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649B1 - 좌변기 절수용 수전금구 및 밸브 구조 - Google Patents

좌변기 절수용 수전금구 및 밸브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649B1
KR101554649B1 KR1020140088836A KR20140088836A KR101554649B1 KR 101554649 B1 KR101554649 B1 KR 101554649B1 KR 1020140088836 A KR1020140088836 A KR 1020140088836A KR 20140088836 A KR20140088836 A KR 20140088836A KR 101554649 B1 KR101554649 B1 KR 101554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valve body
mode
cap
closing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8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을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을팩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을팩토리
Priority to KR1020140088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12Flushing device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변기 절수용 수전금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의 유로가 유입 슬리브(12)와 유출 슬리브(14)와 연통된 금구바디(10); 상기 금구바디(10)의 상기 유출 슬리브(14)와 상기 유로 사이를 일정 압력을 가진 압력수에 의해 폐쇄하는 밸브바디(20); 상기 밸브바디(20)가 상기 유출 슬리브(14)와 상기 유로 사이를 폐쇄하는 압력수를 상기 밸브바디(20)를 통하여 상기 유출 슬리브(14)로 배출시켜서 상기 밸브바디(20)가 상기 금구바디(10)의 상기 유로와 상기 유출 슬리브(14)를 개방되도록 하는 스템(22); 상기 스템(22)에 의해 상기 밸브바디(20)를 폐쇄시키는 압력수가 다시 채워지는 시간을 다르게 조절하여 상기 밸브바디(20)에 의해 소변 모드와 대변 모드에서 토출되는 세척수의 양이 조절되도록 하는 모드 작동 스템(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좌변기 절수용 수전금구 및 밸브 구조{Water saving faucet for toilet seat and valve structure thereof}
본 발명은 좌변기용 대변 소변 분리 절수형 수전금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변 모드와 소변 모드를 구분하여 물의 사용량을 최적화함으로써 절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절수를 위한 구조 자체도 복잡해지지 않고 간소화될 수 있는 새로운 좌변기 절수용 수전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 중에는 수조의 연결된 수전금구의 레버가 소변과 대변을 구분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레버를 소변 모드로 조작하면 소변을 변기 내에서 씻어내릴 수 있는 양의 세척수가 나오고 레버를 대변 모드로 조작하면 대변을 변기 내에서 씻어내릴 수 있는 양의 세척수가 나오도록 한 것이 있다. 최근에 레버가 대변 모드와 소변 모드로 조작되도록 할 수 있는 수전금구가 좌변기에 많이 채용되고 있다. 즉, 수전금구의 레버를 소변 모드로 누르면 수조 내에 있던 물이 흘러 내려와 변기 내를 청소한 다음 일정량 변기 내에 물이 채워지도록 하며, 다시 깨끗한 물이 수조내로 유입되어 일정량만큼 수조 내에 채워지게 되며, 수전금구의 레버를 대변 모드로 누르면 수조 내에 있던 물이 소변 모드보다는 더 많이 흘러 내려와서 변기 내를 청소한 다음 일정량 변기 내에 물이 채워지도록 하며, 다시 깨끗한 물이 수조 내로 유입되어 일정량만큼 수조 내에 채워지게 된다.
한편,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는 좌변기의 경우 변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1회사용 때마다 대략 13리터의 물이 사용되고, 이중 용변내용물을 내려보내는 데는 6-7리터 정도가 소요되고 나머지는 수압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변 시에 세척수의 토출량은 대략 4리터 정도이고 대변 시에 세척수의 토출량은 대략 7리터 정도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좌변기의 특성에 따라 좌변기의 물 소비량을 줄이려 좌변기의 기능을 변경하지 않는 상태에서 좌변기의 수조 내에 벽돌이나 배수개폐밸브를 개량 등 여러 가지 시도가 행하여져 왔으나 그의 효과는 약간의 절수효과는 있으나 기대 이상의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방법들이다.
또한, 기존에는 물이 채워지는 수조 내에 절수를 위한 각종 밸브를 설치하거나 밸브 이외에 절수를 위한 여러 가지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이 있으나, 이러한 방식들은 구조 자체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단가가 높아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대변 소변 분리 절수형 수전금구로서 대변 모드와 소변 모드를 구분하여 물의 사용량을 최적화함으로써 절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구조 자체도 복잡해지지 않고 간소화될 수 있는 수단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변 모드시의 세척수 양과 소변 모드시의 세척수 양을 자동으로 최적 량으로 조절함으로써 물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하겠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0-0114245호(2010.10.25 공개) 국내공개실용신안 실1999-014108호(1999.04.26 공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173640호(1999.12.21 등록) 국내공개특허 특2000-0036444호(2000.07.05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변 모드와 소변 모드를 구분하여 물의 사용량을 최적화함으로써 절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절수를 위한 구조 자체도 복잡해지지 않고 보다 간소화될 수 있도록 구현한 새로운 좌변기 절수용 수전금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대변 모드시의 세척수 양과 소변 모드시의 세척수 양을 자동으로 최적 량으로 조절함으로써 물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최적의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 좌변기 절수용 수전금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의 유로가 유입 슬리브와 유출 슬리브와 연통된 금구바디; 상기 금구바디의 상기 유출 슬리브와 상기 유로 사이를 일정 압력을 가진 압력수에 의해 폐쇄하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가 상기 유출 슬리브와 상기 유로 사이를 폐쇄하는 압력수를 상기 밸브바디를 통하여 상기 유출 슬리브로 배출시켜서 상기 밸브바디가 상기 금구바디의 상기 유로와 상기 유출 슬리브를 개방되도록 하는 스템; 상기 밸브바디가 상기 유출 슬리브를 개방한 상태에서 다시 폐쇄시키는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밸브바디를 밀어주는 압력수가 상기 밸브바디와 상기 유출 슬리브 사이의 압력수 챔버에 다시 채워지는 시간을 다르게 조절하여 상기 밸브바디에 의해 소변 모드와 대변 모드에서 토출되는 세척수의 양이 조절되도록 하는 모드 작동 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절수용 수전금구가 제공된다.
상기 밸브바디는, 상기 금구바디의 상기 유출 슬리브와 연통된 압력수 토출홀;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에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내장된 스템;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템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압력수 토출홀을 개폐하는 클로즈 작동판; 상기 모드 작동 스템이 삽입되는 공간부가 내부에 구비되며 적어도 상단부에는 상하면으로 모드 작동 스템 삽입홀이 구비된 내향 확장편을 구비하여 상기 밸브바디의 상단부로 노출된 상기 스템의 상단부에 연결된 개폐 작동캡;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클로즈 작동판이 상기 압력수 토출홀을 막아주도록 탄지하는 클로즈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모드 작동 스템은, 상기 개폐 작동캡의 상기 내향 확장편에 구비된 상기 모드 작동 스템 삽입홀에 진입하는 모드 선택 스템부를 구비하며, 상기 모드 선택 스템부는 상기 모드 작동 스템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쪽 위치에 상하 길이가 다른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와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바디는 상기 금구바디의 상기 유출 슬리브의 내부를 압력수 챔버와 세척수 챔버로 구획하며,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금구바디의 상기 유입 슬리브와 상기 압력수 챔버에 연통된 압력수 필링홀이 구비된다.
상기 밸브바디는 상하부에 각각 상측 플랜지부와 하측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 플랜지부는 상기 금구바디의 상기 유출 슬리브에 구비된 밸브시트에 접촉되어 상기 유출 슬리브에 연통된 연결 슬리브와 유입 슬리브 사이의 유로를 폐쇄하며, 상기 상측 플랜지부의 외주면은 상기 금구바디와 상기 밸브바디의 상단부 사이에 압력수 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상측 플랜지부에 상기 압력수 챔버와 상기 연결 슬리브 및 상기 유입 슬리브에 연통된 상기 압력수 필링홀이 구비되며, 상기 압력수 필링홀에는 클리닝핀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와 상기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를 구비하는 상기 는 모드 선택 스템부는 다른 부분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성되고, 상기 모드 작동 스템은 힌지부를 기준으로 대변 모드와 소변 모드를 선택하는 상기 금구바디의 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에 의해 대변 모드 선택시에 상기 모드 작동 스템이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가 상기 개폐 작동캡의 상기 내향 확장편 내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스템에 연결된 상기 밸브바디 내부의 상기 클로즈 작동판을 개방하고, 상기 레버에 의해 소변 모드 선택시에 상기 모드 작동 스템이 중심부에서 타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가 상기 개폐 작동캡의 상기 내향 확장편 내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스템에 연결된 상기 밸브바디 내부의 상기 클로즈 작동판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 작동캡은 상기 밸브바디 내부에 구비된 스템에 결합되어 상기 밸브바디의 상단부로 노출되고, 상기 금구바디의 상기 개폐 작동캡과 마주하는 단부에는 높이 조절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높이 조절블록에 상기 모드 작동 스템이 결합되어, 상기 높이 조절블록에 의해 상기 모드 작동 스템이 상기 개폐 작동캡에 대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 조절블록은 금구바디에 구비된 나사홀에 외주면의 나사부가 결합되어 회전식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폐 작동캡은 상기 밸브바디 내부에 구비된 스템에 결합되어 상기 밸브바디의 상단부로 노출되고, 상기 개폐 작동캡에 의해 상기 클로즈 작동판을 개방하여 상기 밸브바디에 의해 구획된 상기 금구바디의 유출 슬리브의 압력수 챔버에 채워져 있던 압력수를 상기 유출 슬리브로 토출할 때에 상기 밸브바디는 상기 압력수 챔버측으로 상승하여 상기 개폐 작동캡의 상기 내향 확장편 내주면이 상기 모드 작동 스템의 상기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 또는 상기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개폐 작동캡이 상승하였다가 상기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 또는 상기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의 외주면에 영역에서 상기 내향 확장편이 벗어날 때에 상기 클로즈 작동판을 상기 밸브바디에 구비된 클로즈 