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190Y1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대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190Y1
KR200380190Y1 KR20-2004-0036905U KR20040036905U KR200380190Y1 KR 200380190 Y1 KR200380190 Y1 KR 200380190Y1 KR 20040036905 U KR20040036905 U KR 20040036905U KR 200380190 Y1 KR200380190 Y1 KR 2003801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ylinder
sink
rotary valve
valve sp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9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진
박상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높낮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높낮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높낮이
Priority to KR20-2004-00369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1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1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190Y1/ko
Priority to JP2005130670A priority patent/JP2006181336A/ja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2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 E03C1/326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resting on the floor
    • E03C1/328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resting on the floor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중을 이용하여 구조를 단순화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는, 세면대 본체 아래에 설치되는 실린더, 세면대 본체에 설치한 수압작동식 밸브, 수압작동식 밸브에 연결되고 유입수가 통과하는 급수 라인, 수압작동식 밸브에 연결되고 유출수가 통과하는 배수 라인, 및 일단은 수압작동식 밸브에 연결되고 타단은 실린더에 연결되어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작동수가 통과하는 하나의 작동 라인을 포함한다. 여기서, 수압작동식 밸브는, 급수 라인, 배수 라인, 및 작동 라인이 각각 외부 연결된 중공형 조정통, 및 중공형 조정통 내부에 합체 조립되고 회전에 따라 각 라인과 연통하도록 외표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회전식 밸브 스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대 {HEIGHT ADJUSTABLE WASHSTAND}
본 고안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중을 이용하여 구조를 단순화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의 화장실 및 공중 화장실 등에서는 세면 등의 용도를 위하여 수돗물을 사용하는 기설정된 높이의 세면대 설치가 보편화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세면대는 성인을 기준으로 한정된 높이로 벽면에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그 설치 높이에 비하여 키가 크거나 작은 사람, 특히 어린이의 경우에는 이러한 일반적인 성인 높이의 세면대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세면대의 저부에 유압 또는 수압으로 작동되는 실린더를 설치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세면대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유압 또는 수압을 이용하는 세면대의 경우, 실린더를 상부 및 하부로 나누고 그 각각에 배관을 연결하여 수압작동식 밸브의 조절에 따라 세면대를 상승 및 하강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세면대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경우, 새면대의 배관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수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세면대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해 수압작동식 밸브의 구조를 복잡하게 제작해야 하므로, 수압작동식 밸브의 가공 작업이 복잡해져서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자중을 이용하여 상승 및 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세면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는, 세면대 본체 아래에 설치되는 실린더, 세면대 본체에 설치한 수압작동식 밸브, 수압작동식 밸브에 연결되고 유입수가 통과하는 급수 라인, 수압작동식 밸브에 연결되고 유출수가 통과하는 배수 라인, 및 일단은 수압작동식 밸브에 연결되고 타단은 실린더에 연결되어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작동수가 통과하는 하나의 작동 라인을 포함한다. 여기서, 수압작동식 밸브는, 급수 라인, 배수 라인, 및 작동 라인이 각각 외부 연결된 중공형 조정통, 및 중공형 조정통 내부에 합체 조립되고 회전에 따라 각 라인과 연통하도록 외표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회전식 밸브 스풀을 포함한다.
회전식 밸브 스풀의 외표면에 2개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는 회전식 밸브 스풀의 내부를 통해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수 라인, 배수 라인 및 작동 라인은 중공형 조정통의 측면에 상호 각도를 이루면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면대가 상승하는 경우, 급수 라인 및 작동 라인이 회전식 밸브 스풀에 형성된 각각의 개구부와 연통될 수 있다.
세면대가 하강하는 경우, 배수 라인 및 작동 라인이 회전식 밸브 스풀에 형성된 각각의 개구부와 연통될 수 있다.
