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0532A -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0532A
KR20080100532A KR1020070046342A KR20070046342A KR20080100532A KR 20080100532 A KR20080100532 A KR 20080100532A KR 1020070046342 A KR1020070046342 A KR 1020070046342A KR 20070046342 A KR20070046342 A KR 20070046342A KR 20080100532 A KR20080100532 A KR 20080100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hole
valve spool
water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3405B1 (ko
Inventor
홍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높낮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높낮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높낮이
Priority to KR1020070046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405B1/ko
Publication of KR20080100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2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 E03C1/326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resting on the floor
    • E03C1/328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resting on the floor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3Connecting the supply lines to the tap bod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30Diverter valves in faucets or t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급수 조절 유닛의 구성을 개선하여 높낮이 조절 기능과 냉수 온수 급수 기능의 선택시 사용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는 물을 공급하면서 그 높이가 조절되는 급수 조절 장치로서, 물을 공급하는 급수 유닛, 급수 유닛 하부에 위치하여 급수 유닛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유닛, 급수 유닛과 높이 조절 유닛에 연결된 복수의 수로 라인들, 및 복수의 수로 라인들에 연결되어 복수의 수로 라인들 중 둘 이상의 수로 라인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킴으로써 냉수, 온수의 급수 유닛 또는 높이 조절 유닛을 구동하는 하나의 급수 조절 유닛을 포함한다.
급수 유닛, 높이, 가변, 밸브 스풀

Description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MILTIPURPOSE ADJUSTABLE APPARATUS FOR SUPPLYING WA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급수 조절 유닛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몸체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밸브 스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제2 밸브 스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몸체부의 구성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7은 몸체부의 조합에 따라 높이 조절이 정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몸체부의 조합에 따라 높이 조절이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몸체부의 조합에 따라 높이 조절이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몸체부의 조합에 따라 냉수가 출력홀로 나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몸체부의 조합에 따라 온수가 출력홀로 나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급수대 100 ; 급수 유닛
110 ; 높이 조절 유닛 130 ; 급수 조절 유닛
132 ; 몸체부 134 ; 급수 조절레버
1320 ; 제1 밸브 스풀 1322 ; 제2 밸브 스풀
본 발명은 급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일반 가정의 화장실 및 공중 화장실 등에서는 세면 등의 용도를 위하여 수돗물을 사용하는 세면대가 설치되어 있다. 세면대는 설정된 높이를 갖고 고정 설치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이와 같은 높이 고정식 세면대는 성인을 기준으로 한정된 높이로 벽면에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그 설치 높이에 비하여 키가 크거나 작은 사람, 특히 어린이의 경우에는 이러한 일반적인 성인 높이의 세면대를 사용하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급수 조절 유닛의 구성을 개선하여 높낮이 조절 기능과 냉수 온수 급수 기능의 선택시 사용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물을 공급하면서 그 높이가 조절되는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로서, 물을 공급하는 급수 유닛, 급수 유닛 하부에 위치하여 급수 유닛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유닛, 급수 유닛과 높이 조절 유닛에 연결된 복수의 수로 라인들, 및 복수의 수로 라인들에 연결되어 복수의 수로 라인들 중 둘 이상의 수로 라인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킴으로써 급수 유닛 또는 높이 조절 유닛을 구동하는 하나의 급수 조절 유닛을 포함한다.
급수 조절 유닛은 복수의 유수용(流水用) 홀들을 갖는 제1 밸브 스풀, 및 제1 밸브 스풀 위에 위치하고, 제1 밸브 스풀과 밀착되어 제1 밸브 스풀 위에서 슬라이딩되며 복수의 연통용 홀들을 갖는 제2 밸브 스풀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 조절 유닛은 제1 밸브 스풀에 일측이 연결되며, 제1 밸브 스풀에 외력을 전달하는 급수 조절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 유닛의 높이가 조절되는 경우 제1 밸브 스풀의 유수용 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유수용 홀은 제2 밸브 스풀의 연통용 홀들 중 두 개의 연통용 홀들과 연통될 수 있다.
