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113Y1 - 세면대용 수도꼭지 - Google Patents

세면대용 수도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113Y1
KR200408113Y1 KR2020050032567U KR20050032567U KR200408113Y1 KR 200408113 Y1 KR200408113 Y1 KR 200408113Y1 KR 2020050032567 U KR2020050032567 U KR 2020050032567U KR 20050032567 U KR20050032567 U KR 20050032567U KR 200408113 Y1 KR200408113 Y1 KR 2004081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hot water
faucet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5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주은
Original Assignee
전주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은 filed Critical 전주은
Priority to KR20200500325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1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1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1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3Connecting the supply lines to the tap bod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2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ucet ha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 F16K11/08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9/00Arrangements of valves and flow line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fluids
    • F16K19/006Specially adapted for fauc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5Handles for single handle mix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냉온수 파이프가 연결되어 냉온수의 혼합을 조절하는 세면대용 수도꼭지에 있어서, 냉온수 파이프가 내부로 삽입 설치되며 내부에 볼부재를 탄성지지하는 볼수용홈이 형성된 몸체와, 몸체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냉온수 파이프에 외접하여 몸체에서 수직하중에 의해 상하 수직이동하며 볼부재에 대응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주홈부와 원주홈부의 하부 일측 일직선상에 형성되어 냉온수를 상부로 배출되게 하는 한 쌍의 상부공과 상부공의 하부 일측 일직선상에 형성되어 냉온수를 하부로 배출되게 하는 한 쌍의 하부공과 내부에 형성되어 상부공과 하부공으로 유입되는 냉온수를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출수공과 상부공과 하부공 사이에 형성되어 냉온수의 상하 이동을 방지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유수조절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수도꼭지가 제공된다.
몸체, 볼수용홈, 유수조절축, 샤워기, 원주홈부, 상부공, 하부공

