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6076B1 -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절환밸브장치 - Google Patents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절환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6076B1
KR100896076B1 KR1020070073023A KR20070073023A KR100896076B1 KR 100896076 B1 KR100896076 B1 KR 100896076B1 KR 1020070073023 A KR1020070073023 A KR 1020070073023A KR 20070073023 A KR20070073023 A KR 20070073023A KR 100896076 B1 KR100896076 B1 KR 100896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washing water
rotation
bide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043A (ko
Inventor
배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엠
Publication of KR20090003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2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 F16K3/2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with cylindrical valve members
    • F16K3/26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with cylindrical valve members with fluid passages in the valve memb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몸체의 내부에 제2안착공간과 제1실링공간을 단차지게 형성하므로 제1회전조절구를 회전시키더라도 제1오링과 제1실링부재가 제1회전조절부의 기밀을 이중으로 유지하고, 온수의 세정수를 사용하더라도 냉수유입공간을 통해 일정량의 냉수를 항상 공급하므로 화상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제2실링부재가 제2가이드리브를 따라 회전하므로 제2실링부재의 손상없이 세정수의 기밀을 유지하면서 수압을 조절하고, 제3회전조절구의 퇴수안내공간과 유로전환홈 사이에 수직으로 장착된 패킹이 수압조절부에서 공급되는 세정수의 기밀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과부하로 인한 회전축의 파손없이 세정수의 유로를 선택할 수 있는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절환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절환밸브장치{change valve apparatus of control valve in bidet}
본 발명은 비데의 콘트롤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몸체의 내부에 단차지게 제1안착공간과 제1실링공간이 형성되어 제1오링과 제1실링부재의 기밀을 각각 달리하므로 기밀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제1회전조절구에 냉수유입공간을 형성하여 고온의 온수가 인체에 직접적으로 분사되지 않도록 하며, 제2실링부재가 제2실링공간의 내주면에 일부만 밀착되면서 기밀을 유지하므로 제2회전조절구를 안정적으로 회전시켜 세정수의 수압을 조절하고, 퇴수안내공간과 유로전환홈 사이에 수직으로 패킹이 각각 장착되므로 유로 선택시 뛰어난 기밀성을 유지하여 제3회전조절구의 회전시 과부하가 걸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로를 선택할 수 있는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절환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bidet)는 사용자가 용변 후 세척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물을 분사하여 용변부위를 세척하는 기능을 가진 장치이다.
이러한 비데는 치질, 방광염, 질염, 설사로 인한 고통을 완화시키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여성의 월경과 산후 조리시에도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비데는 사용자의 항문 측으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세정노즐과 여성의 국부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비데노즐을 구비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비데에는 분사노즐과 연결되는 콘트롤밸브가 설치된다.
상기 콘트롤밸브(10)는 1구몸체(12), 2구몸체(14), 3구몸체(16) 및 공급관체(18)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세정수의 온도조절, 수압조절 및 세정수의 유로를 각각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콘트롤밸브는, 2006년 실용신안 제17881호로 출원하여 제427878호로 좌변기용 비데에 설치된 컨트롤밸브의 회전조절체 구조를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선 등록고안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용 비데에 설치되며,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는 공급관체(18)와, 상기 공급관체(18)와 연결되어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회전조절체(20)가 설치된 1구몸체(12)를 구비하는 통상의 컨트롤밸브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절체(20)는 손잡이 부분에 해당하는 회전축(22)을 구성하며, 상기 회전축(22)의 둘레면에는 상기 1구몸체(12)의 결합구(26)에 삽입되어 냉.