복수의 수로 라인은 급수 유닛에 관계하는 급수와 배수의 수로를 형성하는 제1 수로 라인, 및 높이 조절 유닛에 관계하는 급수와 배수의 수로를 형성하는 제2 수로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브 스풀은 제1 수로 라인의 수로에 연결되는 냉온수 연결홀과 제1 수로 라인의 수로와 제2 수로 라인의 수로에 각각 연결되는 높이 조절홀을 가질 수 있다. 제2 밸브 스풀은 제1 밸브 스풀 하부에 구비되며 제1 수로 라인과 제2 수로 라인에 각각 연결되는 온수홀, 냉수홀, 출력홀, 배수홀, 실린더 연결홀을 가질 수 있다.
제1 밸브 스풀은 타원형상의 원판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 중심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좌우 대칭의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냉온수 연결홀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밸브 스풀은 길이방향 중심으로부터 우측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높이 조절홀을 가질 수 있다.
제2 밸브 스풀은 제1 밸브 스풀과 동심축을 가진 원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밸브 스풀의 온수홀, 냉수홀, 출력홀, 배수홀, 실린더 연결홀은 제2 밸브 스풀의 중심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밸브 스풀은 중심으로부터 좌측 하부로 이격된 위치에 원호형상의 온수홀을 갖고, 중심으로부터 우측 하부로 이격된 위치에 원호형상의 냉수홀을 가지며, 중심으로부터 하부로 이격된 위치에서 온수홀과 냉수홀의 사이에 원형의 출력홀을 갖고, 중심으로부터 상부 좌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원형의 배수홀을 가지며, 중심으로부터 상부 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원호형상의 실린더 연결홀을 가질 수 있다.
제1 밸브 스풀은 제1 수로 라인과 연결되는 길이방향 이동시 냉온수 연결홀과 제2 밸브 스풀의 온수홀, 출력홀, 냉수홀이 연결되며, 제1 밸브 스풀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2 밸브 스풀의 온수홀, 출력홀, 냉수홀과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밸브 스풀은 제2 수로 라인과 연결되는 길이방향 이동시 높이 조절홀과 제2 밸브 스풀의 냉수홀, 실린더 연결홀이 연결되며, 제1 밸브 스풀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2 밸브 스풀의 냉수홀, 실린더 연결홀, 배수홀과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밸브 스풀은 급수 유닛에 고정될 수 있다.
높이 조절 유닛은 단동식 실린더를 포함하며, 높이 조절 유닛은 단동식 실린더가 뻗은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급수 유닛 하부에 배치되어 급수 유닛의 높이 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10)는 급수 유닛(100), 높이 조절 유닛(110), 수로 라인(120, 122, 124, 126), 급수 조절 유닛(1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 유닛(100)은 벽면(12)에 인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급수 유닛(100)은 고정 프레임(14)을 통해 벽면(12)에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 프레임(14)은 앙카 볼트(16)로 벽면(12)에 고정된다.
급수 유닛(100)의 구조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급수 유닛(100)을 다른 구조로도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수 유닛(100)은 수돗물 또는 식수를 공급받는 급수대를 예로 할 수 있다. 그리고 급수 유닛(100)은 일반 가정 또는 공공 장소에 설치되는 세면대를 예로 할 수 있다.
급수 유닛(100)은 상수도 관에 연결된 급수관(미도시)을 통하여 급수 유닛(100)에 설치된 급수 라인에 물을 공급하고, 배수 라인을 통하여 사용한 물을 배수한다.
급수 유닛(100) 하부에는 급수 유닛(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 유닛(110)이 설치된다. 높이 조절 유닛(110)은 물의 흐름을 다르게 안내하여 수압으로 급수 유닛(1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이며, 물이 공급되는 급수 라인과 물이 배출되는 배수 라인이 각각 연결된다.
