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315Y1 - 냉온혼합샤워기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 장치 - Google Patents

냉온혼합샤워기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315Y1
KR200441315Y1 KR2020070001169U KR20070001169U KR200441315Y1 KR 200441315 Y1 KR200441315 Y1 KR 200441315Y1 KR 2020070001169 U KR2020070001169 U KR 2020070001169U KR 20070001169 U KR20070001169 U KR 20070001169U KR 200441315 Y1 KR200441315 Y1 KR 2004413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wer
water
cold
channel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11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2868U (ko
Inventor
이용자
Original Assignee
이용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자 filed Critical 이용자
Priority to KR20200700011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315Y1/ko
Publication of KR200800028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8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3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3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5Water supply lines as such, e.g. shower h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6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with flow restric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온혼합샤워기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샤워기 손잡이를 통해 냉수와 온수를 조절함은 물론, 유량과 단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도꼭지까지 가지 않고도 수온과 유량을 제어할 수 있고, 절수가 가능한 냉온혼합샤워기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온혼합샤워기, 유량, 단수, 절수, 수온

Description

냉온혼합샤워기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 장치{Shower compounding hot and cold and Shower system includ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샤워 장치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 장치의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은 도 2a의 A-A' 단면도,
도 4는 샤워기 손잡이와 샤워기 헤드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샤워 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6a는 하우징의 사시도,
도 6b는 분배기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냉수 배관 115 - 냉수 도관
120 - 온수 배관 125 - 온수 도관
130 - 조절 레바 140 - 혼합수 도관
150 - 샤워기 연결관 160 - 샤워기 호스
170 - 샤워기 손잡이 180 - 샤워기 헤드
190 - 세면대 수도 210 - 하우징
230 - 분배기
본 고안은 냉온혼합샤워기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샤워기 손잡이를 통해 냉수와 온수를 조절함은 물론, 유량과 단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도꼭지까지 가지 않고도 수온과 유량을 제어할 수 있고, 절수가 가능한 냉온혼합샤워기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생활에서 샤워기는 필수품으로 자리잡은 지 오래다. 각 가정의 욕실은 물론, 여관, 호텔 등 각종 숙박업소, 수영장, 목욕탕 등 많은 장소에서 샤워기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샤워 장치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일반적인 샤워 장치은, 도 1을 참조하면, 냉수 배관(10), 온수 배관(20), 조절 레바(30), 혼합수 도관(40), 샤워기 연결관(50), 샤워기(60), 및 세면대 수도(90)로 구성된다.
냉수 배관(10)과 온수 배관(20)에서는 항상 냉수와 온수가 소정 수압으로 공급대기하고 있다. 냉수는 상기 냉수 배관(10)으로부터 혼합수 도관(40)으로, 온수는 상기 온수 배관(20)으로부터 혼합수 도관(40)으로 모인다. 이때, 냉수 배관(10)과 혼합수 도관(40) 사이 및 온수 배관(20)과 혼합수 도관(40) 사이는 조절 레 바(30)에 의해 유량이 조절된다. 상기 조절 레바(30)로 제어된 혼합수는 혼합수 도관(40)을 거쳐 샤워기 연결관(50) 및/또는 세면대 수도(90)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샤워기는 사용자가 수도꼭지 근처로 가서 조절 레바를 통해 유량과 수온을 조절한 후, 물이 뿜어져 나오는 상태의 샤워기를 들고 소정 공간으로 이동한 다음 사용하게 되므로 조절 레바 작동시부터 실제 물을 사용할 때까지 물이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샤워기는 다 사용한 후 물이 뿜어져 나오는 샤워기를 들고 수도꼭지 근처로 가서 조절 레바를 조절함으로써 단수되므로 샤워기를 다 사용한 시점부터 조절 레바를 작동할 때까지 물이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주부들이 욕실에서 손빨래를 하는 경우 큰 용기에 샤워기를 걸쳐 놓고 물을 받아서 사용하는 경우가 통상적이다. 