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5810A -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 - Google Patents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5810A
KR20100045810A KR1020080104915A KR20080104915A KR20100045810A KR 20100045810 A KR20100045810 A KR 20100045810A KR 1020080104915 A KR1020080104915 A KR 1020080104915A KR 20080104915 A KR20080104915 A KR 20080104915A KR 20100045810 A KR20100045810 A KR 20100045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water
shower
cold water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학수
Original Assignee
박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학수 filed Critical 박학수
Priority to KR1020080104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5810A/ko
Publication of KR20100045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8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 E03C1/0405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enabling multiple spray patter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283Fixed sh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에 관한 것으로서; 온수와 냉수가 유입되는 온수유입구 및 냉수유입구와 온수와 냉수가 혼합된 혼합수가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메인출수구와 자바라식 샤워출수구 및 고정식 샤워출수구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냉수 또는 온수를 혼합하여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핸들과; 상기 몸체의 일측 내부에 내장되되 상기 제1핸들의 조작에 따라 냉수 또는 온수를 혼합시켜 배출하는 제1카트리지와; 상기 몸체의 중앙 상측에 구비되어 혼합수의 출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제2핸들과; 상기 몸체의 중앙 내부에 내장되되 상기 제2핸들의 조작에 따라 혼합수를 상기 메인출수구와 자바라식 샤워출수구와 고정식 샤워출수구 중에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제2카트리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수전 금구에 혼합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메인출수구와 자바라식 샤워출수구 및 고정식 샤워출수구가 함께 구비되어 사용자들이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부합되게 출수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수전 금구

Description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 { faucet having three way outlets }
본 발명은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온수나 냉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하거나 또는 혼합하여 배출되는 출수구를 3개 구비하여 원하는 용도에 알맞게 선택적으로 출수를 전환시켜 사용할 수 있는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전 금구는 씽크대나 욕조에 설치되어 온수나 냉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하거나 또는 혼합하여 배출한다.
이와 같은 수전 금구는 몸체에 토출구만 구비되어 온수와 냉수를 토출구로만 배출시키는 구조와, 몸체에 토출구 이외에 샤워기가 호스로 연결되는 별도의 토출부가 형성되는 구조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된다.
이때 상기 수전 금구는 통상적으로 내부에 온수와 냉수가 이동할 수있는 온수로 및 냉수로가 몸체에 형성되며, 몸체의 일측에 냉온수의 배출량 및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핸들과, 상기 몸체의 내부에 내장되되 상기 핸들의 조작에 따라 냉온 수를 혼합시켜 배출하는 카트리지와, 상기 핸들의 조작에 따라 냉온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출수구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최근의 수전 금구는 몸체의 전방 하부에 메인출수구를 구비하고, 몸체의 일측 또는 후측에 자바라식의 샤워기가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도 제공됨으로 인해 용도에 따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수전 금구 역시 단순히 2방향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만으로 이루어져 이 역시 용도가 한정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한편, 3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수전금구는 종래에 제시된 바 없는데, 이는 몸체의 구조가 복잡하여 설계가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3개 방향으로 혼합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3개의 출수구를 갖추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적정한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온수와 냉수가 유입되는 온수유입구 및 냉수유입구와 온수와 냉수가 혼합된 혼합수가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메인출수구와 자바라식 샤워출수구 및 고정식 샤워출수구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냉수 또는 온수를 혼합하여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핸들과; 상기 몸체의 일측 내부에 내장되되 상기 제1핸들의 조작에 따라 냉수 또는 온수를 혼합시켜 배출하는 제1카트리지와; 상기 몸체의 중앙 상측에 구비되어 혼합수의 