높이 조절 유닛(110)은 급수 유닛(100) 하부와 급수 유닛(100)이 위치되는 바닥면의 사이에 구비되어 외력에 따라 급수 유닛(100)의 높이를 가변한다. 높이 조절 유닛(110)은 단동식 실린더를 포함한다. 급수 유닛(100) 하부에 설치되는 실린더는 한 개의 가변형 밀폐 공간을 형성한다. 작동 라인을 하나만 사용하는 단동식으로 실린더를 구동함으로써 실린더의 가변형 밀폐 공간은 한 개로 된다. 이와 같은 하나의 가변형 밀폐 공간은 실린더로부터 지면으로 뻗어 연결 고정된 피스톤에 의하여 형성되며 피스톤의 상부에 위치한다. 급수 유닛(100) 하부에 설치한 실린더는 상부로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물로 인하여 그 작동 체적이 변하고 피스톤은 지면에 고정되므로, 높이 조절 유닛(110)의 조작에 따라 급수 유닛(100)이 상하로 원활하게 움직인다.
이와 같은 급수 유닛(100)의 상하 이동을 지지하기 위하여 가이드부(133)가 설치된다. 가이드부(133)는 실린더가 뻗은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급수 유닛(100) 하부에 배치되어 급수 유닛(100)의 높이 방향 이동을 지지한다. 가이드부(133)는 받침대, 이동대, 지지대 및 실린더 지지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33)는 벽면(12)에 부착된 고정 프레임(14)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가이드부(133)의 구조는 본 출원인에 의해 기 출원된 출원번호 20-2004-0036905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대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며, 기 출원된 가변형 브래킷의 구조를 본 발명의 가이드부(133) 구조로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133)의 상세 구조 및 동작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높이 조절 유닛(110)에 가해지는 외력은 수압을 말하며, 수압 이외에도 유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압 라인 또는 유압 라인이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수압 또는 유압 이외에도 기계적인 방법으로 급수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모터의 힘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10)는 급수 유닛(100)의 높이를 수압으로 조절하고, 급수의 조절을 병행하는 것이므로 높이 조절 유닛(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 및 응용예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수로 라인(120, 122, 124, 126)은 급수 유닛(100)과 높이 조절 유닛(110)에 각각 연결되어 해당되는 수로를 형성한다. 수로 라인(120, 122, 124, 126)은 수돗물이 공급되는 급수 라인, 급수된 물이 배출되는 배수 라인, 높이 조절 유닛(110)에 연결되어 높이 조절 유닛(110)의 높이 조절에 사용되는 작동 라인을 포함한다. 급수 라인, 배수 라인, 작동 라인은 가요성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급수 유 닛(100)의 높이 변화에 따라 그 길이가 신축적으로 조절되어 물을 원활하게 소통시킬 수 있다. 참고로, 작동 라인은 그 일단이 높이 조절 유닛(1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실린더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작동 라인을 하나만 사용하여 급수 유닛(100)을 승강 및 하강시키므로 사용되는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수로 라인(120, 122, 124, 126)은 제1 수로 라인과 제2 수로 라인을 포함한다. 제1 수로 라인은 급수 유닛(100)에 관계하는 급수와 배수의 수로를 형성하며, 제2 수로 라인은 높이 조절 유닛(110)에 관계하는 급수와 배수의 수로를 형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급수 조절 유닛(130)은 급수 유닛(100)의 일측에서 수로 라인에 연결되며, 몸체부(132), 가이드부(133), 급수 조절레버(134)를 포함한다. 급수 조절 유닛(130)은 급수 유닛(100)의 높이 조절 및 급수 조절을 선택하는 동작에 연동되어 설정된 수로를 연결한다. 급수 조절 유닛(130)은 일종의 급수 조절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 조절 유닛(130)은 급수 유닛(100)의 높이를 수압으로 조절하는 수로 연결기능과, 냉수와 온수의 급수 조절을 위한 수로 연결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상호 공유되는 부분을 조합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급수 조절 유닛(130)의 각 부품간에 패킹을 삽입하여 각 부품간의 밀착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몸체부(132)는 급수 조절레버(134)에 연결되며, 복수개의 연결홀을 통하여 급수 라인, 배수 라인 및 작동 라인이 외부 연결된다.