작동 라인은 급수 라인 및 배수 라인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세면대가 정지하는 경우, 회전식 밸브 스풀에 형성된 개구부와 급수 라인, 배수 라인 및 작동 라인과의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급수 라인 및 배수 라인 중 어느 한 라인이 작동 라인과 이루는 각은 회전식 밸브 스풀에 형성된 2개의 개구부가 이루는 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식 밸브 스풀에 형성된 2개의 개구부가 이루는 각은 실질적으로 직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는, 실린더내에 하나의 가변형 밀폐 공간을 형성하면서 실린더로부터 지면으로 뻗어 연결 고정된 피스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압작동식 밸브는 회전식 밸브 스풀과 연결된 버튼(button)을 더 포함하고, 버튼을 눌러서 회전식 밸브 스풀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는, 실린더가 뻗은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세면대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세면대 본체의 이동을 지지하는 가변형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변형 브라켓은, 세면대 본체의 하부에 고정되어 세면대 본체를 지지하는 받침대, 받침대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이동대, 그리고 이동대와 결합되어 이동대를 상하로 이동시키고 이동대와의 사이에 베어링을 설치하여 이동대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베어링은 볼베어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변형 브라켓은 실린더의 하부에 고정되어 실린더를 지지하도록 이동대와 연결된 실린더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통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본 고안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100)의 측면도로서, 벽면에 인접하여 고정된 세면대(100)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세면대의 구조는 단지 본 고안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세면대를 다른 구조로도 변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면대(100)는 상수도관(82)에 연결된 급수관(미도시)을 통하여 세면대 본체(10)에 설치된 급수 밸브(80)에 물을 공급하고, 배수 트랩(84)을 통하여 사용한 물을 배수한다.
세면대 본체(10)에는 세면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수압작동식 밸브(30)가 설치되어 있다. 유입수가 통과하는 급수 라인(62)과 유출수가 통과하는 배수 라인(64)은 수압작동식 밸브(30)의 하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90)를 작동시키는 작동수가 통과하는 하나의 작동 라인(66)은 그 일단이 수압작동식 밸브(30)에 연결되고, 타단은 실린더(90)에 연결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이와 같이 작동 라인(66)을 하나만 사용하여 세면대(100)를 승강 및 하강시키므로, 그 구조가 매우 단순화되어 사용되는 부품수도 줄어든다.
급수 라인(62), 배수 라인(64), 작동 라인(66)은 가요성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세면대(100)의 높이 변화에 따라 그 길이가 신축적으로 조절되어 물을 원활하게 소통시킬 수 있다.
세면대 본체(10) 아래에 설치되는 실린더(90)는 하나의 가변형 밀폐 공간을 형성한다. 하나의 작동 라인(66)만을 사용하므로 실린더(90)의 가변형 밀폐 공간은 하나로 족하다. 이와 같은 하나의 가변형 밀폐 공간은 실린더(90)로부터 지면으로 뻗어 연결 고정된 피스톤(94)에 의하여 형성되며 피스톤(94)의 상부에 위치한다.
세면대 본체(10) 아래에 설치한 실린더(90)는 상부로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작동수로 인하여 그 부피가 변하고 피스톤(94)은 지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수압 작동식 밸브(30)의 조작에 따라 세면대 본체(10)가 상하로 원활하게 움직인다.
이와 같은 세면대 본체(10)의 상하 이동을 지지하기 위하여 가변형 브라켓(20)이 실린더(90)가 뻗은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세면대 본체(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세면대 본체(10)의 이동을 지지한다. 이를 위하여 가변형 브라켓(20)은 받침대(22), 이동대(25), 지지대(24) 및 실린더 지지대(21) 등을 포함한다. 가변형 브라켓(20)은 벽면에 부착된 고정대(26)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통하여 가변형 브라켓(20)의 구조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브라켓(20)의 사시도로서, 상하로 높이가 조절되는 세면대 본체(10)의 이동을 지지하는 가변형 브라켓(20)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형 브라켓(20)은, 받침대(22), 이동대(25), 지지대(24) 및 실린더 지지대(21)를 포함한다. 받침대(22)는 세면대 본체(10)(도 1에 도시, 이하 동일)의 하부에 부착되어 세면대 본체(10)를 지지한다. 받침대(22)가 연결 부착된 이동대(25)는 화살표 방향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받침대(22)는 이동대(25)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동대(25)의 상하 이동에도 불구하고, 세면대 본체(10)를 견고하게 지지한다. 이에 따라 이동대(25)의 상하 이동시 세면대 본체(10)도 같이 이동한다.
이동대(25)로 둘러싸인 지지대(24)는 이동대(25)가 상하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대(25)와 결합하여 고정 지지된다. 이에 따라 이동대(25)는 지지대(24)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지속적인 이동이 가능하다.
도 2의 확대원에는 이동대(25)와 대향하는 표면에 베어링(245)을 설치한 지지지대(24)와 이를 통하여 이동이 원활해지는 이동대(25)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다. 도 2의 확대원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245)이 지지대(24) 및 이동대(25)의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대(25)가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를 위하여 베어링(245)은 베어링 고정용 하우징(241)에 고정된다. 베어링(245)이 지지대(24) 및 이동대(25) 모두에 밀착되므로, 이동대(25)가 베어링(245)을 통과하면서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베어링(245)은 볼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다.
