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322B1 - 상하이동식 자기력 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상하이동식 자기력 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322B1
KR101347322B1 KR1020110095294A KR20110095294A KR101347322B1 KR 101347322 B1 KR101347322 B1 KR 101347322B1 KR 1020110095294 A KR1020110095294 A KR 1020110095294A KR 20110095294 A KR20110095294 A KR 20110095294A KR 101347322 B1 KR101347322 B1 KR 101347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supply pipe
water
valve devic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9967A (ko
Inventor
이대진
이광철
Original Assignee
이광철
이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철, 이대진 filed Critical 이광철
Publication of KR20120119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12Flushing device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03D1/35Flushing valves having buoya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2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 F16K3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with the float rigidly connected to the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고, 양변기의 용변 세척력을 높일 수 있으며, 수조의 세척수 저장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밸브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장치는, 수조 내의 세척수를 몸체로 배출하기 위한 물마개를 가지는 수조, 및 용변을 배출하는 몸체를 포함하는 양변기에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밸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세척수를 상기 수조에 공급하는 메인 급수관; 상기 공급관과 상기 메인 급수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세척수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급수 개폐부; 상기 급수 개폐부의 일측에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수조에 저장되는 상기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상하 이동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플로팅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급수 개폐부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에 따라 개폐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탄성 부재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고, 상기 플로팅부에 의해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하이동식 자기력 밸브 장치{ELECTROMAGNETIC VALVE DEVICE}
본 발명은 밸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양변기에 공급되는 세척수 공급 제어에 사용하기 위한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변기는 세척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수조와 수조의 하부에 설치되는 변기 본체로 이루어지고, 세척수는 수조에 설치된 세척 레버의 작동에 의해 물마개가 열리게 되면 변기 본체 측으로 배출되어 용변과 함께 하수도 측으로 배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양변기는 수조와 변기 본체가 분리되어 있는 투피스(two-piece) 양변기와 수조와 변기 본체가 일체로 형성된 원피스(one-piece) 양변기로 구별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원피스 양변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반적인 투피스 양변기의 경우에는 수조와 변기 본체가 서로 분리되고, 수조가 변기 본체에 대하여 매우 높이 위치한다. 따라서, 세척수가 강한 압력과 세기를 가지고 수조로부터 변기로 배출되므로 용변을 충분히 세척할 수 있다. 하지만, 원피스 양변기는 사이즈를 작게 제작할 수 있고 외관이 보다 미려하며 소음이 작은 장점은 있으나, 수조(20)의 높이가 투피스 양변기의 경우보다 낮으므로 세척수가 변기로 약하게 배출된다. 따라서, 충분한 세기로 용변을 세척할 수 없고 양변기 세척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변기 본체(10)의 배수구(11) 하측에 보조 배수구(12)를 형성하고, 수조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의 일부가 보조 배수구(12)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부족한 세척력을 보완할 수 있다. 즉 세척수가 배수구(11) 및 보조 배수구(12)로 동시에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세척력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을 수 있고, 용변 세척 후에 물마개(22)가 폐쇄된 후에는 세척이 이루어지지 않아 최적의 용변 세척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더하여, 사용량에 따라 수조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양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이를 조절하기 쉽지 않고 이를 위한 추가적인 구성이 필요하거나 변기의 구조를 변경해야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수위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부구와 부구 레버에 의해 세척수 공급을 개폐하는 일반적인 양변기는 부구 레버의 회전에 의해 세척수 공급 수로를 차단한다. 이때, 부구 레버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수로 차단 수단을 물리적으로 가압하는데, 지속적인 동작에 의하여 기계적 손상이 발생하기 쉽고,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그 정도가 심해져 제품 수명이 급격하게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밸브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변기의 용변 세척력을 높일 수 있는 밸브 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조의 세척수 저장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밸브 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수의 유량 비율을 확실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밸브 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장치는, 수조 내의 세척수를 몸체로 배출하기 위한 물마개를 가지는 수조, 및 용변을 배출하는 몸체를 포함하는 양변기에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밸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세척수를 상기 수조에 공급하는 메인 급수관; 상기 공급관과 상기 메인 급수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세척수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급수 개폐부; 상기 급수 개폐부의 일측에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수조에 저장되는 상기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상하 이동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플로팅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급수 개폐부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에 따라 개폐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탄성 부재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고, 상기 플로팅부에 의해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개폐부는, 상기 공급관과 상기 메인 급수관을 연결하는 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수로의 일측에 밀폐부가 형성되는 바디; 차단판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수로와 상기 밀폐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판형상의 차단판; 및 상기 차단판을 관통하는 보조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판 돌출부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제1 보조판공이 형성되며, 제2 보조판공이 관통 형성되는 판형상의 보조판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보조판공의 개폐에 의한 상기 밀폐부와 상기 수로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차단판이 변형되어 상기 수로를 개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수 개폐부는, 상기 제1 보조판공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보조판공을 개폐하는 차단봉; 및 상기 차단봉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운동하는 관형상의 슬라이드 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수 개폐부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결합되는 구속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속 