온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실링부(24)가 사출성형되고, 상기 결합구(26)의 상부에 회전조절체(20)를 고정시키기 위한 캡(30)이 구비되어 나사로 체결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회전조절체는, 회전축을 사출 후 실링부가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으로 이중 사출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됨과 아울 러 물에 장기간 접촉될 경우 실링부가 물에 부풀어져 결합공의 외주면에 과도하게 밀착되므로 회전동작시 과부하가 걸려 회전축이 파손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실링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유로선택시 기밀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조절밸브가 냉.온수 측으로 완전히 회전되기 때문에 온수 사용시 수도전에서 공급되는 고온의 온수가 사용자의 국부 및 항문에 그대로 배출되어 화상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콘트롤밸브는, 2006년 실용신안 제17882호로 출원하여 제427879호로 좌변기용 비데에 설치된 컨트롤밸브의 수압조절장치를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선 등록고안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용 비데에 설치되며,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는 공급관체(18)와, 상기 냉.온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1구몸체(12)와, 상기 세정수의 량 및 수압을 제어하는 수압조절장치가 설치된 2구몸체(14)를 구비하는 통상의 컨트롤밸브에 있어서, 상기 수압조절장치는 손잡이부분에 해당하는 회전축(20)을 구성하며, 상기 회전축(20)에는 세정수의 량 및 수압을 제어하는 볼밸브(22)가 결합되고, 상기 볼밸브(22)에는 상기 세정수의 량 및 수압을 단계별로 조절하기 위한 직경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확장공(24)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구(14a)의 상부에 수압조절장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캡(26)이 구비되어 나사 체결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수압조절장치는, 원형으로 형성된 볼밸브가 결합구 내에서 회전하면서 확장공의 개방면적에 의해 세정수의 수압을 조절하므로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상승함과 아울러 기밀성이 떨어져 제품의 신 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콘트롤밸브는, 2006년 실용신안 제17884호로 출원하여 제427880호로 좌변기용 비데에 설치된 컨트롤밸브의 절환밸브체 구조를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선 등록고안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용 비데에 설치되며,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는 관체(18)와, 상기 냉.온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1구몸체(12)와, 상기 세정수의 량 및 수압을 제어하는 2구몸체(14)와, 상기 세정수를 특정 분사노즐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3구몸체(16)로 구성된 통상의 컨트롤밸브에 있어서, 상기 특정 분사노즐에 세정수를 선택적으로 분배하기 위한 절환밸브체(20)는 회전축(22)과 씰링부(24)로 구성되며, 상기 씰링부(24)에는 상기 3구몸체(16)의 배출구멍(16b)과 선택적으로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배출공(28)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28)의 입구에는 돌출부(26)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구(16a)의 상부에 절환밸브체(20)를 고정시키기 위한 캡(30)이 구비되어 나사로 체결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절환밸브체는, 회전축을 사출 후 실링부가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으로 이중 사출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물에 장기간 접촉될 경우 실링부가 물에 부풀어져 결합공의 외주면에 과도하게 밀착되므로 회전동작시 과부하가 걸려 회전축이 파손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실링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유로선택시 기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제1몸체의 내부를 단차지게 형성하므로 제1오링과 제1실링부재의 기밀을 각각 달리할 수 있어 기밀성을 향상시키고, 제1회전조절구의 일측에 단차지게 냉수유입공간이 형성되어 온수를 개방하더라도 항상 일정량의 냉수가 유입되기 때문에 공급관체에서 