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220Y1 - 양변기 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 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220Y1
KR200251220Y1 KR2020010021978U KR20010021978U KR200251220Y1 KR 200251220 Y1 KR200251220 Y1 KR 200251220Y1 KR 2020010021978 U KR2020010021978 U KR 2020010021978U KR 20010021978 U KR20010021978 U KR 20010021978U KR 200251220 Y1 KR200251220 Y1 KR 2002512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gnet
piece
drain pipe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19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홍기
Original Assignee
정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홍기 filed Critical 정홍기
Priority to KR20200100219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2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2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220Y1/ko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변기 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변기본체 후방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물이 채워지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바닥에 연결된 배수관과 수직으로 대향하는 상부에 설치된 배수밸브와, 상기 물의 부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플로트 밸브를 개방하는 부구와, 당김끈에 의해 상기 배수밸브를 작동시킬 수 있게 조절구, 고정구, 작동구로 이루어진 배수량 조절장치로 이루어진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당김끈에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일정 중량을 갖는 보조부구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고정구의 지지부재에 형성된 지지편에 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작동구의 회동부재에 형성된 회동편의 저부에는 상기 자석에 착탈될 수 있게 금속재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소변과 같이 적은량의 용변 배출 후 수조에 채워지는 물이 불필요하게 배수관으로 배출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변기 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WATER SAVING TOILET FLUSHER}
본 고안은 양변기 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용변 배출후 수조에 채워지는 물이 불필요하게 배수관으로 배출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양변기 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양변기는 용변을 마친 후 변기본체에 물을 공급하여 용변을 세척할 수 있도록 물이 채워지는 수조가 변기본체의 후방에 구비된다. 이러한 수조에 구성되어 물을 변기로 배출시키는 배출장치는 수조의 외부로 표출되게 설치된 조절레버에 개폐변이 직접 연결되어 조절레버의 조작에 의해 개폐변이 개방되면 수조에 채워진 물이 배출된 후 폐쇄되어 새로운 물을 일정량 공급받아 보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배수장치는 용변의 종류에 관계없이 수조에 채워진 물을 모두 배출하게 됨으로써 특히 소변시 불필요하게 많은량의 물을 소비하게 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종래에는 선출원된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5-24958호(고안의 명칭 : 양변기용 2단배수밸브의 배수량 조절장치)인 도 1에서와 같이 수조에 채워진 물의 배수량을 상,하부개폐변을 개방하여 배수량의 많고 적음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수조(10)의 바닥에 연결된 배수관(12)과 수직으로 대향하는 상부에 상부개폐변(22)과 하부개폐변(24)이 2단으로 분리된 배수밸브(20)가 설치되고, 수조(10)의 전면에 상기 상부개폐변(22)에 당김끈(26)이 연결되는 배수량 조절장치(30)가 설치된다.
상기 배수량 조절장치(30)는 일측에 손잡이(41)를 형성하고, 그 내측의 중앙에 고정홀(미도시)을 통공시키며, 고정홀의 외측에 캡(43)을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그 배면의 중앙 내측에 걸림편(미도시)을 수평으로 구비한 조절구(40)와, 상기조절구(4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지지부재(51)를 수조(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설치하고, 이 지지부재(51)의 선단과 수조(10)의 사이에 패킹(52)을 개재시키며, 상기 지지부재(51)의 후단에 받침편(53a) 하부에 멈춤편(53b)을 수평으로 연장되게 구성한 받침부재(53)를 삽입하여 고정너트(54)로 고정시킨 고정지지부(50)와, 상기 조절구(40)의 고정홀에 억지끼움으로 고정되는 후크(미도시)를 일측단에 구비한 회전축(71)을 구성하고 그 타단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그 단부의 양측벽에 한쌍의 회동안내돌기(73)를 구비한 회동부재(70)가 구성되고, 상기 회동안내돌기(73)에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연결편(81)을 일단에 구비하고 그 하부에 상기 회동부재(70)의 걸림턱(74)이 걸리도록 받침턱(83)을 구비한 작동부재(80)가 구성된 작동부(60)로 구성되어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용변의 종류에 따라 물의 배수량을 조절할 수 있으나 조절구(40)의 손잡이(41) 작동에 의해 조절구(40)에 당김끈(26)으로 연결된 배수밸브(20)가 개방되면서 물이 배수관(12)을 통해 배출되고, 일정시간 경과 후 물이 수조(10)에 채워짐과 동시에 배수밸브(20)가 다시 배수관(12)의 상부를 폐쇄시키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배수밸브(20)가 천천히 배수관(12)을 폐쇄시키게 되어 수조(10)에 채워지는 물은 배수관(12)을 통해 계속 배출되어져 불필요하게 물을 낭비하게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용변 배출후 수조에 채워지는 물이 불필요하게 배수관으로 배출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변기본체 후방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물이 채워지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바닥에 