부재는 상기 슬라이드 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차단봉은 상기 구속 부재와의 자기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수 개폐부는, 상기 제1 보조판공과 마주하도록 상기 차단봉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수 개폐부는, 상기 차단봉 하측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수 개폐부와 상기 메인 급수관의 사이에 배치되는 유량 조절부; 및 상기 유량 조절부에 연결되는 보충수 급수관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급수 개폐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세척수는 상기 유량 조절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메인 급수관 및 상기 보충수 급수관으로 각각 공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량 조절부는, 상기 보충수 급수관 및 상기 메인 급수관으로 분기되는 상기 세척수의 비율을 조절하는 개폐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량 조절부는, 상기 개폐 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의 일단에 맞물림되고, 왕복 이동에 의해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는 이동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플로팅부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에 의해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량 조절부는, 상기 회전 부재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 부재의 정지 위치에서 상기 회전 부재의 우발적 이동을 제한하는 가압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보충수 급수관 및 상기 메인 급수관을 연결하는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 일부의 내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보충수 급수관 및 상기 메인 급수관에 각각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부재의 하부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하부를 관통하고, 상기 이동 부재와 슬라이딩 부재의 사이에 탄성체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량 조절부는, 상기 개폐 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그립 회전 부재; 상기 그립 회전 부재의 일측에 배치되는 메인 가이드부; 및 상기 메인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메인 가이드 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 회전 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홈, 및 상기 메인 가이드 이동 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홈 걸림부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서브 가이드 이동 부재; 상기 메인 가이드부와 상기 메인 가이드 이동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가이드 이동 부재에 상부 측으로 외력을 가하는 메인 가이드 탄성 부재; 및 상기 메인 가이드부와 상기 서브 가이드 이동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서브 가이드 이동 부재에 하부 측으로 외력을 가하는 메인 가이드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가이드 이동 부재와 상기 서브 가이드 이동 부재가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그립 회전 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 홈, 및 상기 서브 가이드 이동 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 홈 걸림부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충수 급수관은 30 내지 100%, 및 상기 메인 급수관은 30 내지 100% 개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플로팅부의 상부 이동을 제한하는 수위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 외면의 적어도 일부에 요철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위 조절 부재는 상기 요철홈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위 조절 부재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요철홈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력을 넘어서는 외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척수를 포집할 수 있도록, 하부벽과 측부벽을 가지고 상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플로팅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장치는, 수조로의 세척수 공급 및 차단에 있어서 과압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시간 지연에 의해 양변기의 용변 세척력을 높일 수 있으며, 수조의 설치 시는 물론 설치 후에도 추가 구성 또는 설계 변경 없이 수조의 세척수 저장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세척수의 유량 비율을 확실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품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원피스 양변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정면도,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측면도,
도 2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개폐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급수 개폐부의 분해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차단봉의 슬라이딩 이동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급수 개폐부의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를 이용한 양변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를 이용한 양변기의 수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별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정면도,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측면도, 도 2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개폐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는 급수 개폐부(400), 유량 조절부(200), 및 플로팅부(500)를 포함한다.
세척수가 공급되는 통로인 공급관(110)은 급수 개폐부(400)에 연결되는데, 급수 개폐부(400)는, 하부로 돌출되는 막대 형상의 슬라이드 관(460)을 포함한다. 급수 개폐부(400)는 유량 조절부(200)와 연결되며, 유량 조절부(200)의 일측에는 보충수 급수관(130)이, 그리고, 유량 조절부(200)의 하측에는 메인 급수관(120)이 연결된다. 따라서, 공급관(110)으로부터 유입되는 세척수는 급수 개폐부(400)를 지나 유량 조절부(200)를 통과하면서 메인 급수관(120) 및 보충수 급수관(130)으로 분리되어 유동한다.
유량 조절부(200)는 회전 부재(210), 이동 부재(220), 개폐 부재(240)를 포함하는데, 개폐 부재(240)에는 두 개의 관통공(241)이 형성되고, 개폐 부재(240)의 회전에 따라 메인 급수관(120) 및 보충수 급수관(13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개폐 부재(240)가 메인 급수관(120)과 보충수 급수관(130)이 분기되는 지점에서 회전함으로써, 메인 급수관(120)과 보충수 급수관(130)으로 분기되는 세척수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회전 부재(210)는 개폐 부재(24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개폐 부재(240)에 결합된다. 이동 부재(220)에는 슬릿(221)이 관통 형성되는데, 슬릿(221)이 걸림부(230)에 결합됨으로써 이동 부재(220)는 걸림부(23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회전 부재(210)의 일단은 이동 부재(220)의 일측과 맞물림 결합되는데, 이에 따라 이동 부재(220)의 이동에 의해 회전 부재(210)가 회전할 수 있고, 회전 부재(210)와 연결되는 개폐 부재(240) 또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회전 부재(210)의 타단에는 가압 탄성 부재(211)가 결합되는데, 가압 탄성 부재(211)는 회전 부재(210)를 가압함으로써 이동 부재(220)가 제멋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300)는 슬라이딩 부재(310), 슬라이딩 고리(320), 수위 조절 부재(340)를 포함하고, 급수 개폐부(400) 일측에 배치된다. 슬라이딩 고리(320)는 상하로 관통되어 급수 개폐부(400)의 일측에 고정되고, 막대 형상의 슬라이딩 부재(310)는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고리(320)에 삽입된다. 슬라이딩 부재(310)의 하단에는 이동 부재(220)를 밀어 이동시키고, 하기의 구속 부재(450)가 고정되는 판 부재(350)가 결합된다. 슬라이딩 부재(310)의 일측에는 슬라이딩 고리(320)에 걸릴 수 있도록 돌출부(312)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딩 부재(310)의 하강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슬라이딩 고리(320)와 판 부재(350)의 사이에는 슬라이딩 탄성 부재(330)가 배치되어 슬라이딩 부재(320)를 하부로 밀어내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슬라이딩 부재(310)의 상측 외면에는 복수의 요철홈(311)이 형성되고, 수위 조절 부재(340)가 요철홈(311)의 외측에 결합된다.