탄성체의 복원 탄성력에 의해 막아주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폐 작동캡은 상기 스템에 고정된 베이스 개폐 작동캡과, 상기 베이스 개폐 작동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내향 확장편이 구비된 승강 개폐 작동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압력수 토출홀이 구비된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상기 공간부에 내장되어 상기 압력수 토출홀을 개폐하는 클로즈 작동판; 상기 클로즈 작동판에 연결되어 상기 밸브바디 상단부로 일부가 노출된 스템; 상기 스템에 구비되며 적어도 상단부에는 모드 작동 스템 삽입홀이 구비된 내향 확장편을 구비한 개폐 작동캡; 상기 내향 확장편의 상기 모드 작동 스템 삽입홀에 스템부가 진입하여 상기 개폐 작동캡을 상기 밸브바디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모드 작동 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절수용 수전금구의 밸브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와 상기 클로즈 작동판 사이에는 클로즈 탄성체가 개재되고, 상기 밸브바디의 상측 플랜지부와 하측 플랜지부 중에서 상기 상측 플랜지부에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된 압력수 필링홀이 구비되고, 상기 압력수 필링홀에는 클리닝핀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개폐 작동캡은 상기 스템의 상단부에 고정된 베이스 개폐 작동캡과, 상기 베이스 개폐 작동캡에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내향 확장편이 구비된 승강 개폐 작동캡을 포함하고, 상기 스템부는 상기 모드 작동 스템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쪽 위치에 상하 길이가 다른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와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요부인 모드 작동 스템에 의해 대변 모드에서의 세척수 토출량과 소변 모드에서의 세척수 토출량이 자동으로 정밀하게 조절되도록 하는 것에 주요 특징이 있는 것으로, 대변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주요부인 모드 작동 스템의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와 클로즈 탄성체, 밸브바디 등에 의해 대변시 필요한 세척수의 토출량을 자동 조절하고 소변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모드 작동 스템의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와 클로즈 탄성체, 밸브바디 등에 의해 소변시 필요한 세척수의 토출량을 자동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절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절수를 위한 구조 자체도 복잡해지지 않고 보다 간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드 작동 스템과 연계 작동하는 개폐 작동캡은 베이스 개폐 작동캡에 승강 개폐 작동캡이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밸브바디가 올라간 상태에서 혹시라도 개폐 작동캡의 내향 확장편이 모드 작동 스템의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나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의 상단부에 걸려서 잘 내려오지 않는 경우(타임 딜레이)를 확실하게 방지하므로, 세척수의 토출량이 쓸데없이 많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밸브바디가 제때에 내려오지 않아서 초래되는 타임 딜레이를 방지하여 절수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밸브바디의 내부에 압력수 필링홀이 구비되어, 밸브바디의 상단부와 금구바디의 유출 슬리브의 내부 사이에 형성된 압력수 챔버에 세척수를 일부가 압력수 필링홀로 유입되도록 하여 압력수 챔버에 일정량의 압력수를 채워놓는데, 상기 압력수 필링홀에는 승강 가능하게 클리닝핀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압력수 필링홀이 물떼와 같은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작동시 신뢰성을 보다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 절수용 수전금구의 주요부인 밸브바디와 밸브 개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밸브 개폐 어셈블리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밸브바디의 주요부를 조립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모드 작동 스템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모드 작동 스템을 A 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캡과 모드 작동 스템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캡과 모드 작동 스템 및 레버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밸브바디가 금구바디에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수전 금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0과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대변 모드 작동시에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1과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소변 모드 작동시에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내부에 유로가 구비되고 유로는 양쪽의 유입 슬리브(12)와 유출 슬리브(14)와 연통된 금구바디(10)와, 이러한 금구바디(10)의 유출 슬리브(14)와 유로 사이를 일정 압력을 가진 압력수에 의해 폐쇄하는 밸브바디(20)와, 이 밸브바디(20)가 금구바디(10)의 유출 슬리브(14)와 유로 사이를 폐쇄하는 압력수를 밸브바디(20)를 통하여 유출 슬리브(14)로 배출시켜서 밸브바디(20)가 금구바디(10)의 유로와 유출 슬리브(14)를 개방되도록 하는 스템(22)과, 이 스템(22)에 의해 밸브바디(20)를 폐쇄시키는 압력수가 상기 밸브바디(20)와 금구바디(10) 사이에 다시 채워지는 시간을 다르게 조절하여 밸브바디(20)에 의해 소변 모드와 대변 모드에서 토출되는 세척수의 양이 조절되도록 하는 모드 작동 스템(30)을 구비한 것에 주요 구성의 특징이 있는 발명이다.
상기 금구바디(10)는 중간의 연결 슬리브(13)의 양단부에 각각 유입 슬리브(12)와 유출 슬리브(14)가 구비된 구조이다. 연결 슬리브(13)의 내부에 유로가 구비되고, 연결 슬리브(13)의 양단부에 각각 유입 슬리브(12)와 유출 슬리브(14)가 구비되며, 유입 슬리브(12)와 유출 슬리브(14)는 연결 슬리브(13)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금구바디(10) 내부의 유로가 각각 유입 슬리브(12)와 유출 슬리브(14)에 연통되어 있다. 유입 슬리브(12)로 물이 들어오고 연결 슬리브(13) 내부의 유로를 거쳐서 유출 슬리브(14) 내부로 물이 들어올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유출 슬리브(14)의 상단부에는 캡(15)이 구비된다. 캡(15)의 외주면에는 플랜지부가 구비되고, 캡(15)의 외주면에 끼워진 결합링체(11CR)는 상단부의 내향 걸림편이 캡(15)의 플랜지부에 걸려지며, 상기 결합링체(11CR)의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링체(11CR)의 내주면 나사부를 유출 슬리브(14)의 상단부측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결합함으로써 결합링체(11CR)에 의해 캡(15)이 유출 슬리브(14)의 상단부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결합링체(11CR)가 유출 슬리브(14)의 상단부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면 결합링체(11CR)의 내향 걸림편이 캡(15)의 플랜지부를 위에서 눌러서 캡(15)이 유출 슬리브(14)의 상단부에 안정적으로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출 슬리브(14)의 내부에는 밸브 시트(14S)가 구비된다. 연결 슬리브(13) 내부의 유로보다 더 아래로 내려간 위치에 밸브 시트(14S)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출 슬리브(14) 상단부에 구비된 캡(15)에는 좌변기의 소변 모드와 대변 모드를 선택하여 작동시킬 수 있는 레버(10L)(모드 선택 레버)가 구비된다. 캡(15)은 상단부에 오목한 레버 수용홈이 구비되어, 레버 수용홈에 레버(10L)가 수용된다. 캡(15)의 레버 수용홈에 레버(10L)가 안착된 상태에서 힌지부에 의해 레버(10L)가 캡(15)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캡(15)과 상기 결합링체(11CR)도 금구바디(10)를 구성한다. 상기 레버(10L)의 대략 중간 부분이 힌지부에 의해 캡(15)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레버(10L)를 대변 모드와 소변 모드를 선택하도록 누를 수 있다.
상기 밸브바디(20)는 금구바디(10)의 유출 슬리브(14) 내부에 구비된다. 유출 슬리브(14) 내부에 밸브바디(20)가 내장된다. 즉, 유출 슬리브(14)의 내부의 메인 밸브시트(14S) 위에서 밸브바디(20)가 승강될 수 있도록 내장된다. 밸브바디(20)에는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형태의 상측 플랜지부(20UF)와 하측 플랜지부(20LF)가 각각 구비된다. 밸브바디(20)의 하측 플랜지부(20LF) 저면이 유출 슬리브(14)의 메인 밸브시트(14S)에 밀착되면 메인 밸브시트(14S) 내주면 안쪽 위치에 구비된 세척수 토출홀을 막아주게 된다. 상기 상측 플랜지부(20UF)의 외주면과 하측 플랜지부(20LF)의 외주면에 각각 패킹이 구비된다. 밸브바디(20)가 단면 원형 블록 형상이고 상측 플랜지부(20UF)와 하측 플랜지부(20LF)도 단면 원형 블록 형상이라서 상기 패킹이 환형으로 이루어져 각각 상측 플랜지부(20UF)와 하측 플랜지부(20LF)의 외주면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 상측 플랜지부(20UF) 외주면의 패킹은 금구바디(10)의 유출 슬리브(14) 내주면과 밸브바디(20) 사이를 밀봉하며 상기 하측 플랜지부(20LF) 외주면의 패킹은 유출 슬리브(14)의 메인 밸브시트(14S) 위쪽 내주면과 밸브바디(20) 사이를 밀봉한다. 상기 하측 플랜지부(20LF) 저면이 유출 슬리브(14)에 구비된 메인 밸브시트(14S)에 밀착되도록 하강할 때에 상기 하측 플랜지부(20LF) 외주면의 패킹 저면이 실제적으로 상기 메인 밸브시트(14S)에 접촉되어 상기 메인 밸브시트(14S)의 내주면 안쪽에 구비된 세척수 토출홀을 막아주게 된다. 또한, 밸브바디(20)의 내부에는 중심부 방향으로 내향 연장된 밸브시트(20VS)가 구비된다. 상기 밸브시트(20VS)의 내주면 안쪽 위치에는 압력수 토출홀(20H)이 구비된다. 밸브바디(20)는 밸브시트 위쪽의 내주면에 나사부를 구비한다. 즉, 밸브바디(20)의 내부 공간부 중에서 내주면에 상기 나사부가 구비된 나사홀이 밸브시트 위쪽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밸브바디(20)는 금구바디(10)의 유출 슬리브(14)와 연통된 압력수 토출홀(20H)을 구비하고, 밸브바디(20)의 내부에는 자유 이동이 가능(즉,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스템(22)이 구비되고, 이러한 스템(22)에 연결되어 스템(22)의 작동에 따라 압력수 토출홀(20H)을 개폐하도록 클로즈 작동판(24)이 밸브바디(20) 내부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밸브바디(20)의 내부의 스템(22) 상단부에는 개폐 작동캡(26)이 연결되어 있고, 밸브바디(20)의 내부에는 클로즈 작동판(24)이 압력수 토출홀(20H)을 막아주도록 탄지하는 클로즈 탄성체(28)가 구비되고, 상기 밸브바디(20)의 상단부 위쪽에는 밸브바디(20)의 내부에서 상단부로 올라와 있는 스템(22)의 상단부에 연결된 개폐 작동캡(26)이 구비된다.
본 발명은 대변 모드와 소변 모드시 개폐 작동이 되는 밸브 개폐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밸브 개폐 어셈블리는 클로즈 작동판(24), 베이스 개폐 작동캡(26A), 승강 개폐 작동캡(26B), 스템 바디 지지부(23) 및 클로즈 탄성체(28)를 포함한다.
상기 클로즈 작동판(24)은 원판 형상으로 구성되며 동시에 상면 중앙부에는 스템(22)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스템(22)의 상단부측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개폐 작동캡(26A)은 상단부는 개방되고 하단부의 중앙부에는 스템 결합홀이 구비된 원형 캡 형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스템 결합홀은 나사홀 구조이다.