연결된 배수관과 수직으로 대향하는 상부에 설치된 배수밸브와, 상기 물의 부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플로트 밸브를 개방하는 부구와, 당김끈에 의해 상기 배수밸브를 작동시킬 수 있게 조절구, 고정구, 작동구로 이루어진 배수량 조절장치로 이루어진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당김끈에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일정 중량을 갖는 보조부구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고정구의 지지부재에 형성된 지지편에 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작동구의 회동부재에 형성된 회동편의 저부에는 상기 자석에 착탈될 수 있게 금속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도 1a은 종래 양변기에 배수량 조절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1b는 종래 배수량 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배수량 조절장치가 수조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량 조절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량 조절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a,b는 본 고안에 따른 소변과 같이 적은량의 용변이 세척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대변과 같이 많은량의 용변이 세척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7a,b는 본 고안에서 고정구와 작동구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9a,b는 도 8의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제 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a,b는 도 10의 작동상태도.
도 12은 본 고안에 따른 제 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수조 112 : 배수관
120 : 배수밸브 126 : 당김끈
130 : 플로트 밸브 134 : 부구
140 : 조절구 150 : 고정구
155 : 지지부재 155c : 지지편
159,159a : 자석 160 : 작동구
161 : 회동부재 163 : 회동편
164,164a : 금속재 166 : 작동부재
167 : 연결편 170 : 보조부구
172 : 삽입공 180 : 탄성부재
190 : 작동 암 192 : 제 1걸림부
194 : 제 2걸림부
이하, 본 고안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배수량 조절장치가 수조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량 조절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량 조절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5a,b는 본 고안에 따른 소변과 같이 적은량의 용변이 세척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대변과 같이 많은량의 용변이 세척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7a,b는 본 고안에서 고정구와 작동구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로써, 본 고안은 변기본체의 후방에 설치되고 물이 채워지는 수조(110)와,상기 수조(110)의 바닥에 연결된 배수관(112)과 수직으로 대향하는 상부에 설치된 배수밸브(120)와, 상기 배수밸브(120)를 작동시킬 수 있게 설치된 배수량 조절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미설명부호(114)는 수조(11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수도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공급관이고, (130)는 상기 공급관(114)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수조(110)내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플로트 밸브이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 밸브(130)에는 플로트 암(132)을 통해 상기 수조(110)에 채워지는 물의 부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플로트 밸브(130)를 개방하는 부구(13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수관(112)의 일측으로는 상기 배수밸브(120)가 설치될 수 있게 관체(1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수량 조절장치는 조절구(140)와, 고정구(150)와, 작동구(160)와 보조부구(17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조절구(140)는 일측에 손잡이(142)가 형성되어 있고 그 내측 중앙에 고정공(144)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에는 걸림편(146)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150)는 상기 조절구(14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중앙에 안내공(151a)이 통공되고 선단에 상기 조절구(140)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걸림편(146)을 안내하는 회전제한홈(151b)이 형성되며 그 후방에 요홈(151c)을 길이방향으로 구비한 나사부(151d)가 형성된 조절부재(151)와, 상기 조절부재(151)의 나사부(151d) 선단 외곽에 삽입되어 수조(110)의 외벽에 개재되는 패킹(153)과, 상기 패킹(153)과 대응되는 수조(110)의 내측에 상기 나사부(151d)가 관통되는 삽지공(155a)이 형성되고 상기 삽지공(155a)의 일단으로 연장하여 그 단부에 직각으로 절곡한 연장편(155b)이 형성되며, 이 연장편(155b)의 하단 내측으로 자석(159)이 설치된 지지편(155c)이 연장 형성된 지지부재(155)와, 상기 지지부재(155)의 삽지공(155a)을 통해 삽입되어 인출된 나사부(151d)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5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구(160)는 일측 단부에 상기 조절구(140)의 고정공(144)에 삽입되어 걸리는 후크(162a)를 구비한 회전축(162)과 상기 고정구(150)의 각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고 그 타측이 직각으로 절곡되며 단부의 양측으로는 회동돌기(163a)가 형성되며, 저부에는 상기 자석(159)에 착탈될 수 있는 금속재(164)가 설치된 회동편(163)으로 이루어진 회동부재(161)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161)의 회동돌기(163a)에 상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연결편(167)이 일단에 구비되고 타단에는 당김끈(126)이 연결되는 연결공(168)이 형성된 작동부재(166)로 구성된다.
