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865B1 - 승하강 디버터밸브 - Google Patents

승하강 디버터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865B1
KR102472865B1 KR1020220011298A KR20220011298A KR102472865B1 KR 102472865 B1 KR102472865 B1 KR 102472865B1 KR 1020220011298 A KR1020220011298 A KR 1020220011298A KR 20220011298 A KR20220011298 A KR 20220011298A KR 102472865 B1 KR102472865 B1 KR 102472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movement
support
type valve
valve
suppor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1532A (ko
Inventor
오양석
Original Assignee
오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양석 filed Critical 오양석
Publication of KR20220151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03C1/023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with flow distribution, e.g. diver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하우징(2)의 1지지점인 걸림턱(P)과, 그리고 밸브하우징(2)에 나선 결합된 샤워기 연결부(7)의 2지지점인 받침부(Q)에 의해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가 견고하게 지지될 뿐만 아니라, 이 상태에서 그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의 중간조립부재(5)의 상단위에 상하이동T형밸브(4)가 매달린 형태의 하중지지구조가 되게 하면서 상하이동T형밸브(4)의 중간부와 하부의 측면지지에 대하여는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의 중간조립부재(5) 및 제자리회동부재(3)가 각각 그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구조가 되게 함으로써 상하이동T형밸브(4)의 상하이격거리 S에 대한 승강구조가 안정적이고 원활할 뿐 아니라, 그 상하개폐작동이 편마모 없이 정확하게 상하로 이동되어 누수현상이 방지되면서 내구적이고, 유로전환손잡이(31)의 회전동작이 용이하면서도 정확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승하강 디버터밸브{Up/down diverter valve}
본 발명은 승하강 디버터밸브에 관한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밸브하우징(2)의 1지지점인 걸림턱(P)과, 그리고 밸브하우징(2)에 나선 결합된 샤워기 연결부(7)의 2지지점인 받침부(Q)에 의해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가 견고하게 지지될 뿐만 아니라, 이 상태에서 그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의 중간조립부재(5)의 상단위에 상하이동T형밸브(4)가 매달린 형태의 하중지지구조가 되게 하면서 상하이동T형밸브(4)의 중간부와 하부의 측면지지에 대하여는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의 중간조립부재(5) 및 제자리회동부재(3)가 각각 그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구조가 되게 함으로써 상하이동T형밸브(4)의 상하이격거리 S에 대한 승강구조가 안정적이고 원활할 뿐 아니라, 그 상하개폐작동이 편마모 없이 정확하게 상하로 이동되어 누수현상이 방지되면서 내구적이고, 유로전환손잡이(31)의 회전동작이 용이하면서도 정확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의 경우 수도전 본체에서 욕조(또는 세면기)로의 직수와 샤워기로의 선택적 유로전환이 디버터 밸브(diverter valve)에 의해 이루어진다.
종래 디버터 밸브는 유로전환 밸브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그 선택적 유로전환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디버터 밸브는 회전에 의한 전환이므로 실링재(고무패킹)의 회전마모가 가장 큰 문제점이다. 회전마모는 고무패킹의 편심마모를 일으킴으로써 유로 전환된 쪽에서 유출될 때 유로 전환되지 않은 쪽에서도 누수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회전편심마모 된 고무패킹이 유출공차단을 정확하게 차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회전편심마모로 인해 이러한 누수현상은 욕실사용자의 불쾌감을 자극할 뿐만 아니라, 욕조바닥을 더럽혀 청결유지에도 신경이 쓰이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고무패킹의 회전편심마모는 고무패킹의 내구성을 현저히 저하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디버터 밸브의 내구성문제점이기도 하다.
본 발명은 밸브하우징(2)의 1지지점인 걸림턱(P)과, 그리고 밸브하우징(2)에 나선 결합된 샤워기 연결부(7)의 2지지점인 받침부(Q)에 의해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가 견고하게 지지될 뿐만 아니라, 이 상태에서 그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의 중간조립부재(5)의 상단위에 상하이동T형밸브(4)가 매달린 형태의 하중지지구조가 되게 하면서 상하이동T형밸브(4)의 중간부와 하부의 측면지지에 대하여는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의 중간조립부재(5) 및 제자리회동부재(3)가 각각 그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구조가 되게 함으로써 상하이동T형밸브(4)의 상하이격거리 S에 대한 승강구조가 안정적이고 원활할 뿐 아니라, 그 상하개폐작동이 편마모 없이 정확하게 상하로 이동되어 누수현상이 방지되면서 내구적이고, 유로전환손잡이(31)의 회전동작이 용이하면서도 정확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승하강 디버터밸브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승하강 디버터밸브(1)구조는 밸브하우징(2)내에 상하이동T형밸브(4)→중간조립부재(5)→제자리회동부재(3)→샤워기 연결부(7)가 순차적으로 조립된 구조이다.