상기 승강 개폐 작동캡(26B)은 하단부는 개방되고 상단부에는 내향 확장편(26IE)이 구비되며, 내향 확장편(26IE)의 내주면 안쪽 위치에 모드 작동 스템(30)이 들어올 수 있는 모드 작동 스템 삽입홀이 확보되어 있다. 승강 개폐 작동캡(26B)은 하단부가 개방되어 베이스 개폐 작동캡(26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승강 개폐 작동캡(26B)도 원형 캡 형상이다.
상기 스템 바디 지지부(23)는 하단부가 개방되고 상단부에는 스텝홀(23H)이 구비된다. 스템 바디 지지부(23)는 하단부가 개방된 원형관 형상이다. 스텝홀(23H)의 적어도 양쪽에는 보조 스템홀이 구비된다. 보조 스템홀은 스텝홀(23H)의 직경보다 작다. 물론 보조 스템홀의 내경은 클로즈 작동판(24)의 상면 중심부에 연결된 스템(22)의 외경보다 더 크다.
상기 밸브 개폐 어셈블리(20COA)의 상기 주요부를 조립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스템 바디 지지부(23)의 위쪽에 베이스 개폐 작동캡(26A)을 배치하고 스템 바디 지지부(23)의 아래 위치에 클로즈 작동판(24)을 배치하고 클로즈 작동판(24)의 상면 중심부에 구비된 스템(22)의 외주면에 배치되도록 클로즈 탄성체(28)를 결합한다.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커지는 원추형 스프링 형태의 클로즈 탄성체(28)의 하단부가 클로즈 작동판(24)의 상면에 얹혀지도록 스템(22)의 외주면에 클로즈 탄성체(28)를 결합한다.
다음, 상기 클로즈 작동판(24)에 구비된 스템(22)을 스템 바디 지지부(23)의 상단 중심부에 구비된 스템홀(23H)을 통과시킨 상태에서 스템(22)의 상단부측 외주면에 구비된 나사부를 상기 베이스 개폐 작동캡(26A)의 하단부측 중앙부에 구비된 나사홀 형태의 스템 결합홀에 나사식으로 결합한다. 물론, 상기 스템(22)을 베이스 개폐 작동캡(26A)의 하단부측에 구비된 스템 결합홀에 끼워서 용접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클로즈 작동판(24)에 구비된 스템(22)을 베이스 개폐 작동캡(26A)의 하단부에 연결하면 상기 클로즈 탄성체(28)는 스템 바디 지지부(23)의 내부에 수용되어 클로즈 작동판(24)과 스템 바디 지지부(23)의 내부 상면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배치되는 한편, 상기 베이스 개폐 작동캡(26A)은 스템 바디 지지부(23)의 상부 위치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다음, 상기 베이스 개폐 작동캡(26A)에 승강 개폐 작동캡(26B)을 끼워주면 된다. 승강 개폐 작동캡(26B)이 베이스 개폐 작동캡(26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진 구조이다.
상기한 구조를 가진 밸브 개폐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스템 바디 지지부(23) 외주면의 나사부를 밸브바디(20)의 상단부로 연통된 나사홀 형태의 결합홀에 나사식으로 결합함으로써 밸브바디(20)의 상단부로 상기 밸브 개폐 어셈블리가 돌출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금구 바디(10)의 상단 개방부를 캡(15)으로 막아준다. 본 발명에서 캡(15)은 금구 바디(10)에 결합되는 베이스캡(15A)과, 이 베이스캡(15A)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템(22)이 구비된 조절캡(15B)과, 상기 조절캡(15B)을 베이스캡(15A)을 기준으로 높이 조절된 상태로 유지하는 고정링(15FR)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캡(15A)은 결합링체(11CR)에 의해 금구 바디(10)의 유출 슬리브(14)의 상단 개방부에 장착된다. 베이스캡(15A)의 하단부에 플랜지부(15AF)가 구비되어, 결합링체(11CR)가 베이스캡(15A)에 끼워지면 플랜지부(15AF)에 결합링체(11CR)가 걸려서 베이스캡(15A) 아래로 이탈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결합링체(11CR)의 내주면에 구비된 나사부가 금구 바디(10)의 유출 슬리브(14) 상단부측 외주면에 구비된 나사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스캡(15A)의 플랜지부(15AF)가 유출 슬리브(14)의 상단부에 가압 밀착된다. 결합링체(11CR)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턱이 베이스캡(15A)의 플랜지부(15AF)를 위에서 가압하여 플랜지부(15AF)의 하단부가 유출 슬리브(14)의 개방부가 형성된 상단부에 가압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캡(15A)의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구비되며, 나사부 위쪽에 배치되도록 베이스캡(15A) 외주면에 패킹(15PK)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조절캡(15B)은 베이스캡(15A)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절캡(15B)의 내주면에 구비된 나사부가 베이스캡(15A) 외주면의 나사부에 결합됨으로써 베이스캡(15A)에 조절캡(15B)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조절캡(15B)은 상면에 레버홈이 구비되며, 레버홈의 바닥면에서 일정 깊이 아래로 들어간 나사홀이 구비된다. 또한, 조절캡(15B)은 나사홀의 바닥면에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된 스템 통과홀(15SH)이 구비된다.
상기 조절캡(15B)의 나사홀에 모드 작동 스템(30)이 상하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내장된 스템 지지블록(31SB)이 결합된다. 즉, 스템 지지블록(31SB)의 중심부에 형성된 스템 고정홀에 모드 작동 스템(30)이 끼워져 고정된 모드 작동 스템 어셈블리를 구성하고, 모드 작동 스템 어셈블리의 스템 지지블록(31SB)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스템 지지블록(31SB)의 외주면 나사부가 조절캡(15B)에 구비된 나사홀에 결합됨으로써 조절캡(15B)에 모드 작동스템(30)이 결합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조절캡(15B)의 스템 통과홀(15SH)로는 모드 작동 스템(30)이 통과되어 모드 작동 스템(30) 하부의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와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가 베이스캡(15A)의 내부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조절캡(15B)의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구비된다. 조절캡(15B)의 하단부 인접 외주면에 나사산 형태의 나사부가 구비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조절캡(15B)을 베이스캡(15A)을 기준으로 승강시킴에 따라 모드 작동 스템(30)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상기 개폐 작동캡(26)의 내향 확장편(26IE)의 모드 작동 스템 삽입홀(26SH)에 모드 작동 스템(30) 하부의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와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모드 작동 스템(30)의 상하 높낮이가 조절된다.
즉, 상기 조절캡(15B)에 상기 모드 작동 스템(30)이 장착되고, 상기 모드 작동 스템(30)에 연결된 레버(10L)가 조절캡(15B)의 레버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조절캡(15B)에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어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결국, 상기 금구 바디(10)의 유출 슬리브(14)의 상단에 구비된 개방부를 캡(15)으로 막아주게 됨과 동시에 캡(15)의 높낮이가 조절가능하게 구성되어 모드 작동 스템(30)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상기 고정링(15FR)은 내주면에 구비된 나사부가 조절캡(15B) 외주면의 나사부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링(15FR)이 조절캡(15B)의 외주면에 나사 승강식으로 결합된 것이다.
상기 조절캡(15B)이 베이스캡(15A)에 나사부로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나사부를 기준으로 조절캡(15B)을 베이스캡(15A)에서 높낮이 조절을 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링(15FR)을 나사식으로 조여서 고정링(15FR)의 하단부가 상기 금구 바디(10)의 유출 슬리브(14) 상단 개방부에 결합되어 있는 결합링체(11CR)에 가압 고정시키면, 상기 조절캡(15B)이 베이스캡(15A)에서 위아래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높낮이 조절이 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밸브바디(20)는 유출 슬리브(14) 내부의 메인 밸브시트(14S) 위에서 승강되도록 유출 슬리브(14)에 내장되는데, 밸브바디(20)가 유출 슬리브(14)에 내장된 상태에서 밸브바디(20)의 상단부와 유출 슬리브(14)의 내부 상면 사이에는 압력수 챔버(16)가 형성된다. 즉, 밸브바디(20)가 유출 슬리브(14) 내부의 메인 밸브시트(14S) 위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유출 슬리브(14)의 내부는 밸브바디(20)에 의해 압력수 챔버(16)와 세척수 챔버(18)로 구획된다. 밸브바디(20) 위쪽의 공간은 압력수 챔버(16)가 되고 밸브바디(20) 아래쪽의 공간은 세척수 챔버(18)가 된다. 밸브바디(20)가 유출 슬리브(14) 내부의 메인 밸브시트(14S)에서 위로 이격될 때에 메인 밸브시트(14S) 내주면 안쪽 위치의 세척수 토출홀과 연결 슬리브(13) 내부의 유로 및 유입 슬리브(12) 내부가 연통되고 동시에 상기 세척수 토출홀과 밸브바디(20) 아래쪽 공간인 세척수 챔버(18)가 연통된다. 반대로, 밸브바디(20)가 유출 슬리브(14) 내부의 메인 밸브시트(14S)에 밀착될 때(즉, 상기 밸브바디(20)의 하측 플랜지부(20LF)에 구비된 패킹의 저면이 메인 밸브시트(14S)에 밀착될 때)에 메인 밸브시트(14S) 내주면 안쪽 위치의 세척수 토출홀은 연결 슬리브(13) 내부의 유로 및 유입 슬리브(12) 내부와 차단되고 동시에 상기 세척수 토출홀과 밸브바디(20) 아래쪽 공간인 세척수 챔버(18)도 차단된다.