Description

세면대용 수도꼭지{Faucet for washstand}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용 수도꼭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세면대용 수도꼭지의 A-A'선 단면도,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세면대용 수도꼭지에 채용된 유수조절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도 1에 도시된 세면대용 수도꼭지에 채용된 샤워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용 수도꼭지에서 상부로 온수가 배출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용 수도꼭지에서 하부로 온수가 배출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세면대용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수조절축 의 상하좌우 이동 방향에 따라 냉온수의 혼합양과 더불어 상하부로 냉온수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는 세면대용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에서는 작동이 간편하고 절수효과가 좋은 싱글레버 형식의 수도꼭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싱글레버 수도꼭지는 싱크대, 세면대, 욕실 등에 설치되어 단일의 조작레버를 원하는 온도와 양의 물을 급수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온도조절장치는 특허출원번호 제1990-11830호 등과 같은 것이 있으며 이것은 토출되는 온수의 온도를 제어하는 동시에 조작입력단부를 지닌 조절기구와, 상기 조절기구를 내장하여 상기 조절기구의 조절입력단부 및 상기 조작케이블의 제1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접속되는 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조절기구부 근방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조작입력단부와 직접 결합하여 수도꼭지 본체와 일체화하고, 상기 조절기구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조작케이블의 제1단부와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케이블의 제2단부는 상기 조작입력부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조절핸들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많이 소용되어 비경제적이며, 부품이 많아 부품의 손상으로 인한 고장이 빈번히 발생하는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온도조절시 많은 부품의 동작으로 인한 오동작이 자주 발생되어 온도조절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그 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고장시 수리가 용이하며 간단한 조작에 의해 냉온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어 효율적인 세면대용 수도꼭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냉온수 파이프가 연결되어 냉온수의 혼합을 조절하는 세면대용 수도꼭지에 있어서, 냉온수 파이프가 내부로 삽입 설치되며 내부에 볼부재를 탄성지지하는 볼수용홈이 형성된 몸체와, 몸체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냉온수 파이프에 외접하여 몸체에서 수직하중에 의해 상하 수직이동하며 볼부재에 대응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주홈부와 원주홈부의 하부 일측 일직선상에 형성되어 냉온수를 상부로 배출되게 하는 한 쌍의 상부공과 상부공의 하부 일측 일직선상에 형성되어 냉온수를 하부로 배출되게 하는 한 쌍의 하부공과 내부에 형성되어 상부공과 하부공으로 유입되는 냉온수를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출수공과 상부공과 하부공 사이에 형성되어 냉온수의 상하 이동을 방지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유수조절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수도꼭지를 제공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용 수도꼭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세면대용 수도꼭지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세면대용 수도꼭지에 채용된 유수조절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도 1에 도시된 세면대용 수도꼭지에 채용된 샤워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용 수도꼭지(1)는 몸체(10), 유수조절축(40), 샤워기(50)로 구성된다.
몸체(10)에는 냉온수 파이프(20,30)가 내부로 삽입 설치되며, 내부에는 볼부재(12)를 탄성지지하는 볼수용홈(13)이 형성된다. 상기 냉온수 파이프(20,3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몸체(10)와 나사결합되거나 후술할 유수조절축(40)과 접하도록 소정 길이 삽입된 후 몸체(10) 외부에서 용접하여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유수조절축(40)에 접촉하는 냉온수 파이프(20,30)의 끝단은 내부의 직경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접촉 부분에서 냉온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상기 볼수용홈(1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부재(12)를 완전 수용되는 깊이로 형성되고, 내측 일면에는 볼부재(12)를 탄성지지 하기 위해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4)가 부착된다. 그 결과 볼부재(12)와 더불어 후술할 유수조절축(40)이 상하직선 운동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과 냉온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유수조절축(40)을 좌우회전시 적절한 지지력을 유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몸체(10)의 중간에는 후술할 유수조절축(40)이 관통되도록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10)의 상부에는 온도눈금자(11)가 형성되어 있다.
유수조절축(40)은 몸체(1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냉온수 파이프(20,30)에 외접하여 몸체(10)에서 수직하중에 의해 상하 수직이동하며, 볼부재(12)에 대응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주홈부(42)와, 원주홈부(42)의 하부 일측 일직선상에 형성되어 냉온수를 상부로 배출되게 하는 한 쌍의 상부공(43)과, 상부공(43)의 하부 일측 일직선상에 형성되어 냉온수를 하부로 배출되게 하는 한 쌍의 하부공(44)과, 내부에 형성되어 상부공(43)과 하부공(44)으로 유입되는 냉온수를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출수공(45)과, 상부공(43)과 하부공(44) 사이에 형성되어 냉온수의 상하 이동을 방지하는 차단부(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유수조절축(40)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 몸체(10)의 온도눈금자(11)에 대응되게 온도눈금표시(4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주홈부(4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수조절축(40)의 외주면에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유수조절축(40)이 상하좌우 이동시 유수조절축(40)을 가이드 하는 역활을 한다.
상기 상부공(43)과 하부공(44)은 상기 유수조절축(40)이 상하좌우 이동시 냉온수 파이프(20,30)와 접하여 냉온수 파이프(20,30)에서 나오는 냉온수의 이동통로가 된다. 상기 유수조절축(40)을 도 2의 중립상태에서 하부로 누르거나 상부로 잡아당긴 후 좌측으로 회전하면 상·하부공(43,44)과 온수파이프(30)의 접촉면적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물의 온도는 상승한다. 전술한 온도조절축을 우측으로 회전하면 상·하부공(43,44)과 냉수파이프(20)의 접촉면적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물의 온도는 하강한다. 상기 유수조절축(40)을 도 2의 중립상태에서 도 5와 같이 하부로 누르면 냉온수는 상부로 배출되고, 도 2의 중립상태에서 도 6과 같이 상부로 잡아 당기면 냉온수는 하부로 배출된다.
상기 출수공(45)은 상기 유수조절축(40) 내부에 형성되어 냉온수 파이프(20,30)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하부로 배출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차단부(46)는 상기 유수조절축(40) 내부 상부공(43)과 하부공(44) 사이에 형성되어 냉온수가 상기 출수공(45)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유수조절축(40)의 상부에는 손잡이(47)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하 좌우로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샤워기(50)는 상기 유수조절축(40)의 상부에 직접 설치되거나 고무나 플렉시블 파이프에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샤워기(50)는 조리부(51a)와 나사부(51b)가 수로(51c)로 연통된 본체(51)와, 상기 본체(51)에 형성된 홀(hole)에 삽입되며 양단에 4각돌출부가 형성된 밸브(52)와, 상기 밸브(52)의 일단 4각돌출부에 결합되는 조절부(53)와, 상기 조절부(53) 일측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54)과, 상기 밸브(52)의 일단 4각돌출부에 결합되는 마개(55a)와, 상기 밸브(52)의 타단 4각돌출부에 결합되는 마개(55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작동 원리를 살펴보면, 상기 조절부(53)를 좌우로 움직이면 이와 일체로 결합된 밸브(52)가 좌우로 움직인다. 이에 의하여, 상기 밸브(52)에 형성된 구멍과 수로(51c)의 접촉면적이 증가 또는 감소하여 냉온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용 수도꼭지에서 상부로 온수가 배출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 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용 수도꼭지에서 하부로 온수가 배출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 단면도이다.
도 5는 유수조절축(40)이 중립위치에서 하부로 내려간 후 좌측으로 회전하여, 온수 파이프로부터 유입되는 온수는 완전 개방되나, 냉수파이프(30)로부터 유입되는 냉수는 완전 차단되어 온수만이 상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유수조절축(40)이 중립위치에서 상부로 올라간 후 좌측으로 회전하여, 온수 파이프로부터 유입되는 온수는 완전 개방되나, 냉수파이프(30)로부터 유입되는 냉수는 완 전 차단되어 온수만이 하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즉 냉수파이프(30)와 온수파이프(30)의 유수조절부 접촉 개방면적이 서로 반비례하도록 되어 있어 온수의 개방면적과 냉수의 개방면적의 비율을 단순히 유수조절축(40)의 회전각도에 의해 조절하여 냉수 및 온수의 각각의 유입량에 따른 냉온수의 온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인 세면대용 수도꼭지에 따르면, 그 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부품이 단순하여 고장시 수리가 용이하며 간단한 조작에 의해 온수의 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조절할 수 있어 효율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냉온수 파이프가 연결되어 냉온수의 혼합을 조절하는 세면대용 수도꼭지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 파이프가 내부로 삽입 설치되며, 내부에 볼부재를 탄성지지하는 볼수용홈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냉온수 파이프에 외접하여 상기 몸체에서 수직하중에 의해 상하 수직이동하며, 상기 볼부재에 대응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주홈부와, 상기 원주홈부의 하부 일측 일직선상에 형성되어 냉온수를 상부로 배출되게 하는 한 쌍의 상부공과, 상기 상부공의 하부 일측 일직선상에 형성되어 냉온수를 하부로 배출되게 하는 한 쌍의 하부공과,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공과 하부공으로 유입되는 냉온수를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출수공과, 상기 상부공과 하부공 사이에 형성되어 냉온수의 상하 이동을 방지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유수조절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수도꼭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조절축의 상부에 설치되는 샤워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수도꼭지.
KR2020050032567U 2005-11-17 2005-11-17 세면대용 수도꼭지 KR2004081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567U KR200408113Y1 (ko) 2005-11-17 2005-11-17 세면대용 수도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567U KR200408113Y1 (ko) 2005-11-17 2005-11-17 세면대용 수도꼭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113Y1 true KR200408113Y1 (ko) 2006-02-07