원수 유입공(22)이 형성된 밸브하우징(2)의 1지지점인 상부 걸림턱(P)과, 그리고 밸브하우징(2)의 하부 샤워기 연결부(7)의 2지지점인 받침부(Q)로 하여 양지지점사이에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가 견고하게 조립 지지되고, 이 상태에서 상하이동T형밸브(4)가 그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의 중간조립부재(5)의 상단위에 매달린 형태로 하중지지구조가 되면서 상하이동T형밸브(4)의 중간부와 하부의 측면지지에 대하여는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의 중간조립부재(5) 및 제자리회동부재(3)가 각각 그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구조가 되는 한편, 양지지점 걸림턱(P)과 받침부(Q)사이에 조립 지지된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는 밸브하우징(2)의 내벽에 연하여 중간조립부재(5)와 제자리회동부재(3)로 조립된 구조이고, 이때 밸브하우징(2)의 걸림턱(P)에는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의 중간조립부재(5)의 밀착부(52)가 밀접되고, 제자리회동부재(3)의 상부삽입부(33)의 밀착부(36)가 중간조립부재(5)의 밀착턱(53)에 밀접되게 수직조립부(54)사이로 삽입 조립되면서 밸브하우징(2)의 하부에 나선 결합된 샤워기 연결부(7)의 받침부(Q)에 제자리회동부재(3)의 하부지지부(34)의 접면부(38)가 지지되게 조립된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디버터밸브이다.
여기에다,
상기 상하이동T형밸브(4)의 환형플렌지(42)의 상부에는 선단패킹(43)이, 그리고 그 하부에는 후단패킹(44)이 형성되고, 후단패킹(44)의 바로 밑에는 샤워유입공(45)이 천공되며,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의 중간조립부재(5)의 수직조립부(54)에 대하여 접면지지돌부(46)와 오링지지돌부(47)에 의해 상하이동T형밸브(4)의 측면이 지지될 뿐 아니라, 제자리회동부재(3)의 접면지지부(35)의 접면에 의해 상하이동T형밸브(4)의 측면이 지지되는 한편, 상하이동T형밸브(4)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된 상하이동피치돌부(41)와 이에 대응된 상하이동피치요부(32)가 제자리회동부재(3)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하이동피치요부(32)의 회전에 의해 상하이동피치돌부(41)가 승하강되면서 동시에 상하이동T형밸브(4)가 승하강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디버터밸브이다.
또한,
밸브하우징(2)의 1지지점인 상부 걸림턱(P)과, 2지지점인 하부 받침부(Q)사이에 견고하게 조립 지지된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상단위에 상하이동T형밸브(4)가 매달린 구조형태로서 이격거리(S)의 승하강이 자유롭고, 이때 그 상승 시에는 상하이동T형밸브(4)의 선단패킹(43)이 세면기 또는 욕조유출통로(26)의 선단유로지지단부(211)를 막으면서 이와 동시에 후단패킹(44)이 열려 원수 유입공(22)의 물이 환형통로(6)를 거쳐 샤워유입공(45)을 통해 샤워기 유출통로(27)로 배출되며, 또 그 하강 시에는 상하이동T형밸브(4)의 후단패킹(44)이 샤워유입공(45)을 막으면서 동시에 선단패킹(43)이 열려 원수 유입공(22)의 물이 세면기 또는 욕조유출통로(26)로 배출되는 한편, 유로전환손잡이(31)의 제자리회동부재(3)의 회동에 의해 상하이동T형밸브(4)가 이격거리(S)에 대해 승하강되고, 이때 제자리회동부재(3)의 상하이동피치요부(32)의 회전에 의해 상하이동피치돌부(41)의 승하강으로 전환되면서 이에 일체화된 상하이동T형밸브(4)가 동시에 승하강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디버터밸브이다.
그뿐 아니라,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상단위에 매달린 형태로 설치된 상하이동T형밸브(4)의 위치에 있어 그 하강시를 기준으로 그 하단지지부(48)의 끝단이 밸브하우징(2)에 나선 결합된 샤워기 연결부(7)의 받침부(Q)와 동일레벨에 위치되고, 이때 상하이동T형밸브(4)의 선단패킹(43)의 상단과 세면기 또는 욕조유출통로(26)의 선단유로지지단부(211)사이에는 이격거리(S)만큼 열리게 되며, 또 그 상승시를 기준으로 그 선단패킹(43)의 상단이 세면기 또는 욕조유출통로(26)의 선단유로지지단부(211)에 밀착되어 막게 되고, 이때 상하이동T형밸브(4)의 하단지지부(48)의 끝단이 밸브하우징(2)에 나선 결합된 샤워기 연결부(7)의 받침부(Q)로부터 이격거리(S)만큼 상승된 위치에 있으며, 상하이동T형밸브(4)의 승하강 이격거리(S)가 동일하고, 동일한 이격거리(S)를 통해 그 승하강이 정확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디버터밸브이다.