상기 보조부구(170)는 중앙에 상기 당김끈(126)에 끼워질 수 있게 삽입공(172)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공(172)의 상단부에는 당김끈(126)이 걸려 고정될 수 있게 끼움부(175)를 갖는 고정편(17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보조부구(170) 내부에 일정량의 물 또는 모래 등이 채워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과정 및 이에 따른 작용은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급관(114)의 상부에 설치된 플로트 밸브(130)에 부구(134)가 설치된 플로트 암(132)을 설치하고, 배수관(112)의 일측에 설치된 관체(116)의 하단에는 배수밸브(12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배수밸브(120)는 배수관(112)을 개폐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와 설치되면 배수량 조절장치를 설치하면 된다. 즉, 조절부재(151)의 나사부(151d)에 패킹(153)을 끼워 수조(110)의 내측으로 관통되게 삽입하여 나사부(151d)의 단부에 지지부재(155)의 삽지공(155a)을 끼우고 고정너트(157)를 체결하여 고정부(150)를 수조(110)에 조립한다. 그런 다음 회동부재(161)의 회동편(163)에 작동부재(166)의 연결편(167)을 조립하되, 상기 회동편(163)에 형성된 회동돌기(163a)에 연결편(167)에 형성된 회동공(167a)이 끼워지도록 한다. 그러면, 작동구(160)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한 작동구(160)의 조립이 완료되면 회동부재(161)의 회동축(162)을 지지부재(155)의 삽지공(155a)을 통해 삽입하여 그 단부에 형성된 후크(162a)를 조절부재(151)의 외부로 돌출시킨다. 이후 조절구(140)의 걸림편(146)을 조절부재(151)의 회전제한홈(151b)에 일치시킴과 동시에 후크(162a)를 고정공(144)에 일치되게 한 후 조절구(140) 방향으로 작동구(160)를 가압하여 후크(162a)를 고정공(144)에 끼워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당김끈(126)에 보조부구(170)를 끼워 고정시킨다. 즉, 상기 보조부구(170)에 형성된 삽입공(172)으로 당김끈(126)을 통과시키고, 상기 보조부구(170)가 당김끈(126)의 적정위치에 도달하면 상기보조부구(170)가 더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상기 당김끈(126)을 고정편(174)의 끼움부(175)에 끼워 고정시키면 본 고안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조립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변과 같이 적은량의 물이 요구되는 용변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조절구(140)의 손잡이(142)를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손잡이(142)의 작동에 의해 조절구(140)에 고정된 회동부재(161)가 하방으로 회동하게 되면서 회동부재(161)의 회동편(163)에 연결편(167)으로 연결된 작동부재(166)가 회동돌기(163a)를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하여 작동부재(166)의 연결공(168)에 연결된 당김끈(126)을 잡아 당기게 된다. 이때, 상기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킨 조절구(140)의 걸림편(146)이 조절부재(151)의 회전제한홈(151b) 상단에 걸림과 동시에 하강한 회동부재(161)의 하단에 형성된 금속재(164)가 지지부재(155)의 지지편(155c)에 설치된 자석(159)에 부착됨과 함께 회동부재(161)가 더 이상 회동하지 않고 정지하게 됨으로써, 당김끈(126)에 연결된 배수밸브(120)가 반개되고 이에 따라 수조(110)에 채워진 물이 배수관(112)을 통해 소량 배출되며 부구(134)는 수조(110)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5a참조)