공급되는 고온의 온수가 인체의 국부에 곧바로 분사되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화상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절환밸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회전조절구의 외주면에 면접촉되게 제2실링부재가 장착되어 제2실링공간의 내주면에 일부만 밀착되면서 제2회전조절구의 회전시 발생하는 과부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제2실링부재가 제2가이드부재에 안내되어 회전하므로 제2실링부재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세정수의 수압을 조절할 수 있는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절환밸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3회전조절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퇴수안내공간과 유로전환홈 사이에 수직으로 패킹이 장착되므로 각각의 유로선택시 기밀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유로를 전환할 수 있는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절환밸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몸체의 내부에 제1안착공간과 제1실링공간을 단차지게 형성하여 제1회전조절구의 기밀을 각각 유지하며, 공급관체에서 공급되는 냉.온수를 혼합하되 온수를 개방하더라도 제1안내공간의 일측에 형성된 냉수유입공간을 통해 일정량의 냉수를 항상 공급하도록 하는 세정수조절부와;
상기 세정수조절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제2실링부재가 제2실링공간에서 일부만 면접촉되면서 회전하여 세정수의 수압을 조절하는 수압조절부와;
상기 수압조절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제3회전조절구에 수직으로 각각 장착된 패킹이 수압조절부에서 공급되는 세정수의 기밀을 유지하고, 제3회전조절구의 회전에 의해 제3유입관을 개폐하면서 유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유로선택부가 구비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제1몸체의 내부가 단차지게 제1안착공간과 제1실링공간이 형성되어 제1오링과 제1실링부재의 기밀을 각각 달리하므로 기밀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제1회전조절구의 일측에 냉수유입공간이 형성되어 온수를 개방하더라도 항상 일정량의 냉수가 유입되기 때문에 공급관체에서 공급되는 고온의 온수가 인체의 국부에 곧바로 분사되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화상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회전조절구의 외주면에 면접촉되게 제2실링부재가 장착되어 제2실링공간의 내주면에 일부만 밀착되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제2회전조절 구의 회전시 과부하 및 제2실링부재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세정수의 수압을 조절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3회전조절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퇴수안내공간과 유로전환홈 사이에 수직으로 패킹이 장착되므로 각각의 유로선택시 기밀성을 유지하기 용이하여 안정적으로 유로를 전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제1몸체(110)의 내부에 제1안착공간(111)과 제1실링공간(112)을 단차지게 형성하여 제1회전조절구(120)의 기밀을 각각 유지하며, 공급관체(18)에서 공급되는 냉.온수를 혼합하되 온수를 개방하더라도 제1안내공간(121)의 일측에 형성된 냉수유입공간(122)을 통해 일정량의 냉수를 항상 공급하도록 하는 세정수조절부(100)가 구비되고, 상기 세정수조절부(100)의 일측에 결합되며 제2실링부재(223)가 제2실링공간(212)에서 일부만 면접촉되면서 회전하여 세정수의 수압을 조절하는 수압조절부(200)가 구비되며, 상기 수압조절부(200)의 일측에 결합되며 제3회전조절구(320)에 수직으로 각각 장착된 패킹이 수압조절부(200)에서 공급되는 세정수의 기밀을 유지하고, 제3회전조절구(320)의 회전에 의해 제3유입관(313)을 개폐하면서 유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유로선택부(300)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세정수조절부(100)는, 상기 공급관체(18)를 통해 제1실링공간(112)으로 공급되는 세정수를 배출하도록 제1몸체(110)의 후방에 제1배출관(113)이 구비되고, 상기 제1안착공간(111)과 제1실링공간(112)에 결합되어 공급관체(18)에서 공급되는 냉.온수를 수압조절부(200)로 안내하도록 일측에 제1안내공간(121)이 형성되되 상기 제1안내공간(121)의 일측에 온수가 분사노즐(60) 측으로 직접적으로 배출되지 않고 냉수가 항상 유입되도록 단차지게 냉수유입공간(122)이 형성된 제1회전조절구(120)가 구비되며, 상기 제1안내공간(121)의 타측에 수직으로 장착홈(123)이 구비되고, 상기 장착홈(123)에 장착되어 제1실링공간(112)의 내주면에 일부만 밀착되도록 제1실링부재(124)가 구비되며, 상기 제1회전조절구(120)의 상부에 끼워져 제1안착공간(111)에 밀착되는 제1오링(125)이 구비되고, 상기 제1회전조절구(120)의 상부에 연장되어 유로를 전환시키도록 회전시키는 회전축(130)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130)에 끼워지면서 제1몸체(110)의 상부에 나사체결되는 캡(140)이 구비된다.