또한,
이격거리(S)의 상승위치에서는 상하이동T형밸브(4)의 선단패킹(43)이 세면기 또는 욕조유출통로(26)의 선단유로지지단부(211)에 밀착·그 유로가 차단됨과 동시에 그 후단패킹(44)이 열린 상태가 되어 원수 유입공(22)의 물이 환형통로(6)를 거쳐 샤워유입공(45)을 통해 샤워기 유출통로(27)로 배출되는 한편, 이격거리(S)의 하강위치에서는 상하이동T형밸브(4)의 후단패킹(44)이 환형통로(6)와 샤워유입공(45)을 밀폐 차단하면서 그 선단패킹(43)이 열린 상태가 되어 원수 유입공(22)의 물이 세면기 또는 욕조유출통로(26)를 통해 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디버터밸브이다.
본 발명 승하강 디버터밸브(1)는 유로전환손잡이(31)에 의해 상하이동T형밸브(4)의 승하강이 선택되면서 동시에 유로가 선택되는 구조이므로 이에 대하여 도3b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b는 X축을 중심으로 승하강 디버터밸브(1)의 상하이동T형밸브(4)의 상승상태와 하강상태를 보인 2개의 단면도면으로서 상하이동T형밸브(4)의 상하이격거리(S)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X축의 세면기 또는 욕조유출통로(26)쪽이 상부이고, 2샤워기 유출통로(27)쪽이 하부라고 할 것이고, 상하이동T형밸브(4)의 상하이동도 이에 따르기로 한다.
가)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에 대하여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는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는 밸브하우징(2)의 내벽에 연하여 중간조립부재(5)와 제자리회동부재(3)로 조립된 구조이다.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의 양지지점은 밸브하우징(2)의 1지지점인 상부 걸림턱(P)과, 그리고 밸브하우징(2)의 하부 샤워기 연결부(7)의 2지지점인 받침부(Q)이다.
1지지점인 상부 걸림턱(P)에는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의 중간조립부재(5)의 밀착부(52)가 밀접되고, 제자리회동부재(3)의 상부삽입부(33)의 밀착부(36)가 중간조립부재(5)의 밀착턱(53)에 밀접되게 수직조립부(54)사이로 삽입 조립되면서 2지지점인 받침부(Q)에는 제자리회동부재(3)의 하부지지부(34)의 접면부(38)가 지지된다.
나) 상하이동T형밸브(4)에 대하여
상하이동T형밸브(4)의 하중지지구조는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의 중간조립부재(5)의 상단위에 매달린 형태의 구조이고, 그 측면지지구조는 상하이동T형밸브(4)의 중간부와 하부를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의 중간조립부재(5) 및 제자리회동부재(3)에 의해 그 측면이 지지된다. 상하이동T형밸브(4)의 하중지지구조와 그 측면지지구조에 의해 안정된 승강구조가 됨으로써 승하강 이격거리(S)에 대한 상하이동T형밸브(4)의 상하이동이 자유롭고 원활할 뿐 아니라, 정확한 개폐가 이루어져 누수가 방지되면서 내구적이다.
또한 상하이동T형밸브(4)의 상하부 이격거리(S)가 동일함으로써 상하이동T형밸브(4)의 승하강이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다) 유로전환손잡이(31)의 회전에 의한 상하이동T형밸브(4)의 승하강작동에 대하여
상하이동T형밸브(4)는 밸브하우징(2)의 1지지점인 상부 걸림턱(P)과, 2지지점인 하부 받침부(Q)사이에 견고하게 조립된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상단위에 매달린 구조형태이므로 유로전환손잡이(31)의 제자리회동부재(3)의 회전에 의한 상하이동T형밸브(4)의 상하이동이 자유롭고 원활하다.
제자리회동부재(3)에는 유로전환손잡이(31)과 상하이동피치요부(32)가 일체화되어있기 때문이다.
장공(28)을 따라 유로전환손잡이(31)가 회전되면 제자리회동부재(3)가 회전되고, 이와 함께 상하이동피치요부(32)도 회동된다. 상하이동피치요부(32)의 대응피치는 상하이동피치돌부(41)이다. 상하이동피치요부(32)의 회전에 의해 상하이동피치돌부(41)의 상하로 전환된다. 즉, 상하이동피치돌부(41)의 상하이동은 상하이동T형밸브(4)의 상하이동이다. 상하이동피치돌부(41)가 상하이동T형밸브(4)에 일체로 형성되어있기 때문이다. 상하이동T형밸브(4)의 상하이동은 이격거리(S)이다.
첫째, 이격거리(S)의 상승위치는 샤워기 유출통로(27)로의 배출유로이다.
이격거리(S)의 상승위치란, 밸브하우징(2)에 나선 결합된 샤워기 연결부(7)의 받침부(Q)로부터 상하이동T형밸브(4)가 이격거리(S)만큼 상승위치에 있는 것을 말한다(도3b 참조).