이때, 조절 레바를 개방하여 큰 용기에 물을 받으면서 빨래를 하다가 용기 내의 수위가 일정 이상되어 단수해야 하는 경우, 빨래 도중 직접 주부가 수도 꼭지 방향으로 이동하여 조절 레바를 작동한 후 다시 빨래하던 장소로 돌아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어린 아이들이나 거동이 불편한 노인을 씻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씻겨주는 사람이 샤워기를 들고 왔다갔다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샤워기 손잡이를 통해 냉수와 온수를 조절함은 물론, 유량과 단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도꼭지까지 가지 않고도 수온과 유량을 제어할 수 있고, 절수가 가능한 냉온혼합샤워기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 장치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에 따른 냉온혼합샤워기는 냉수 배관으로부터 냉수가 유입되는 제1수로, 온수 배관으로부터 온수가 유입되는 제2수로 및 상기 냉수 배관과 상기 온수 배관으로부터 모인 혼합수가 유입되는 제3수로를 구비하는 샤워기 호스; 및 상기 샤워기 호스의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수로, 상기 제2수로 및 상기 제3수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조절홀을 구비하는 샤워기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샤워기 본체는 샤워기 손잡이와 샤워기 헤드를 구비하며, 상기 조절홀은 상기 샤워기 헤드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워기 헤드는 상기 샤워기 손잡이에 대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샤워 장치은 냉수 배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냉수 도관과 온수 배관으로부터 분기되는 온수 도관이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냉수 도관으로부터 냉수가 유입되는 냉수 입구 및 상기 온수 도관으로부터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 입구를 구비하는 분배기; 및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냉온혼합샤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배기는 상기 냉수 입구로부터 유입된 냉수가 상기 호스의 제1 수로로 배출되는 냉수 출구; 상기 온수 입구로부터 유입된 온수가 상기 호스의 제2수로로 배출되는 온수 출구; 및 상기 제3수로로 상기 혼합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혼합수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a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샤워기 손잡이와 샤워기 헤드의 확대 사시도이다. 편의상, 도 2b에서 조절 레바(130)와 선택 밸브(145)의 도시는 생략되었음을 밝혀 둔다. 한편, 샤워기 연결관(150), 샤워기 호스(160) 및 샤워기 손잡이(170) 각각에 제1수로, 제2수로 및 제3수로가 형성되어 같은 수로끼리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샤워기 호스(160)의 제1수로(162), 제2수로(164) 및 제3수로(166)와, 샤워기 손잡이(170)의 제1수로(172), 제2수로(174) 및 제3수로(176)에만 도면부호를 붙여 설명하고, 샤워기 연결관(150)의 각 수로는 명칭으로만 식별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 장치(100)은,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냉수 배관(110), 냉수 도관(115), 온수 배관(120), 온수 도관(125), 조절 레바(130), 혼합수 도관(140), 선택 밸브(145), 샤워기 연결관(150), 샤워기 호스(160), 샤워기 본체(168), 및 세면대 수도(19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샤워기 본체(168)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2a와 같이 샤워기 손잡이(170)와 샤워기 헤드(180)가 결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샤워기 본체(168)가 샤워기 손잡이(170)와 샤워기 헤드(180)로 이루어진 경우를 전제로 설명을 전개하기로 한다.
상기 냉수 배관(110)으로 유입된 냉수는 일부는 냉수 도관(115)으로, 나머지는 혼합부(128)에서 온수와 혼합되어 혼합수 도관(140)으로 흐른다. 마찬가지로, 상기 온수 배관(120)으로 유입된 온수 중 일부는 온수 도관(125)으로, 나머지는 혼합부(128)에서 냉수와 혼합되어 혼합수 도관(140)으로 흐른다.
상기 조절 레바(130)는 혼합부(128)에 구비되어, 냉수와 온수의 혼합량을 제어하여 수온을 조절하고 혼합수 도관(140)으로 흐르는 혼합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부분이다. 상기 냉수 도관(115)과 온수 도관(125)은 각각 냉수 배관(110)과 온수 배관(120)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냉수 도관(115)과 온수 도관(125)에는 항상 일정량의 냉수와 온수가 일정한 수압으로 공급된다. 반면, 상기 혼합수 도관(140)으로 흐르는 혼합수는 조절 레바(130)에 의하여 수온과 유량이 제어된다. 상기 조절 레바(13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선택 밸브(145)는 혼합수 도관(140) 상에 구비된다. 상기 선택 밸브(145)는 샤워기 연결관(150)으로만 혼합수가 흐르도록 하거나, 세면대 수도(190)로만 혼합수가 흐르도록 하거나, 혹은 양측 모두로 혼합수가 흐르도록 조절하는 부분이다. 상기 선택 밸브(145) 역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냉수 도관(115)과 온수 도관(125)은 샤워기 연결관(150)에만 연통되도록 형성되므로, 세면대 수도(190)로는 혼합수만 배출된다. 이때, 혼합수의 온도 조절은 조절 레바(130)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세면대 수도(190)의 사용시 냉수 또는 온수만 사용하기 위해서는 조절 레바(13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끝까지 회전시키면 된다.