수위 조절 부재(340)는 슬라이딩 부재(310)를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고, 수위 조절 부재(340)의 내측에 형성되는 고정핀(미도시)이 요철홈(311)에 걸림으로써 위치 고정될 수 있다.
플로팅부(500)는 슬라이딩 부재(310)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부재(310)에 끼움 결합된다. 플로팅부(500)는 수위 조절 부재(340)에 의해 상부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플로팅부의 외측에는 상부가 개방되는 저장부(510)가 형성된다. 판 부재(350)는 하기의 슬라이드 관(46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관(460)에 끼움 결합된다. 또한, 플로팅부(500)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드 관(460) 내부에 자기력을 미칠 수 있도록, 구속 부재(450)는 슬라이드 관(460)에 근접 위치하여 판 부재(350)에 고정 결합된다. 이때, 이동 부재(220)가 플로팅부(500)와 판 부재(350)의 사이에 배치되므로, 플로팅부(500)는 이동 부재(220)를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고, 판 부재(350)는 이동 부재(220)를 상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장치는, 수위 조절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수위 조절 부재(340)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가능하다. 즉, 슬라이딩 부재(310)를 따라 수위 조절 부재(340)를 이동시키면 고정핀이 요철홈(311)을 따라 탄성 변형되고, 수위 조절 부재(340)를 고정 위치에 정지시키면 고정핀의 탄성력에 의해 요철에 맞물림 고정된다. 따라서, 수조의 세척수 저장 수위를 높이고 싶은 경우에 수위 조절 부재(340)를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반대의 경우에는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으며, 수위 조절 부재(340)의 이동 고정에 의해 플로팅부(500)의 이동 범위를 조절함으로써 수위 조절이 매우 신속하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급수 개폐부의 분해 사시도,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차단봉의 슬라이딩 이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급수 개폐부(400)는 차단판(420), 보조판(430), 커버(440), 슬라이드 관(460), 및 구속 부재(450) 및 차단봉(470)을 포함한다.
차단판(420)은 가장자리를 따라 테두리가 형성되는 원판형상을 가지고, 중심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소정 거리에, 그리고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복수의 차단판공(421)이 형성된다. 차단판공(421)의 하부에는 소정 깊이로 함몰부가 형성되는데, 함몰부는 각각의 차단판공(421) 하부를 모두 거쳐 연결하도록, 차단판(410)의 중심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일정 거리에 링형상으로 함몰 형성된다.
보조판(430)은 원판 형상으로 가지고, 가장자리를 따라 단턱이 형성되며, 단턱의 단부에서 보조판(430)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테두리가 돌출 형성되는 형상을 가진다. 보조판(430)의 중앙에는 보조판 돌출부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보조판 돌출부를 상하부로 관통하도록 제1 보조판공(431)이 형성된다. 보조판 돌출부는 차단판(420)의 하부로부터 관통하여 끼움 결합되는데, 이때, 차단판(420)의 함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보조판공(432)이 형성된다. 따라서, 보조판(430)이 차단판(4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제2 보조판공(432)은 항상 함몰부와 마주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커버(440)는 가장자리를 따라 단턱이 지고, 중심부가 관통되는 원판형상을 가지고, 하부에는 내부가 빈 통형상의 슬라이드 관(460)이 결합된다. 이때, 슬라이드 관(460)의 내부에는 슬라이드 관(46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차단봉(470)이 삽입되는데, 차단봉(470)의 상부에는 접촉부(471)가 결합되어, 접촉부(471)가 제1 보조판공(431)과 마주하여 위치할 수 있다. 차단봉(470)의 재질은 금속일 수 있으며, 자기력에 의해 외력을 받을 수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무관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단판(420) 및 접촉부(471)의 재질은 고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을 가지는 어떠한 재질이라도 가능하다.