받침부(Q)로부터 상하이동T형밸브(4)가 이격거리(S)만큼 상승위치에 있기 때문에 상하이동T형밸브(4)의 선단패킹(43)이 세면기 또는 욕조유출통로(26)의 선단유로지지단부(211)에 밀착·그 유로가 차단됨과 동시에 상하이동T형밸브(4)의 후단패킹(44)이 열리면서 원수 유입공(22)의 물이 환형통로(6)를 거쳐 샤워유입공(45)을 통해 샤워기 유출통로(27)로 배출되게 된다.
둘째, 이격거리(S)의 하강위치는 세면기 또는 욕조유출통로(26)로의 배출유로이다.
이격거리(S)의 하강위치란, 세면기 또는 욕조유출통로(26)의 선단유로지지단부(211)로부터 상하이동T형밸브(4)가 이격거리(S)만큼 하강위치에 있는 것을 말한다(도3b 참조).
세면기 또는 욕조유출통로(26)의 선단유로지지단부(211)로부터 상하이동T형밸브(4)의 선단패킹(43)이 이격거리(S)만큼 하강에 위치됨으로써 세면기 또는 욕조유출통로(26)가 열리게 되어 원수 유입공(22)의 물이 선단유로지지단부(211)를 거쳐 세면기 또는 욕조유출통로(26)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하이동T형밸브(4)의 후단패킹(44)이 환형통로(6)와 샤워유입공(45)을 밀폐차단하게 된다.
라)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와 상하이동T형밸브(4)에 의한 조립구조의 단순화에 대하여
승하강 디버터밸브(1)는 밸브하우징(2)과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와 상하이동T형밸브(4)에 의한 조립구조이므로 그 디버터밸브 조립체가 단순구조일 뿐 아니라, 그 조립고정이 견고하여 안정적이면서 상하이동T형밸브(4)의 이격거리(S) 상하이동이 정확하고 원활한 특성을 지닌다.
본 발명은 밸브하우징(2)의 1지지점인 걸림턱(P)과, 그리고 밸브하우징(2)에 나선 결합된 샤워기 연결부(7)의 2지지점인 받침부(Q)에 의해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가 견고하게 지지될 뿐만 아니라, 이 상태에서 그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의 중간조립부재(5)의 상단위에 상하이동T형밸브(4)가 매달린 형태의 하중지지구조가 되게 하면서 상하이동T형밸브(4)의 중간부와 하부의 측면지지에 대하여는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의 중간조립부재(5) 및 제자리회동부재(3)가 각각 그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구조가 되게 함으로써 상하이동T형밸브(4)의 상하이격거리 S에 대한 승강구조가 안정적이고 원활할 뿐 아니라, 그 상하개폐작동이 편마모 없이 정확하게 상하로 이동되어 누수현상이 방지되면서 내구적이고, 유로전환손잡이(31)의 회전동작이 용이하면서도 정확한 개폐가 이루어지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도1]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디버터 밸브의 설치상태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2] 도1의 A-A선 단면도로 나타낸 디버터 밸브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3a] 본 발명의 디버터 밸브의 주요구성 분리 사시도
[도3b] 본 발명 승하강 디버터 밸브의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위에서 이격거리(S)에 대한 상하이동T형밸브(4)의 승하강 작동상태와 이에 따른 유로전환상태를 보인 단면상태도
[도4] 본 발명의 디버터 밸브로 공급되는 냉온수를 수도꼭지 배출통로로 배출시켰을 때의 유로전환밸브 작동상태 단면도
[도5] 도4의 B부분 확대도
[도6] 본 발명의 디버터 밸브에 공급되는 냉온수를 수도꼭지 배출통로로 배출시키기 위해 유로전환밸브의 선단패킹을 개방작동시킨 상태의 평면도
[도7] 도6의 X-X선 단면도
[도8] 본 발명의 디버터 밸브로 공급되는 냉온수를 샤워기 배출통로로 배출시켰을 때의 유로전환밸브 작동상태 단면도
[도9] 도8의 C부분 확대도
[도10] 본 발명의 디버터 밸브에 공급되는 냉온수를 샤워기 배출통로로 배출시키기 위해 유로전환밸브의 후단패킹을 개방작동시킨 상태의 평면도
[도11] 도9의 Y-Y선 단면도
본 발명 승하강 디버터밸브(1)의 구성과 그 작동관계를 도면에 의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승하강 디버터밸브(1)는 밸브하우징(2)내에 순차적으로 중간조립부재(5)→제자리회동부재(3)→샤워기 연결부(7)→상하이동T형밸브(4)로 조립된 구조이다.