상기 샤워기 연결관(150)은 샤워기 호스(160)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는 부분으로, 상기 샤워기 호스(160)와 마찬가지로 세 개의 수로를 구비한다. 상기 세 개의 수로 중 제1수로는 일측이 냉수 도관(115)에, 타측이 샤워기 호스(160)의 제1수로(162)에 연결된다. 또한, 샤워기 연결관(150)의 제2수로는 일측이 온수 도관(125)에, 타측이 샤워기 호스(160)의 제2수로(164)에 연결된다. 또한, 샤워기 연결관(150)의 제3수로는 일측이 혼합수 도관(140)에, 타측이 샤워기 호스(160)의 제3수로(166)에 연결된다.
상기 샤워기 호스(160)는 일측이 샤워기 연결관(150)에, 타측이 샤워기 손잡이(170)에 연결된다. 상기 샤워기 호스(160)는, 도 3을 참조하면, 제1수로(162), 제2수로(164) 및 제3수로(166)가 별도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수로 내지 제3수로(162, 164, 166)는 각각 샤워기 연결관(150)의 제1수로 내지 제3수로로부터 공급받은 냉수, 온수 및 혼합수를 샤워기 손잡이(170)의 제1수로 내지 제3수로(172, 174, 176)로 전달한다.
상기 샤워기 손잡이(170)는 일측이 샤워기 호스(160)에, 타측이 샤워기 헤드(18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샤워기 헤드(180)는, 도 4를 참조하면, 샤워기 손잡이(170)와 접하는 부분에 조절홀(185)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홀(185)로 유입된 물은 샤워기 헤드(180)의 내부를 거쳐 사용자에게 배출된다. 상기 샤워기 헤드(180)는 샤워기 손잡이(170)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샤워기 헤드(180)와 샤워기 손잡이(170)는 연결 부재(188)로 연결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샤워기 헤드(180)와 샤워기 손잡이(170) 사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고무 패킹 등이 삽입될 수도 있다. 상기 고무 패킹은 샤워기 헤드(18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샤워기 헤드(180) 측에 부착될 수도 있고, 샤워기 손잡이(17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샤워기 손잡이(170) 측에 부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샤워기 헤드(180)로 배출되는 물의 종류는 샤워기 손잡이(170)에 대한 샤워기 헤드(180)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사용자가 냉수를 원하는 경우 샤워기 헤드(180)의 조절홀(185)이 샤워기 손잡이(170)의 제1수로(172)와 연통되도록 회전시킨다. 또한, 사용자가 온수를 원하는 경우 샤워기 헤드(180)의 조절홀(185)이 샤워기 손잡이(170)의 제2수로(174)와 연통되도록 회전시키면 된다. 또한, 사용 자가 냉온혼합수를 원하는 경우 샤워기 헤드(180)의 조절홀(185)이 샤워기 손잡이(170)의 제1수로(172) 및 제2수로(174) 모두에 연통되도록 회전시킨다. 이때, 미세한 수온 조정은 조절홀(185)의 위치를 제1수로(172) 혹은 제2수로(174) 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보다 따뜻한 물을 필요로 하는 경우 조절홀(185)이 제1수로(172)보다 제2수로(174)에 많이 걸쳐지도록 회전시키면 된다. 이상의 조절은 조절 레바(130)를 통하지 않고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왜냐하면 냉수는 냉수 배관(110), 냉수 도관(115), 샤워기 연결관(150)의 제1수로, 샤워기 호스(160)의 제1수로(162) 및 샤워기 손잡이(170)의 제1수로(172)를 거쳐 샤워기 헤드(180)로 배출되고, 온수는 온수 배관(120), 온수 도관(125), 샤워기 연결관(150)의 제2수로, 샤워기 호스(160)의 제2수로(164) 및 샤워기 손잡이(170)의 제2수로(174)를 거쳐 샤워기 헤드(180)로 배출되기 때문이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샤워기 본체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샤워기 본체 중 샤워기 호스와 접촉하는 부분에 조절홀이 형성되어, 샤워기 호스에 대해 샤워기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수온과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일반적인 샤워기와 같이 조절 레바(130)를 통해 수온과 유량을 조절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에는 샤워기 헤드(180)의 조절홀(185)을 샤워기 손잡이(170)의 제3수로(176)와 연통되도록 고정시킨 후, 조절 레바(130)를 통해 수온을 조절하면 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샤워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샤워 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6a는 하우징의 사시도이며, 도 6b는 분배기의 사시도이다. 