차단판(420)의 상부에는 우회관(410)이 위치하는데, 우회관(410)은 유량 조절부(200) 측으로 통하도록 형성된다. 우회관(410)의 단부는 차단판(420)의 상부와 서로 마주하여 위치하는데, 공급관(110)을 통하여 공급되는 세척수가 우회관(410)의 단부와 차단판(420)의 사이를 지나 우회관(410)으로 유입되어 유량 조절부(200)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차단봉(470)은 슬라이드 관(460)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는데, 이는 판 부재(350)에 위치하는 구속 부재(450)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속 부재(450)는 링형상을 가지고, 슬라이드 관(460)을 감싸도록 판 부재(350)에 결합되는데, 이때, 차단봉(470)은 구속 부재(450)가 미치는 자기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즉, 판 부재(350)가 슬라이드 관(460)을 따라 이동하면, 판 부재(350)와 함께 이동하는 구속 부재(450)를 따라 차단봉(470) 또한 슬라이딩 이동한다. 또한, 슬라이드 관(460) 내부의 하단에는 탄성 부재(461)를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차단봉(470)이 구속 부재(450)가 미치는 자기력으로부터 이탈하여 슬라이드 관(460) 하단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단봉(470) 및 구속 부재(450)의 재질은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레스강(304) 또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421~43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식성을 가지고 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가질 수 있는 어떠한 재질이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차단봉(470)을 금속재질로 제작하고 구속 부재(450)를 자기력을 갖는 자석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급수 개폐부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차단봉(470)이 차단판공(421)으로부터 이격되어 차단판공(421)이 개방된 상태에서, 공급관(110)으로 유입되는 세척수는 우회관(410)의 단부와 차단판(420)의 사이를 통과하여 유량 조절부(200) 측으로 유동한다.
이때, 도 5b를 참조하면, 차단봉(470)이 상승하여 제1 보조판공(431)이 접촉부(471)에 의해 폐쇄될 때, 커버(440)와 보조판(430) 사이 공간의 압력이 상승하고, 차단판(420)과 보조판(430) 사이에 세척수가 급격히 유입된다. 따라서, 차단판(420)의 일부가 우회관(410) 측을 향하여 변형되고, 우회관(410)의 단부와 차단판(420)이 서로 맞닿아 밀폐됨으로써, 세척수는 유량 조절부(200) 측으로의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차단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를 이용한 양변기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를 이용한 양변기의 수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는, 수조(900) 내의 상수도 공급관(910)에 장착될 수 있는데, 공급관(110)은 의해 상수도 공급관(910)에 연결되고, 보충수 급수관(130)은 호스(941)에 의해 보충수 배수관(940)에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장치는, 투피스 양변기에도 장착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보충수 급수관(130)은 오버플로우 배수관에 연결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하, 도 6a, 도 6b, 및 도 7a 내지 도 7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수조(900)의 최대 저수 상태에서, 부력에 의해 플로팅부(500)가 최고 높이에 위치한다. 플로팅부(500)가 수위 조절 부재(340)를 밀어 올린 상태로서, 수위 조절 부재(340)가 고정되는 슬라이딩 부재(310) 또한 최고 높이에 위치한다. 이동 부재(220)는 판 부재(350)에 의해 상부로 밀려 이동한 상태이며, 이에 따라 회전한 회전 부재(210) 및 개폐 부재(240)에 의해 메인 급수관(120)은 0%, 그리고 보충수 급수관(130)은 100% 개방된 상태이다. 또한, 판 부재(350)와 함께 이동하는 차단봉(470)의 접촉부(471)에 의해 제1 보조판공(431)이 폐쇄되어 있으므로, 세척수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세척 레버(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물마개(930)가 개방되면, 수조(900)에 저장된 세척수가 배수구(810) 및 보조 배수구(811)를 통해 배출되면서 몸체(800) 내의 용변을 세척한다. 수조(900) 내의 수위가 점진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플로팅부(500)는 서서히 하강하고, 슬라이딩 부재(310)도 슬라이딩 탄성 부재(330)에 의해 하강하는데, 돌출부에 의해 저지되는 위치까지 하강한다. 차단봉(470)이 판 부재(350)와 함께 하강하여 차단판공(421)이 개방되며, 공급관(110)을 통과하는 세척수가 우회관(410)을 지나 보충수 급수관(130) 측으로 공급된다. 하지만, 이동 부재(220)는 가압 탄성 부재(211)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는 회전 부재(210)에 맞물려 있으므로,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메인 급수관(120)은 0%, 그리고 보충수 급수관(130)은 100%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며, 보충수 급수관(130) 및 보충구 배수관(940)을 통하여 배수구(810) 및 보조 배수구(811)에 세척수를 공급한다.
