 세정수가 분사되며, 이때 다른 세정수 배출공(45)과 공기 유입공(43) 및 공기가 혼합된 세정수 배출구(41,42)과 공기 배출구(46,47)들은 조절판(3)에 의해 막힌 상태로 유지된다.
도 8의 위치에서는, 조절판(3)의 절개부(31)가 세정수 배출공(45)의 위치에 배치되어 세정수 유입구(50)을 통해 유입된 세정수가 배출공(45)을 통해 도 6의 하우징 내부 공간(52')로 유입된 다음 출구(52")를 거쳐 세정수 배출구(52)를 통해 배출되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비데의 노즐에서 직수 형태로 세정수가 분사되며, 이때 다른 세정수 배출공(44)과 공기 유입공(43) 및 공기가 혼합된 세정수 배출구(41,42)과 공기 배출구(46,47)들은 조절판(3)에 의해 막힌 상태로 유지된다.
도 9의 위치에서는, 조절판(3)의 절개부(31)가 세정수 배출구(41)에 배치됨과 함께, 공기 유입공(43)의 상측에 조절판(3) 저면에 형성된 원호형의 가이드홈(32)의 일측단이 배치된다. 이로써, 공기 유입공(43)을 통해 유입된 공기 흐름이 가이드홈(32)에서 가이드되어 공기 배출구(46)을 통해 도 6에 도시된 하우징 내부 공간(53')으로 유입되고, 이때 세정수 유입구(50)을 통해 유입된 세정수가 세정수 배출구(41)를 통해 하우징 내부 공간(53')으로 유입되어 하우징 내부 공간(53')에서 세정수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로 출구(53")를 거쳐 하우징의 측부에 형성된 배출구(53)를 통해 배출되어 비데 노즐에서 세정수가 버블 형태로 분사되어 부드럽게 세정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조절판(3)의 절개부(31)가 도 9에 도시된 위치 보다 시계방향으로 이동되어 밸브바디(4)의 배출구(41)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면 세정수 배출구(41)가 상대적으로 협소하여 배출되는 유량이 작아지게 되므로 조절판(3)의 회전각도에 따른 밸브바디(4)의 배출구(41)에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배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도 10의 위치에서는, 조절판(3)의 절개부(31)가 세정수 배출구(42)의 끝단에 배치됨과 함께, 공기 유입공(43)의 상측에 조절판(3) 저면에 형성된 원호형의 가이드홈(32)의 일측단이 배치된다. 이로써, 공기 유입공(43)을 통해 유입된 공기 흐름이 가이드홈(32)에서 가이드되어 공기 배출구(47)를 통해 도 6에 도시된 하우징 내부 공간(54')으로 유입되고, 이때 세정수 유입구(50)을 통해 유입된 세정수가 세정수 배출구(42)를 통해 하우징 내부 공간(54')으로 유입되어 하우징 내부 공간(54')에서 세정수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로 출구(54")를 거쳐 하우징의 측부에 형성된 배출구(54)를 통해 배출되어 비데 노즐에서 세정수가 버블 형태로 분사되어 부드럽게 세정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조절판(3)의 절개부(31)가 도 10에 도시된 위치 보다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되어 밸브바디(4)의 배출구(42)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위치하게 되면 세정수 배출구(42)가 상대적으로 협소하여 배출되는 유량이 작아지게 되므로 조절판(3)의 회전각도에 따라 유량 조절작용이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하우징(5)에 내장되는 밸브바디(4)의 상측에 배치되어 스텝모터로 회전되는 조절판(3)에 의해 세정수 및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구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하우징(5)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비데 노즐로의 유로와 연통되는 배출구들로 배출하여 세정수를 분사하여 항문 세척을 하거나, 세정수에 공기가 혼합된 상태로 즉, 버블로서 배출구로 배출하여 항문 또는 국부를 부드럽게 과도하지 않은 자극으로 세정할 있도록 하여 비데 노즐의 다양한 모드들을 단순화된 구조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비데의 다양한 모드에 따라 노즐을 통해 세정수로 세척을 수행하거나, 공기가 혼합된 세정수를 버블 형태로 분사하여 항문이나 국부를 부드럽게 세정하는 등의 여러 모드를 수행하도록 하는 세정수와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밸브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1 : 구동부 2 : 커플링부재
3 : 조절판 4 : 밸브바디
5 : 하우징 6 : 팩킹부재
31 : 절개부 32 : 가이드홈
41,42 : (세정수) 배출구 43 : (공기) 유입공
44,45 : (세정수) 배출공 46,47 : (공기) 배출구
48,49 : 홀 50 : (세정수) 유입구
51,52,53,54 : (세정수) 배출구
56 : (공기) 유입구
51',52',53',54' : (내부) 공간

Claims (9)