도 5의 실시예는 냉수 도관(115)과 온수 도관(125) 및 혼합수 도관(140)이 모이는 부분에 하우징(210)과 분배기(23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분배기(230)가 선택 밸브(145)의 역할을 대신한다는 점 이외에는 도 2a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한편, 도 5에서는 편의상 샤워기 호스(160)와 샤워기 본체(168)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상기 하우징(210)은, 도 6a를 참조하면,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10)은 측면에 냉수 입구홀(212), 온수 입구홀(216), 혼합수 입구홀(220), 세면대 용수 입구홀(224) 및 세면대 용수 출구홀(226)이 형성되며, 하면에 냉수 출구홀(214), 온수 출구홀(218) 및 혼합수 출구홀(22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냉수 입구홀(212)은 냉수 도관(115)과 연결되고, 온수 입구홀(216)은 온수 도관(125)과 연결되며, 혼합수 입구홀(220)은 혼합수 도관(140)과 연결된다. 또한, 세면대 용수 입구홀(224)도 혼합수 도관(140)과 연결된다. 즉, 상기 혼합수 도관(140)은 둘로 분기되어 혼합수 입구홀(220)과 세면대 용수 입구홀(224)에 각각 결합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10)의 냉수 출구홀(214)은 샤워기 연결관(150)의 제1수로와, 온수 출구홀(218)은 샤워기 연결관(150)의 제2수로와, 그리고 혼합수 출구홀(222)은 샤워기 연결관(150)의 제3수로와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분배기(230)가 삽입된다. 상기 분배기(230)는 하우징(210)과 마찬가지로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210) 내부에서 회 전가능하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분배기(230)의 회전 조절을 위해 상면에 회전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손잡이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배기(230)는 측면에 냉수 입구(232), 온수 입구(236), 혼합수 입구(240), 세면대 용수 입구(244), 및 세면대 용수 출구(246)가 형성되며, 하면에 냉수 출구(234), 온수 출구(238), 및 혼합수 출구(242)가 형성된다. 상기 냉수 입구(232)는 회전에 의한 위치 조정에 따라 하우징(210)의 냉수 입구홀(212)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냉수 출구(234)는 하우징(210)의 냉수 출구홀(214), 상기 온수 입구(236)는 하우징(210)의 온수 입구홀(216), 상기 온수 출구(238)는 하우징(210)의 온수 출구홀(218)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혼합수 입구(240), 혼합수 출구(242), 세면대 용수 입구(244) 및 세면대 용수 출구(246)는 각각 하우징(210)의 혼합수 입구홀(220), 혼합수 출구홀(222), 세면대 용수 입구홀(224) 및 세면대 용수 출구홀(226)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일치하도록 형성된다는 것은 분배기(230)를 회전시킴에 따라 일치된다는 것이지, 전체적으로 하우징(210)의 입/출구홀과 분배기(230)의 입/출구가 일치된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하우징(210)의 입/출구홀과 분배기(230)의 입/출구는 서로 일정 정도 어긋나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210)과 분배기(230)는 분배기(230)의 회전에 따라 직접냉온수 지원모드, 혼합수 지원모드, 세면대 지원모드의 3가지 모드가 지원된다. 첫째, 직접냉온수 지원모드는 분배기(230)를 회전시켜 하우징(210)의 냉수 입구홀(212)과 분배기(230)의 냉수 입구(232)를 일치시키고, 하우징의 온수 입구홀(216)과 분배 기(230)의 온수 입구(236)를 일치시켜 샤워기 연결관(150)에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는 모드이다. 둘째, 혼합수 지원모드는 분배기(230)를 회전시켜 하우징(210)의 혼합수 입구홀(220)과 분배기(230)의 혼합수 입구(240)를 일치시켜 샤워기 연결관(150)에 혼합수를 공급하는 모드이다. 셋째, 세면대 지원모드는 분배기(230)를 회전시켜 하우징(210)의 세면대 용수 입구홀(224)과 분배기(230)의 세면대 용수 입구(244)를 일치시켜 세면대 수도(190)에 혼합수를 공급하는 모드이다. 분배기(2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3가지 모드 중 하나만 실행될 수 있도록 세면대 용수 입구(244), 혼합수 입구(240), 냉수 입구(232) 및 온수 입구(236)는 서로 소정의 각도 차가 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샤워기 자체에서 수온조절과 유량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샤워기를 들고 왔다갔다 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고, 이동 간에 버려 지는 물이 없도록 하여 절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냉수 배관(110)으로부터 냉수가 유입되는 제1수로(162), 온수 배관(120)으로부터 온수가 유입되는 제2수로(164) 및 상기 냉수 배관(110)과 상기 온수 배관(120)으로부터 모인 혼합수가 유입되는 제3수로(166)를 구비하는 샤워기 호스(160); 및