도 7c를 참조하면, 플로팅부(500)의 하강에 따라 플로팅부(500)가 이동 부재(220)를 하부로 가압하기 시작하는데, 가압 탄성 부재(211)의 탄성력을 넘어서는 외력에 의해 이동 부재(220)가 이동하고, 회전 부재(210) 또한 이를 따라 회전한다. 플로팅부(500)가 지속적으로 하강함에 따라 회전 부재(210)는 회전을 계속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메인 급수관(120)의 개방 비율은 30%로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보충수 급수관(130)의 개방 비율은 100%로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한다. 하강하는 플로팅부(500)는 최하부에서 멈춰 위치하는데, 이때 메인 급수관(120)은 100%, 그리고 보충수 급수관(130)은 30% 개방된 상태이며, 물마개(930)는 폐쇄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 탄성 부재(211)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플로팅부(500)가 회전 부재(210)에 압력을 가하기 시작하면, 가압 탄성 부재(211)에 의해 회전 부재(210)가 하부로 순간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d를 참조하면, 물마개(930)가 폐쇄됨에 따라 메인 급수관(120)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에 의해 수조(900)의 수위가 높아지기 시작하고, 플로팅부(500)는 부력에 의해 상승을 시작한다. 이때, 플로팅부(500)는 슬라이딩 부재(3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고, 회전 부재(210)는 가압 탄성 부재(211) 의해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는다. 즉, 플로팅부(500)가 계속 상승함에도 메인 급수관(120)은 100%, 그리고 보충수 급수관(130)은 30%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며, 각각 수조(900), 및 보충수 배수관(940)으로 세척수를 공급한다.
도 7e를 참조하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플로팅부(500)는 수위 조절 부재(340)에 맞닿게 된다. 이때, 플로팅부(500)에 가해지는 부력에 의해 플로팅부(500)는 수위 조절 부재(340), 즉 슬라이딩 부재(310)를 상측으로 가압한다. 하지만, 슬라이딩 부재(310)는 슬라이딩 탄성 부재(330)의 탄성력에 의해 구속되어 이동하지 않고, 플로팅부(500) 또한 이동 제한된다. 수위가 더욱 높아짐에 따라 플로팅부(500)는 세척수에 더욱 깊게 잠기게 되고, 이에 따라 플로팅부(500)에 가해지는 부력이 점차 커지게 된다. 부력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따라 슬라이딩 탄성 부재(330)의 탄성력보다 커지게 되면, 슬라이딩 부재(310)는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판 부재(350)는 이동 부재(220)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회전 부재(210) 또한 회전하게 되고, 메인 급수관(120)은 30%, 그리고 보충수 급수관(130)은 100% 개방되는 상태로 된다. 상승하는 플로팅부(500)는 최상부에서 멈춰 위치하는데, 차단봉(470)의 접촉부(471)에 의해 차단판공(421)이 폐쇄됨으로써 세척수의 공급이 차단된다. 한편, 폴로팅부(500)의 일부가 세척수에 잠길 때, 저장부(510)에 세척수가 포집되는데, 이로 인하여 플로팅부(500)의 하강시에 확실하고 신속한 하강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장치에 따르면, 물마개(930) 개방 시는 물론, 물마개(930) 폐쇄 후에도 보충수 배수관(940)을 통하여 몸체(800)의 배수구(810) 및 보조 배수구(811)에 지속적으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용변 세척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별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동 부재(220)의 하부가 판 부재(350)를 관통하고, 탄성체(600)를 배치한다. 메인 급수관(120)은 100%, 그리고 보충수 급수관(130)은 30%의 개방 상태에서, 플로팅부(500)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310)가 상승할 때 이동 부재(220)가 바로 이동하지 않고, 탄성체(600)에 의해 시간 지연 이동한다. 따라서, 보충수 급수관의 30% 개방 상태 시간이 연장되므로, 시간 지연만큼 보충수 급수관을 통하여 낭비될 수 있는 세척수의 양을 절약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그립 회전 부재(610)는 원판 형상을 가지고 모서리부에 제1 홈(611), 및 제2 홈(612)이 함몰 형성되며, 개폐 부재(24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개폐 부재(240)에 연결된다. 메인 가이드부(620)는 메인 가이드부(620)는 유량 조절부(200)와 슬라이딩 부재(310) 사이에 고정되고, 내측에 메인 가이드부 돌출부(621)가 돌출 형성된다. 메인 가이드 이동 부재(630)는 상하로 슬릿이 형성되는 판형상을 가지고, 슬릿이 메인 가이드 돌출부(62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메인 가이드부(620)에 삽입된다. 메인 가이드 이동 부재(630)의 슬릿에 메인 가이드 탄성 부재(632)가 삽입되고, 메인 가이드 이동 부재(630)의 일측에는 제1 홈(611)에 맞물릴 수 있도록 제1 홈 걸림부(631)가 돌출 형성된다. 서브 가이드부(640)는 메인 가이드부(620)에 고정되고, 서브 가이드 이동 부재(650)는 서브 가이드부(640)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서브 가이드 이동 부재(650)에 삽입된다. 