가이드부(133)는 몸체부(132)의 이동을 안내하는 부분이며, 몸체부(132)가 삽입되는 캡(138, 수전구 몸통, 하우징)의 일부를 이용할 수 있다.
급수 조절레버(134)는 몸체부(132)에 일측이 연결되며, 몸체부(132)에 외력을 전달한다. 급수 조절레버(134)는 손잡이(136)와 별도로 결합될 수 있으며, 손잡이(136)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몸체부(132)는 제1 밸브 스풀(1320)과 제2 밸브 스풀(1322)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제1 수로 라인과 제2 수로 라인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홀을 갖는다. 급수 조절 유닛(130)은 2개의 연결홀을 갖는 제1 밸브 스풀(1320), 제1 밸브 스풀(1320)의 하부에 위치되며 5개의 연결홀을 갖는 제2 밸브 스풀(1322)을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밸브 스풀(1320)은 제1 수로 라인의 수로에 연결되는 냉온수 연결홀(13202)과 제1 수로 라인의 수로와 제2 수로 라인의 수로에 각각 연결되는 높이 조절홀(13204)을 갖는다. 제1 밸브 스풀(1320)은 타원형상의 원판으로 형성된다. 제1 밸브 스풀(1320)은 길이방향 중심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좌우 대칭의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냉온수 연결홀(13202)을 갖는다. 그리고 제1 밸브 스풀(1320)은 길이방향 중심으로부터 우측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높이 조절홀(13204)을 갖는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밸브 스풀(1322)은 제1 밸브 스풀(1320) 하부에 구비되며 제1 수로 라인과 제2 수로 라인에 각각 연결되는 온수홀(13220), 냉수홀(13222), 출력홀(13224)(토수홀), 배수홀(13226), 실린더 연결홀(13228)을 갖는다. 제2 밸브 스풀(1322)은 제1 밸브 스풀(1320)과 달리 급수 유닛(1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밸브 스풀(1322)은 제1 밸브 스풀(1320)과 동심축을 가진 원형판으로 형성된다. 제2 밸브 스풀(1322)의 온수홀(13220), 냉수홀(13222), 출력홀(13224), 배수홀(13226), 실린더 연결홀(13228)은 제2 밸브 스풀(1322)의 중심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2 밸브 스풀(1322)은 중심으로부터 좌측 하부로 이격된 위치에 원호형상의 온수홀(13220)을 갖는다. 그리고 제2 밸브 스풀(1322)은 중심으로부터 우측 하부로 이격된 위치에 원호형상의 냉수홀(13222)을 갖는다. 이어서, 제2 밸브 스풀(1322)은 중심으로부터 하부로 이격된 위치에서 온수홀(13220)과 냉수홀(13222)의 사이에 원형의 출력홀(13224)을 갖는다. 또한, 제2 밸브 스풀(1322)은 중심으로부터 상부 좌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원형의 배수홀(13226)을 갖는다. 그리고 제2 밸브 스풀(1322)은 중심으로부터 상부 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원호형상의 실린더 연결홀(13228)을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몸체부(132)는 제1 밸브 스풀(1320)과 제2 밸브 스풀(1322)이 결합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 밸브 스풀(1320)은 실질적으로 고압호스 2개(냉수, 온수)와 각각 연결되며, 제2 밸브 스풀(1322)은 고압호스 4개와 각각 연결된다. 몸체부(132)는 캡(138) 내부에 조립되며, 급수 조절레버(134), 손잡이(136)가 결합되어 급수 조절 유닛(130) 어셈블리를 형성한다. 급수 조절레버(134)는 기존의 수전구 손잡이와 같이 조립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 손잡이(136)와 급수 조절레버(134)의 조작에 따라 제1 밸브 스풀(1320)이 움직이면, 제1 밸브 스풀(1320)과 제2 밸브 스풀(1322)에 각각 형성된 구멍(Hole)들이 서로 연결되어 수로를 형성하거나 서로 간섭되어 수로를 형성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136)를 조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급수 유닛(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밸브 스풀(1320)은 제1 수로 라인과 연결되는 길이방향 이동시 냉온수 연결홀(13202)과 제2 밸브 스풀(1322)의 온수홀(13220), 출력홀(13224), 