또한, 상기 밸브바디(20)의 내부에는 금구바디(10)의 유입 슬리브(12)와 압력수 챔버(16) 사이에 연통된 압력수 필링홀(20FH)(압력수가 유입되어 채워지기 위한 홀로서 밸브바디(20)가 금구바디(10) 내부에서 세척수가 토출되는 것을 자동으로 막아주는 자가 폐쇄 작동홀이라 할 수 있음)이 구비된다. 밸브바디(20)의 상측 플랜지부(20UF) 저면에서 상면으로 압력수 필링홀(20FH)이 관통되어 밸브바디(20)의 상단부와 유출 슬리브(14)의 내부 상면 사이에 확보되어 있는 압력수 챔버(16)에 압력수 필링홀(20FH)이 연통되어 있으며, 압력수 필링홀(20FH)은 연결 슬리브(13) 내부의 유로를 통하여 상기 유입 슬리브(12)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즉, 상기 유입 슬리브(12)의 내부에서부터 연결 슬리브(13) 내부의 유로 및 상기 압력수 챔버(16)는 밸브바디(20)에 구비된 압력수 필링홀(20FH)을 통해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유입 슬리브(12)로 유입되는 세척수가 밸브바디(20)의 압력수 필링홀(20FH)을 통해서 들어와서 상기 압력수 챔버(16)에 채워지고, 이처럼 압력수 챔버(16)에 채워진 세척수는 밸브바디(20)를 상부에서 아래로 밀어내리는 압력수가 된다. 이하, 편의상 상기 밸브바디(20)의 압력수 필링홀(20FH)을 통해 압력수 챔버(16)로 들어오는 세척수는 압력수로 칭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바디(20)의 압력수 필링홀(20FH)에는 클리닝핀(20CP)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클리닝핀(20CP)은 밸브바디(20)의 압력수 필링홀(20FH)의 내경보다 그 외경이 더 큰 지지 고리와, 이 지지 고리의 양단부에 이어진 한 쌍의 클리닝 와이어와, 한 쌍의 클리닝 와이어 중에서 한쪽의 클리닝 와이어에서 밸브바디(20)의 상단부 방향으로 연장된 걸림 와이어를 포함한다. 클리닝핀(20CP)에서 한 쌍의 클리닝 와이어가 밸브바디(20)의 압력수 필링홀(20FH)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되고, 지지 고리는 밸브바디(20)의 압력수 필링홀(20FH)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도록 밸브바디(20) 위로 올라와 있다. 클리닝핀(20CP)의 지지 고리가 밸브바디(20)의 내부 공간 중에서 밸브시트 위쪽에 구비된 나사홀과 상측 플랜지부(20UF) 사이의 폭 영역에서 밸브바디(20) 위로 올라와 있다. 또한, 클리닝핀(20CP)의 걸림 와이어는 압력수 필링홀(20FH)이 관통된 하측 플랜지부(20LF) 저면 아래에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클리닝핀(20CP)이 밸브바디(20)의 압력수 필링홀(20FH)에서 상하로 승강될 수 있으면서 압력수 필링홀(20FH)의 위쪽에서는 지지 고리가 밸브바디(20) 상단부에 걸리고 압력수 필링홀(20FH)의 아래쪽에서는 걸림 고리가 밸브바디(20)의 상측 플랜지부(20UF) 저면에 걸리게 되므로, 클리닝핀(20CP)이 밸브바디(20)의 압력수 필링홀(20FH)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클리닝핀(20CP)의 한 쌍의 클리닝 와이어서 밸브바디(20)의 압력수 필링홀(20FH) 내주면을 긁어낼 수 있도록 승강되면서도 압력수 필링홀(20FH)에서 클리닝핀(20CP)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구조이다.
상기 밸브바디(20)는 내부의 밸브시트(20VS) 위쪽 나사홀에 결합되는 스템 지지 바디부(23)를 포함한다. 스템 지지 바디부(23)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하단부는 개방되고 상단부에는 스템 작동홀이 구비된 슬리브 구조이다. 이러한 스템 지지 바디부(23) 외주면의 나사부가 상기 밸브바디(20)의 나사홀 내주면에 구비된 나사부에 나선 결합됨으로써 상기 스템 지지 바디부(23)가 밸브바디(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스템 지지 바디부(23)에 구비된 스텝홀(23H)의 내경은 후술하는 모드 작동 스템(30)의 외경보다 더 크게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밸브바디(20)는 내부에 자유 이동이 가능(즉, 상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스템(22)이 구비되는데, 이 스템(22)은 상기 스템 지지 바디부(23)에 내장되어 있다. 스템 지지 바디부(23)는 내부에 공간부가 있는 슬리브 형태로서 밸브바디(20)의 밸브스템(22) 위쪽 위치에 구비된 나사홀에 결합되며, 스템 지지 바디부(23)에 내장되어 있는 스템(22)의 일부가 스템 지지 바디부(23)의 상단부에 구비된 스템 작동홀을 통과하여 스템 지지 바디부(23) 위로 올라와 있다. 즉, 스템(22)의 일부가 밸브바디(20)의 상단부에서 위로 올라와 있는 구조이다.
상기 스템(22)의 하단부는 밸브바디(20)를 구성하는 스템 지지 바디부(23)의 내부에 배치되는데, 스템(22)의 하단부에 클로즈 작동판(24)이 연결되어 있다. 클로즈 작동판(24)의 상면 중심부가 용접 등의 방식으로 스템(22)의 하단부에 연결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스템(22)이 스템 지지 바디부(23)의 스템 작동홀을 기준으로 상하 좌우 회동되는 작동(이동)을 할 때에 클로즈 작동판(24)이 밸브바디(20)의 압력수 토출홀(20H)을 개폐한다. 스템(22)의 중심부가 상기 스템 지지 바디부(23)의 스템 작동홀 중심부와 동축적으로 정렬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클로즈 작동판(24)이 밸브바디(20) 내부의 밸브시트 내주면 안쪽 위치의 압력수 토출홀(20H)을 막아주는 한편, 상기 스템(22)이 스템 지지 바디부(23)의 스템 작동홀 중심부를 기준으로 한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회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클로즈 작동판(24)이 스템(22)의 기울어진 방향으로 들리게 되면서 밸브바디(20) 내부의 밸브시트 상면에서 이격되므로, 상기 밸브바디(20) 내부의 압력수 토출홀(20H)을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클로즈 작동판(24)의 둘레부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오목홈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오목홈은 클로즈 작동판(24)이 밸브바디(20) 내부의 밸브시트 상면에 접촉되어 있을 때에는 밸브시트의 내주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된다. 그래야, 상기 클로즈 작동판(24)이 밸브시트 내주면 안쪽 위치의 압력수 토출홀(20H)을 막아놓은 상태로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로즈 작동판(24)의 저면에는 폐루프형 클로즈 가압 돌편이 구비되어 있다. 클로즈 가압 돌편이 실제적으로 밸브바디(20) 내부의 밸브시트 상면에 접촉된다. 본 발명에서 클로즈 가압 돌편은 환형의 돌기 구조이다.
상기 스템(22)의 상단부(즉, 밸브바디(20)의 상단부 위로 올라와 있는 스템(22)의 상단부)에는 개폐 작동캡(26)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개폐 작동캡(26)의 하단부가 용접 등의 방식으로 스템(22)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개폐 작동캡(26)은 후술하는 모드 작동 스템(30)이 삽입되는 공간부가 내부에 구비되며 적어도 상단부에는 상하면으로 모드 작동 스템 삽입홀이 구비된 내향 확장편(26IE)을 구비한다.
이때, 개폐 작동캡(26)은 스템(22)의 상단부에 고정된 베이스 개폐 작동캡(26A)과, 이러한 베이스 개폐 작동캡(26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 개폐 작동캡(26B)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개폐 작동캡(26A)은 상단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공간부가 구비된 슬리브 구조이다. 본 발명에서 베이스 개폐 작동캡(26A)은 단면 원형 슬리브 구조이다. 베이스 개폐 작동캡(26A)의 하단부가 밸브바디(20)에 내장된 스템(22)의 상단부에 상기 용접 등의 방식으로 연결된다. 베이스 개폐 작동캡(26A)의 하단 중심부가 상기 밸브바디(20) 내부의 스템(22)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승강 개폐 작동캡(26B)은 하단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공간부가 구비된 슬리브 구조이다. 본 발명에서 승강 개폐 작동캡(26B)도 베이스 개폐 작동캡(26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단면 원형 슬리브 구조이다. 이러한 승강 개폐 작동캡(26B)의 상단부에 내향 확장편(26IE)이 구비된다. 내향 확장편(26IE)의 내주면 안쪽 위치에 모드 작동 스템(30)이 들어올 수 있는 모드 작동 스템 삽입홀이 확보되어 있다.
정리하면, 상기 개폐 작동캡(26)은 하단부가 밸브바디(20) 내부의 스템(22) 상단부에 연결되고 그 상단부에는 내향 확장편(26IE)이 구비되고 내향 확장편(26IE)의 내주면 안쪽 위치에는 모드 작동 스템 삽입홀을 구비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밸브바디(20)는 내부에 구비된 클로즈 탄성체(28)를 포함한다. 클로즈 탄성체(28)는 밸브바디(20)의 내부에 구비되어 클로즈 작동판(24)이 압력수 토출홀(20H)을 막아주도록 탄지한다. 본 발명에서 클로즈 탄성체(28)는 밸브바디(20)를 구성하는 스템 지지 바디부(23)에 내장됨과 동시에 상기 클로즈 작동판(24)과 스템 지지 바디부(23)의 내부 상면 사이에 양단부가 접촉된 상태로 개재된다. 클로즈 탄성체(28)는 원추형 스프링으로서, 이러한 클로즈 탄성체(28)가 스템 지지 바디부(23)에 내장되어 있는 스템(22)의 외주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클로즈 탄성체(28)의 양단부는 각각 스템(22) 하단부의 클로즈 작동판(24)과 상기 스템 지지 바디부(23)의 내부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클로즈 작동판(24)과 스템 지지 바디부(23)의 내부 상면 사이에 클로즈 탄성체(28)가 개재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클로즈 탄성체(28)가 평상시에는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클로즈 작동판(24) 저면이 밸브바디(20) 내부의 밸브시트 상면에 가압 밀착되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스템(22)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개폐 작동캡(26)은 스템 지지 바디부(23)의 상단부에 탄성 접촉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클로즈 작동판(24) 저면에 구비된 폐루프형의 클로즈 가압 돌편이 실제적으로 밸브바디(20) 내부의 밸브시트 상면에 가압 밀착된다. 즉, 클로즈 탄성체(28)는 클로즈 작동판(24)이 밸브바디(20) 내부의 밸브시트에 탄성 가압 접촉되도록 하여 밸브바디(20) 내부의 압력수 토출홀(20H)을 막아주도록 하는 기능과 상기 밸브바디(20) 상단부 위에 있는 개폐 작동캡(26)의 하단부가 밸브바디(20) 상단부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기능이 있다.
본 발명은 밸브바디(20)가 유출 슬리브(14)를 개방한 상태에서 다시 폐쇄시키는 상태로 전환되도록 밸브바디(20)를 밀어주는 압력수가 밸브바디(20)와 유출 슬리브(14) 사이의 압력수 챔버(16)에 다시 채워지는 시간을 다르게 조절하는 모드 작동 스템(30)을 포함한다. 모드 작동 스템(30)은 밸브바디(20)가 금구바디(10)의 유출 슬리브(14)에 구비된 메인 밸브시트(14S)에서 이격되는 높이를 소변 모드와 대변 모드에 따라 다르게 조절함으로써 밸브바디(20)에 의해 소변 모드와 대변 모드에서 토출되는 세척수의 양이 조절되도록 한다.