상기 수압조절부(200)는, 상기 세정수조절부(100)에서 공급되는 세정수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내측에 제2안착공간(211)과 제2실링공간(212)을 단차지게 형성하며 외측 전.후방에 세정수를 유입 및 배출하도록 제2유입관(213) 및 제2배출관(214)이 형성되는 제2몸체(210)가 구비되고, 상기 제2안착공간(211)과 제2실링공간(212)에 결합되어 세정수조절부(100)에서 공급되는 세정수의 수압을 조절하도록 일측에 제2안내공간(221)이 형성된 제2회전조절구(220)가 구비되며, 상기 제2안내공간(221)의 타측에 수직으로 제2장착홈(222)이 구비되고, 상기 제2장착홈(222)에 장착되어 제2실링공간(212)의 내주면에 일부만 밀착되는 제2실링부재(223)가 구비 되며, 상기 제2회전조절구(220)의 상부에 끼워져 제2안착공간(211)에 밀착되는 제2오링(224)이 구비되고, 상기 제2회전조절구(220)의 상부에 연장되어 세정수의 수압을 조절하도록 회전시키는 회전축(240)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240)에 끼워지면서 제2몸체(210)의 상부에 나사체결되는 캡(240)이 구비된다.
상기 유로선택부(300)는, 상기 수압조절부(200)에서 공급되는 세정수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내측에 제3안착공간(311)과 제3실링공간(312)을 단차지게 형성하며 외측 전방에 세정수의 유입을 안내하도록 제3유입관(313)이 형성된 제3몸체(310)가 구비되고, 상기 제3몸체(310)의 일측에 세정수를 분사노즐(60) 및 비데 내부로 퇴수되도록 경사지게 클램프결합홈(314a)(315a)(316a)이 각각 형성된 비데측, 세정측배출관(314)(315) 및 퇴수배출관(316)이 구비되며, 상기 제3안착공간(311)과 제3실링공간(312)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3회전조절구(320)가 구비되고, 상기 제3회전조절구(320)의 외주면에 수압조절부(200)에서 공급되는 세정수를 퇴수시키는 수직장방향의 퇴수안내공간(321)이 구비되며, 상기 퇴수안내공간(321)의 타측 상부에 비데노즐 또는 세정노즐 측으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유로전환홈(322)이 구비되고, 상기 퇴수안내공간(321)과 유로전환홈(322)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수직홈(323)이 구비되며, 상기 수직홈(323)에 결합되어 각각 유로간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패킹(324)이 구비되고, 상기 제3회전조절구(325)의 상부에 끼워져 제3안착공간(311)에 밀착되는 제3오링(325)이 구비되며, 상기 제3회전조절구(320)의 상부에 연장되어 유로를 전환시키도록 회전시키는 회전축(330)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330)에 끼워지면서 제3몸체(310)의 상부에 나사체결되는 캡(340)이 구비된다.
상기 공급관체(18)와 제1배출관(113)의 내측에 제1실링공간(112)의 내주면과 동일한 직경으로 각각 형성되어 제1실링공간(112)에서 회전하는 제1실링부재(124)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제1가이드리브(114)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2유입관(213) 및 제2배출관(214)의 내측에 제2실링공간(212)의 내주면과 동일한 직경으로 각각 형성되어 제2실링공간(212)에서 회전하는 제2실링부재(223)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제2가이드리브(21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3유입관(313)과 비데측,세정측배출관(314)(315) 및 퇴수배출관(316)의 내측에 제3실링공간(312)의 내주면과 동일한 직경으로 각각 형성되어 제3실링공간(312)에서 회전하는 패킹(324)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제3가이드리브(317)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세정수조절부(100)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콘트롤밸브 상판(40)의 상면에 일측이 개방되어 회전공간(411)이 형성된 회전제어리브(410)가 돌출되는 회전제어부(400)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회전공간(411)에 안착되어 세정수조절부(100)의 회전반경을 조절하도록 내측에 회전제어돌기(510)가 형성되어 세정수조절부(100)와 결합되는 조절레버(500)가 더 포함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전을 통해 공급관체(18)로 냉.온수가 각각 공급되고, 상기 공급관체(18)로 공급된 냉.온수의 세정수는 냉.