실린더 지지대(21)는 실린더(90)(도 1에 도시, 이하 동일)의 하부에 고정되어 실린더(90)를 지지하도록 이동대(24)에 연결 고정된다. 이에 따라 이동대(24)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서 세면대(100)(도 1에 도시)의 상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수압작동식 밸브(30)의 단면도로서, 수압작동식 밸브(30)의 내부 단면을 나타낸다.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수압작동식 밸브(30)의 각 부품간에 패킹을 삽입하여 각 부품간의 밀착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수압작동식 밸브(30)는, 하부에 3개의 연결공(3501)이 형성된 밸브 몸체(350), 밸브 몸체(350)내에 위치하여 중공형 조정통(300)을 고정 지지하는 시트(360), 시트(360)상에 위치하여 고정되며 연결공(3501)을 통하여 급수 라인, 배수 라인 및 작동 라인이 외부 연결된 중공형 조정통(300), 중공형 조정통(300)의 내부에 합체 조립되고, 회전에 따라 각 라인과 연통하도록 외표면에 개구부(3101)가 형성된 회전식 밸브 스풀(310), 회전식 밸브 스풀(310)의 바로 위에 위치하며 회전식 밸브 스풀(310)의 돌출부(3103)에 결합되는 회전식 밸브 레버(320), 회전식 밸브 레버(320)를 덮어서 결합되며 내부 둘레를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걸림턱(3301)을 구비하는 하우징(330), 그리고 회전식 밸브 레버(320)와 결합되어 이를 회전시키는 밸브 손잡이(340)를 포함한다. 회전식 밸브 레버(320)는 탄성 부재(3203)인 스프링으로 고정되는 핀(3201)을 구비하고, 핀(3201)은 회전식 밸브 레버(320)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수압작동식 밸브(30)의 상부는, 하부 커버(390), 중간 커버(380) 및 상부 커버(370)로 차례로 둘러싸여 있다. 너트(385)로 중간 커버(380)와 하부 커버(390)를 연결하되, 양자간에 스페이서(381)를 끼우고, 그 양단에 와셔(383)를 삽입한다.
도 3에는 연결공(3501)을 2개만 도시하였지만, 실제로는 3개의 연결공(3501)이 형성되어 있다. 3개의 연결공(3501)의 일단은 각각 급수 라인, 배수 라인 및 작동 라인과 연결되고, 타단은 중공형 조정통(300)에 연결된다. 급수 라인, 배수 라인 및 작동 라인은 중공형 조정통(300)의 측면에 상호 각도를 이루면서 연결되므로, 회전식 밸브 스풀(310)의 회전에 따른 개구부(3101)의 위치 변화로 물의 소통을 정지시키거나 물의 소통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물의 소통을 통하여 세면대를 승강 및 하강시킬 수 있도록 작동 라인을 급수 라인 및 배수 라인의 사이에 위치시키면서 중공형 조정통(300)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회전식 밸브 스풀(310)의 외표면에는 2개의 개구부(3101)를 형성한다. 개구부(3101)는 회전식 밸브 스풀(310)의 내부를 통해 연통된다.
중공형 조정통(300) 및 회전식 밸브 스풀(310)은 세라믹 소재로 되어 있으므로 양자간의 마찰에 따른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마찰은 중공형 조정통(300) 및 회전식 밸브 스풀(310) 사이에 그리스를 도포하여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리스 도포에 따라 양자간의 밀착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이로써 밸브 손잡이(340)의 조작에 따라 회전식 밸브 스풀(310)을 회전시, 누수 없이 원하는 방향으로 물을 통과시켜 세면대의 높이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수압작동식 밸브(30)는 회전식 밸브 스풀(310)과 연결된 버튼(butto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튼은 세면대 본체위에 설치되어 이 버튼을 누를 때마다 회전식 밸브 스풀(310)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버튼 조작을 통하여 회전식 밸브 스풀(310)의 조작이 더욱 쉽게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통하여 수압작동식 밸브의 조작에 따른 세면대의 높이 조절 과정에 대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수압작동식 밸브과 연결된 각 라인을 도시하기 위하여 편의상 가변형 브라켓을 생략하여 나타낸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도 4에는 세면대(100)가 정지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5에는 세면대(100)가 상승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6에는 세면대(100)가 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세면대(100)의 이동에 따른 수압작동식 밸브(30)의 조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4 내지 도 6의 좌측에 수압작동식 밸브(30)의 내부 부품 중 회전식 밸브 스풀(310) 및 중공형 조정통(300)을 확대하여 나타낸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압작동식 밸브(30)의 회전에 따라 회전식 밸브 스풀(310)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 경우 회전식 밸브 스풀(310)에 형성된 개구부(3101)의 위치가 변하게 된다. 회전식 밸브 스풀(310)에 형성된 2개의 개구부(3101)가 이루는 각(α)은 급수 라인(62) 및 배수 라인(64) 중 어느 한 라인이 작동 라인(66)과 이루는 각(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에 따라 2개의 개구부(3101)는 급수 라인(62) 및 작동 라인(66)과 동시에 연통되거나 배수 라인(64) 및 작동 라인(66)과 동시에 연통된다. 여기서, 2개의 개구부(3101)가 이루는 각(α)은 실질적으로 직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회전식 밸브 스풀(310)의 회전에 따라 물을 원활하게 소통시킬 수 있다.