그리고, 배수관(112)을 통해 수조(110)에 채워진 물이 배출되고 부구(134)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도 5b와 같이 배수관(112)으로 배출되는 물의 수압과 보조부구(170)의 중량에 의해 지지부재(155)에 형성된 지지편(155c)의 자석(159)에 부착되어 있던 금속재(164)가 자석(159)에서 이탈되고 동시에 반개된 배수밸브(120)는 하강하면서 배수관(112)을 폐쇄시키게 되어 필요이상의 물이 배수관(112)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동부재(166)는 금속재(164)가 자석(159)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하강하게 되면서 상기 작동부재(166)의 연결편(167)에 회동편(163)이 연결된 회동부재(161)가 회동돌기(163a)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조절구(140)의 손잡이(142)도 원래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여기서, 물이 배수관(112)으로 배출되면서 반개된 배수밸브(120)가 하강하여 배수관(112)을 신속히 폐쇄시키게 되는데, 이는 배수밸브(120)가 반개된 상태에서 배수관(112)으로 배출되는 물은 급속히 배출되면서 높은 수압이 발생되고 상기 물의 높은 수압과 보조부구(170)의 중량 합이 상기 자석(159)의 힘보다 크기 때문에 자석(159)에 붙어있던 금속재(164)를 자석(159)에서 이탈시키게 됨과 동시에 배출되는 물의 수압과 배수밸브(120)의 자중에 의해 배수밸브(120)는 배수관(112)을 신속히 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수조(110)에 채워진 물이 배수관(112)으로 배출되고 배수밸브(120)가 배수관(112)을 폐쇄시킴과 동시에 공급관(114)을 통해 물이 수조(110) 내부로 유입되고 이 물의 유입에 따라 부구(134)는 수조(110)의 상방으로 상승하게 되어 처음 상태인 도 2와 같은 상태가 된다.
대변과 같이 많은량의 물이 되는 용변을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조절구(140)의 손잡이(142)를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손잡이(142)의 작동에 의해 조절구(140)에 고정된 회동부재(161)가 상방으로 회동하면서 조절구(140)의 걸림편(146)이 조절부재(151)의 회전제한홈(151b) 하단에 걸림과 동시에 회동부재(161)의 회동이 저지하게 되고, 금속재(164)의 일측단에는 연결편(167)의 일측단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회동부재(161)에 연결된 작동부재(166)는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회동부재(161)와 같은 방향으로 연동되어 당김끈(126)에 연결된 배수밸브(120)가 완전히 상승하고 이에 따라 많은량의 물이 배수관(112)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부구(134)는 수조(110)의 하방으로 하강하게 된다.(도 6참조)
그리고, 수조(110)에 채워진 많은량의 물이 배수관(112)으로 배출되고 일정시간 지나면 공급관(114)을 통해 물이 유입되고 이 물의 유입에 따라 부구(134)가 수조(110)의 상방으로 상승하고 동시에 상방으로 회동되어 있던 작동부재(166)는 원래위치로 복귀되고 이에 따라 회동부재(161)의 회동편(163)에 연결편(167)으로 연결된 작동부재(166)도 같은 방향으로 연동되면서 도 2와 같이 된다.