온수유입공(18a)(18b)을 통해 제1실링공간(112)으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제1실링공간(112)으로 유입되는 세정수 중에 냉수를 사용할 경우, 콘트롤밸브(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판(4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조절레버(50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1회전조절구(120)가 회전하면서 제1오링(125)과 제1실링부재(124)가 제1안착공간(111)과 제1실링공간(112)의 내주면에 밀착된 채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급관체(18)와 제1배출관(113)의 내측으로 형성된 제1가이드리브(114)는 제1회전조절구(120)의 회전시 제1실링부재(124)가 공급관체(18)와 제1배출관(113) 안으로 볼록하게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회전된 제1회전조절구(120)의 제1안내공간(121)은 냉수유입공(18a)을 개방하여 제1배출관(113)을 통해 수압조절부(200) 측으로 냉수를 공급하게 됨과 동시에 제1회전조절구(120)에 끼워진 제1실링부재(124)는 온수유입공(14b)을 통해 유입되는 온수를 폐쇄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레버(500)를 타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1회전조절구(120)의 제1안내공간(121)은 온수유입공(18b)을 개방하여 수압조절부(200) 측으로 온수를 공급하게 됨과 동시에 제1실링부재(124)가 제1실링공간(112)에 일부만 밀착되면서 냉수가 유입되는 냉수유입공(18a)을 폐쇄하되 제1안내공간(121)의 일측에 단차지게 형성된 냉수유입공간(122)은 냉수유입공(18a)을 항상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회전조절구(120)는 조절레버(500)의 회전에 따라 회전제어부(400)의 회전공간(411) 내에서만 회전하면서 고온의 온수를 강제적으로 일정량 이하로 유입되게 함과 동시에 냉수가 유입되는 냉수유입공간(122)을 확보하여 사용자의 화상을 방지하는 2중의 안전장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조절레버(500)를 회전시 회전제어돌기(510)가 회전제어리브(410)의 내측 단부에 걸리게 되므로 과도한 힘으로 인한 회전축(130)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냉수유입공(18a)을 통해 공급되는 냉수는 냉수유입공간(122)을 통해 일정량 유입되어 온수유입공(18b)을 통해 유입되는 고온의 온수와 적절한 온도로 혼합되어 수압조절부(200) 측으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세정수조절부(100)에서 냉.온수가 혼합된 세정수는 제2유입관(213)을 따라 수압조절부(200)로 공급된다.
이때,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회전조절구(220)에 수직으로 장착된 제2실링부재(223)는 제2유입관(213)을 통해 유입되는 온수를 폐쇄한 상태가 되어 세정수가 제2실링공간(221)으로 유입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제2실링부재(223)가 제2유입관(213)을 폐쇄한 상태에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회전축(230)을 회전시키게 되면 제2회전조절구(220)의 상부에 형성된 제2오링(224)과 제2회전조절구(220)의 외주면 일부에 형성되어 제2유입관(213)을 폐쇄하고 있던 제2실링부재(223)가 제2안착공간(211)과 제2실링공간(21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한 채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유입관(213)과 제2배출관(214)의 내측으로 형성된 제2가이드리브(215)는 제2회전조절구(220)의 회전시 제2실링부재(223)가 제2유입관(213)과 제2배출관(214) 안으로 볼록하게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2회전조절구(220)가 회전하게 되면 제2안내공간(221)이 제2유입관(213)의 내부를 개방하게 되고, 제2실링공간(212) 측으로 일정한 압력이 가해져 있던 세정수는 개방된 제2안내공간(221)을 통해 제2배출관(214)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세정수는 유로선택부(300)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제2안내공간(221)은 제2유입관(213) 내부의 개방면적이 많고 적음에 따라 세정수의 수압 또한 그에 비례하도록 조절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압조절부(200)에서 수압이 조절된 세정수는 제3몸체(310)의 제3실링공간(312) 측으로 공급된다.