Family

ID=44481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567U KR200408113Y1 (ko) 2005-11-17 2005-11-17 세면대용 수도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11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6580B2 (en) Diverter spout
US8347905B1 (en) Energy saving faucet
EP2312067A1 (en) Adjustable tap for filling cisterns
KR200408113Y1 (ko) 세면대용 수도꼭지
KR200191907Y1 (ko) 수전금구용 자폐식 절수장치
JP5695264B1 (ja) シャワー設備用節水装置
KR102070294B1 (ko) 드레인 기능을 갖는 절수형 수전을 이용한 온수관 내 냉수 재활용 시스템
KR102085962B1 (ko) 드레인 기능을 갖는 절수형 수전을 이용한 온수관 내 냉수 재활용 시스템
KR102472865B1 (ko) 승하강 디버터밸브
CN211646592U (zh) 一种枢转式排水塞连动装置
KR200492788Y1 (ko) 측면 레버형 수전 카트리지
CN211395862U (zh) 枢转式排水塞连动装置
CN211646590U (zh) 一种排水塞连动装置
KR200241216Y1 (ko) 수도전의 급수된 물 역류방지장치
EP2525001B1 (en) Mixing retractable single lever tap
KR102058125B1 (ko)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 및 그에 장착되는 카트리지
KR102224605B1 (ko) 급수설비용 개폐장치
KR200259958Y1 (ko) 냉온수배출장치
KR200251220Y1 (ko) 양변기 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0357338Y1 (ko) 절수형 수도밸브
KR101051279B1 (ko) 누름 개폐식 밸브
RU2273783C1 (ru) Смеситель и кран-дозатор
KR100896076B1 (ko)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절환밸브장치
KR200356428Y1 (ko) 다단식 냉온수 분배기
KR101857349B1 (ko) 수전용 카트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