한편,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9a,b는 도 8의 작동상태도로써, 이는 상기 조절구(150)의 조절부재(151)에 형성된 회전제한홈(151b) 상단에 자석(159a)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142)의 걸림편(146) 일측에 상기 자석(159)에 착탈될 수 있게 금속재(164a)가 설치된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2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변과 같이 적은량의 물이 요구되는 용변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에는 조절구(140)의 손잡이(142)를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손잡이(142)의 작동에 의해 조절구(140)에 고정된 회동부재(161)가 하방으로 회동하게 되면서 회동부재(161)의 회동편(163)에 연결편(167)으로 연결된 작동부재(166)가 회동돌기(163a)를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하여 작동부재(166)의 연결공(168)에 연결된 당김끈(126)을 잡아 당기게 된다. 이때, 상기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킨 조절구(140)의 걸림편(146)에 설치된 금속재(164a)가 회전제한홈(151b)의 상단에 설치된 자석(159a)에 부착됨과 동시에 하방으로 하강한 회동부재(161)의 회동편(163) 하단이 지지부재(155)의 지지편(155c)에 걸려 더 이상 회동하지 않고 정지됨으로써, 당김끈(126)에 연결된 배수밸브(120)가 일정위치만큼 상승되고 이에 따라 수조(110)에 채워진 물이 배수관(112)을 통해 소량 배출시키게 되고, 부구(134)는 수조(110)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9a)
그리고, 배수관(112)을 통해 수조(110)에 채워진 물이 배출되고 부구(134)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배수관(112)으로 배출되는 물의 수압과 보조부구(170)의 중량에 의해 회전제한홈(151b) 상단에 설치된 자석(159a)에 부착되어 있던 금속재(164a)가 자석(159a)에서 이탈되고 동시에 반개된 배수밸브(120)는 하강하면서 배수관(112)을 폐쇄시키게 되어 필요이상의 물이 배수관(112)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동부재(166)는 금속재(164a)가 자석(159a)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하강하게 되면서 상기 작동부재(166)의 연결편(167)에 회동편(163)이 연결된 회동부재(161)가 회동돌기(163a)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조절구(140)의 손잡이(142)도 원래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여기서, 물이 배수관(112)으로 배출되면서 반개된 배수밸브(120)가 하강하여 배수관(112)을 신속히 폐쇄시키게 되는데, 이때도 마찬가지로 배수밸브(120)가 반개된 상태에서 배수관(112)으로 배출되는 물은 급속히 배출되면서 높은 수압이 발생되고 상기 물의 높은 수압과 보조부구(170)의 중량 합이 상기 자석(159a)의 힘보다 크기 때문에 자석(159a)에 붙어있던 금속재(164a)를 자석(159a)에서 이탈시키게 됨과 동시에 배출되는 물의 수압과 배수밸브(120)의 자중에 의해 배수밸브(120)는 배수관(112)을 신속히 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후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아 생략하기로 한다.(도 9b참조)
한편, 대변과 같이 많은량의 물이 되는 용변을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제 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a,b는 도 10의 작동상태도로써, 이는 상기 작동구(160)의 회동부재(161)에 형성된 회동편(163)과 상기 작동구(160)의 작동부재(166)에 형성된 연결편(167)의 상부에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180)를 고정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3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변과 같이 적은량의 물이 요구되는 용변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 조절구(140)의 손잡이(142)를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손잡이(142)의 작동에 의해 조절구(140)에 고정된 회동부재(161)가 하방으로 회동하게 되면서 회동부재(161)의 회동편(163)에 연결편(167)으로 연결된 작동부재(166)가 회동돌기(163a)를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하여 작동부재(166)의 연결공(168)에 연결된 당김끈(126)을 잡아 당기게 된다. 