상기 모드 작동 스템(30)은 금구바디(10)의 유출 슬리브(14) 상단부에 구비된 대변 모드와 소변 모드 선택 레버(10L)에 연결되어 있다. 모드 작동 스템(30)이 유출 슬리브(14)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캡(15)의 스템 삽입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모드 작동 스템(30)의 상단부가 상기 캡(15)에 구비된 레버(10L)의 저면에 연결되어 있다. 물론, 모드 작동 스템(30)의 외주면과 캡(15)의 스템 삽입홀 내주면 사이에는 패킹이 개재되어 누수 방지 밀봉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모드 작동 스템(30)은 본 발명에서 대변 모드와 소변 모드시에 세척수의 토출량을 정밀하게 맞추어주는 핵심적인 기능을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모드 작동 스템(30)은 모드 선택 스템부(32)를 구비한다. 모든 선택 스템부(32)는 밸브바디(20)의 상부에 있는 개폐 작동캡(26)의 내향 확장편(26IE) 내주면 안쪽 위치의 모드 작동 스템 삽입홀에 진입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에서 모드 선택 스템부(32)는 모드 작동 스템(30)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쪽 위치에 상하 길이가 다른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와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로 구성된다. 즉, 모드 작동 스템(30)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할 때에 한쪽 위치에 구비된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와, 상기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에 비하여 상하 길이가 더 작게 이루어져 모드 작동 스템(30)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다른 쪽 위치에 구비된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가 구비된다.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는 모드 작동 스템(30)의 하단부에서부터 위쪽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도 모드 작동 스템(30)의 하단부에서부터 위쪽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데,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의 상하 길이(높이)가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의 상하 길이(높이)보다 더 크게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모드 선택 스템부(32)는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와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를 합쳐서 단면 원형의 바아 구조를 이루는데, 바람직하게 모드 선택 스템부(32)는 하단부에서 위로 갈수록 점점 단면 외경이 커지는 테이퍼 바아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와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는 상단부에서부터 아래로 일정 거리 내려온 테이퍼부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의 상부측 테이퍼부와 소변 모트 선택 스템부의 상부측 테이퍼부는 모두 모드 선택 스템(22)의 상단부로 갈수록 점점 단면적이 줄어드는 상향 경사 테이퍼부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밸브바디(20)가 금구바디(10)를 구성하는 유출 슬리브(14)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밸브바디(20)는 유출 슬리브(14)의 내부 메인 밸브시트(14S)의 상부 위치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유출 슬리브(14)에 내장되며, 이러한 밸브바디(20)에 의해 유출 슬리브(14)의 내부 공간부는 밸브바디(20) 위쪽의 압력수 챔버(16)와 밸브바디(20) 아래쪽의 세척수 챔버(18)로 구획된다. 밸브바디(20)의 하부측 플랜지부 저면이 유출 슬리브(14) 내부의 메인 밸브시트(14S) 상면에 밀착되어 메인 밸브시트(14S) 내주면 안쪽 위치의 세척수 토출홀을 막고 있는 한편 유출 슬리브(14)의 내부 세척수 챔버(18)는 연결 슬리브(13)를 통해 유입 슬리브(12) 내부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출 슬리브(14)의 상단부에 구비된 레버(10L)에 모드 작동 스템(30)이 연결되고, 모드 작동 스템(30)의 중심부는 상기 밸브바디(20) 상부 위치에 구비된 개폐 작동캡(26)의 모드 작동 스템 삽입홀의 중심부와 정렬되고 동시에 모드 작동 스템(30)의 하단부는 상기 개폐 작동캡(26)의 상단부에 인접 배치되거나 모드 작동 스템(30)의 하단부측 일부가 상기 개폐 작동캡(26)의 모드 작동 스템 삽입홀에 들어가 있다.
본 발명에서 개폐 작동캡(26)은 밸브바디(20) 내부에 구비된 스템(22)에 결합되어 밸브바디(20)의 상단부로 노출되고, 상기 개폐 작동캡(26)에 의해 클로즈 작동판(24)을 개방하여 밸브바디(20)에 의해 구획된 금구바디(10)의 유출 슬리브(14)의 압력수 챔버(16)에 채워져 있던 압력수를 유출 슬리브(14)로 토출할 때에 밸브바디(20)는 압력수 챔버(16)측으로 상승하여 개폐 작동캡(26)의 내향 확장편(26IE) 내주면이 상기 모드 작동 스템(30)의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 또는 상기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개폐 작동캡(26)이 상승하였다가 상기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 또는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의 외주면에 영역에서 내향 확장편(26IE)이 벗어날 때에 클로즈 작동판(24)을 밸브바디(20)에 구비된 클로즈 탄성체(28)의 복원 탄성력에 의해 막아주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압력수 토출홀(20H)이 구비된 밸브바디(20)와, 이 밸브바디(20)의 공간부에 내장되어 압력수 토출홀(20H)을 개폐하는 클로즈 작동판(24)과, 이 클로즈 작동판(24)에 연결되어 밸브바디(20) 상단부로 일부가 노출된 스템(22)과, 이 스템(22)에 구비되며 적어도 상단부에는 모드 작동 스템 삽입홀이 구비된 내향 확장편(26IE)을 구비한 개폐 작동캡(26)과, 상기 내향 확장편(26IE)의 모드 작동 스템 삽입홀에 스템부가 진입하여 개폐 작동캡(26)을 밸브바디(20)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모드 작동 스템(30)을 포함하는 좌변기 절수용 수전금구의 밸브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 절수용 수전금구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클로즈 모드>
클로즈 모드는 금구바디(10)의 레버(10L)를 대변 모드나 소변 모드를 선택하지 않고 중립 위치에 놓아서 수전금구에서 좌변기로 세척수가 토출되는 것을 차단한 모드이다. 클로즈 모드에서는 밸브바디(20)에 의해 금구바디(10)의 유출 슬리브(14) 내부 공간부가 밸브바디(20) 위쪽의 압력수 챔버(16)와 밸브바디(20) 아래쪽의 세척수 챔버(18)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레버(10L)는 소변 모드나 대변 모드 쪽으로 눌리지 않고 중립 위치에 있어서, 레버(10L)에 연결된 모드 작동 스템(30)이 밸브바디(20)의 상부측에 있는 개폐 작동캡(26)과 상하 일자형으로 똑바로 정렬되어 있으며, 이처럼 모드 작동 스템(30)과 밸브바디(20)의 개폐 작동캡(26)이 상하로 일자형으로 정렬된 상태에서는 밸브바디(20) 내부의 작동 스템(22)도 상하로 똑바로 정렬되어 상기 클로즈 탄성체(28)의 탄성력에 의해 클로즈 작동판(24)이 밸브바디(20)의 밸브시트를 폐쇄하고 있으므로, 상기 밸브바디(20)의 상단부와 유출 슬리브(14) 사이에 형성된 압력수 챔버(16)에는 밸브바디(20)의 내부에 구비된 압력수 필링홀(20FH)을 통해 압력수가 들어와서 채워지고 밸브바디(20) 하단부와 유출 슬리브(14) 사이에는 세척수가 채워져서, 상기 압력수에 의한 압력수 챔버(16) 내의 압력(P1)과 세척수에 의한 세척수 챔버(18) 내의 압력(P2)이 균형을 이루게 되므로, 상기 밸브바디(20)가 유출 슬리브(14) 내부의 밸브시트에 일정 압력으로 가압 밀착되어 상기 금구바디(10)의 유출 슬리브(14)를 통해 세척수가 좌변기로 공급되지 않게 된다.
<대변 모드>
금구바디(10)의 유출 슬리브(14)에 구비된 레버(10L)를 중립 상태에서 대변 모드로 누르면, 상기 레버(10L)가 일측으로 회동되면서 모드 작동 스템(30)을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회동되도록 한다. 그러면, 모드 작동 스템(30)에 구비된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의 외주면이 밸브바디(20) 상측의 개폐 작동캡(26)을 일측으로 경사지게 기울인다. 상기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의 외주면이 개폐 작동캡(26)의 상단부에 구비된 내향 확장편(26IE)의 모드 작동 스템 삽입홀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밸브바디(20) 상측의 개폐 작동캡(26)을 일측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지도록 회동시킨다. 이처럼, 개폐 작동캡(26)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지면 개폐 작동캡(26)에 연결된 스템(22)도 일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회동되고, 밸브바디(20) 내부의 스템(22)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면 클로즈 작동판(24)이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열리면서 밸브바디(20) 내부의 밸브시트 상면에서 들리게 되고, 클로즈 작동판(24)이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열리면서 상기 밸브시트의 상면에서 들리면 밸브바디(20) 내부의 압력수 토출홀(20H)이 개방되므로 밸브바디(20) 상단부와 유출 슬리브(14) 사이의 압력수 챔버(16)에 채워져 있던 압력수가 신속하게 압력수 토출홀(20H)을 통해 유출 슬리브(14)의 메인 밸브시트(14S) 안쪽 위치에 형성된 세척수 토출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클로즈 작동판(24)이 일측으로 기울어져 개방된만큼 클로즈 탄성체(28)는 압축되어 탄성 복원력을 보유하고 있게 된다.
이처럼 압력수 챔버(16)에서 압력수가 빠지면 압력수 챔버(16) 내부의 압력은 모두 빠지는 한편 밸브시트 하측의 세척수 챔버(18)의 압력은 압력수 챔버(16) 내부의 압력보다 더 높으므로 상기 밸브바디(20)가 순간적으로 압력수 챔버(16) 쪽으로 상승한다.
상기 밸브바디(20)가 신속하게 압력수 챔버(16) 쪽으로 상승할 때에 상기 모드 작동 스템(30)을 구성하는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의 외주면에 개폐 작동캡(26)의 내향 확장편(26IE)의 모드 작동 스템 삽입홀 내주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승하다가 상기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가 끝나는 지점(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의 상단)에 도달하면 상기 개폐 작동캡(26)은 밸브바디(20)의 내부에 구비된 클로즈 탄성체(2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일측으로 기울어져 있던 상태에서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가 끝나는 영역에서 다시 원래 위치(밸브바디(20)의 상하 중심 위치)로 복귀하려는 힘이 작용하는데, 상기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의 외경에 비하여 모드 작동 스템(30)의 다른 부분의 외경이 더 작으므로 상기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는 개폐 작동캡(26)의 내부 공간부로 들어가면서 개폐 작동캡(26)이 압축되어 있던 클로즈 탄성체(28)가 펴지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활하게 원래 위치로 다시 정렬되고, 개폐 작동캡(26)이 원위치로 복원 정렬되면 클로즈 탄성체(28)가 다시 밸브바디(20)의 압력수 토출홀(20H)을 닫아주게 되므로, 상기 밸브바디(20)가 상승을 멈추는 한편 상기 밸브바디(20) 내부의 압력수 필링홀(20FH)을 통해 압력수 챔버(16)로 다시 압력수가 들어오게 된다.