밸브하우징(2)내의 중간조립부재(5)→제자리회동부재(3)의 조립구조는 밸브하우징(2)의 걸림턱(P)과 샤워기 연결부(7)의 받침부(Q)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된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이다. 밸브하우징(2)의 걸림턱(P)에는 중간조립부재(5)의 밀착부(52)가 걸려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이고, 받침부(Q)는 밸브하우징(2)과 나사결합(N3)된 샤워기 연결부(7)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다.
중간조립부재(5)와 제자리회동부재(3)의 조립은 제자리회동부재(3)의 상부삽입부(33)가 중간조립부재(5)의 밀착턱(53)에 밀접되게 조립된다.
샤워기 연결부(7)의 받침부(Q)에는 제자리회동부재(3)의 하부지지부(34)가 접면 지지된다.
상하이동T형밸브(4)는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의 중간조립부재(5)의 상단지지부(51)상단위에 매달린 형태의 하중지지구조가 되면서 상하이동T형밸브(4)의 중간부와 하부의 측면지지에 대하여는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의 중간조립부재(5) 및 제자리회동부재(3)가 각각 그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구조가 된다.
하중지지구조와 측면지지구조에 의해 상하이동T형밸브(4)의 상하이동이 안정적이면서 원활하여 종래와는 달리 실링재의 회전마모가 방지될 뿐 아니라, 그 개폐가 정확한 수밀구조를 이룬다.
두 번째로, 상하이동T형밸브(4)의 이격거리(S)의 승하강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장공(28)을 따라 유로전환손잡이(31)가 회전되면 제자리회동부재(3)의 상하이동피치요부(32)가 회전되면서 이에 대응된 상하이동피치돌부(41)는 상하이동으로 전환되고, 이와 동시에 상하이동T형밸브(4)가 이격거리(S)의 승하강된다. 이때 상하이동피치요부(32)와 상하이동피치돌부(41)의 대응피치동작에 의한 피치움직임이 이격거리(S)이다.
상하이격거리(S)에 의한 상하개폐작동이므로 종래 회전패킹과는 달리 편마모가 발생되지 않아 누수가 방지되어 낙수로 인한 욕조바닥의 미관이 항상 깨끗하게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세 번째로, 밸브하우징(2)내의 조립 및 그 순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하이동T형밸브(4)가 먼저 밸브하우징(2)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중간조립부재(5)→제자리회동부재(3)순으로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를 조립한다.
여기서 밸브하우징(2)의 선단부(21)에는 원수 유입공(22), 선단나사조립부(23; N1), 후단나사조립부(24; N2), 세면기 또는 욕조유출통로(26), U자형 패킹(29), P; 걸림턱(P)이, 그리고 그 후단부(25)에는 장공(28)이 형성된다.
네 번째로, 도3b의 J 및 K흐름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b의 J흐름은, 샤워기로의 배출흐름이다. 상하이동T형밸브(4)의 선단패킹(43)이 세면기 또는 욕조유출통로(26)를 막고 있으나 그 후단패킹(44)은 개방되면서 원수 유입공(22)의 물이 환형통로(6)를 거쳐 샤워유입공(45)을 통해 샤워기 유출통로(27)로 배출되게 된다.
도3b의 K흐름은, 세면기 또는 욕조로의 배출흐름이다. 상하이동T형밸브(4)의 선단패킹(43)이 세면기 또는 욕조유출통로(26)를 개방하고 있으나 그 후단패킹(44)은 샤워유입공(45)을 막고 있음으로써 원수 유입공(22)의 물이 세면기 또는 욕조유출통로(26)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이를 요약하면, 도3b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승하강 디버터밸브(1)의 내부조립체는 걸림턱(P)과 받침부(Q)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이다. 상하이동T형밸브(4)는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의 중간조립부재(5)의 상단위에 매달린 하중지지구조이면서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의 중간조립부재(5)와 제자리회동부재(3)에 의해 측면이 지지되는 측면지지구조이므로 상하이동T형밸브(4)의 상하이동에 의한 개폐동작이 안정적이고, 이격거리(S)의 이동이 정확할 뿐 아니라, 유로전환선택이 용이하다.
한편, 승하강 디버터 밸브(1)는 도1의 도시와 같이 세면대(110)에 설치되어 있는 수도전 본체(100)에 설치하였을 경우 상기 수도전 본체(100)에 조립 설치된 밸브하우징(2)에서 돌출되어 있는 유로전환손잡이(31)를 도면상 좌측 또는 우측 방향(도1의 화살표방향 참조)으로 회전 이동시킴에 따라 개방작동된 냉온수 공급밸브(130)로부터 공급되는 냉온수는 수도꼭지(150)를 통해 세면대(110)으로 배출되거나 또는 주름호스(120)를 통해 샤워기(미도시)로 배출되는 구성이다.
도6의 도시와 같이 밸브하우징(2)의 장공(28)을 따라 유로전환손잡이(31)를 좌우로 회전시키게 되면, 유로전환손잡이(31)와 일체로 형성된 제자리회동부재(3)가 회동되면서 상하이동피치요부(32)가 회전된다. 이때 큰 피치의 상하이동피치요부(32)에 대응되는 상하이동피치돌부(41)가 상하 이동되면서 이와 일체로 형성된 상하이동T형밸브(4)또한 상하로 이동된다.