이때, 상기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킨 조절구(140)의 걸림편(146)이 조절부재(151)의 회전제한홈(151b) 상단에걸리게 되고, 동시에 탄성부재(180)는 도 11a와 같이 탄성력에 의해 굴곡되어 변형되면서 회동부재(161)가 더 이상 회동하지 않고 정지하게 됨으로써, 당김끈(126)에 연결된 배수밸브(120)가 반개되고 이에 따라 수조(110)에 채워진 물이 배수관(112)을 통해 소량 배출되며 부구(134)는 수조(110)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배수관(112)을 통해 수조(110)에 채워진 물이 배출되고 부구(134)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배수관(112)으로 배출되는 물의 수압과 보조부구(170)의 중량에 의해 회동편(163)과 연결편(167)의 상부에 설치되어 굴곡된 탄성부재(180)이 탄성력에 의해 도 11b와 같이 원래 위치로 복원되고, 동시에 반개된 배수밸브(120)는 하강하면서 배수관(112)을 폐쇄시키게 되어 필요이상의 물이 배수관(112)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작동부재(166)는 탄성부재(180)가 원래 위치로 복원됨과 동시에 하강하게 되면서 상기 작동부재(166)의 연결편(167)에 회동편(163)이 연결된 회동부재(161)가 회동돌기(163a)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조절구(140)의 손잡이(142)도 원래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여기서, 물이 배수관(112)으로 배출되면서 반개된 배수밸브(120)가 하강하여 배수관(112)을 신속히 폐쇄시키게 되는데, 이때도 마찬가지로 배수밸브(120)가 반개된 상태에서 배수관(112)으로 배출되는 물은 급속히 배출되면서 높은 수압이 발생되고 상기 물의 높은 수압과 보조부구(170)의 중량 합이 탄성부재(180)의 힘보다 크기 때문에 탄성부재(180)를 복원시키게 됨과 동시에 배출되는 물의 수압과 배수밸브(120)의 자중에 의해 배수밸브(120)는 배수관(112)을 신속히 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후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대변과 같이 많은량의 물이 되는 용변을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제 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이는 제 1실시예에서 상기 보조부구(170)가 설치된 상기 당김끈(126)의 상부에 걸어질 수 있게 일측에 제 1걸림부(192)가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부구(134)에 연결된 플로프 암(132)에 걸어질 수 있게 제 2걸림부(194)가 형성된 작동 암(190)이 설치된 구성으로 배수밸브(120)가 배수관(112)에 닫히지 않을 경우 작동 암(190)에 의해 배수밸브(120)를 배수관(112)에 폐쇄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술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변과 같이 적은량의 물이 요구되는 용변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 조절구(140)의 손잡이(142)를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손잡이(142)의 작동에 의해 조절구(140)에 고정된 회동부재(161)가 하방으로 회동하게 되면서 회동부재(161)의 회동편(163)에 연결편(167)으로 연결된 작동부재(166)가 회동돌기(163a)를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하여 작동부재(166)의 연결공(168)에 연결된 당김끈(126)을 상부로 잡아 당기게 된다. 이때, 상기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킨 조절구(140)의 걸림편(146)이 조절부재(151)의 회전제한홈(151b) 상단에 걸림과 동시에 하강한 회동부재(161)의 하단에 형성된 금속재(164)가 지지부재(155)의 지지편(155c)에 설치된 자석(159)에 부착됨과 함께 회동부재(161)가 더 이상 회동하지 않고 정지하게 됨으로써, 당김끈(126)에 연결된 배수밸브(120)가 반개되고 이에 따라 수조(110)에 채워진 물이 배수관(112)을 통해 소량 배출되며, 부구(134)는 수조(110)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조(110)의 내부 하단으로 부구(134)가 이동되면 상기 작동 암(180)의 제 1걸림부(182)는 당김끈(126)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보조부구(170)의 상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배수관(112)을 통해 수조(110)에 채워진 물이 배출되면서 부구(134)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작동 암(190)의 제 1걸림부(192)가 보조부구(170)를 가압해 주고 동시에 배수관(112)으로 배출되는 물의 수압과 보조부구(170)의 중량에 의해 지지부재(155)에 형성된 지지편(155c)의 자석(159)에 부착되어 있던 금속재(164)가 자석(159)에서 이탈되고 동시에 반개된 배수밸브(120)는 하강하면서 배수관(112)을 폐쇄시켜 필요이상의 물이 배수관(112)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제 4실시예는 자석(159)에 부착되어 있던 금속재(164)가 자석(159)에서 이탈되지 않을 경우 작동 암(190)에 의해 상기 보조부구(170)를 가압해 주어 배수관(112)을 배수밸브(120)로 폐쇄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후 과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한편, 제 4실시예는 본 고안 제 1실시예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 및 제 3실시예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양변기 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에 따르면 변기본체 후방에 설치된 수조에 채워진 물이 대변과 소변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조절구, 고정구, 작동구로 이루어진 배수량 조절장치에 보조부구와, 자석과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소변과 같이 적은량의 용변 배출 후 수조에 채워지는 물이 불필요하게 배수관으로 배출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변기본체 후방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물이 