냉수홀(13222)이 연결되며, 제1 밸브 스풀(13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2 밸브 스풀(1322)의 온수홀(13220), 출력홀(13224), 냉수홀(13222)과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몸체부(132)의 조합에 따라 높이 조절 및 급수 조절이 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급수 조절레버에 연결된 몸체부 내부에 3개 홀(냉수, 온수, 출력)을 갖는 3홀 보디 1개와 연결로가 있는 1개의 홀로 이루어진 1홀 보디 1개가 맞물려 있는 경우, 3홀 보디는 고정되어 있고 1홀 보디는 전진 및 좌, 우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몸체부를 사용하면, 출력 부분으로 냉수 및 온수가 나오는데, 급수 유닛의 높낮이 조절과는 관계없이 단순히 냉수와 온수만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에서는 물(수돗물)의 수압을 이용하여 급수 유닛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높낮이 조절밸브를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해야한다. 먼저, 사용자는 급수 유닛의 높이 조절을 하고 싶은 경우 몸체부와는 별도로 제작된 높낮이 조절밸브를 조절하여 물을 실린더 상 및 실린더 하에 보내주면서 급수 유닛의 높이 조절을 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급수 유닛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몸체부를 조절하여 냉수와 온수를 사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몸체부와 높낮이 조절밸브가 별 도로 제작된 상태에서는 급수 유닛 주위에 각각 설치해야 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별도로 조절해야 하므로 몸체부 따로 높낮이 조절밸브 따로 조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10)는 물의 수압을 이용하여 급수 유닛(100)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냉수를 사용하여 작동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별도의 높낮이 조절밸브를 장착하지 않고, 손잡이(136)에 연동되는 몸체부에 높낮이 조절 기능과 냉수 온수 급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해당되는 수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136)만을 조작하여 급수 유닛(100)의 높낮이 조절과 냉수 및 온수의 급수를 선택할 수 있다.
손잡이(136)의 작동방법은 손잡이(136)를 위로 올리지 않고 사용하는 제1 방법과 위로 올리고 사용하는 제2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법은 출력홀(13224)이 닫힌 상태이며, 냉수와 온수가 출력홀(13224)을 통해 나오는 것이 아니라 급수 유닛(100)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을 말한다. 그리고 제2 방법은 급수 유닛(100) 높낮이 조절을 위한 수로가 차단된 상태이며, 출력홀(13224)이 개방되어 냉수와 온수가 출력홀(13224)을 통해 나오도록 하는 방법을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손잡이(136)를 위로 올리지 않고 손잡이(136)를 좌측, 중립,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 방법으로 냉수의 급수 및 배수가 이루어져 급수 유닛(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136)를 중립 위치에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으로 돌리면 급수 유닛(100)이 올라간다. 즉, 제1 밸브 스 풀(1320)의 좌측 회전에 따라 제1 밸브 스풀(1320)의 높이 조절홀(13204)과 제2 밸브 스풀(1322)의 냉수홀(13222), 실린더 연결홀(13228)이 연결되어 실린더로 물이 공급되므로 실린더가 상승하게 된다. 실린더 연결홀(13228)은 실린더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곳이며, 배수홀(13226)을 통해 실린더측 물이 배수된다. 손잡이(136)의 조작에 따라 제1 밸브 스풀(1320)의 높이 조절홀(13204)은 냉수홀(13222)과 실린더 연결홀(13228), 실린더 연결홀(13228)과 배수홀(13226)을 각각 연결한다. 높이 조절홀(13204)은 냉수홀(13222)과 실린더 연결홀(13228)이 연결된 상태에서 냉수를 실린더로 급수되도록 안내하여 급수 유닛(100)의 높이를 높게 하는 기능을 유지한다.