상기 금구바디(10)의 유입 슬리브(12)와 연결 슬리브(13)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의 일부가 상기 밸브바디(20)의 내부에 구비된 압력수 필링홀(20FH)을 통해 압력수 챔버(16)로 다시 들어오면 상기 압력수 챔버(16)로 올라와 있던 밸브바디(20)가 압력수 필링홀(20FH)에 다시 채워지는 압력수의 압력에 의해 금구바디(10)의 유출 슬리브(14)에 구비된 세척수 토출홀을 막아주도록 다시 내려온다.
상기 밸브바디(20)가 대변 모드에서 금구바디(10) 내부의 밸브시트로부터 위로 올라가면 세척수 토출홀을 통해 세척수가 좌변기로 토출되는데, 밸브바디(20)가 압력수 챔버(16)로 올라가 있던 높이만큼 다시 내려오는 동안 세척수가 대변을 씻어내릴 정도의 양으로 공급되며, 좌변기에서 대변을 씻어내리기 위한 세척수가 공급되다가 상기 밸브바디(20)가 원래 위치로 다 내려와서 금구바디(10)의 밸브시트에 구비된 세척수 토출홀을 닫으면 세척수는 더 이상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밸브바디(20)의 상단부와 유출 슬리브(14) 사이의 압력수 챔버(16)에 압력수가 다 채워져서 상기 밸브바디(20) 하측의 세척수 챔버(18)의 압력과 상기 압력수 챔버(16)의 압력이 균형을 이루게 되므로 다시 상기 클로즈 모드로 전환된다.
정리하면, 상기 레버(10L)를 대변 모드로 작동되도록 조작하면 밸브바디(20)의 압력수 토출홀(20H)이 열리면서 압력수 챔버(16) 내부의 압력수가 빠지면 밸브바디(20)가 압력수 챔버(16)로 일정 높이만큼 상승하여 금구바디(10) 내부의 세척수 토출홀을 개방함으로써 좌변기에 세척수를 공급하다가 상기 밸브바디(20)가 올라간 높이만큼 다시 내려오면서 금구바디(10) 내부의 세척수 토출홀을 막아주면 세척수의 공급이 중단되어 대변 모드에서 필요한 양만큼의 세척수를 좌변기에 공급하게 된다.
<소변 모드>
상기 금구바디(10)의 유출 슬리브(14)에 구비된 레버(10L)를 중립 상태에서 소변 모드로 누르면, 상기 레버(10L)가 대변 모드에서와는 반대 방향인 타측으로 회동되면서 모드 작동 스템(30)을 타측으로 기울어지게 회동되도록 한다. 그러면, 모드 작동 스템(30)에 구비된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의 외주면이 밸브바디(20) 상측의 개폐 작동캡(26)을 타측으로 경사지게 기울인다. 상기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의 외주면이 개폐 작동캡(26)의 상단부에 구비된 내향 확장편(26IE)의 모드 작동 스템 삽입홀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밸브바디(20) 상측의 개폐 작동캡(26)을 타측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지도록 회동시킨다. 이처럼, 개폐 작동캡(26)이 타측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지면 개폐 작동캡(26)에 연결된 스템(22)도 대변 모드에서와는 반대 방향인 타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회동되고, 밸브바디(20) 내부의 스템(22)이 타측으로 기울어지면 클로즈 작동판(24)이 타측으로 기울어지게 열리면서 밸브바디(20) 내부의 밸브시트 상면에서 들리게 되고, 클로즈 작동판(24)이 타측으로 기울어지게 열리면서 상기 밸브시트의 상면에서 들리면 밸브바디(20) 내부의 압력수 토출홀(20H)이 개방되므로 밸브바디(20) 상단부와 유출 슬리브(14) 사이의 압력수 챔버(16)에 채워져 있던 압력수가 신속하게 압력수 토출홀(20H)을 통해 유출 슬리브(14)의 메인 밸브시트(14S) 안쪽 위치에 형성된 세척수 토출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클로즈 작동판(24)이 타측으로 기울어져 개방된만큼 클로즈 탄성체(28)는 압축되어 탄성 복원력을 보유하고 있게 된다.
이처럼 압력수 챔버(16)에서 압력수가 빠지면 압력수 챔버(16) 내부의 압력은 모두 빠지는 한편 밸브시트 하측의 세척수 챔버(18)의 압력은 압력수 챔버(16) 내부의 압력보다 더 높으므로 상기 밸브바디(20)가 순간적으로 압력수 챔버(16) 쪽으로 상승한다.
이때,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의 높이(길이)는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의 높이에 비하여 더 작기 때문에, 밸브바디(20)가 대변 모드에서보다는 더 낮은 위치까지만 상승한다. 대변 모드에 비하여 소변 모드에서 밸브바디(20)가 압력수 챔버(16)로 덜 올라가는 것이다.
상기 밸브바디(20)가 신속하게 압력수 챔버(16) 쪽으로 상승할 때에 상기 모드 작동 스템(30)을 구성하는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의 외주면에 개폐 작동캡(26)의 내향 확장편(26IE)의 모드 작동 스템 삽입홀(26SH) 내주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승하다가 상기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가 끝나는 지점(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의 상단)에 도달하면 상기 개폐 작동캡(26)은 밸브바디(20)의 내부에 구비된 클로즈 탄성체(2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일측으로 기울어져 있던 상태에서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가 끝나는 영역에서 다시 원래 위치(밸브바디(20)의 상하 중심 위치)로 복귀하려는 힘이 작용하는데, 상기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의 외경에 비하여 모드 작동 스템(30)의 다른 부분의 외경이 더 작으므로 상기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는 개폐 작동캡(26)의 내부 공간부로 들어가면서 개폐 작동캡(26)이 압축되어 있던 클로즈 탄성체(28)가 펴지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활하게 원래 위치로 다시 정렬되고, 개폐 작동캡(26)이 원위치로 복원 정렬되면 클로즈 탄성체(28)가 다시 밸브바디(20)의 압력수 토출홀(20H)을 닫아주게 되므로, 상기 밸브바디(20)가 상승을 멈추는 한편 상기 밸브바디(20) 내부의 압력수 필링홀(20FH)을 통해 압력수 챔버(16)로 다시 압력수가 들어오게 된다.
상기 금구바디(10)의 유입 슬리브(12)와 연결 슬리브(13)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의 일부가 상기 밸브바디(20)의 내부에 구비된 압력수 필링홀(20FH)을 통해 압력수 챔버(16)로 다시 들어오면 상기 압력수 챔버(16)로 올라와 있던 밸브바디(20)가 압력수 필링홀(20FH)에 다시 채워지는 압력수의 압력에 의해 금구바디(10)의 유출 슬리브(14)에 구비된 세척수 토출홀을 막아주도록 다시 내려온다.
상기 밸브바디(20)가 소변 모드에서 금구바디(10) 내부의 밸브시트로부터 위로 올라가면 세척수 토출홀을 통해 세척수가 좌변기로 토출되는데, 밸브바디(20)가 압력수 챔버(16)로 올라가 있던 높이만큼 다시 내려오는 동안 세척수가 소변을 씻어내릴 정도의 양으로 공급되며, 좌변기에서 소변을 씻어내리기 위한 세척수가 공급되다가 상기 밸브바디(20)가 원래 위치로 다 내려와서 금구바디(10)의 밸브시트에 구비된 세척수 토출홀을 닫으면 세척수는 더 이상 공급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소변 모드에서는 밸브바디(20)가 압력수 챔버(16)로 올라가 있는 높이가 대변 모드에서 올라가 있는 높이보다 더 작으므로, 소변 모드에서는 대변 모드에서보다는 세척수의 토출량이 더 적게 된다. 이때, 상기 밸브바디(20)의 상단부와 유출 슬리브(14) 사이의 압력수 챔버(16)에 압력수가 다 채워져서 상기 밸브바디(20) 하측의 세척수 챔버(18)의 압력과 상기 압력수 챔버(16)의 압력이 균형을 이루게 되므로 다시 상기 클로즈 모드로 전환된다.
정리하면, 상기 레버(10L)를 소변 모드로 작동되도록 조작하면 밸브바디(20)의 압력수 토출홀(20H)이 열리면서 압력수 챔버(16) 내부의 압력수가 빠지면 밸브바디(20)가 압력수 챔버(16)로 일정 높이만큼 상승하여 금구바디(10) 내부의 세척수 토출홀을 개방함으로써 좌변기에 세척수를 공급하다가 상기 밸브바디(20)가 올라간 높이만큼 다시 내려오면서 금구바디(10) 내부의 세척수 토출홀을 막아주면 세척수의 공급이 중단되어 소변 모드에서 필요한 양만큼의 세척수를 좌변기에 공급하게 된다. 중요한 것은 소변 모드에서는 밸브바디(20)가 대변 모드에서 압력수 챔버(16) 쪽으로 올라가는 높이가 더 작기 때문에, 소변 모드에서 압력수 챔버(16)로 올라가 있던 밸브바디(20)가 다시 내려오는 거리(D2)가 대변 모드에서 다시 내려오는 거리(D1)에 비하여 더 짧기 때문에, 대변 모드에서의 세척수 토출량과 소변 모드에서의 세척수 토출량이 자동으로 정밀 조절된다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은 주요부인 모드 작동 스템(30)에 의해 대변 모드에서의 세척수 토출량과 소변 모드에서의 세척수 토출량이 자동으로 정밀하게 조절되도록 하는 것에 주요 특징이 있는 발명으로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대변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주요부인 모드 작동 스템(30)의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와 클로즈 탄성체(28), 밸브바디(20) 등에 의해 대변시 필요한 세척수의 토출량을 자동 조절하고 소변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모드 작동 스템(30)의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와 클로즈 탄성체(28), 밸브바디(20) 등에 의해 소변시 필요한 세척수의 토출량을 자동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절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절수를 위한 구조 자체도 복잡해지지 않고 보다 간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무엇보다 소변 모드이든 대변 모드이든 세척수의 공급량이 너무 과하지도 않고 너무 부족하지 않게 자동으로 적정량으로 조절하여 공급하게 되므로, 절수 효율 극대화를 기하는데 아주 유용하다는 효과를 가진다는 점이 주요 특징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대변 모드나 소변 모드에서 모드 선택 스템(22)을 기울이면 밸브바디(20)가 순간적으로 압력수 챔버(16) 쪽으로 팍 올라오는데, 대변 모드일 때에는 소변 모드일 때보다 밸브바디(20)가 더 많이 올라와서 다시 아래로 내려가서 세척수 토출구를 막아주므로 대변 모드일 때의 세척수 토출량이 소변 모드일 때의 세척수 토출량에 비하여 더 많게 된다. 즉, 모드 작동 스템(30)(샤프트)가 다시 중심부(즉, 밸브바디(20)의 상하 방향 중심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복귀되지 않고 기울어진 상태를 계속 유지하여 밸브바디(20)의 세척수 토출홀을 열어놓았다가 상기 대변 모드의 테이퍼부 영역이나 소변 모드의 테이퍼부 영역으로 개폐 작동캡(26)의 내향 확장편(26IE)이 모드 작동 스템(30)의 외경이 더 작은 부분에 의해 상기 모드 작동 스템(30)의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 또는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가 개폐 작동캡(26)의 안으로 수용되어 들어올 때에야 비로소 복귀 스프링의 복귀되려는 힘에 의해 밸브바디(20) 내부의 스템(22)과 레버(10L)에 연결된 모드 선택 스템(22)이 원위치(중심부 위치)로 정렬되면서 밸브바디(20)의 압력수 토출홀(20H)을 막아주어 대변 모드에서의 세척수 공급량과 소변 모드에서의 세척수 토출량을 자동조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레버(10L)를 누르고 있던 누르고 있지 않던 상관없이 정확하게 소변량에 해당하는 세척수와 대변량의 해당하는 세척수를 토출할 수 있다.