유로전환손잡이(31)에 의한 유로선택에 대하여 설명한다.
첫째, 유로전환손잡이(31)에 의한 세면기 또는 욕조유출통로(26)의 흐름선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6의 유로전환손잡이(31)를 좌측 방향(화살표방향 참조)으로 회전 이동시키면, 도7에 도시된 실선부분과 같이 유로전환손잡이(31)와 함께 제자리회동부재(3)를 반시계방향(화살표방향 참조)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때 제자리회동부재(3)와 함께 회전된 큰 피치의 상하이동피치요부(32)에 의해 상하이동피치돌부(41)가 샤워기 연결부(7)쪽으로 이격거리(S)만큼 하향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상하이동T형밸브(4)도 이격거리(S)만큼 하향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상하이동T형밸브(4)의 위치를 보면, 도5에서와 같이 상하이동T형밸브(4)의 하단지지부(48)의 끝단은 샤워기 연결부(7)의 받침부(Q)와 동일레벨로 위치되고, 또 상하이동T형밸브(4)의 선단부(21)의 선단패킹(43)이 밸브하우징(2)의 선단유로지지단부(211)로부터 이격(S)되면서 세면기 또는 욕조유출통로(26)가 개방된다. 이때 후단패킹(44)은 중간조립부재(5)의 상단지지부(51)에 밀착되면서 환형통로(6)와 샤워유입공(45)이 차단된다(도4 참조). 공급된 냉온수가 원수 유입공(22)을 거쳐 개방된 세면기 또는 욕조유출통로(26)를 통해 배출된다.(도5 참조)
둘째, 유로전환손잡이(31)에 의한 샤워기 유출통로(27)의 흐름선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0의 유로전환손잡이(31)를 우측 방향(화살표방향 참조)으로 회전 이동시키면, 제자리회동부재(3)는 반시계방향(도11 참조)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때 제자리회동부재(3)와 함께 회전된 큰 피치의 상하이동피치요부(32)에 의해 상하이동피치돌부(41)가 세면기 또는 욕조유출통로(26)쪽으로 이격거리(S)만큼 상향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상하이동T형밸브(4)도 이격거리(S)만큼 상향으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상하이동T형밸브(4)의 위치를 보면, 도9에서와 같이 상하이동T형밸브(4)의 하단지지부(48)의 끝단은 샤워기 연결부(7)의 받침부(Q)로부터 이격거리(S)만큼 상향으로 이동된 위치에 있고, 또 상하이동T형밸브(4)의 선단부(21)의 선단패킹(43)은 밸브하우징(2)의 선단유로지지단부(211)에 밀착된 위치, 즉 세면기 또는 욕조유출통로(26)를 차단하는 위치에 있다.
이때 후단패킹(44)은 환형통로(6)와 샤워유입공(45)을 개방한다. 공급된 냉온수가 원수 유입공(22)을 거쳐 개방된 환형통로(6)와 샤워유입공(45)을 통해 샤워기 유출통로(27)로 배출된다.(도9 참조)
이와 같이 본 발명 승하강 디버터밸브의 상하이동T형밸브(4)의 하중지지구조는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의 중간조립부재(5)의 상단위에 매달린 형태의 구조이고, 그 측면지지구조는 상하이동T형밸브(4)의 중간부와 하부를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의 중간조립부재(5) 및 제자리회동부재(3)에 의해 그 측면이 지지되며, 이에 따라 상하이동T형밸브(4)의 하중지지구조와 그 측면지지구조에 의해 안정된 승강구조가 됨으로써 승하강 이격거리(S)에 대한 상하이동T형밸브(4)의 상하이동이 자유롭고 원활할 뿐만 아니라, 정확한 개폐가 이루어져 누수가 방지되면서 내구적인 유용한 발명이다.