이어서, 손잡이(136)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면 실린더의 상승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제1 밸브 스풀(1320)의 정지 위치 회전에 따라 제1 밸브 스풀(1320)의 높이 조절홀(13204)은 제2 밸브 스풀(1322)의 실린더 연결홀(13228)에만 연결되어 냉수홀(13222)과 연결되지 못하게 되므로 실린더로 물의 공급이 중단된다. 따라서, 실린더의 상승이 정지된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136)를 중립 위치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돌리면 급수 유닛(100)이 내려간다. 즉, 제1 밸브 스풀(1320)의 우측 회전에 따라 제1 밸브 스풀(1320)의 높이 조절홀(13204)과 제2 밸브 스풀(1322)의 실린더 연결홀(13228), 배수홀(13226)이 연결되어 실린더의 물이 배수홀(1322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실린더가 하강하게 된다. 높이 조절홀(13204)은 배수홀(13226)과 실린더 연결홀(13228)이 연결된 상태에서 실린더측 냉수를 배수홀(13226)로 배 수되도록 안내하여 급수 유닛(100)의 높이를 낮게 하는 기능을 유지한다.
이어서, 손잡이(136)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면 급수 유닛(100)의 하강이 정지된다. 즉, 제1 밸브 스풀(1320)의 정지 위치 회전에 따라 제1 밸브 스풀(1320)의 높이 조절홀(13204)은 제2 밸브 스풀(1322)의 실린더 연결홀(13228)에만 연결되어 배수홀(13226)과 연결되지 못하게 되므로 실린더의 물이 더 이상 배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실린더의 하강이 정지된 상태로 된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손잡이(136)를 위로 올리고 손잡이(136)를 좌측, 중립,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방법으로 냉수와 온수의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즉, 손잡이(136)를 위로 올리면 일반적인 수전구 방식과 마찬가지로 냉수와 온수의 물이 나오도록 선택할 수 있다. 즉, 손잡이(136)의 조작에 따라 제1 밸브 스풀(1320)의 냉온수 연결홀(13202)은 냉수와 온수를 연결하여 출력홀(13224)을 통해 토출시키는 기능을 유지한다. 제2 밸브 스풀(1322)의 온수홀(13220)을 통해 온수가 유입되고, 냉수홀(13222)은 냉수가 유입되고 출력홀(13224)은 냉수 또는 온수(냉수와 온수 혼합)가 나온다.
예를 들어, 손잡이(136)를 중립 위치에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으로 돌리면 냉수만 나온다. 즉, 제1 밸브 스풀(1320)의 우측 회전에 따라 제1 밸브 스풀(1320)의 냉온수 연결홀(13202)과 제2 밸브 스풀(1322)의 냉수홀(13222)과 출력홀(13224)이 연결되어 냉수가 나오게 된다.
그리고 손잡이(136)를 중립 위치에서 좌측으로 돌리면 온수 물이 나온다. 즉, 제1 밸브 스풀(1320)의 좌측 회전에 따라 제1 밸브 스풀(1320)의 냉온수 연결 홀(13202)과 제2 밸브 스풀(1322)의 온수홀(13220)과 출력홀(13224)이 연결되어 온수가 나오게 된다.
참고로, 손잡이(136)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면 온수와 냉수가 적절히 섞여서 나온다. 즉, 제1 밸브 스풀(1320)의 중립 위치 회전에 따라 제1 밸브 스풀(1320)의 냉온수 연결홀(13202)과 제2 밸브 스풀(1322)의 냉수홀(13222) 및 온수홀(13220)과 출력홀(13224)이 연결되어 냉수와 온수가 적절히 섞인 상태로 나오게 된다.