2. 상기 모드 작동 스템(30)과 연계 작동하는 개폐 작동캡(26)은 베이스 개폐 작동캡(26A)에 승강 개폐 작동캡(26B)이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밸브바디(20)가 올라간 상태에서 혹시라도 개폐 작동캡(26)의 내향 확장편(26IE)이 모드 작동 스템(30)의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나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의 상단부에 걸려서 잘 내려오지 않는 경우(타임 딜레이)를 확실하게 방지하므로, 세척수의 토출량이 쓸데없이 많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압력수 챔버(16)로 올라가 있던 밸브바디(20)가 내려올 때에 개폐 작동캡(26)도 따라 내려오는데, 개폐 작동캡(26)의 내향 확장편(26IE)이 모드 작동 스템(30)의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나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의 상단부에 걸리게 되면 밸브바디(20)가 제때에 내려오지 않고 좀더 시간이 걸린 다음에 내려오는 타임 딜레이가 생기는데, 이러한 타임 딜레이로 인하여 세척수 토출량이 쓸데없이 많아질 여지가 생길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개폐 작동캡(26)이 밸브바디(20) 내부의 스템(22)에 연결된 베이스 개페 작동캡과, 이러한 베이스 개폐 작동캡(26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 개폐 작동캡(26B)으로 구성되고, 승강 개폐 작동캠에 내향 확장편(26IE)을 구비하여, 밸브바디(20)가 내려올 때에 승강 개폐 작동캡(26B)의 내향 확장편(26IE)이 혹시라도 모드 작동 스템(30)의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의 상단부 또는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의 상단부에 걸리더라도 상기 베이스 개폐 작동캡(26A)은 밸브바디(20)와 함께 승강 개폐 작동캡(26B)과는 별개로 내려가므로, 상기와 같이 밸브바디(20)가 제때에 내려오지 않아서 생기는 타임 딜레이가 없게 되며, 이처럼 타임 딜레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함으로 인하여 세척수의 토출량이 쓸데없이 많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승강 개폐 작동캡(26B)의 내향 확장편(26IE)이 모드 작동 스템(30)의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와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의 상단부에 걸려서 제때 내려오지 않아도 상기 베이스 개페 작동캡과 밸브바디(20)는 이미 제때에 내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타임 딜레이가 방지되는 것이다. 베이스 개폐 작동캡(26A)이 밸브바디(20)와 함께 이미 제때에 내려간 다음이기 때문에 승강 개폐 작동캡(26B)이 나중에 천천히 내려와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와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에는 하향 경사진 테이퍼부가 있어서 상기 개폐 작동캡(26)의 내향 확장부가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와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에 걸리는 일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3. 상기 밸브바디(20)의 내부에는 압력수 필링홀(20FH)이 구비되어, 밸브바디(20)의 상단부와 금구바디(10)의 유출 슬리브(14)의 내부 사이에 형성된 압력수 챔버(16)에 세척수를 일부가 압력수 필링홀(20FH)로 유입되도록 하여 압력수 챔버(16)에 일정량의 압력수를 채워놓는데, 상기 압력수 필링홀(20FH)에는 승강 가능하게 클리닝핀(20CP)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압력수 필링홀(20FH)이 물떼와 같은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작동시 신뢰성을 보다 높이는 효과가 있다. 상기 압력수 필링홀(20FH)에 물떼 등이 이물질이 붙으려 하여도 상기 클리닝핀(20CP)이 왔다갔다하면서 압력수 필링홀(20FH)에 이물질이 쌓여 압력수 필링홀(20FH)을 막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므로, 상기 압력수 필링홀(20FH)을 통해 압력수 챔버(16)로 물이 제대로 들어가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지 않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작동 신뢰성이 보다 높아지는 것이다.
4. 상기 캡(15)이 베이스캡(15A)과 조절캡(15B)으로 구성되고, 조절캡(15B)에는 모드 작동 스템(30)이 장착되어 있어서, 상기 조절캡(15B)을 베이스캡(15A)을 기준으로 상승시키거나 내리는 높이 조절을 하게 되면, 조절캡(15B)에 의해 모드 작동 스템(30)이 개폐 작동캡(26)에 대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므로, 모드 작동 스템(30)의 높이에 따라 세척수의 량을 손쉽게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조절캡(15B)을 나사 회전식으로 돌려주면 조절캡(15B)과 함께 모드 작동 스템(30)이 개폐 작동캡(26)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 높이 올라가거나 더 높이 낮아지게 되므로, 대변 모드에서와 소변 모드에서의 세척수 토출량을 손쉽고 간편하게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조절캡(15B)에 의해 모드 작동 스템(30)을 개폐 작동캡(26)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이 올려놓으면 세척수 토출량이 상대적으로 더 많아지고 반대로 조절캡(15B)에 의해 모드 작동 스템(30)을 개폐 작동캡(26)에서 상대적으로 더 낮게 내려놓으면 세척수 토출량이 상대적으로 더 적어지게 된다. 이를 테면, 상기 캡(15)에 의해 모드 작동 스템(30)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대변 모드에서 나오는 세척수량과 소변 모드에서 나오는 세척수량을 정밀 조절이 가능하다고 하겠다.
5. 또한, 상기 캡(15)이 베이스캡(15A)과 조절캡(15B)으로 구성됨으로 인하여 레버(10L)의 위치가 원래 설치되어야 할 각도에서 틀어져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조절캡(15B)에 대변 모드와 소변 모드를 선택하여 작동시키는 누름식 레버(10L)가 장착되는데, 레버(10L)가 설치 각도가 틀어진 경우 레버(10L)와 함께 캡(15)을 올바른 각도로 돌려놓을 수 있으므로, 레버(10L)의 위치가 원래 원하는 위치에 정상적으로 정렬되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레버(10L)의 상부에서 볼 때에 레버(10L)가 좌우 180° 각도로 정렬되어 설치되어야 하는데, 레버(10L)가 180° 각도보다 틀어진 위치에 설치된 경우, 상기 레버(10L)와 캡(15)을 180° 정위치 각도로 돌려놓은 다음 상기 고정링체(15FR)로 캡(15)을 고정시키면 된다. 상기 고정링체(15FR)가 금구 바디(10)에 결합된 결합링체(11CR)에 가압된 상태이면 고정링체(15FR)를 약간 풀어서 상기 레버(10L)를 원하는 정위치 각도로 설치하고 나서 고정링체(15FR)를 결합링체(11CR)에 고정하면 될 것이다.