    상기 샤워기 호스(160)의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수로(162), 상기 제2수로(164) 및 상기 제3수로(16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조절홀(185)을 구비하는 샤워기 본체(168)
    를 포함하며,
    상기 샤워기 본체(168)는 샤워기 손잡이(170)와 상기 샤워기 손잡이(170)에 대해 회전하도록 형성된 샤워기 헤드(180)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홀(185)은 상기 샤워기 헤드(18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혼합샤워기.
  2. 삭제
  3. 삭제
  4. 냉수 배관(110)으로부터 분기되는 냉수 도관(115)과 온수 배관(120)으로부터 분기되는 온수 도관(125)이 결합되는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냉수 도관(115)으로부터 냉수가 유입되는 냉수 입구(232) 및 상기 온수 도관(125)으로부터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 입구(236)를 구비하는 분배기(230); 및
    제1항에 따른 냉온혼합샤워기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기(230)는 상기 냉수 입구(232)로부터 유입된 냉수가 상기 샤워기 호스(160)의 제1수로(162)로 배출되는 냉수 출구(234), 상기 온수 입구(236)로부터 유입된 온수가 상기 샤워기 호스(160)의 제2수로(164)로 배출되는 온수 출구(238), 및 상기 제3수로(166)로 상기 혼합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혼합수 출구(2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5. 삭제
KR2020070001169U 2007-01-23 2007-01-23 냉온혼합샤워기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 장치 KR2004413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169U KR200441315Y1 (ko) 2007-01-23 2007-01-23 냉온혼합샤워기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169U KR200441315Y1 (ko) 2007-01-23 2007-01-23 냉온혼합샤워기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868U KR20080002868U (ko) 2008-07-28
KR200441315Y1 true KR200441315Y1 (ko) 2008-08-06

Family

ID=41490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1169U KR200441315Y1 (ko) 2007-01-23 2007-01-23 냉온혼합샤워기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3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868U (ko) 2008-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8112B1 (en) Shower assembly kit with multiple functions
KR20130001719U (ko) 하나의 전환밸브로 토수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3방향 토수구를 갖는 욕실용 수전금구
JP2012172452A (ja) 手洗い装置
JP6101030B2 (ja) シャワー水栓
KR200441315Y1 (ko) 냉온혼합샤워기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 장치
CN101703378B (zh) 淋浴龙头
JP3713225B2 (ja) 手すり型水栓
WO2018126903A1 (zh) 一种排残留水切换组件
WO2018097812A2 (en) Shower head provided with temperature adjuster
JP2006334111A (ja) 湯水供給装置
CN218625524U (zh) 一种浴缸水龙头组件
JP4415336B2 (ja) 吐水具
US20220112701A1 (en) Water output device
KR101188209B1 (ko) 세면/샤워 겸용 수전과 세면대의 설치구조
JP3908946B2 (ja) 水栓
KR200376913Y1 (ko) 수전금구
CN218000496U (zh) 多功能龙头
KR20100045810A (ko)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
KR100575046B1 (ko) 벽면 매입형 냉, 온수 급수장치
KR200218920Y1 (ko) 좌변기 비데장치
JPH07207724A (ja) 湯水混合栓
JP2981813B2 (ja) 湯水混合水栓
KR200448058Y1 (ko) 샤워기의 착탈이 가능한 수도전
KR20060058853A (ko) 수전금구
AU2014245863B2 (en) Plumbing fi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