도 4에는 회전식 밸브 스풀(310)과 중공형 조정통(300)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따라 수압작동식 밸브(30)에서 물의 소통이 차단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세면대(100)의 승강 및 하강이 정지된다. 즉, 세면대(100)가 정지하는 경우, 회전식 밸브 스풀(310)에 형성된 개구부(3101)는 급수 라인(62), 작동 라인(66) 및 배수 라인(64)과의 연통이 차단되며, 중공형 조정통(300)의 내벽에 인접하게 된다. 이 때, 개구부(3101)는 급수 라인(62), 작동 라인(66) 및 배수 라인(64)의 사이에 위치하므로 물의 소통이 차단된다. 급수관에 연결된 급수 라인(64) 및 실린더(90)에 연결된 작동 라인(66)의 경우, 물이 차 있으므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압이 작용하나, 회전식 밸브 스풀(310)에 의해 물의 소통이 차단되므로 세면대(100)는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도 5에는 회전식 밸브 스풀(310)과 중공형 조정통(300)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따라 물의 소통이 이루어져서 세면대(100)가 상승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수압작동식 밸브(30)를 회전시켜 회전식 밸브 스풀(310)을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개구부(3101)가 회전하여 급수 라인(62) 및 작동 라인(66)과 연통된다. 이 경우에 급수관에 연결된 급수 라인(62)의 수압이 작동 라인(66)에 연결된 실린더(90)의 수압보다 크므로, 물은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급수 라인(62)으로부터 작동 라인(66)측으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작동 라인(66)과 연결된 실린더(90)내의 수량이 증가하게 되는데, 실린더(90)의 내부가 피스톤(94)에 의해 밀폐되므로, 실린더(90)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세면대 본체(10)도 같이 상승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수압작동식 밸브(30)를 조작하여 세면대(100)를 상승시킨다. 상승을 중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압작동식 밸브(30)를 조금만 회전시키면 된다.
도 6은 도 5와는 반대로 회전식 밸브 스풀(310)과 중공형 조정통(300)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따라 물의 소통이 이루어져서 세면대(100)가 하강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수압작동식 밸브(30)를 회전시켜 회전식 밸브 스풀(310)을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개구부(3101)가 회전하여 작동 라인(66) 및 배수 라인(64)과 연통된다. 이 경우에 작동 라인(66)과 연결된 실린더(90)의 수압이 배수 라인(64)측보다 크므로, 실린더(90)내의 물은 수압작동식 밸브(30)를 통하여 배수 라인(64)측으로 배출된다. 특히, 실린더(90)에는 세면대 본체(10)의 하중이 작용하므로, 작동 라인(66)과 배수 라인(64)측이 소통되는 경우 실린더(90)내의 물이 배수 라인(64)측으로 배출되면서 세면대(100)가 하강한다. 즉, 세면대 본체(10)를 이용한 자중에 의해 세면대(10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압이 아닌 자중을 이용한 세면대(100)의 하강은 세면대 본체(10)가 베어링을 구비한 가변형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므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가변형 브라켓의 슬라이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세면대 본체(10)를 이용하여 세면대(1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에서 수압작동식 밸브는 중공형 조정통 및 회전식 밸브 스풀을 구비하므로, 이들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세면대를 원활하게 승강 및 하강시킬 수 있다.