채워지는 수조(110)와, 상기 수조(110)의 바닥에 연결된 배수관(112)과 수직으로 대향하는 상부에 설치된 배수밸브(120)와, 상기 물의 부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플로트 밸브(130)를 개방하는 부구(134)와, 당김끈(126)에 의해 상기 배수밸브(120)를 작동시킬 수 있게 조절구(140), 고정구(150), 작동구(160)로 이루어진 배수량 조절장치로 이루어진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당김끈(126)에 중앙에 삽입공(172)이 형성되고 일정 중량을 갖는 보조부구(17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고정구(150)의 지지부재(155)에 형성된 지지편(155c)에 자석(159)이 설치되고, 상기 작동구(160)의 회동부재(161)에 형성된 회동편(163)의 저부에는 상기 자석(159)에 착탈될 수 있게 금속재(16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150)의 조절부재(151)에 형성된 회전제한홈(151b) 상단에 자석(159a)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조절구(140)의 배면에 형성된 걸림편(146) 일측에 상기 자석(159)에 착탈될 수 있게 금속재(164a)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160)의 회동부재(161)에 형성된 회동편(163)과 상기 작동구(160)의 작동부재(166)에 형성된 연결편(167)에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18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구(170)가 설치된 상기 당김끈(126)의 상부에 걸어질 수 있게 일측에 제 1걸림부(192)가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부구(134)에 연결된 플로프 암(132)에 걸어질 수 있게 제 2걸림부(194)가 형성된 작동 암(19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20010021978U 2001-07-20 2001-07-20 양변기 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02512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978U KR200251220Y1 (ko) 2001-07-20 2001-07-20 양변기 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978U KR200251220Y1 (ko) 2001-07-20 2001-07-20 양변기 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1220Y1 true KR200251220Y1 (ko) 2001-11-17

Family

ID=73082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1978U KR200251220Y1 (ko) 2001-07-20 2001-07-20 양변기 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22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184Y1 (ko) 2009-05-26 2012-01-25 이정애 절수용 양변기 레버
KR20210080972A (ko) * 2019-12-23 2021-07-01 서영섭 좌변기 절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184Y1 (ko) 2009-05-26 2012-01-25 이정애 절수용 양변기 레버
KR20210080972A (ko) * 2019-12-23 2021-07-01 서영섭 좌변기 절수장치
KR102318753B1 (ko) * 2019-12-23 2021-10-27 서영섭 좌변기 절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37291B2 (ja) 2位置式洗浄装置
US7886374B2 (en) Passively discharging and water-saving toilet bowl
JP2837131B2 (ja) 節水機能を有するトイレ排水装置
KR200401453Y1 (ko) 양변기의 세척수 2단 배수장치
KR200251220Y1 (ko) 양변기 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
US5191662A (en) Flush limiting mechanism
KR200310476Y1 (ko) 양변기용 2단 급수조절레버
KR101624316B1 (ko) 양변기의 물공급 제어장치
KR200277618Y1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100263368B1 (ko) 양변기의배수량조절장치
KR200184873Y1 (ko) 양변기의 2단 배수밸브 개폐장치
KR100809036B1 (ko) 대.소변 구분이 가능한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0372410Y1 (ko)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
KR200287466Y1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CN112443018B (zh) 便器用阀门开闭装置及具有其的热水管内变凉的热水的再利用系统
KR200198086Y1 (ko) 양변기용 절수구
KR0127588Y1 (ko) 양변기용 2단배수밸브 개폐장치
KR200335731Y1 (ko)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JPH11210043A (ja) 水洗タンク用節水具
KR200402335Y1 (ko) 변기용 절수기
KR200169266Y1 (ko) 양변기 저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100321674B1 (ko) 보일러용 보조탱크
KR0127592Y1 (ko) 양변기 저수조의 수위조절장치
KR200199263Y1 (ko) 양변기 2단배수밸브의 작동장치
KR200347170Y1 (ko)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