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410Y1 -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410Y1
KR200372410Y1 KR20-2004-0028051U KR20040028051U KR200372410Y1 KR 200372410 Y1 KR200372410 Y1 KR 200372410Y1 KR 20040028051 U KR20040028051 U KR 20040028051U KR 200372410 Y1 KR200372410 Y1 KR 2003724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ctuator
protrusion
operated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0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행철
Original Assignee
신원테크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원테크 (주) filed Critical 신원테크 (주)
Priority to KR20-2004-00280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4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4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4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2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변기 수조에 구비되는 배수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배수밸브를 대변시와 소변시에 각각 다르게 작동되게 하는 것에 의해 배수구를 통해 배수되는 물의 양을 달리하여 물의 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양변기 수조의 배수장치이다.

Description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Water saving toilet flusher}
본 고안은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변기 수조에 구비되는 배수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배수밸브를 대변시와 소변시에 각각 다르게 작동되게 하는 것에 의해 배수구를 통해 배수되는 물의 양을 달리하여 물의 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변을 보기 위해 사용되는 양변기는 용변을 마친 후 수조의 측면에 돌출 구비된 레버를 작동시키면 수조내부에 설치된 배수밸브가 개방되어 소변과 대변의 구분 없이 수조에 저장된 물의 전부가 양변기내로 배출되면서 용변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물이 배출된 상기 수조에는 다시 새로운 물이 공급되어 저장된다.
따라서, 양변기에 사용되는 물의 소모량은 항상 많을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각종 비용의 증가 및 물의 낭비가 심해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양변기에 사용되는 물의 소모량을 저감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어 왔다.
본 고안의 목적은 양변기 수조에 구비되는 배수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배수밸브를 대변시와 소변시에 각각 다르게 작동되게 하는 것에 의해 배수구를 통해 배수되는 물의 양을 달리하여 물의 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양변기 수조의 배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에 의해 수조 내의 물을 전부 배출하도록 작동하는 주요 구성품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에 의해 수조 내의 물을 전부 배출하기 위해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에 의해 수조 내의 물을 일부만 배출하기 위해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a와 도 6b는 도 6에 따른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배수밸브 102 - 하부지지체
104 - 상부지지체 110 - 작동체
112,114 - 제1,제2걸림돌기 120 - 제1개폐수단
122 - 제1부구체 124 - 제1작동돌기
130 - 제2개폐수단 132 - 제2부구체
134 - 가이드바 136 - 제2작동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양변기의 수조에 설치된 레버의 조작에 의해 배수구를 개폐하여 수조에 저장된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밸브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부로 작동되어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며 외측에는 상하측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제1,제2걸림돌기가 형성된 작동체; 상기 작동체의 하단부 외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걸림돌기에 대응되게 관통공이 형성되며 그 관통공의 외측으로는 제1지지편이 돌출되게 형성된 하부지지체와, 상기 하부지지체의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작동되게 설치되어 수조 내부의 수위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작동되는 제1부구체와, 상기 제1부구체에 어느 일측이 회전되게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관통공을 통해 하부지지체의 내부로 돌출되게 상기 제1지지편에 중간부분이 회전되게 결합되어 상기 작동체의 상하 이동시 제1걸림돌기를 걸어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게 하는 제1작동돌기로 이루어져 수조 내의 물을 완전히 배수되게 하는 제1개폐수단; 및 상기 하부지지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작동체의 상측부 외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2걸림돌기에 대응되게 관통공이 형성되며 그 관통공의 외측으로는 제2지지편이 돌출되게 형성된 상부지지체와, 상기 상부지지체의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작동되게 설치된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에 결합되어 수조 내부의 수위를 따라 상기 가이드바를 상하방향으로 작동되게 하는 제2부구체와, 상기 가이드바에 어느 일측이 회전되게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관통공을 통해 상부지지체의 내부로 돌출되게 상기 제2지지편에 중간부분이 회전되게 결합되어 상기 작동체의 상하 이동시 제2걸림돌기를 걸어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게 하는 제2작동돌기로 이루어져 수조 내의 물을 일부만 배수되게 하는 제2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양변기(10)의 후방에 수조(12)가 설치된다. 