회전식 밸브 스풀의 외표면에 형성된 개구부는 내부를 통해 연통되므로, 물이 회전식 밸브 스풀을 통하여 원활하게 소통될 수 있다.
급수 라인, 배수 라인, 작동 라인은 중공형 조정통의 측면에 상호 각도를 이루면서 연결되므로, 수압작동식 밸브의 조작에 따른 세면대의 승강, 하강 및 정지가 명확하게 이루어진다.
작동 라인은 급수 라인 및 배수 라인의 사이에 위치하여 중공형 조정통과 연결되므로, 세면대의 승강 및 하강에 적합하다.
급수 라인 및 배수 라인 중 어느 한 라인이 작동 라인과 이루는 각은 회전식 밸브 스풀에 형성된 2개의 개구부가 이루는 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공형 조정통과 회전식 밸브 스풀간의 연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서 세면대의 승강 및 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회전식 밸브 스풀에 버튼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버튼 조작을 통하여 회전식 밸브 스풀을 더욱 쉽게 조작할 수 있다.
세면대 본체의 이동을 지지하는 가변형 브라켓은 이동대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베어링을 포함하므로, 세면대가 세면대 본체의 자중에 의하여 하강시에도 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수압작동식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Claims (15)

  1. 세면대 본체 아래에 설치되는 실린더,
    상기 세면대 본체에 설치한 수압작동식 밸브,
    상기 수압작동식 밸브에 연결되고 유입수가 통과하는 급수 라인,
    상기 수압작동식 밸브에 연결되고 유출수가 통과하는 배수 라인, 및
    일단은 상기 수압작동식 밸브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작동수가 통과하는 하나의 작동 라인
    을 포함하는 세면대로서,
    상기 수압작동식 밸브는,
    상기 급수 라인, 상기 배수 라인, 및 상기 작동 라인이 각각 외부 연결된 중공형 조정통, 및
    상기 중공형 조정통 내부에 합체 조립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각 라인과 연통하도록 외표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회전식 밸브 스풀
    을 포함하는 세면대.
  2. 제1항에서,
    상기 회전식 밸브 스풀의 외표면에 2개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회전식 밸브 스풀의 내부를 통해 연통되는 세면대.
  3. 제2항에서,
    상기 급수 라인, 상기 배수 라인 및 상기 작동 라인은 상기 중공형 조정통의 측면에 상호 각도를 이루면서 연결된 세면대.
  4. 제3항에서,
    상기 세면대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급수 라인 및 상기 작동 라인이 상기 회전식 밸브 스풀에 형성된 각각의 개구부와 연통하는 세면대.
  5. 제3항에서,
    상기 세면대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배수 라인 및 상기 작동 라인이 상기 회전식 밸브 스풀에 형성된 각각의 개구부와 연통하는 세면대.
  6. 제3항에서,
    상기 작동 라인은 상기 급수 라인 및 상기 배수 라인의 사이에 위치하는 세면대.
  7. 제6항에서,
    상기 세면대가 정지하는 경우, 상기 회전식 밸브 스풀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급수 라인, 상기 배수 라인 및 상기 작동 라인과의 연통이 차단되는 세면대.
  8. 제6항에서,
    상기 급수 라인 및 상기 배수 라인 중 어느 한 라인이 상기 작동 라인과 이루는 각은 상기 회전식 밸브 스풀에 형성된 2개의 개구부가 이루는 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세면대.
  9. 제8항에서,
    상기 회전식 밸브 스풀에 형성된 2개의 개구부가 이루는 각은 실질적으로 직각인 세면대.
  10. 제1항에서,
    상기 실린더내에 하나의 가변형 밀폐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실린더로부터 지면으로 뻗어 연결 고정된 피스톤을 더 포함하는 세면대.
  11. 제1항에서,
    상기 수압작동식 밸브는 상기 회전식 밸브 스풀과 연결된 버튼(button)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을 눌러서 상기 회전식 밸브 스풀의 회전을 제어하는 세면대.
  12. 제1항에서,
    상기 실린더가 뻗은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세면대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세면대 본체의 이동을 지지하는 가변형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세면대.
  13. 제12항에서,
    상기 가변형 브라켓은,
    상기 세면대 본체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세면대 본체를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이동대, 및
    상기 이동대와 결합되어 상기 이동대를 상하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대와의 사이에 베어링을 설치하여 상기 이동대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지지대
    를 포함하는 세면대.
  14. 제13항에서,
    상기 베어링은 볼베어링인 세면대.