서브 가이드 이동 부재(650)와 서브 가이드부(640) 사이에는 서브 가이드 탄성 부재(652)가 배치되고, 서브 가이드 이동 부재(650)의 상부에는 그립 회전 부재(610)의 회전, 및 서브 가이드 이동 부재(650)의 이동에 따라 제2 홈(612)에 맞물릴 수 있도록 제2 홈 걸림부(651)가 돌출 형성된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수조(900)의 최대 저수 상태에서, 부력에 의해 플로팅부(500)가 최고 높이에 위치한다. 플로팅부(500)가 수위 조절 부재(340)를 밀어 올린 상태로서, 수위 조절 부재(340)가 고정되는 슬라이딩 부재(310) 또한 최고 높이에 위치한다. 서브 가이드 이동 부재(650)는 판 부재(350)에 의해 상부로 밀려 이동한 상태이며, 이에 따라 회전한 그립 회전 부재(610) 및 개폐 부재(240)에 의해 메인 급수관(120)은 30%, 그리고 보충수 급수관(130)은 100% 개방된 상태이다. 또한, 판 부재(350)와 함께 이동하는 차단봉(470)의 접촉부(471)에 의해 제1 보조판공(431)이 폐쇄되어 있으므로, 세척수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이다. 이때, 메인 가이드 이동 부재(630)는 메인 가이드 탄성 부재(632)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한 상태이고, 메인 가이드 이동 부재(630)의 제1 홈 걸림부(631)가 그립 회전 부재(610)의 제1 홈(611)에 맞물림으로써 그립 회전 부재(610)를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세척 레버(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물마개(930)가 개방되면, 수조(900)에 저장된 세척수가 배수구(810) 및 보조 배수구(811)를 통해 배출되면서 몸체(800) 내의 용변을 세척한다. 수조(900) 내의 수위가 점진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플로팅부(500)는 서서히 하강하고, 슬라이딩 부재(310)도 슬라이딩 탄성 부재(330)에 의해 하강하는데, 돌출부(312)에 의해 저지되는 위치까지 하강한다. 차단봉(470)이 판 부재(350)와 함께 하강하여 차단판공(421)이 개방되며, 공급관(110)을 통과하는 세척수가 우회관(410)을 지나 보충수 급수관(130) 측으로 공급된다. 하지만, 그립 회전 부재(610)는 메인 가이드 이동 부재(630)에 맞물려 있으므로,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메인 급수관(120)은 30%, 그리고 보충수 급수관(130)은 100%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며, 보충수 급수관(130) 및 보충구 배수관(940)을 통하여 배수구(810) 및 보조 배수구(811)에 세척수를 공급한다. 또한, 서브 가이드 이동 부재(650)는 서브 가이드 탄성 부재(652)에 의해 하부로 이동한다.
도 10c를 참조하면, 플로팅부(500)의 하강에 따라 플로팅부(500)가 메인 가이드 이동 부재(630)를 하부로 가압하기 시작하는데, 메인 가이드 탄성 부재(632)의 탄성력을 넘어서는 외력에 의해 메인 가이드 이동 부재(630)가 이동하고, 그립 회전 부재(610) 또한 이를 따라 회전한다. 플로팅부(500)가 지속적으로 하강함에 따라 메인 가이드 이동 부재(630)는 하강을 계속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메인 급수관(120)의 개방 비율은 30%로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보충수 급수관(130)의 개방 비율은 100%로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한다. 하강하는 플로팅부(500)는 최하부에서 멈춰 위치하는데, 이때 메인 급수관(120)은 100%, 그리고 보충수 급수관(130)은 30% 개방된 상태이며, 물마개(930)는 폐쇄된다. 이때, 서브 가이드 이동 부재(650)의 제2 홈 걸림부(651)가 그립 회전 부재(610)의 제2 홈(612)에 맞물림으로써 그립 회전 부재(610)를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0d를 참조하면, 물마개(930)가 폐쇄됨에 따라 메인 급수관(120)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에 의해 수조(900)의 수위가 높아지기 시작하고, 플로팅부(500)는 부력에 의해 상승을 시작한다. 이때, 플로팅부(500)는 슬라이딩 부재(3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고, 그립 회전 부재(610)는 서브 가이드 이동 부재(650)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는다. 즉, 플로팅부(500)가 계속 상승함에도 메인 급수관(120)은 100%, 그리고 보충수 급수관(130)은 30%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며, 각각 수조(900), 및 보충수 배수관(940)으로 세척수를 공급한다.
도 10e를 참조하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플로팅부(500)는 수위 조절 부재(340)에 맞닿게 된다. 이때, 플로팅부(500)에 가해지는 부력에 의해 플로팅부(500)는 수위 조절 부재(340), 즉 슬라이딩 부재(310)를 상측으로 가압한다. 하지만, 슬라이딩 부재(310)는 슬라이딩 탄성 부재(330)의 탄성력에 의해 구속되어 이동하지 않고, 플로팅부(500) 또한 이동 제한된다. 수위가 더욱 높아짐에 따라 플로팅부(500)는 세척수에 더욱 깊게 잠기게 되고, 이에 따라 플로팅부(500)에 가해지는 부력이 점차 커지게 된다. 부력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따라 슬라이딩 탄성 부재(330)의 탄성력보다 커지게 되면, 슬라이딩 부재(310)는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판 부재(350)는 서브 가이드 이동 부재(650)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그립 회전 부재(610)의 제2 홈 걸림부(651)에 의한 구속으로부터 해제되고, 메인 가이드 이동 부재(630)의 이동에 의해 그립 회전 부재(610)가 회전하게 되며, 메인 급수관(120)은 30%, 그리고 보충수 급수관(130)은 100% 개방되는 상태로 된다. 상승하는 플로팅부(500)는 최상부에서 멈춰 위치하는데, 차단봉(470)의 접촉부(471)에 의해 차단판공(421)이 폐쇄됨으로써 세척수의 공급이 차단된다.
