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873Y1 - 양변기의 2단 배수밸브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2단 배수밸브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873Y1
KR200184873Y1 KR2019990029008U KR19990029008U KR200184873Y1 KR 200184873 Y1 KR200184873 Y1 KR 200184873Y1 KR 2019990029008 U KR2019990029008 U KR 2019990029008U KR 19990029008 U KR19990029008 U KR 19990029008U KR 200184873 Y1 KR200184873 Y1 KR 2001848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toilet
drain valve
hole
stage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공석
Original Assignee
신우워토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워토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우워토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9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8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8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8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변기의 후방에 설치되는 수조(1)의 내부에 담수된 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2단 배수밸브가 설치된 양변기에 있어서, 2단 배수밸브의 배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하는 버튼부(50)가 구성되고, 수조(1)에 체결되어 상기 버튼부(50)를 수용하며 작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수용부(60)가 구성되며, 상기 수용부(6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버튼부(50)의 작동에 의해 2단 배수밸브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회전부재(70)가 구성되고, 상기 버튼부(5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되고, 상기 수용부(60) 몸체(61)의 외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끼워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구비된 고정부재(80)로 구성됨으로서, 배수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내구성이 양호하며,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배수되는 물의 량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양변기의 2단 배수밸브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변기의 2단 배수밸브 개폐장치{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wo step supply water valve in toilet}
본 고안은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조에 담긴 세척수의 배수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양변기의 2단 배수밸브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양변기는 용변을 마친 후, 변기 본체에 세척수를 공급하여 용변을 세척할 수 있도록 물이 담수되는 수조가 변기 본체의 후방에 구비된다.
이러한 수조에 구성되어 세척수를 변기로 배출시키는 일반적인 배출장치는, 수조의 외부로 표출되게 설치된 조절레버에 후레쉬밸브가 연결되어 조절레버의 조작에 의해 후레쉬밸브가 개방되면 수조에 담수된 세척수가 배출된 후, 폐쇄되어 새로운 세척수를 일정량 공급받아 보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후레쉬밸브(10)를 개폐하기 위한 종래의 개폐장치는, 1995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4957호로 출원하여 127588호로 등록된 바 있다.
선 출원 개폐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 배수밸브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원터치식으로 움직이는 조작버튼부(41)가 구성되고, 상기 원터치식으로 왕복운동하는 조작버튼부(41)를 내부에 수용하여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수조(1)의 상면에 체결 고정되는 수용부(42)가 구성되며, 상기 수용부(4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조작버튼부(41)의 누름에 의해 상기 2단 배수밸브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레버(4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개폐장치의 작동과정을 보면, 먼저, 대변과 같은 대량의 세척수가 요구되는 용변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는, 도 1에 도시된 일점쇄선과 같이 상기 제2버튼(412)의 내부에 구비된 누름돌기(미도시)가 레버(43)의 단차편(431) 내측을 누르게 되면, 레버(43)가 많이 회전하게 되어 레버(43)의 타단에 구비된 당김끈(L)을 당긴다.
이때의 당김력은 후레쉬밸브(10)의 몸체(11)에 가해진 압력보다 크게 작용되어, 후레쉬밸브(10) 전체를 상승시켜 배수관(2b)의 입구를 개방하여 세척수를 변기 본체로 배출시키고, 이때 후레쉬밸브(10)의 회전 각도는 부력제어부(20)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즉 개폐부재(21)의 스토퍼(30)가 오버플로우어관(2b)에 부딪치기 전, 또는 스토퍼(30)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 후레쉬밸브(10)의 몸체(11)가 오버플로우어관(2b)에 부딪치기 전에 정지한 후 세척수의 배출과 동시에 부력에 의해 서서히 하강하여 배수관(2)을 폐쇄시킨다.
그리고, 소변과 같이 적은 량의 세척수가 요구되는 용변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는, 도 1에 도시된 이점쇄선과 같이, 제1버튼(411)을 누르면, 레버(43)의 단차편(431)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레버(43)의 타단에 연결된 당김끈(L)을 상향으로 당긴다.