이러한 수조(12)의 내부 중앙부에는 배수밸브(100)가 설치되어 상기 수조(12)에 저장된 물을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수밸브(100)는 레버(14)와 당김끈(18)으로 연결되어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레버(14)는 수조(12)의 외부 일측에 위치되게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이러한 레버(14)의 조작에 의해 상기 당김끈(18)이 당겨지게 되어 배수밸브(100)가 배수구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조(12) 내에 저장된 물을 양변기(10)로 흘러 보내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수밸브(1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상기 레버(14)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당김끈(18)의 작동거리를 달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이용함이 좋은데, 이러한 레버에 대해서는 이미 알려져 있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상기 레버를 상부로 작동시킬 때와 하부로 작동시킬 때 각각 상기 당김끈의 작동거리를 달리하도록 구성된 레버, 혹은 상기 레버를 2개 구비하여 각각의 레버에 의해 당김끈의작동거리를 달리하도록 된 레버 등 어느 것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는 작동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작동체(110)는 상기 수조(12) 내에 구비된 배수구(16)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하단면에는 상기 배수구(16)를 밀폐되게 막을 수 있도록 패킹(116)이 설치되며 그 패킹(116)을 고정하기 위한 패킹지지대(118)가 구비된다. 이러한 작동체(110)에는 레버(14)의 조작에 의해 상부로 작동될 수 있게 당김끈(18)이 고정되는 연결고리 지지대(11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작동체(110)의 외면에는 상하측으로 위치되게 소정 간격을 두고 제1,제2걸림돌기(112,1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제2걸림돌기(112,114)는 뒤에서 설명하는 제1,제2개폐수단(120,130)에 구비되는 제1,제2작동돌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걸려 고정될 수 있게 한다.
도면 부호 (102)는 배수구(16)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체(110)의 하단부 외측으로 위치되게 설치된 하부지지체를 나타낸 것이고, (104)는 상기 하부지지체(102)의 상부로 결합되어 상기 작동체(110)의 상단부 외측으로 위치되게 설치된 상부지지체를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하부지지체(102)와 상부지지체(104)의 외측에 뒤에서 설명하는 제1,제2개폐수단(120,130)이 설치되어 그 하부지지체(102)와 상부지지체(104)의 내부에 설치되어 작동하는 상기 작동체(110)를 작동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제1개폐수단(120)과 제2개폐수단(13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개폐수단(120)은 하부지지체(102)의 외측으로 설치되어 수조(12)에 채워진 물의 전부를 배수될 수 있게 하여 대변시에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제2개폐수단(130)은 상부지지체(104)의 외측으로 설치되어 수조(12)에 채워진 물의 일부만이 배수될 수 있게 하여 소변시에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제2개폐수단(120,130)은 상기 작동체(110)의 이동 거리에 따라 각각 다른 위치에서 상기 작동체(110)를 고정하도록 하여 수조(12)에 채워진 물이 배수되는 양에 따라 그 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배수구(16)를 개폐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에 의해 수조 내의 물을 전부 배출하도록 작동하는 주요 구성품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에 의해 수조 내의 물을 전부 배출하기 위해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제1개폐수단(120)은 작동체(110)의 하단부 외측으로 설치되는 하부지지체(102)를 구비하고 있다. 이 하부지지체(102)는 상기 작동체(110)에 구비된 제1걸림돌기(112)에 대응되게 관통공이 형성되며 그 관통공의 외측으로 제1지지편(102a)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체(102)의 외측에는 상하로 작동되는 제1부구체(122)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제1부구체(122)는 수조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작동된다. 즉, 상기 제1부구체(122)가 상부로 이동되게 작동하는 것은 수조(12)에 채워져 있는 물의 부력에 의해 작동되고, 하부로 이동되게 작동하는 것은 수조(12)에채워져 있는 물이 완전히 배수되면 자중에 의해 하부로 작동된다.