종래에는 강한 수압에 의해 개폐 부재가 확실하게 고정되지 않는 경우에 세척수의 유량 비율 조절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에 따르면, 걸림부(631, 651), 및 홈(611, 612)에 의해 그립 회전 부재(610)의 회전을 확실하게 제한함으로써, 유량 비율 조절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슬라이딩 부재(310)에 복수의 관통공을 일렬로 형성하고, 관통공에 돌출 부재를 삽입하여 플로팅부(500)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돌출 부재를 플로팅부(500)의 상하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수위 조절은 물론 급수 개폐 시기 또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장치는, 주로 원피스 양변기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유량 조절부(200)를 생략하여 투피스 양변기 전용으로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1과 같이, 그립 회전 부재의 구성을 생략하여 플로팅부(500)가 하강하여 돌출부(312)까지 도달하면 슬라이딩 부재(310)가 하강하면서 급수가 시작되고, 유입된 물의 일부는 바로 보충수 급수관(130)을 통해 배출되고 일부는 메인 급수관(120)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보충수 급수관(130)은 30%만 개방되고 메인 급수관(120)은 100% 개방되도록 고정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0e의 탄성 부재(330)를 제거하여 슬라이딩 부재(310)의 하강을 지연시킴으로써 세척수를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장치는, 자기력에 의해 이동하는 차단봉(470)의 접촉만으로 수조(900)로의 세척수 공급 및 차단이 가능하므로 과압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간 지연(Time delay)에 의해 수조(900)에 세척수를 공급 저장하는 동안에도 용변을 추가적으로 세척할 수 있으므로 용변 세척력을 높일 수 있어 매우 우수하다. 더하여, 수조(900)의 추가 구성 및 설계 변경 없이 수조(900)의 세척수 저장량을 간편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형태의 양변기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상품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10: 공급관 120: 메인 급수관
130: 보충수 급수관 200: 유량 조절부
210: 회전 부재 211: 가압 탄성 부재
220: 이동 부재 221: 슬릿
230: 걸림부 240: 개폐 부재
241: 관통공 300: 슬라이딩 부
310: 슬라이딩 부재 311: 요철홈
312: 돌출부 320: 슬라이딩 고리
330: 탄성 부재 340: 수위 조절 부재
350: 판 부재 400: 급수 개폐부
410: 우회관 420: 차단판
421: 차단판공 430: 보조판
431: 제1 보조판공 432: 제2 보조판공
440: 커버 450: 구속 부재
460: 슬라이드 관 461: 탄성 부재
470: 차단봉 471: 접촉부
500: 플로팅부 510: 저장부
610: 그립 회전 부재 611: 제1 홈
612: 제2 홈 620: 메인 가이드부
621: 메인 가이드부 돌출부 630: 메인 가이드 이동 부재
631: 제1 홈 걸림부 632: 메인 가이드 탄성 부재
640: 서브 가이드부 650: 서브 가이드 이동 부재
651: 제2 홈 걸림부 652: 서브 가이드 탄성 부재
800: 몸체 810: 배수구
811: 보조 배수구 900: 수조
910: 상수도 공급관 920: 오버플로우 배수관
930: 물마개 940: 보충수 배수관
941: 호스

Claims (18)

  1. 수조 내의 세척수를 몸체로 배출하기 위한 물마개를 가지는 수조, 및 용변을 배출하는 몸체를 포함하는 양변기에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밸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세척수를 상기 수조에 공급하는 메인 급수관;
    상기 공급관과 상기 메인 급수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세척수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급수 개폐부;
    상기 급수 개폐부의 일측에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수조에 저장되는 상기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상하 이동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플로팅부
    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 개폐부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에 따라 개폐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탄성 부재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고, 상기 플로팅부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개폐부는,
    상기 공급관과 상기 메인 급수관을 연결하는 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수로의 일측에 밀폐부가 형성되는 바디;
    차단판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수로와 상기 밀폐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판형상의 차단판; 및
    상기 차단판을 관통하는 보조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판 돌출부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제1 보조판공이 형성되며, 제2 보조판공이 관통 형성되는 판형상의 보조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판공의 개폐에 의한 상기 밀폐부와 상기 수로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차단판이 변형되어 상기 수로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개폐부는,
    상기 제1 보조판공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보조판공을 개폐하는 차단봉; 및
    상기 차단봉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운동하는 관형상의 슬라이드 관
    을 더 포함하는 밸브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개폐부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결합되는 구속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속 부재는 자성을 갖는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차단봉은 금속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구속 부재의 자기력에 이끌려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개폐부는,
    상기 제1 보조판공과 마주하도록 상기 차단봉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접촉부
    를 더 포함하는 밸브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개폐부는,
    상기 차단봉 하측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
    를 더 포함하는 밸브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개폐부와 상기 메인 급수관의 사이에 배치되는 유량 조절부; 및
    상기 유량 조절부에 연결되는 보충수 급수관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 개폐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세척수는 상기 유량 조절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메인 급수관 및 상기 보충수 급수관으로 각각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절부는,
    상기 보충수 급수관 및 상기 메인 급수관으로 분기되는 상기 세척수의 비율을 조절하는 개폐 부재
    를 더 포함하는 밸브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절부는,
    상기 개폐 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의 일단에 맞물림되고, 왕복 이동에 의해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는 이동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플로팅부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에 의해 왕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절부는,