출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제2핸들과; 상기 몸체의 중앙 내부에 내장되되 상기 제2핸들의 조작에 따라 혼합수를 상기 메인출수구와 자바라식 샤워출수구와 고정식 샤워출수구 중에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제2카트리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몸체는 일측에 냉수와 온수가 머무르며 상기 제1카트리지가 안착 되는 제1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중앙에는 상기 제1공간부에서 혼합된 혼합수가 유입되며 상기 제2카트리지가 안착되는 제2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온수유입구 및 냉수유입구는 상기 몸체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공간부에는 온수유입구와 냉수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온수 및 냉수가 몸체 내부의 온수유로 및 냉수유로를 거쳐 유입되는 온수유입공 및 냉수유입공과, 상기 제1카트리지에 의해 혼합된 혼합수를 상기 제2공간부로 안내하는 혼합수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공간부에는 제1 내지 제3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배출공은 상기 메인출수구로 혼합수를 안내하는 메인배출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제2배출공은 자바라식 샤워출수구로 혼합수를 안내하는 제1샤워배출유로와 연통되고, 제3배출공은 고정식 샤워출수구로 혼합수를 안내하는 제2샤워배출유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자바라식 샤워출수구 및 고정식 샤워출수구에는 자바라식 샤워기와 고정식 샤워기의 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수전 금구에 혼합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메인출수구와 자바라식 샤워출수구 및 고정식 샤워출수구가 함께 구비되어 사용자들이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부합되게 출수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C'-'C'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의 출수부위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D'-'D'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6의 'E'-'E'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6의 'F'-'F'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에 자바라식 샤워기와 고정식 샤워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1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100)는 온수와 냉수가 각각 유입되는 온수유입구(111) 및 냉수유입구(112)와 메인출수구(113)와 자바라식 샤워출수구(114) 및 고정식 샤워출수구(115)가 형성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냉수 또는 온수를 혼합하여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핸들(120)과, 상기 몸체(110)의 일측 내부에 내장되되 상기 제1핸들(120)의 조작에 따라 냉수 또는 온수를 혼합시켜 배출하는 제1카트리지(130)와, 상기 몸체(110)의 중앙 상측에 구비되어 혼합수의 출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제2핸들(140)과, 상기 몸체(110)의 중앙 내부에 내장되되 상기 제2핸들(140)의 조작에 따라 혼합수를 상기 메인출수구(113)와 자바라식 샤워출수구(114) 또는 고정식 샤워출수구(115) 중에 어느 하나의 출수구로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제2카트리지(150)로 이루어진다.
이하,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몸체(110)는 일측에 냉수와 온수가 머무르며 상기 제1카트리지(130)가 안착되는 제1공간부(116)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의 중앙에는 상기 제1공간부(116)에서 혼합된 혼합수가 유입되며 상기 제2카트리지(150)가 안착되는 제2공간부(117)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몸체(110)는 후측에 온수유입구(111) 및 냉수유입구(112)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공간부(116)의 저면에는 온수유입공(116a) 및 냉수유입공(116b)이 형성되어, 몸체(110) 내부의 온수유로(110a) 및 냉수유로(110b)와 각각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온수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온수는 온수유로(110a)와 온수유입공(110a)을 통해 제1공간부(116)로 유입되고, 상기 냉수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되는 냉수는 냉수유로(110b)와 냉수유입공(116b)을 통해 제1공간부(116)로 유입되어 냉/온수의 혼합 및 배출을 조절하는 공지(公知)의 제1카트리지(130)로 유입되어 혼합수 배출구(110c)로 배출시켜 주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카트리지(130)의 상부에는 제1고정부재(121)가 체결되어 상기 제1카트리지(130)의 이탈을 방지하고 밀폐시킴은 당연하며, 상기 제1고정부재(121) 의 일측에는 제1핸들(120)이 결합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121)를 상/하/좌/우로 회동시키면서 온수 및 냉수의 혼합비에 따른 온도 조절 및 배출량을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2공간부(117)에는 공지(公知)의 제2카트리지(150)가 안착되는데 상기 제2공간부(117)는 상기 혼합수 배출구(110c)와 연통되어 혼합수가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2공간부(117) 저면에는 제1 내지 제3배출공(117a,117b,117c)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배출공(117a)은 메인출수구(113)로 혼합수를 안내하는 메인배출유로(113a)와 연통되고, 제2배출공(117b)은 자바라식 샤워출수구(114)로 혼합수를 안내하는 제1샤워배출유로(114a)와 연통되고, 제3배출공(117c)은 고정식 샤워출수구(115)로 혼합수를 안내하는 