이와 같은 제1부구체(122)의 상하작동에 의해 상기 제1걸림돌기(112)에 걸려 고정되게 하거나 혹은 해제하기 위한 제1작동돌기(124)를 상기 하부지지체(102)에 구비된 제1지지편(102a)에 회전되게 설치되는데, 상기 제1작동돌기(124)는 어느 일측이 상기 제1부구체(122)에 회전되게 핀(124a)으로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하부지지체(102)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하부지지체(102)의 내부로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편(102a)에 제1작동돌기(124)의 중간부분이 핀(124b)으로 회전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제1개폐수단(120)은 제1부구체(122)가 상하 방향으로 작동하는 것에 의해 제1작동돌기(124)가 상기 작동체(110)에 형성된 제1걸림돌기(112)를 걸어 고정되거나 혹은 해제되게 작동하는 것으로, 이를 자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레버(14)의 조작에 의해 당김끈(18)이 당겨지면서 그 당김끈(18)과 연결된 연결고리 지지대(119)가 당겨져 상기 작동체(110)가 도 4의 "D"로 나타낸 거리 만큼 상부로 이동되면서 배수구(16)를 개방하게 되어 수조에 채워진 물을 배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부구체(122)는 수조(12)에 채워져 있는 물의 부력에 의해 상부로 회동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작동체(110)가 상부로 이동되어 그 작동체(110)에 형성된 제1걸림돌기(112)가 상기 제1부구체(122)에 결합된 제1작동돌기(124)에 걸려 고정된다. 따라서, 수조(12)에 채워진 물의 배수가 완전히 이루어지기 전에는 상기 제1부구체(122)가 하부로 이동되지 않게 되므로 물의 배수가 완전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물의 배수가 완전하게 이루어지면 상기 제1부구체(122)는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면서 제1걸림돌기(112)에 고정되어 있던 제1작동돌기(124)가 회동되면서 그 고정상태를 해제한다. 이러한 작동은 뒤에서 설명하는 제2개폐수단(130)에 구비되는 제2작동돌기(136)와 동일한 작동을 함에 의해 뒤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같이 상기 작동체(110)의 고정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배수구(16)를 막게 되는데, 이와 같이 제1개폐수단(120)에 의해 작동하는 것은 수조(12)에 채워져 있는 물이 완전하게 배수되므로 대변시에 이용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에 의해 수조 내의 물을 일부만 배출하기 위해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a와 도 6b는 도 5에 따른 제2작동돌기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제2개폐수단(130)은 상기 작동체(110)의 상측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2걸림돌기(114)를 걸어 고정하거나 해제하도록 작동하는 제2작동돌기(136)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2작동돌기(136)는 물의 부력 및 수위에 따라 작동되는 제2부구체(132)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동 작동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부구체(132)에는 가이드바(134)가 설치되고, 그 가이드바(134)는 상기 상부지지체(104)의 외측으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바(134)가 물의 부력에 의해 작동하는 제2부구체(132)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2작동돌기(136)를 회동 작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2작동돌기(136)의 어느 일측은 상기 가이드바(134)에 회전될 수 있게 핀(136a)으로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상부지지체(104)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상부지지체(104)의 내부로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지지체(104)에 형성된 제2지지편(104a)에 제2작동돌기(136)의 중간부분이 회전될 수 있게 핀(136b)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2부구체(132)가 작동되면서 가이드바(134)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핀(136b)을 기준으로 제2작동돌기(136)를 회전되게 작동시킨다.
또한, 상기 제2작동돌기(136)가 상부지지체(104)의 내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돌출부분(136c)은 곡면(라운드)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이러한 돌출부분(136c)에 의해 상기 제2걸림돌기(114)가 걸려 고정되게 하거나 혹은 해제되게 한다. 즉, 상기 작동체(110)가 도 5의 "d"로 나타낸 거리 만큼 상부로 이동되면 그 작동체(110)에 구비된 제2걸림돌기(114)가 상기 제2작동돌기(136)의 돌출부분(136c)을 지나 그 돌출부분(136c)의 상부에서 걸려 고정되고, 또 물의 배수가 이루어져 상기 제2부구체(132)에 의해 가이드바(134)가 하부로 이동되게 되면 상기 제2작동돌기(136)가 제2지지편(104a)에 결합된 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제2걸림돌기(114)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도 6a 와 도 6b 참조).