1 : 승하강 디버터밸브,
2 : 밸브하우징, 21 : 선단부(21), 22 : 원수 유입공(22),
23 : 선단나사조립부(23; N1), 24 : 후단나사조립부(24; N2),
25 : 후단부(25), 26 : 세면기 또는 욕조유출통로(26), 27 : 샤워기 유출통로(27), 28 : 장공(28), 29 : U자형 패킹(29), P; 걸림턱(P)
3 : 제자리회동부재(3), 31 : 유로전환손잡이(31),
32 : 상하이동피치요부(32), 33; 상부삽입부(33),
34; 하부지지부(34), 35; 접면지지부(35), 36; 밀착부(36),
38; 접면부(38),
4 : 상하이동T형밸브(4), 41 :상하이동피치돌부(41), 42 : 환형플렌지(42), 43 : 선단패킹(43), 44 : 후단패킹(44),
45 : 샤워유입공(45), 46; 접면지지돌부(46),
47; 오링지지돌부(47), 48; 하단지지부(48),
5 : 중간조립부재(5)
51 : 상단지지부(51), 52; 밀착부(52),
53; 밀착턱(53), 54; 수직조립부(54),
6 : 환형통로(6),
7 : 샤워기 연결부(7), 71 : 호스연결구, Q; 받침부(Q),
8 : 수밀패킹,
100 : 수도전 본체, 110 : 세면대, 120 : 주름호스, 130 : 냉온수 공급밸브, 140 : 냉온수 유입통로, 141 : 내벽, 142 : 외벽,
S : 이격거리, N1, N2, N3; 나사결합부

Claims (5)

  1. 원수 유입공(22)이 형성된 밸브하우징(2)의 1지지점인 상부 걸림턱(P)과, 그리고 밸브하우징(2)의 하부 샤워기 연결부(7)의 2지지점인 받침부(Q)로 하여 양지지점사이에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가 견고하게 조립 지지되고, 이 상태에서 상하이동T형밸브(4)가 그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의 중간조립부재(5)의 상단위에 매달린 형태로 하중지지구조가 되면서 상하이동T형밸브(4)의 중간부와 하부의 측면지지에 대하여는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의 중간조립부재(5) 및 제자리회동부재(3)가 각각 그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구조가 되는 한편, 양지지점 걸림턱(P)과 받침부(Q)사이에 조립 지지된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는 밸브하우징(2)의 내벽에 연하여 중간조립부재(5)와 제자리회동부재(3)로 조립된 구조이고, 이때 밸브하우징(2)의 걸림턱(P)에는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의 중간조립부재(5)의 밀착부(52)가 밀접되고, 제자리회동부재(3)의 상부삽입부(33)의 밀착부(36)가 중간조립부재(5)의 밀착턱(53)에 밀접되게 수직조립부(54)사이로 삽입 조립되면서 밸브하우징(2)의 하부에 나선 결합된 샤워기 연결부(7)의 받침부(Q)에 제자리회동부재(3)의 하부지지부(34)의 접면부(38)가 지지되게 조립된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디버터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T형밸브(4)의 환형플렌지(42)의 상부에는 선단패킹(43)이, 그리고 그 하부에는 후단패킹(44)이 형성되고, 후단패킹(44)의 바로 밑에는 샤워유입공(45)이 천공되며,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의 중간조립부재(5)의 수직조립부(54)에 대하여 접면지지돌부(46)와 오링지지돌부(47)에 의해 상하이동T형밸브(4)의 측면이 지지될 뿐 아니라, 제자리회동부재(3)의 접면지지부(35)의 접면에 의해 상하이동T형밸브(4)의 측면이 지지되는 한편, 상하이동T형밸브(4)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된 상하이동피치돌부(41)와 이에 대응된 상하이동피치요부(32)가 제자리회동부재(3)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하이동피치요부(32)의 회전에 의해 상하이동피치돌부(41)가 승하강되면서 동시에 상하이동T형밸브(4)가 승하강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디버터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밸브하우징(2)의 1지지점인 상부 걸림턱(P)과, 2지지점인 하부 받침부(Q)사이에 견고하게 조립 지지된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상단위에 상하이동T형밸브(4)가 매달린 구조형태로서 이격거리(S)의 승하강이 자유롭고, 이때 그 상승 시에는 상하이동T형밸브(4)의 선단패킹(43)이 세면기 또는 욕조유출통로(26)의 선단유로지지단부(211)를 막으면서 이와 동시에 후단패킹(44)이 열려 원수 유입공(22)의 물이 환형통로(6)를 거쳐 샤워유입공(45)을 통해 샤워기 유출통로(27)로 배출되며, 또 그 하강 시에는 상하이동T형밸브(4)의 후단패킹(44)이 샤워유입공(45)을 막으면서 동시에 선단패킹(43)이 열려 원수 유입공(22)의 물이 세면기 또는 욕조유출통로(26)로 배출되는 한편, 유로전환손잡이(31)의 제자리회동부재(3)의 회동에 의해 상하이동T형밸브(4)가 이격거리(S)에 대해 승하강되고, 이때 제자리회동부재(3)의 상하이동피치요부(32)의 회전에 의해 상하이동피치돌부(41)의 승하강으로 전환되면서 이에 일체화된 상하이동T형밸브(4)가 동시에 승하강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디버터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단위내부조립지지구조(U)상단위에 매달린 형태로 설치된 상하이동T형밸브(4)의 위치에 있어 그 하강시를 기준으로 그 하단지지부(48)의 끝단이 밸브하우징(2)에 나선 결합된 샤워기 연결부(7)의 받침부(Q)와 동일레벨에 위치되고, 이때 상하이동T형밸브(4)의 선단패킹(43)의 상단과 세면기 또는 욕조유출통로(26)의 선단유로지지단부(211)사이에는 이격거리(S)만큼 열리게 되며, 또 그 상승시를 기준으로 그 선단패킹(43)의 상단이 세면기 또는 욕조유출통로(26)의 선단유로지지단부(211)에 밀착되어 막게 되고, 이때 상하이동T형밸브(4)의 하단지지부(48)의 끝단이 밸브하우징(2)에 나선 결합된 샤워기 연결부(7)의 받침부(Q)로부터 이격거리(S)만큼 상승된 위치에 있으며, 상하이동T형밸브(4)의 승하강 이격거리(S)가 동일하고, 동일한 이격거리(S)를 통해 그 승하강이 정확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디버터밸브