한편, 손잡이(136)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킨 상태에서 손잡이(136)를 내리게 되면 물은 나오지 않는다. 급수가 중단되는 것은 손잡이(136)의 좌측, 중립, 우측 위치에 관계없이 손잡이(136)가 위로 올려진 상태에서 아래로 내리면 된다. 즉, 손잡이(136)를 제2 방법 위치에서 제1 방법 위치로 하면 출력홀(13224)로 물이 나오지 않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는 높이 조절 유닛 및 급수 유닛과 각각 해당되는 수로를 연결하는 급수 조절 유닛의 구성을 개선하여 높낮이 조절 기능과 냉수 온수 급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당되는 수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급수 유닛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냉수와 온수를 사용하는 작동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별도의 높낮이 조절밸브를 장착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는 손잡이만을 조작하여 급수 유닛의 높낮이 조절과 냉수 및 온수의 급수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8)

  1. 물을 공급하는 급수 유닛;
    상기 급수 유닛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급수 유닛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유닛;
    상기 급수 유닛과 상기 높이 조절 유닛에 연결된 복수의 수로 라인들, 및
    상기 복수의 수로 라인들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수로 라인들 중 둘 이상의 수로 라인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킴으로써 상기 급수 유닛 또는 상기 높이 조절 유닛을 구동하는 하나의 급수 조절 유닛
    을 포함하는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조절 유닛은
    복수의 유수용(流水用) 홀들을 갖는 제1 밸브 스풀, 및
    상기 제1 밸브 스풀 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밸브 스풀과 밀착되어 상기 제1 밸브 스풀 위에서 슬라이딩되며 복수의 연통용 홀들을 갖는 제2 밸브 스풀
    을 포함하는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조절 유닛은
    상기 제1 밸브 스풀에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제1 밸브 스풀에 외력을 전달하는 급수 조절레버를 포함하는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유닛의 높이가 조절되는 경우 상기 제1 밸브 스풀의 유수용 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유수용 홀은 상기 제2 밸브 스풀의 연통용 홀들 중 두 개의 연통용 홀들과 연통되는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로 라인은
    상기 급수 유닛에 관계하는 급수와 배수의 수로를 형성하는 제1 수로 라인, 및
    상기 높이 조절 유닛에 관계하는 급수와 배수의 수로를 형성하는 제2 수로 라인을 포함하는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스풀은 상기 제1 수로 라인의 수로에 연결되는 냉온수 연결홀과 상기 제1 수로 라인의 수로와 상기 제2 수로 라인의 수로에 각각 연결되는 높이 조절홀을 갖는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 스풀은 상기 제1 밸브 스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수로 라인과 상기 제2 수로 라인에 각각 연결되는 온수홀, 냉수홀, 출력홀, 배수홀, 실린더 연결홀을 갖는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스풀은 타원형상의 원판으로 형성되는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스풀은 길이방향 중심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좌우 대칭의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냉온수 연결홀을 갖는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스풀은 길이방향 중심으로부터 우측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높이 조절홀을 갖는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 스풀은 상기 제1 밸브 스풀과 동심축을 가진 원형판으로 형성되는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 스풀의 온수홀, 냉수홀, 출력홀, 배수홀, 실린더 연결홀은 상기 제2 밸브 스풀의 중심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 스풀은 중심으로부터 좌측 하부로 이격된 위치에 원호형상의 온수홀을 갖고, 중심으로부터 우측 하부로 이격된 위치에 원호형상의 냉수홀을 가지며, 중심으로부터 하부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온수홀과 상기 냉수홀의 사이에 원형의 출력홀을 갖고, 중심으로부터 상부 좌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원형의 배수홀을 가지며, 중심으로부터 상부 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원호형상의 실린더 연결홀을 갖는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스풀은 상기 제1 수로 라인과 연결되는 길이방향 이동시 상기 냉온수 연결홀과 상기 제2 밸브 스풀의 온수홀, 출력홀, 냉수홀이 연결되며, 상기 제1 밸브 스풀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2 밸브 스풀의 온수홀, 출력홀, 냉수홀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스풀은 상기 제2 수로 라인과 연결되는 길이방향 이동시 상기 높이 조절홀과 상기 제2 밸브 스풀의 냉수홀, 실린더 연결홀이 연결되며, 상기 제1 밸브 스풀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2 밸브 스풀의 냉수홀, 실린더 연결홀, 