    상기 회전 부재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 부재의 정지 위치에서 상기 회전 부재의 우발적 이동을 제한하는 가압 탄성 부재
    를 더 포함하는 밸브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보충수 급수관 및 상기 메인 급수관을 연결하는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 일부의 내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보충수 급수관 및 상기 메인 급수관에 각각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의 하부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하부를 관통하고, 상기 이동 부재와 슬라이딩 부재의 사이에 탄성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절부는,
    상기 개폐 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그립 회전 부재;
    상기 그립 회전 부재의 일측에 배치되는 메인 가이드부; 및
    상기 메인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메인 가이드 이동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 회전 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홈, 및 상기 메인 가이드 이동 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홈 걸림부가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서브 가이드 이동 부재;
    상기 메인 가이드부와 상기 메인 가이드 이동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가이드 이동 부재에 상부 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메인 가이드 탄성 부재; 및
    상기 메인 가이드부와 상기 서브 가이드 이동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서브 가이드 이동 부재에 하부 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메인 가이드 탄성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가이드 이동 부재와 상기 서브 가이드 이동 부재가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그립 회전 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 홈, 및 상기 서브 가이드 이동 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 홈 걸림부가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15. 제7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수 급수관은 30 내지 100%, 및 상기 메인 급수관은 30 내지 100% 개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16. 제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플로팅부의 상부 이동을 제한하는 수위 조절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 외면의 적어도 일부에 요철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위 조절 부재는 상기 요철홈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조절 부재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요철홈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력을 넘어서는 외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18. 제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를 포집할 수 있도록, 하부벽과 측부벽을 가지고 상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플로팅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밸브 장치.
KR1020110095294A 2011-04-22 2011-09-21 상하이동식 자기력 밸브 장치 KR101347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37752 2011-04-22
KR1020110037752 2011-04-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967A KR20120119967A (ko) 2012-11-01
KR101347322B1 true KR101347322B1 (ko) 2014-01-03

Family

ID=47507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294A KR101347322B1 (ko) 2011-04-22 2011-09-21 상하이동식 자기력 밸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3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804U (ko) 2014-04-09 2015-10-19 이광철 상하 이동식 압력 벨브 메인 급수 변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510Y1 (ko) 2004-01-29 2004-04-17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KR200372410Y1 (ko) 2004-10-04 2005-01-14 신원테크 (주)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
KR200378340Y1 (ko) 2004-12-22 2005-03-14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510Y1 (ko) 2004-01-29 2004-04-17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KR200372410Y1 (ko) 2004-10-04 2005-01-14 신원테크 (주)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
KR200378340Y1 (ko) 2004-12-22 2005-03-14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804U (ko) 2014-04-09 2015-10-19 이광철 상하 이동식 압력 벨브 메인 급수 변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967A (ko) 201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08818A1 (en) Floor drain
US20020153044A1 (en)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ler with plural outlet float valve
KR101347322B1 (ko) 상하이동식 자기력 밸브 장치
KR101218592B1 (ko) 양변기 물탱크의 절수형 잔수조절장치
KR101380688B1 (ko) 플로우팅 밸브
KR101172525B1 (ko) 플로팅밸브
CA2725733C (en) Automatic water distributor
CN208831764U (zh) 出水阀结构及包括其的加湿器
KR20120052101A (ko) 자기력 밸브 장치
CN101168971A (zh) 骤降式排水装置
KR100742589B1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KR101624316B1 (ko) 양변기의 물공급 제어장치
KR200446134Y1 (ko) 취사장 입구용 수세식 세척장치
US8069503B2 (en) Water refilling device for water saving toilets
KR101010343B1 (ko) 양변기
WO2003050633A1 (en) Improved liquid level controller
KR20140103539A (ko) 변기용 절수기
KR102462673B1 (ko) 초절수형 자폐식 변기용 밸브
KR101058551B1 (ko) 양변기의 세척수 급수 차단 장치
CN216156714U (zh) 水槽用按压式水塞
CA2666834C (en) Water refilling device for water saving toilets
KR200491842Y1 (ko) 선박의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
KR101864802B1 (ko) 직수형 플러쉬 밸브
KR101554649B1 (ko) 좌변기 절수용 수전금구 및 밸브 구조
JPH044839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