6. 상기 베이스캡(15A)과 조절캡(15B) 사이의 틈새는 패킹(15PK)에 의해 밀봉하고 있어서, 베이스캡(15A)과 조절캡(15B) 사이로 누수가 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누수 방지 측면에서 제품 신뢰성이 확실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개폐 작동캡(26)이 밸브바디(20) 내부에 구비된 스템(22)에 결합되어 밸브바디(20)의 상단부로 노출되고, 상기 금구바디(10)의 개폐 작동캡(26)과 마주하는 단부에는 높이 조절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높이 조절블록에 모드 작동 스템(30)이 결합된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 높이 조절블록은 금구바디(10)에 구비된 나사홀에 외주면의 나사부가 결합되어 회전식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높이 조절블록에 의해 모드 작동 스템(30)이 개폐 작동캡(26)에 대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므로, 모드 작동 스템(30)의 높이에 따라 세척수의 량을 손쉽게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높이 조절블록에 의해 모드 작동 스템(30)을 개폐 작동캡(26)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이 올려놓으면 세척수 토출량이 상대적으로 더 많아지고 반대로 높이 조절블록에 의해 모드 작동 스템(30)을 개폐 작동캡(26)에서 상대적으로 더 낮게 내려놓으면 세척수 토출량이 상대적으로 더 적어지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금구바디 10L. 레버
12. 유입 슬리브 13. 연결 슬리브
14. 유출 슬리브 15. 캡
15CR. 결합링체 14S. 메인 밸브시트
16. 압력수 챔버 18. 세척수 챔버
20. 밸브바디 20CP. 클리닝핀
20H. 압력수 토출홀 20FH. 압력수 필링홀
20VS. 밸브시트 20UF. 상측 플랜지부
20LF. 하측 플랜지부 22. 스템
23. 스템 지지 바디부 24. 클로즈 작동판
26. 개폐 작동캡 26A. 베이스 개폐 작동캡
26B. 승강 개폐 작동캡 26IE. 내향 확장편
28. 클로즈 탄성체 30. 모드 작동 스템
31. 높이 조절블록 32. 모드 선택 스템부
34.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 36.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

Claims (10)

  1. 내부의 유로가 유입 슬리브(12)와 유출 슬리브(14)와 연통된 금구바디(10);
    상기 금구바디(10)의 상기 유출 슬리브(14)와 상기 유로 사이를 일정 압력을 가진 압력수에 의해 폐쇄하는 밸브바디(20);
    상기 밸브바디(20)가 상기 유출 슬리브(14)와 상기 유로 사이를 폐쇄하는 압력수를 상기 밸브바디(20)를 통하여 상기 유출 슬리브(14)로 배출시켜서 상기 밸브바디(20)가 상기 금구바디(10)의 상기 유로와 상기 유출 슬리브(14)를 개방되도록 하는 스템(22);
    상기 밸브바디(20)가 상기 유출 슬리브(14)를 개방한 상태에서 다시 폐쇄시키는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밸브바디(20)를 밀어주는 압력수가 상기 밸브바디(20)와 상기 유출 슬리브(14) 사이의 압력수 챔버(16)에 다시 채워지는 시간을 다르게 조절하여 상기 밸브바디(20)에 의해 소변 모드와 대변 모드에서 토출되는 세척수의 양이 조절되도록 하는 모드 작동 스템(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절수용 수전금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20)는,
    상기 금구바디(10)의 상기 유출 슬리브(14)와 연통된 압력수 토출홀(20H);
    상기 밸브바디(20)의 내부에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내장된 스템(22);
    상기 밸브바디(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템(22)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압력수 토출홀(20H)을 개폐하는 클로즈 작동판(24);
    상기 모드 작동 스템(30)이 삽입되는 공간부가 내부에 구비되며 적어도 상단부에는 상하면으로 모드 작동 스템 삽입홀이 구비된 내향 확장편(26IE)을 구비하여 상기 밸브바디(20)의 상단부로 노출된 상기 스템(22)의 상단부에 연결된 개폐 작동캡(26);
    상기 밸브바디(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클로즈 작동판(24)이 상기 압력수 토출홀(20H)을 막아주도록 탄지하는 클로즈 탄성체(28);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모드 작동 스템(30)은,
    상기 개폐 작동캡(26)의 상기 내향 확장편(26IE)에 구비된 상기 모드 작동 스템 삽입홀에 진입하는 모드 선택 스템부(32)를 구비하며,
    상기 모드 선택 스템부(32)는 상기 모드 작동 스템(30)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쪽 위치에 상하 길이가 다른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와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절수용 수전금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20)는 상기 금구바디(10)의 상기 유출 슬리브(14)의 내부를 압력수 챔버(16)와 세척수 챔버(18)로 구획하며, 상기 밸브바디(20)의 내부에는 상기 금구바디(10)의 상기 유입 슬리브(12)와 상기 압력수 챔버(16)에 연통된 압력수 필링홀(20FH)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절수용 수전금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20)는 상하부에 각각 상측 플랜지부(20UF)와 하측 플랜지부(20LF)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 플랜지부(20LF)는 상기 금구바디(10)의 상기 유출 슬리브(14)에 구비된 밸브시트에 접촉되어 상기 유출 슬리브(14)에 연통된 연결 슬리브(13)와 유입 슬리브(12) 사이의 유로를 폐쇄하며, 상기 상측 플랜지부(20UF)의 외주면은 상기 금구바디(10)와 상기 밸브바디(20)의 상단부 사이에 압력수 챔버(16)를 형성하며, 상기 상측 플랜지부(20UF)에 상기 압력수 챔버(16)와 상기 연결 슬리브(13) 및 상기 유입 슬리브(12)에 연통된 상기 압력수 필링홀(20FH)이 구비되며, 상기 압력수 필링홀(20FH)에는 클리닝핀(20CP)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절수용 수전금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와 상기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를 구비하는 상기 는 모드 선택 스템부(32)는 다른 부분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성되고, 상기 모드 작동 스템(30)은 힌지부를 기준으로 대변 모드와 소변 모드를 선택하는 상기 금구바디(10)의 레버(10L)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10L)에 의해 대변 모드 선택시에 상기 모드 작동 스템(30)이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가 상기 개폐 작동캡(26)의 상기 내향 확장편(26IE) 내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스템(22)에 연결된 상기 밸브바디(20) 내부의 상기 클로즈 작동판(24)을 개방하고, 상기 레버(10L)에 의해 소변 모드 선택시에 상기 모드 작동 스템(30)이 중심부에서 타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가 상기 개폐 작동캡(26)의 상기 내향 확장편(26IE) 내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스템(22)에 연결된 상기 밸브바디(20) 내부의 상기 클로즈 작동판(24)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절수용 수전금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작동캡(26)은 상기 밸브바디(20) 내부에 구비된 스템(22)에 결합되어 상기 밸브바디(20)의 상단부로 노출되고, 상기 금구바디(10)의 상기 개폐 작동캡(26)과 마주하는 단부에는 높이 조절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높이 조절블록에 상기 모드 작동 스템(30)이 결합되어, 상기 높이 조절블록에 의해 상기 모드 작동 스템(30)이 상기 개폐 작동캡(26)에 대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절수용 수전금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작동캡(26)은 상기 밸브바디(20) 내부에 구비된 스템(22)에 결합되어 상기 밸브바디(20)의 상단부로 노출되고, 상기 개폐 작동캡(26)에 의해 상기 클로즈 작동판(24)을 개방하여 상기 밸브바디(20)에 의해 구획된 상기 금구바디(10)의 유출 슬리브(14)의 압력수 챔버(16)에 채워져 있던 압력수를 상기 유출 슬리브(14)로 토출할 때에 상기 밸브바디(20)는 상기 압력수 챔버(16)측으로 상승하여 상기 개폐 작동캡(26)의 상기 내향 확장편(26IE) 내주면이 상기 모드 작동 스템(30)의 상기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 또는 상기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개폐 작동캡(26)이 상승하였다가 상기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 또는 상기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의 외주면에 영역에서 상기 내향 확장편(26IE)이 벗어날 때에 상기 클로즈 작동판(24)을 상기 밸브바디(20)에 구비된 클로즈 탄성체(28)의 복원 탄성력에 의해 막아주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폐 작동캡(26)은 상기 스템(22)에 고정된 베이스 개폐 작동캡(26A)과, 상기 베이스 개폐 작동캡(26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내향 확장편(26IE)이 구비된 승강 개폐 작동캡(26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절수용 수전금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구 바디(10)의 상단 개방부를 막아주는 캡(1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캡(15)은 상기 금구 바디(10)에 결합되는 베이스캡(15A);
    상기 베이스캡(15A)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템(22)이 구비된 조절캡(15B);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절수용 수전금구.
  9.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압력수 토출홀(20H)이 구비된 밸브바디(20);
    상기 밸브바디(20)의 상기 공간부에 내장되어 상기 압력수 토출홀(20H)을 개폐하는 클로즈 작동판(24);
    상기 클로즈 작동판(24)에 연결되어 상기 밸브바디(20) 상단부로 일부가 노출된 스템(22);
    상기 스템(22)에 구비되며 적어도 상단부에는 모드 작동 스템 삽입홀이 구비된 내향 확장편(26IE)을 구비한 개폐 작동캡(26);
    상기 내향 확장편(26IE)의 상기 모드 작동 스템 삽입홀에 스템부가 진입하여 상기 개폐 작동캡(26)을 상기 밸브바디(20)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모드 작동 스템(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절수용 수전금구의 밸브 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20)의 내부와 상기 클로즈 작동판(24) 사이에는 클로즈 탄성체(28)가 개재되고, 상기 밸브바디(20)의 상측 플랜지부(20UF)와 하측 플랜지부(20LF) 중에서 상기 상측 플랜지부(20UF)에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된 압력수 필링홀(20FH)이 구비되고, 상기 압력수 필링홀(20FH)에는 클리닝핀(20CP)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개폐 작동캡(26)은 상기 스템(22)의 상단부에 고정된 베이스 개폐 작동캡(26A)과, 상기 베이스 개폐 작동캡(26A)에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내향 확장편(26IE)이 구비된 승강 개폐 작동캡(26B)을 포함하고, 상기 스템부는 상기 모드 작동 스템(30)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쪽 위치에 상하 길이가 다른 대변 모드 선택 스템부(34)와 소변 모드 선택 스템부(3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절수용 수전금구의 밸브 구조.
KR1020140088836A 2014-07-15 2014-07-15 좌변기 절수용 수전금구 및 밸브 구조 KR101554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836A KR101554649B1 (ko) 2014-07-15 2014-07-15 좌변기 절수용 수전금구 및 밸브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836A KR101554649B1 (ko) 2014-07-15 2014-07-15 좌변기 절수용 수전금구 및 밸브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4649B1 true KR101554649B1 (ko) 2015-09-21

Family

ID=54248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836A KR101554649B1 (ko) 2014-07-15 2014-07-15 좌변기 절수용 수전금구 및 밸브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6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3416B1 (ko) 1998-04-17 2000-04-15 강장원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
KR101218739B1 (ko) 2011-07-15 2013-01-09 이현수 절수형 플래시밸브
KR101272162B1 (ko) 2012-03-27 2013-06-07 이현수 절수형 플래시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3416B1 (ko) 1998-04-17 2000-04-15 강장원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
KR101218739B1 (ko) 2011-07-15 2013-01-09 이현수 절수형 플래시밸브
KR101272162B1 (ko) 2012-03-27 2013-06-07 이현수 절수형 플래시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05138B (zh) 罐式冲洗阀
RU2499101C2 (ru) Туалетный смывной клапан с уменьшающимся поперечным сечением гнезда клапана
CN110173028B (zh) 排水阀装置、贮水水箱装置及冲水大便器
JP6501062B2 (ja) 排水弁装置、この排水弁装置を備えた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この洗浄水タンク装置を備えた水洗大便器
KR100634086B1 (ko) 양변기의 급수장치
US9499964B2 (en) Flush water supply device, flush water tank assembly with flush water supply device, and flush toilet with flush water tank assembly
JP2006500496A (ja) 節水型洋風便器
US6450195B1 (en) Toilet tank fill valve with float
KR100876951B1 (ko) 변기용 세척밸브의 절수장치
KR101554649B1 (ko) 좌변기 절수용 수전금구 및 밸브 구조
JP2006266276A (ja) 自閉弁
KR101696865B1 (ko) 전자제어 양변기 및 비데 일체형 양변기용 배수밸브장치
CN101168971A (zh) 骤降式排水装置
KR101230354B1 (ko) 양변기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US10145092B2 (en) Device for preventing backflow
CN113167063B (zh) 自动马桶清洁装置
US6880181B2 (en) Apparatus for delaying the closing of a toilet flapper valve
KR101132763B1 (ko) 비데와 변기용 자동 물내림의 선택사용이 가능한 후레쉬 밸브 장치
WO2007141704B1 (en) A dispenser for dispensing a dosing liquid into a toilet cistern
US8360093B2 (en) Pilot fill valve
KR102439410B1 (ko) 역류방지수단을 구비한 좌변기 급수장치
JP6822634B2 (ja) 排水配管
KR100517838B1 (ko) 변기밸브의 대, 소변 구분급수장치
KR20140103539A (ko) 변기용 절수기
CN108505600B (zh) 一种防溅水马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