이때, 제3회전조절구(320)에 수직으로 장착된 패킹(324)은 수압조절부(200)에서 유입되는 세정수를 폐쇄한 상태가 되어 세정수가 제3실링공간(312)으로 유입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패킹(324)이 세정수의 유입을 폐쇄한 상태에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수가 유입되는 공간과 퇴수안내공간(321)이 일치되도록 제3회전조절구(320)를 회전시키게 되면 세정수는 수직으로 형성된 퇴수안내공간(321)을 따라 퇴수배출관(316)에 클램프(C)로 고정된 호스(H)를 통해 배출되어 변기 내부로 퇴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패킹은 제3유입관(313)의 내측으로 형성된 제3가이드부재(317)에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제3유입관(313) 안으로 볼록하게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33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3회전조절구(320)가 회전함과 동시에 제3오링(325)과 패킹(324)이 제3안착공간(311)과 제3실링공간(312) 및 제3가이드부재(317)에 밀착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 형성된 유로전환홈(322)이 세정수가 유입되는 제3유입관(313) 내부를 개방하게 됨과 동시에 분사노즐(60)에 형성된 비데노즐로 배출되는 비데측 배출관(314)을 개방하게 되고, 세정수는 비데측 배출관(314)에 끼워져 클램프(C)로 고정된 호스(H)를 통해 비데노즐로 배출되어 분사되는 것이다.
또한,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회전조절구(320)를 타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3회전조절구(3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유로전환홈(322)이 세정수가 유입되는 제3유입관(313) 내부를 개방함과 동시에 세정노즐로 배출되는 세정측 배출관(315)을 개방하게 되며, 세정수는 세정측 배출관(315)에 끼워져 클램프(C)로 고정된 호스(H)를 통해 세정노즐로 배출되어 분사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발명의 분리사시도로서,
a는 회전조절체의 분리사시도이고,
b는 수압조절장치의 분리사시도이며,
c는 절환밸브체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5는 세정수조절부의 평단면도로서,
a는 냉수가 공급되는 상태도이고,
b는 온수가 공급되는 상태도이다.
도 6은 수압조절부의 평단면도로서,
a는 패킹이 제2유입관을 폐쇄하여 세정수의 유입이 차단된 상태도이고,
b는 회전조절구를 회전시키면서 세정수의 수압을 조절하는 상태도이다.
도 7은 유로선택부의 평단면도로서,
a는 패킹이 세정수가 유입되는 제3유입관을 폐쇄하여 세정수의 유입을 차단한 상태도이고,
b는 회전조절구의 회전에 의해 세정수가 유입되는 제3유입관을 개방하 여 세정수를 퇴수하는 상태도이며,
c는 회전조절구의 회전에 의해 세정수가 유입되는 제3유입관을 개방하여 비데노즐 측으로 세정수를 배출하는 상태도이고,
d는 회전조절구의 회전에 의해 세정수가 유입되는 제3유입관을 개방하여 세정노즐 측으로 세정수를 배출하는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이 비데의 콘트롤밸브에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세정수조절부 110: 제1몸체
111: 제1안착공간 112: 제1실링공간
113: 제1배출관 114: 제1가이드리브
120: 제1회전조절구 121: 제1안내공간
122: 냉수유입공간 123: 제1장착홈
124: 제1실링부재 125: 제1오링
130: 회전축 140: 캡
200: 수압조절부 210: 제2몸체
211: 제2안착공간 212: 제2실링공간
213: 제2유입관 214: 제2배출관
215: 제2가이드리브 220: 제2회전조절구
221: 제2안내공간 222: 제2장착홈
223: 제2실링부재 224:제2오링
230: 회전축 240: 캡
300: 유로선택부 310: 제3몸체
311: 제3안착공간 312: 제3실링공간
313: 제3유입관 314: 비데측배출관
315: 세정측배출관 316: 퇴수배출관
317: 제3가이드리브 320: 제3회전조절구
321: 퇴수안내공간 322: 유로전환홈
323: 수직홈 324: 패킹
325: 제3오링 330: 회전축
340: 캡 400: 회전제어부
410: 회전제어리브 411: 회전공간
500: 조절레버 510:회전제어돌기

Claims (9)

  1. 제1몸체의 내부에 제1안착공간과 제1실링공간을 단차지게 형성하여 제1회전조절구의 기밀을 각각 유지하며, 공급관체에서 공급되는 냉.온수를 혼합하되 온수를 개방하더라도 제1안내공간의 일측에 형성된 냉수유입공간을 통해 일정량의 냉수를 항상 공급하도록 하는 세정수조절부와;
    상기 세정수조절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제2실링부재가 제2실링공간에서 일부만 면접촉되면서 회전하여 세정수의 수압을 조절하는 수압조절부와;
    상기 수압조절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제3회전조절구에 수직으로 각각 장착된 패킹이 수압조절부에서 공급되는 세정수의 기밀을 유지하고, 제3회전조절구의 회전에 의해 제3유입관을 개폐하면서 유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유로선택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절환밸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조절부는,