  5. 제3항에 있어서
    이격거리(S)의 상승위치에서는 상하이동T형밸브(4)의 선단패킹(43)이 세면기 또는 욕조유출통로(26)의 선단유로지지단부(211)에 밀착·그 유로가 차단됨과 동시에 그 후단패킹(44)이 열린 상태가 되어 원수 유입공(22)의 물이 환형통로(6)를 거쳐 샤워유입공(45)을 통해 샤워기 유출통로(27)로 배출되는 한편, 이격거리(S)의 하강위치에서는 상하이동T형밸브(4)의 후단패킹(44)이 환형통로(6)와 샤워유입공(45)을 밀폐 차단하면서 그 선단패킹(43)이 열린 상태가 되어 원수 유입공(22)의 물이 세면기 또는 욕조유출통로(26)를 통해 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디버터밸브
KR1020220011298A 2021-05-06 2022-01-26 승하강 디버터밸브 KR1024728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391 2021-05-06
KR20210058391 2021-05-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532A KR20220151532A (ko) 2022-11-15
KR102472865B1 true KR102472865B1 (ko) 2022-12-01

Family

ID=84042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298A KR102472865B1 (ko) 2021-05-06 2022-01-26 승하강 디버터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86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8183A (ja) 1995-10-31 2005-10-20 Toto Ltd シャワー装置
JP2013215546A (ja) 2012-03-16 2013-10-24 Toto Ltd 水路切換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ハンドシャワーヘッド
US20170152652A1 (en) 2015-03-12 2017-06-01 Fluidmaster, Inc. Flow diverter with antisiphon
JP2019066007A (ja) 2017-10-03 2019-04-25 株式会社Lixil 弁装置
JP2021049507A (ja) 2019-09-26 2021-04-01 トクラス株式会社 浄水器の流路切換構造及び浄水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8945B2 (ja) * 1995-07-07 2000-03-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湯水混合装置
KR102432913B1 (ko) * 2017-10-27 2022-08-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보차저용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8183A (ja) 1995-10-31 2005-10-20 Toto Ltd シャワー装置
JP2013215546A (ja) 2012-03-16 2013-10-24 Toto Ltd 水路切換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ハンドシャワーヘッド
US20170152652A1 (en) 2015-03-12 2017-06-01 Fluidmaster, Inc. Flow diverter with antisiphon
JP2019066007A (ja) 2017-10-03 2019-04-25 株式会社Lixil 弁装置
JP2021049507A (ja) 2019-09-26 2021-04-01 トクラス株式会社 浄水器の流路切換構造及び浄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532A (ko) 202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446A (en) Bathtub shower-spout fixture
KR102472865B1 (ko) 승하강 디버터밸브
CA2457750C (en) Drain assembly and sink
KR200383401Y1 (ko) 세라믹 카트리지가 내장된 수전금구용 전환밸브
KR101111567B1 (ko) 급수전
CN210127521U (zh) 水槽冲洗件及新型水槽
CN101168971A (zh) 骤降式排水装置
KR102070294B1 (ko) 드레인 기능을 갖는 절수형 수전을 이용한 온수관 내 냉수 재활용 시스템
KR200444870Y1 (ko)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유로선택 조절장치
KR200408113Y1 (ko) 세면대용 수도꼭지
CN210857395U (zh) 一种洗菜盆多通下水器
CN110593359A (zh) 一种冲刷自洁的智能盥洗盆
KR20180001701U (ko) 보조 출수구가 구비된 앵글밸브
KR200250136Y1 (ko) 싱크대용 벽붙이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US323911A (en) william j
CN211646592U (zh) 一种枢转式排水塞连动装置
US205626A (en) Improvement in valves for water-closets
KR100554350B1 (ko) 포물선형 수도
US398224A (en) Combined waste and overflow tube for sanitary structures
EP1437446A1 (en) Drain trap device
KR200184954Y1 (ko) 역류방지장치 및 퇴수장치를 구비한 냉온수겸용 비데
KR100630901B1 (ko) 기계식 비데
KR200380215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세면대의 팝업밸브 구조
JP3056799U (ja) 給水栓
US314943A (en) Cock for wash-bas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