제2샤워배출유로(115a)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2카트리지(150)의 상부에는 제2고정부재(141)가 체결되어 상기 제2카트리지(140)의 이탈을 방지하고 밀폐시킴은 당연하며, 상기 제2고정부재(141)의 중앙으로는 제2핸들(140)이 결합되어 상기 제2고정부재(141)를 좌/우로 회동시키면서 온수 및 냉수의 혼합수의 배출 방향을 임의로 조절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메인출수구(113)는 상기 몸체(110)의 전방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자바라식 샤워출수구(114)는 상기 몸체(110)의 후측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식 샤워출수구(115)는 상기 몸체(110)의 후측 상부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자바라식 샤워출수구(114) 및 고정식 샤워출수구(115)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바라식 샤워기(200)와 고정식 샤워기(210)의 단부가 각각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삼방향 배출구를 갖춘 수전 금구(100)는 세면대 또는 샤워부스에 설치가 될 수 있는 구조로서 세수를 하는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메인출수구(113)로 혼합수가 배출되도록 하고, 세면대 또는 샤워부스 내를 청소하거나 또는 움직이면서 샤워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동이 편리한 자바라식 샤워기(200)를 사용할 수 있으며, 비누칠 등을 하면서 샤워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바라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식 샤워기(21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식 샤워출수구(210)는 체결너트(211)를 이용하여 고정되고,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아나하였지만 상기 자바라식 샤워출수구(200)도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바라식 샤워기(200)와 고정식 샤워기(210)의 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온수유입구(111)와 냉수유입구(112)에도 별도의 체결너트(미도시됨)를 이용하여 온수관과 냉수관이 연결됨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제1핸들(120)의 조작에 따라 메인출수구(113), 자바라식 샤워기(200), 고정식 샤워기(210) 중에 어느 하나로 냉수 및 온수가 혼합된 상태의 혼합수가 선택적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몸체(110)는 온수와 냉수 및 혼합수 등이 각각의 유로(流路)를 통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제조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하여 제조하고 각각의 이음부를 패킹으로 처리하여 누수를 방지하며 볼트 등으로 조립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온수관과 냉수관이 연결되어 있는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100)는 몸체(110)의 일측에 돌출되어 있는 제1핸들(120)을 조작함에 따라 온수유입구(111)와 냉수유입구(112)를 통해 온수 및 냉수가 유입된다.
이때, 상기 온수유입구(111)와 냉수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되는 온수와 냉수는 온수유로(110a)와 냉수유로(110b)를 따라 제1공간부(116)의 저면에 형성되는 온수유입공(116a) 및 냉수유입공(116b)을 통해 제1카트리지(130)로 온수와 냉수의 유입량이 조절된다.
이와 같이 온수와 냉수가 제1카트리지(130)의 내부로 유입되어 혼합된 상태의 혼합수는 혼합수 배출구(110c)로 배출되어 몸체(110)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2공간부(117)의 제2카트리지(150)로 유입된다.
한편, 제2카트리지(150)로 유입되는 혼합수는 제2핸들(140)을 좌우로 회동시킴에 따라 상기 제2공간부(117) 저면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배출공(117a,117b,117c) 중에 어느 하나로 배출된다.
이때, 제2핸들(140)이 중앙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1배출공(117a)이 개방되어 혼합수가 메인배출유로(113a)를 통해 메인출수구(113)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제2핸들(140)을 정면에서 좌측으로 일정각도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제2배출공(117b)이 개방되어 혼합수가 제1샤워배출유로(114a)를 통해 자바라식 샤워출수구(114)와 연결되는 자바라식 샤워기(200)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2핸들(140)을 정면에서 우측으로 일정각도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제3배출공(117c)이 개방되어 혼합수가 제2샤워배출유로(115a)를 통해 고정식 샤워출수구(115)와 연결되는 고정식 샤워기(210)로 배출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를 도시한 저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B'-'B'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5의 'C'-'C'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의 출수부위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D'-'D'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6의 'E'-'E'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6의 'F'-'F'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에 자바라식 샤워기와 고정식 샤워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수전 금구 110: 몸체
111: 온수유입구 112: 냉수유입구
113: 메인출수구 114: 자바라식 샤워출수구
115: 고정식 샤워출수구 116: 제1공간부
117: 제2공간부 120: 제1핸들
130: 제1카트리지 140: 제2핸들
150: 제2카트리지 200: 자바라식 샤워기
210: 고정식 샤워기

Claims (3)