또한, 상기 제2개폐수단(130)에는 상기 가이드바(134)의 외측으로는 요홈(138)들을 더 형성하고 그 요홈(138)들의 임의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걸려 고정되는 고정턱(139)을 상기 제2부구체(132)에 형성하여 가이드바(134)와 제2부구체(132)를 결합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제2부구체(132)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2부구체(132)의 높낮이 조절에 따라 수조 내의 물이 배수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2개폐수단(130)에 의한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레버(14)의 조작에 의해 상기 작동체(110)가 상부로 이동되면 상기 작동체(110)에 구비된 제2걸림돌기(114)가 제2작동돌기(136)의 돌출부분(136c)을 지나 상부로 위치되게 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물의 배수가 이루어져 배수되는 물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그 수위에 따라 제2부구체(132)가 하부로 내려가게 되고, 이때 상기 제2작동돌기(136)가 제2지지편(104a)에 핀(136b)으로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작동되면서 그 제2작동돌기(136)에 고정되어 있던 제2걸림돌기(114)의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물의 배수가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작동체(110)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게 됨에 따라 작동체(110)는 하부로 이동되어 배수구(16)를 막을 수 있어 수조에 채워진 물의 일부만을 배수되게 한다. 이와 같이 제2개폐수단(130)에 의해 작동하는 것은 수조(12)에 채워져 있는 물의 일부만을 배수시킴으로써 소변시에 이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개폐수단(130)에 의해 고정되기 위한 작동체(110)가 이동되는 높이(d)는 상기 제1개폐수단(120)에 의해 고정되기 위해 작동체(110)가 이동하는 높이(D) 보다 낮다. 즉, 상기 작동체(110)가 도 5에 나타낸 이동거리(d) 만큼 낮게 이동되면 제2개폐수단(130)에 고정되고, 상기 작동체(110)가 도 4에 나타낸 이동거리(D) 만큼 높게 이동되면 제1개폐수단(120)에 고정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상기 작동체(110)의 이동 거리를 선택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것은 이미 알려져 있는 이중의 레버를 이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체(110)가 낮게 이동되어 제2개폐수단(130)의 제2작동돌기(136)에 제2걸림돌기(114)가 고정될 때에는 상기 제1개폐수단(120)의 제1작동돌기(124)에는 제1걸림돌기(112)가 고정되지 않음에 따라 제2개폐수단(130)의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체(110)가 높게 이동되어 제1개폐수단(120)에 고정될 때에는 제2개폐수단(130)이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물의 배수에 따라 낮아지는 수위에 의해 이미 제2개폐수단(130)의 제2부구체(132)가 하부로 작동되어 제2작동돌기(136)에 고정되어 있는 제2걸림돌기(114)의 고정상태를 해제한 상태이고, 이 상태에서도 제1개폐수단(120)의 제1걸림돌기(112)는 제1작동돌기(124)에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물의 배수가 완전하게 이루어지기 전에는 작동체(110)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작동체(110)의 이동 거리를 달리하는 것에 의해 대변시와 소변시에 각각 개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양변기 수조에 구비되는 배수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배수밸브를 대변시와 소변시에 각각 다르게 작동되게 하는 것에 의해 배수구를 통해 배수되는 물의 양을 달리하여 물의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양변기의 수조에 설치된 레버의 조작에 의해 배수구를 개폐하여 수조에 저장된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밸브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부로 작동되어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며 외측에는 상하측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제1,제2걸림돌기가 형성된 작동체;
    상기 작동체의 하단부 외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걸림돌기에 대응되게 관통공이 형성되며 그 관통공의 외측으로는 제1지지편이 돌출되게 형성된 하부지지체와, 상기 하부지지체의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작동되게 설치되어 수조 내부의 수위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작동되는 제1부구체와, 상기 제1부구체에 어느 일측이 회전되게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관통공을 통해 하부지지체의 내부로 돌출되게 상기 제1지지편에 중간부분이 회전되게 결합되어 상기 작동체의 상하 이동시 제1걸림돌기를 걸어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게 하는 제1작동돌기로 이루어져 수조 내의 물을 완전히 배수되게 하는 제1개폐수단; 및