  15. 제13항에서,
    상기 가변형 브라켓은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를 지지하도록 상기 이동대와 연결된 실린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세면대.
KR20-2004-0036905U 2004-12-27 2004-12-27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대 KR2003801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905U KR200380190Y1 (ko) 2004-12-27 2004-12-27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대
JP2005130670A JP2006181336A (ja) 2004-12-27 2005-04-28 高さ調節が可能な洗面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905U KR200380190Y1 (ko) 2004-12-27 2004-12-27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190Y1 true KR200380190Y1 (ko) 2005-03-29

Family

ID=36734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905U KR200380190Y1 (ko) 2004-12-27 2004-12-27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6181336A (ko)
KR (1) KR200380190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153B1 (ko) 2006-06-14 2006-09-20 주식회사 티씨엠씨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욕실 세면시설
KR100873405B1 (ko) * 2007-05-14 2008-12-11 주식회사 높낮이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KR101200790B1 (ko) 2010-06-28 2012-11-1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하부 개방형 무전원 높이 조절 세면대
KR101253149B1 (ko) 2010-06-28 2013-04-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벽면 충돌방지가 가능한 하부 개방형 무전원 높이 조절 세면대
KR101954938B1 (ko) 2017-09-06 2019-03-06 주식회사 유디시스템 높이 조절형 급수 조절장치
WO2020105816A1 (ko) * 2018-11-22 2020-05-28 주식회사 유디시스템 일체형 높낮이 조절 세면장치
KR102156847B1 (ko) * 2019-04-10 2020-09-16 (주)코스모 수압식 절수형 높이조절장치
KR102330765B1 (ko) * 2020-06-01 2021-11-23 홍순진 세면대 높낮이 가변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153B1 (ko) 2006-06-14 2006-09-20 주식회사 티씨엠씨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욕실 세면시설
KR100873405B1 (ko) * 2007-05-14 2008-12-11 주식회사 높낮이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KR101200790B1 (ko) 2010-06-28 2012-11-1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하부 개방형 무전원 높이 조절 세면대
KR101253149B1 (ko) 2010-06-28 2013-04-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벽면 충돌방지가 가능한 하부 개방형 무전원 높이 조절 세면대
KR101954938B1 (ko) 2017-09-06 2019-03-06 주식회사 유디시스템 높이 조절형 급수 조절장치
WO2020105816A1 (ko) * 2018-11-22 2020-05-28 주식회사 유디시스템 일체형 높낮이 조절 세면장치
EP3722524A4 (en) * 2018-11-22 2020-10-28 Ud System Co., Ltd INTEGRATED HEIGHT ADJUSTABLE LAVATORY DEVICE
KR102156847B1 (ko) * 2019-04-10 2020-09-16 (주)코스모 수압식 절수형 높이조절장치
KR102330765B1 (ko) * 2020-06-01 2021-11-23 홍순진 세면대 높낮이 가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81336A (ja) 200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181336A (ja) 高さ調節が可能な洗面台
KR200250703Y1 (ko) 높이조절되는 세면대
KR100873405B1 (ko)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KR101111624B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462807Y1 (ko) 설치가 용이한 세면대 높낮이 조절장치
KR101954938B1 (ko) 높이 조절형 급수 조절장치
US7111337B2 (en) Height-adjustable washstand
EP3722524B1 (en) Integrated height-adjustable washbasin device
KR20190032036A (ko)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장치
KR100426686B1 (ko) 수압작동식 높이조절장치
KR200347510Y1 (ko)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KR102330765B1 (ko) 세면대 높낮이 가변장치
KR101184707B1 (ko) 대소변 구분 세척이 가능한 세척밸브
KR200298946Y1 (ko) 수압작동식 높이조절장치
KR20110003864U (ko) 배수밸브
KR200445807Y1 (ko) 상부버튼형 자동 물내림장치
KR100754806B1 (ko) 수압작동식 세면대 높이조절장치
KR200336854Y1 (ko) 수압작동식 높이조절 장치의 밸브
CN110080360A (zh) 便器冲水装置及其自动冲水触发机构
KR20200119974A (ko) 층상배관용 배수트랩
KR102472865B1 (ko) 승하강 디버터밸브
CN217594887U (zh) 一种花洒的功能水切换结构
ITTO970964A1 (it) Perfezionamenti ad un dispositivo di comando della valvola di scarico dell'acqua di una vaschetta per apparecchi sanitari
KR200408113Y1 (ko) 세면대용 수도꼭지
WO2005106143A1 (en) Adjustable height toi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