  1. 온수와 냉수가 유입되는 온수유입구(111) 및 냉수유입구(112)와 온수와 냉수가 혼합된 혼합수가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메인출수구(113)와 자바라식 샤워출수구(114) 및 고정식 샤워출수구(115)가 형성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냉수 또는 온수를 혼합하여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핸들(120)과; 상기 몸체(110)의 일측 내부에 내장되되 상기 제1핸들(120)의 조작에 따라 냉수 또는 온수를 혼합시켜 배출하는 제1카트리지(130)와; 상기 몸체(110)의 중앙 상측에 구비되어 혼합수의 출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제2핸들(140)과; 상기 몸체(110)의 중앙 내부에 내장되되 상기 제2핸들(140)의 조작에 따라 혼합수를 상기 메인출수구(113)와 자바라식 샤워출수구(114)와 고정식 샤워출수구(115) 중에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제2카트리지(1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는 일측에 냉수와 온수가 머무르며 상기 제1카트리지(130)가 안착되는 제1공간부(116)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의 중앙에는 상기 제1공간부(116)에서 혼합된 혼합수가 유입되며 상기 제2카트리지(150)가 안착되는 제2공간부(117)가 형성되고, 상기 온수유입구(111) 및 냉수유입구(112)는 상기 몸체(110)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공간부(116)에는 온수유입구(111)와 냉수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되는 온수 및 냉수가 몸체(110) 내부의 온수유로(110a) 및 냉수유로(110b)를 거쳐 유입되는 온수유입공(116a) 및 냉수유입공(116b)과, 상기 제1카트리지에 의해 혼합된 혼합수를 상기 제2공간부(117)로 안내하는 혼합수 배출구(110c)가 형성되며;
    상기 제2공간부(117)에는 제1 내지 제3배출공(117a,117b,117c)이 형성되어, 상기 제1배출공(117a)은 상기 메인출수구(113)로 혼합수를 안내하는 메인배출유로(113a)와 연통되고, 상기 제2배출공(117b)은 자바라식 샤워출수구(114)로 혼합수를 안내하는 제1샤워배출유로(114a)와 연통되고, 제3배출공(117c)은 고정식 샤워출수구(115)로 혼합수를 안내하는 제2샤워배출유로(115a)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바라식 샤워출수구(114) 및 고정식 샤워출수구(115)에는 자바라식 샤워기(200)와 고정식 샤워기(210)의 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
KR1020080104915A 2008-10-24 2008-10-24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 KR201000458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915A KR20100045810A (ko) 2008-10-24 2008-10-24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915A KR20100045810A (ko) 2008-10-24 2008-10-24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810A true KR20100045810A (ko) 2010-05-04

Family

ID=42273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915A KR20100045810A (ko) 2008-10-24 2008-10-24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58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16421A (zh) * 2012-11-27 2013-04-03 广州海鸥卫浴用品股份有限公司 一种射流器及具有该射流器的热水器
KR200467330Y1 (ko) * 2011-09-05 2013-06-07 김종필 하나의 전환밸브로 토수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3방향 토수구를 갖는 욕실용 수전금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330Y1 (ko) * 2011-09-05 2013-06-07 김종필 하나의 전환밸브로 토수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3방향 토수구를 갖는 욕실용 수전금구
CN103016421A (zh) * 2012-11-27 2013-04-03 广州海鸥卫浴用品股份有限公司 一种射流器及具有该射流器的热水器
CN103016421B (zh) * 2012-11-27 2015-07-08 广州海鸥卫浴用品股份有限公司 一种射流器及具有该射流器的热水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7330Y1 (ko) 하나의 전환밸브로 토수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3방향 토수구를 갖는 욕실용 수전금구
RU2597720C2 (ru) Смеситель для ванны с трехходовым переключением
KR20100045810A (ko)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
JP4708974B2 (ja) 自動水栓
JP6827643B2 (ja) 水栓装置
KR20060063841A (ko) 핸들 겸용 토수구 세면기 수전
KR20180003628U (ko) 선반형 샤워수전의 일체형 개폐 및 수로구조
KR20120023506A (ko) 미세기포 발생 샤워헤드
KR20120086034A (ko) 토출구 교체기능을 갖는 수전금구
JP4583941B2 (ja) 切替部材
KR200419784Y1 (ko) 수온조절이 가능한 세면대용 수전금구구조
KR100700401B1 (ko) 발코니용 수도꼭지
KR200393344Y1 (ko) 발코니용 수도꼭지
CN220202850U (zh) 一种多功能出水装置及浴室柜
KR101339338B1 (ko) 수전금구용 카트리지
KR100896076B1 (ko)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절환밸브장치
KR200441315Y1 (ko) 냉온혼합샤워기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 장치
KR200429487Y1 (ko) 체결성이 우수한 수전금구
KR200441728Y1 (ko) 길이조절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
KR200327570Y1 (ko) 연수기
JP2013126472A (ja) 水栓装置
KR200343395Y1 (ko) 수온조절 기능을 갖는 샤워헤드
KR200325292Y1 (ko) 수전금구
KR200349672Y1 (ko) 수도콕
JP6113132B2 (ja) 浴室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