    상기 하부지지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작동체의 상측부 외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2걸림돌기에 대응되게 관통공이 형성되며 그 관통공의 외측으로는 제2지지편이 돌출되게 형성된 상부지지체와, 상기 상부지지체의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작동되게 설치된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에 결합되어 수조 내부의 수위를 따라 상기 가이드바를 상하방향으로 작동되게 하는 제2부구체와, 상기 가이드바에 어느 일측이 회전되게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관통공을 통해 상부지지체의 내부로 돌출되게 상기 제2지지편에 중간부분이 회전되게 결합되어 상기 작동체의 상하 이동시 제2걸림돌기를 걸어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게 하는 제2작동돌기로 이루어져 수조 내의 물을 일부만 배수되게 하는 제2개폐수단을 포함하는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
KR20-2004-0028051U 2004-10-04 2004-10-04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 KR2003724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051U KR200372410Y1 (ko) 2004-10-04 2004-10-04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051U KR200372410Y1 (ko) 2004-10-04 2004-10-04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410Y1 true KR200372410Y1 (ko) 2005-01-14

Family

ID=49444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051U KR200372410Y1 (ko) 2004-10-04 2004-10-04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41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919B1 (ko) 2013-07-05 2013-09-10 (주)빅하우스 간이상수도용 계곡수 공급 자동제어장치
KR101347322B1 (ko) 2011-04-22 2014-01-03 이광철 상하이동식 자기력 밸브 장치
KR102113669B1 (ko) * 2019-09-03 2020-06-02 손정우 변기밸브 개폐장치
KR20210028827A (ko) * 2019-09-05 2021-03-15 송태광 대소변 구분 절수 플러쉬밸브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322B1 (ko) 2011-04-22 2014-01-03 이광철 상하이동식 자기력 밸브 장치
KR101306919B1 (ko) 2013-07-05 2013-09-10 (주)빅하우스 간이상수도용 계곡수 공급 자동제어장치
KR102113669B1 (ko) * 2019-09-03 2020-06-02 손정우 변기밸브 개폐장치
WO2021045349A1 (ko) * 2019-09-03 2021-03-11 진명홈바스(주) 변기밸브 개폐장치
KR20210028827A (ko) * 2019-09-05 2021-03-15 송태광 대소변 구분 절수 플러쉬밸브
KR102258606B1 (ko) * 2019-09-05 2021-05-31 송태광 대소변 구분 절수 플러쉬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33309C (en) Dual flush mechanism
US7886374B2 (en) Passively discharging and water-saving toilet bowl
KR200372410Y1 (ko)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
US20070143913A1 (en) Auxiliary water tank device for toilet stool
KR200347170Y1 (ko)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
KR200277618Y1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040086075A (ko) 절수형 양변기
KR200184873Y1 (ko) 양변기의 2단 배수밸브 개폐장치
KR100993058B1 (ko)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
KR100664910B1 (ko) 양변기
JP3612957B2 (ja) 便器用洗浄水タンク装置
KR200344345Y1 (ko)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
KR102073234B1 (ko) 대소변 구분이 가능한 변기용 밸브
KR200251220Y1 (ko) 양변기 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102550829B1 (ko) 양변기의 플러시밸브 장치
KR101009369B1 (ko) 수세식변기용 절수기
JP3383899B2 (ja) フロート弁
KR960016757B1 (ko) 좌변기용 물탱크의 자동배수장치
KR200187603Y1 (ko)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KR101905859B1 (ko) 수직트랩 양변기
JP2002088882A (ja) 大便器
KR200402335Y1 (ko) 변기용 절수기
KR200251243Y1 (ko) 양변기의 배수량조절장치
KR200199263Y1 (ko) 양변기 2단배수밸브의 작동장치
DK2175077T3 (en) Rinse locker stuffed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