    상기 공급관체를 통해 제1실링공간으로 공급되는 세정수를 배출하도록 제1몸체의 후방에 제1배출관이 구비되고, 상기 제1안착공간과 제1실링공간에 결합되어 공급관체에서 공급되는 냉.온수를 수압조절부로 안내하도록 일측에 제1안내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제1안내공간의 일측에 온수가 분사노즐 측으로 직접적으로 배출되지 않고 냉수가 항상 유입되도록 단차지게 냉수유입공간이 형성된 제1회전조절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1안내공간의 타측에 수직으로 장착홈이 구비되고,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어 제1실링공간의 내주면에 일부만 밀착되도록 제1실링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1회전조절구의 상부에 끼워져 제1안착공간에 밀착되는 제1오링이 구비되고, 상기 제1회전조절구의 상부에 연장되어 유로를 전환시키도록 회전시키는 회전축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에 끼워지면서 제1몸체의 상부에 나사체결되는 캡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절환밸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조절부는,
    상기 세정수조절부에서 공급되는 세정수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내측에 제2안착공간과 제2실링공간을 단차지게 형성하며 외측 전.후방에 세정수를 유입 및 배출하도록 제2유입관 및 제2배출관이 형성되는 제2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제2안착공간과 제2실링공간에 결합되어 세정수조절부에서 공급되는 세정수의 수압을 조절하도록 일측에 제2안내공간이 형성된 제2회전조절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2안내공간의 타측에 수직으로 제2장착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2장착홈에 장착되어 제2실링공간의 내주면에 일부만 밀착되는 제2실링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2회전조절구의 상부에 끼워져 제2안착공간에 밀착되는 제2오링이 구비되고, 상기 제2회전조절구의 상부에 연장되어 세정수의 수압을 조절하도록 회전시키는 회전축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에 끼워지면서 제2몸체의 상부에 나사체결되는 캡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절환밸브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선택부는,
    상기 수압조절부에서 공급되는 세정수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내측에 제3안착공간과 제3실링공간을 단차지게 형성하며 외측 전방에 세정수의 유입을 안내하도록 제3유입관이 형성된 제3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제3몸체의 일측에 세정수를 분사노즐 및 비데 내부로 퇴수되도록 경사지게 클램프결합홈이 각각 형성된 비데측배출관, 세정측배출관 및 퇴수배출관이 구비되며, 상기 제3안착공간과 제3실링공간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3회전조절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3회전조절구의 외주면에 수압조절부에서 공급되는 세정수를 퇴수시키는 수직장방향의 퇴수안내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퇴수안내공간의 타측 상부에 비데노즐 또는 세정노즐 측으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유로전환홈이 구비되고, 상기 퇴수안내공간과 유로전환홈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수직홈이 구비되며, 상기 수직홈에 결합되어 각각 유로간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패킹이 구비되고, 상기 제3회전조절구의 상부에 끼워져 제3안착공간에 밀착되는 제3오링이 구비되며, 상기 제3회전조절구의 상부에 연장되어 유로를 전환시키도록 회전시키는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에 끼워지면서 제3몸체의 상부에 나사체결되는 캡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절환밸브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체와 제1배출관의 내측에 제1실링공간의 내주면과 동일한 직경으로 각각 형성되어 제1실링공간에서 회전하는 제1실링부재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제1가이드리브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절환밸브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입관 및 제2배출관의 내측에 제2실링공간의 내주면과 동일한 직경으로 각각 형성되어 제2실링공간에서 회전하는 제2실링부재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제2가이드리브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콘트롤벨브의 전환밸브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유입관과 비데측,세정측배출관 및 퇴수배출관의 내측에 제3실링공간의 내주면과 동일한 직경으로 각각 형성되어 제3실링공간에서 회전하는 패킹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제3가이드리브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절환밸브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조절부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콘트롤밸브 상판의 상면에 일측이 개방되어 회전공간이 형성된 회전제어리브가 돌출되는 회전제어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절환밸브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공간에 안착되어 세정수조절부의 회전반경을 조절하도록 내측에 회전제어돌기가 형성되어 세정수조절부와 결합되는 조절레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절환밸브장치.