  1. 모터를 구비한 구동부(1)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정역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일측 단부에서 개방되게 절개된 절개부(31)가 형성된 조절판(3), 상기 조절판(3)의 하측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배출구들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밸브바디(4), 상기 조절판(3)과 밸브바디(4)를 수용하고 세정수 인입구와 배출구들이 형성된 하우징(5)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바디(4)에는, 원호형태로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폭이 증가되고 계단식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세정수 배출구(41,42)와, 상기 세정수 배출구(41,42)들 사이에서 직경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세정수 배출공(44,45)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판(3)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배출구(41,42)와 배출공(44,45)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5)에는 세정수를 공급하도록 측부에 세정수 유입구(50)가 형성되고, 세정수 배출구(51)와 세정수 배출구(52)가 상기 하우징(5)의 측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가 혼합된 세정수를 배출하도록 배출구(53,54)가 하우징의 측부에서 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 유입구(56)가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세정수 배출구(51,52)와 공기가 혼합된 세정수를 배출하는 배출구(53,54)가 비데의 노즐로의 유로에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밸브바디(4)의 저면에는 원호형태로 형성된 세정수 배출구(41,42)의 단부에 개방된 홀(48,4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 바디의 저면은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공기 유입공(43), 세정수 배출공(44,45), 및 공기 배출구(46,47)들이 구획지어 형성된 비데용 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4)에서 세정수 배출구(41,42)들 사이에서 반경방향 내측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공기 유입공(43)으로 부터 유입된 공기가 공기 배출구(46,47)로 가이드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조절판(3)의 저면에 원호형의 가이드홈(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절판(3)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밸브바디(4)의 배출구(41,42)에 대해 조절판(3)의 절개부(31)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배출구(41,42)를 통해 하우징 내부 공간(53',54')으로 배출되는 유량이 변화되어 세정수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되며,
    상기 조절판(3)의 절개부(31)가 세정수 배출구(41)에 배치될 때, 공기 유입공(43)을 통해 유입된 공기 흐름이 조절판(3) 저면에 형성된 원호형의 가이드홈(32)을 통해 하우징 내부 공간(53')에 유입되어 세정수 유입구(50)을 통해 유입된 세정수와 공기가 혼합된 세정수가 배출되도록 출구(53")가 하우징의 측부에 형성된 세정수 배출구(53)에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조절판(3)의 절개부(31)가 세정수 배출구(42)에 배치될 때, 공기 유입공(43)으로 부터 유입된 공기 흐름이 조절판(3) 저면에 형성된 원호형의 가이드홈(32)을 통해 유입되어 세정수 유입구(50)을 통해 유입된 세정수와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54')에서의 공기가 혼합된 세정수가 배출되도록 출구(54")가 하우징의 측부에 형성된 배출구(54)에 연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밸브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3)의 절개부(31)가 세정수 배출공(44)의 위치에 배치될 때, 하우징(5)의 측부에 형성된 세정수 유입구(50)을 통해 유입된 세정수가 밸브바디(4)의 배출공(44)을 통해 유입되도록 하우징 내부 공간(51')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51')에는 출구(51")가 상기 하우징(5)의 측부에 형성된 세정수 배출구(51)에 연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밸브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3)의 절개부(31)가 세정수 배출공(45)의 위치에 배치될 때, 하우징(5)의 측부에 형성된 세정수 유입구(50)을 통해 유입된 세정수가 밸브바디(4)의 배출공(45)을 통해 유입되도록 하우징 내부 공간(52')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52')에는 출구(52")가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된 세정수 배출구(52)에 연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밸브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80118313A 2018-10-04 2018-10-04 비데용 밸브장치 KR102108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313A KR102108092B1 (ko) 2018-10-04 2018-10-04 비데용 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313A KR102108092B1 (ko) 2018-10-04 2018-10-04 비데용 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738A KR20200038738A (ko) 2020-04-14
KR102108092B1 true KR102108092B1 (ko) 2020-06-08

Family

ID=70291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313A KR102108092B1 (ko) 2018-10-04 2018-10-04 비데용 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0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5379A1 (ko) * 2021-06-16 2022-12-22 최성민 복수의 홈 또는 홀을 갖는 밸브의 디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밸브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4Y1 (ko) * 2005-08-08 2005-11-04 (주)포에스텍 비데용 복합밸브 조립체
KR100838999B1 (ko) * 2007-06-05 2008-06-17 주식회사 파세코 비데의 유로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063Y1 (ko) 2008-03-05 2013-03-26 주식회사 동양 비데용 유량조절밸브
KR20130035542A (ko) 2011-09-30 2013-04-09 코웨이 주식회사 유로 조절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4Y1 (ko) * 2005-08-08 2005-11-04 (주)포에스텍 비데용 복합밸브 조립체
KR100838999B1 (ko) * 2007-06-05 2008-06-17 주식회사 파세코 비데의 유로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5379A1 (ko) * 2021-06-16 2022-12-22 최성민 복수의 홈 또는 홀을 갖는 밸브의 디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밸브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738A (ko) 202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8093B1 (ko) 비데용 밸브장치
KR102108092B1 (ko) 비데용 밸브장치
JP4866884B2 (ja) ビデ用洗浄水の流路転換装置及び方法
KR100878378B1 (ko) 분배기 일체형 레버구조
KR101510627B1 (ko) 복수 개의 유입구와 배출구를 갖는 유로전환밸브
KR101675745B1 (ko) 비데용 노즐장치
KR101266654B1 (ko) 분배기 일체형 레버구조
KR20060063841A (ko) 핸들 겸용 토수구 세면기 수전
JPS5817824Y2 (ja) 衛生洗浄装置
KR102609492B1 (ko) 유량조절밸브
JP4701526B2 (ja) 衛生洗浄装置のノズル構造
JP4103176B2 (ja) 人体局部洗浄装置
JP2002294816A (ja) 衛生洗浄装置
JP2017197923A (ja) 局部洗浄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便器装置
JP4622065B2 (ja) 人体局部洗浄装置
KR20080105452A (ko) 광각분사용 비데 노즐팁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JP2011042981A (ja) 人体局部洗浄装置
JP2003003534A (ja) シングルレバー式混合水栓
KR200403476Y1 (ko) 2개의 노즐을 갖는 비데의 급수제어장치
JPH11336165A (ja) 人体局部洗浄装置
JPH07292746A (ja) 衛生洗浄装置
KR200386786Y1 (ko) 기능물을 공급하는 비데용 유로전환장치
JP3057912B2 (ja) 温水洗浄装置
JP4583941B2 (ja) 切替部材
JP4528200B2 (ja) 鼻洗浄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