배수홀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 스풀은 상기 급수 유닛에 고정되는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유닛은 단동식 실린더를 포함하는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유닛은 상기 단동식 실린더가 뻗은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급수 유닛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 유닛의 높이 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KR1020070046342A 2007-05-14 2007-05-14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KR100873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342A KR100873405B1 (ko) 2007-05-14 2007-05-14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342A KR100873405B1 (ko) 2007-05-14 2007-05-14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532A true KR20080100532A (ko) 2008-11-19
KR100873405B1 KR100873405B1 (ko) 2008-12-11

Family

ID=40287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342A KR100873405B1 (ko) 2007-05-14 2007-05-14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34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025B1 (ko) * 2018-11-22 2019-04-03 주식회사 유디시스템 일체형 높낮이 조절 세면장치
KR102378621B1 (ko) * 2021-06-02 2022-03-23 김춘규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
KR102466122B1 (ko) * 2022-03-29 2022-11-11 염명훈 수전용 5구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를 가진 수전, 및 상기 수전을 구비한 2단 싱크대 또는 2단 위생 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938B1 (ko) * 2017-09-06 2019-03-06 주식회사 유디시스템 높이 조절형 급수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686B1 (ko) * 2002-02-16 2004-04-13 주식회사 높낮이 수압작동식 높이조절장치
KR200336870Y1 (ko) * 2003-10-01 2003-12-24 김진영 이중토출구를 갖는 급수밸브
KR200380190Y1 (ko) * 2004-12-27 2005-03-29 주식회사 높낮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025B1 (ko) * 2018-11-22 2019-04-03 주식회사 유디시스템 일체형 높낮이 조절 세면장치
WO2020105816A1 (ko) * 2018-11-22 2020-05-28 주식회사 유디시스템 일체형 높낮이 조절 세면장치
CN111465740A (zh) * 2018-11-22 2020-07-28 株式会社宇帝系统 一体式高低调节盥洗装置
US11220811B2 (en) 2018-11-22 2022-01-11 Ud System Co., Ltd Integrated height adjusting washstand device
AU2019384425B2 (en) * 2018-11-22 2022-06-02 Ud System Co., Ltd. Integrated height-adjustable washbasin device
KR102378621B1 (ko) * 2021-06-02 2022-03-23 김춘규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
KR102466122B1 (ko) * 2022-03-29 2022-11-11 염명훈 수전용 5구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를 가진 수전, 및 상기 수전을 구비한 2단 싱크대 또는 2단 위생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3405B1 (ko) 200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9796B2 (en) Hidden faucet
KR100873405B1 (ko)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CN103505110B (zh) 一种先导阀切换机构及其应用该机构的淋浴系统
AU2005287634B2 (en) Concealed sanitary fitting
KR101954938B1 (ko) 높이 조절형 급수 조절장치
JP2006181336A (ja) 高さ調節が可能な洗面台
US6446655B1 (en) Faucet assembly with independent controls for temperature and flow rate
KR101260729B1 (ko) 절수 및 에너지 절약형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
KR20090071507A (ko) 온냉수혼합꼭지
CN206419508U (zh) 一种浴缸水龙头
CN208503562U (zh) 淋浴龙头水路控制结构
JP4002592B2 (ja) 吐水装置
AU2005303988A1 (en) Concealed sanitary fitting
JP6971507B2 (ja) 一体型高低調節洗面装置
KR101314012B1 (ko) 수전 금구
CN108104224B (zh) 一种补水器、双排补水装置及双排补水方法
ES2662705T3 (es) Dispositivo de conmutación para accesorios sanitarios, en particular duchas, bañeras y similares
KR100426686B1 (ko) 수압작동식 높이조절장치
KR101436148B1 (ko) 세면대의 수량 조절기
KR20160010149A (ko) 온도조절이 가능한 샤워기 헤드
CN212775720U (zh) 水龙头组件
KR200408113Y1 (ko) 세면대용 수도꼭지
KR200298946Y1 (ko) 수압작동식 높이조절장치
KR101339986B1 (ko) 물의 공급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전금구
KR200336854Y1 (ko) 수압작동식 높이조절 장치의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