KR1020070073023A 2007-06-28 2007-07-20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절환밸브장치 KR1008960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607 2007-06-28
KR20070064607 2007-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043A KR20090003043A (ko) 2009-01-09
KR100896076B1 true KR100896076B1 (ko) 2009-05-07

Family

ID=40485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023A KR100896076B1 (ko) 2007-06-28 2007-07-20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절환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60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954B1 (ko) * 2015-05-07 2017-01-25 전길용 비데장치용 온냉수 선택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1721A (ja) * 1994-06-13 1995-12-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流体制御弁および水流制御装置
KR0114284Y1 (ko) * 1995-04-07 1998-04-17 최원식 자체압력 온수세정기의 밸브장치
KR200427880Y1 (ko) 2006-07-03 2006-10-02 정수진 좌변기용 비데에 설치된 컨트롤 밸브의 절환밸브체 구조
KR200427879Y1 (ko) 2006-07-03 2006-10-02 정수진 좌변기용 비데에 설치된 컨트롤 밸브의 수압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1721A (ja) * 1994-06-13 1995-12-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流体制御弁および水流制御装置
KR0114284Y1 (ko) * 1995-04-07 1998-04-17 최원식 자체압력 온수세정기의 밸브장치
KR200427880Y1 (ko) 2006-07-03 2006-10-02 정수진 좌변기용 비데에 설치된 컨트롤 밸브의 절환밸브체 구조
KR200427879Y1 (ko) 2006-07-03 2006-10-02 정수진 좌변기용 비데에 설치된 컨트롤 밸브의 수압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043A (ko) 200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7330Y1 (ko) 하나의 전환밸브로 토수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3방향 토수구를 갖는 욕실용 수전금구
KR20140024249A (ko) 수도꼭지 장착형 눈세척 장치
KR100896076B1 (ko)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절환밸브장치
KR20110136087A (ko) 급수전
KR200444870Y1 (ko)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유로선택 조절장치
JP6497500B2 (ja) 湯水混合水栓装置
JP2010029573A (ja) シャワー装置
KR102371303B1 (ko) 분수형 토수구를 갖춘 수전금구
JP4657502B2 (ja) シングルレバー式混合水栓
KR200444965Y1 (ko)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수압조절장치
KR200443961Y1 (ko)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세정수 조절장치
JP2007032798A (ja) プッシュ式水栓
JP4260943B2 (ja) 止水機能付き吐水ヘッド
KR102305480B1 (ko) 다용도 수도전
JP4415336B2 (ja) 吐水具
KR200427880Y1 (ko) 좌변기용 비데에 설치된 컨트롤 밸브의 절환밸브체 구조
JPH07150607A (ja) 衛生洗浄装置
JP2000096643A (ja) 止水機能付シャワーヘッドを備えたシングルレバー式混合水栓
JP4527318B2 (ja) 水栓設備
JP2016089428A (ja) 湯水混合水栓装置
KR20100045810A (ko)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
KR200354280Y1 (ko) 원터치식 급,단수 기능을 가지는 수도콕
KR200343395Y1 (ko) 수온조절 기능을 갖는 샤워헤드
KR200357338Y1 (ko) 절수형 수도밸브
JP2713423B2 (ja) 洗髪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