이때의 당김력은 상기 대변을 세척할 경우보다 상향으로 길게 작용하여 후레쉬밸브(10) 전체를 레버(43)의 일측단을 중심으로 상승시켜 배수관(2)의 입구를 개방하여 세척수를 변기 본체로 배수시키며, 스토퍼(30)가 오버플로우어관(2a)에 부딪쳐 후레쉬밸브(10)의 회전이 정지하거나, 레버(43)가 일정각도로 회전하면, 상기 레버(43)는 지지대(421)의 상부에 더 이상 회전하지 않음과 동시에, 당김력에 의해 자석B(212)는 자석A(114)로부터 이격됨으로서, 개폐부재(21)는 축수대(115)를 중심으로 상향 회동함과 동시에 유입홀(111)이 개방된다. 이어서 개폐부재(21)의 후크(214)가 자석A(114)가 설치된 설치홈(112) 바닥에 걸리게 되면 개폐부재(21)의 회전 동작은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입홀(111)이 강제로 개방되면, 후레쉬밸브(10)의 하부에 통공된 배출공(132)과 공기유입공(133)을 통해 몸체(11)의 내부로 물이 유입됨과 동시에 몸체(11)의 내부의 공기는 개방된 유입홀(111)을 통해 배출되어 몸체(11)의 내부에는 물이 가득 차게되고, 후레쉬밸브(10)는 부력을 상실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버튼(411)을 놓게 되면, 자석A(114)와 자석B(212)는 상호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신속하게 부착되어 유입홀(111)을 폐쇄시켜 후레쉬밸브(10)는 급속히 하강한다. 이때, 부구(22)는 고정핀(222)에 걸림과 동시에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정지하여 부력을 상실한 상태로 하강하는 후레쉬밸브(10)에 다소의 부력을 제공하면서 후레쉬밸브(10)와 함께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세척수의 수위가 부구(22)의 중간에 위치하게 되면 부구(22)가 부력을 상실함과 동시에 후레쉬밸브(10)는 배수관(2)의 입구를 폐쇄시킨다. 이때, 폐쇄된 배수관(2) 내부의 공기는 후레쉬밸브(10)의 공기유입공(133)을 통해 유입되고, 몸체(11) 내부에 차있는 물은 중앙의 배출공(132)으로 모두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양변기용 2단 배수밸브 개폐장치는, 내부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되고, 설치시나 수리시에 많은 시간과 경비가 투입되어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설치시나 수리시에 투입되는 많은 시간과 경비를 줄일 수 있도록 내구성이 양호하고,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양변기의 2단 배수밸브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개폐장치는, 2단 배수밸브의 배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하는 버튼부와; 수조에 체결되어 상기 버튼부를 수용하며 작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버튼부의 작동에 의해 2단 배수밸브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버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되고, 상기 수용부 몸체의 외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끼워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구비된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선 출원 개폐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대량의 세척수 배출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소량의 세척수 배출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버튼부 51: 제1버튼
52: 제2버튼 60: 수용부
61: 몸체 70: 회전부재
71: 회전돌기 72: 작동대
80: 고정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양변기의 후방에 설치되는 수조(1)의 내부에 담수된 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2단 배수밸브가 설치된 양변기에 있어서 본 고안은, 2단 배수밸브의 배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하는 버튼부(50)가 구성되고, 수조(1)에 체결되어 상기 버튼부(50)를 수용하며 작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수용부(60)가 구성되며, 상기 수용부(6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버튼부(50)의 작동부에 의해 2단 배수밸브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회전부재(70)가 구성되고, 상기 버튼부(5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되고, 상기 수용부(60) 몸체(61)의 외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끼워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구비된 고정부재(80)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버튼부(50)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곡선으로 절단되어 수용공간(512)이 형성된 몸체(511)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512)의 일측 단부에 고정돌기(513)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511)의 하부 일측에 내측으로 제1작동공간(514)이 구비되며, 이 제1작동공간(514)의 일측에 내측으로 걸림돌기(515)가 형성된 제1버튼(51)이 구성되고, 상기 제1버튼(51)의 수용공간(512)에 안착되는 몸체(521)가 구비되고, 이 몸체(521)의 하부 일측에 내측으로 관통되며 상기 고정돌기(513)를 수용하여 안내하는 제2작동공간(522)이 구비되며, 이 제2작동공간(522)의 일측에 작동공(524)이 관통된 지지편(523)이 하측으로 돌출된 제2버튼(52)이 구성된다.
상기 수용부(60)는, 원통형상의 내부에 상기 제1,2버튼(51)(52)을 수용할 수 있도록 관통공(62)이 구비되고, 이의 외부는 나사산이 구비된 몸체(61)가 구성되고, 상기 관통공(62)의 일측 단부에 상기 제1작동공간(514)에 수용되어 제1버튼(5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돌기(63)가 구성되며, 상기 관통공(62)의 내부에 제1버튼(51)의 몸체(511)가 자연스럽게 동작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돌기(64)가 대향하게 구성되고, 상기 몸체(61)의 일측 상부에 내측으로 회전공(651)이 관통되어 소정길이 돌출된 고정편(65)이 대향되게 구성되며, 이 고정편(65)의 상부에 걸림구(652)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 삽입되는 패킹(66)이 구성된다.
상기 회전부재(70)는, 상기 수용부(60)의 회전공(651)에 끼워져 자유로이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돌기(71)가 구성되고, 이 회전돌기(71)의 일측에 길게 연장한 연결대(72)가 구성되며, 이 연결대(72)의 단부에는 당김끈(L)의 상단을 연결할 수 있는 다수의 연결공(721)이 통공되고, 상기 회전돌기(71)의 하부에 소정각도 내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작동대(73)가 구성되며, 이 작동대(73)의 중앙 일측에 내측으로 만곡면(731)이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60) 몸체(61)의 일측에 패킹(66)을 끼우고, 수조(1)의 일측에 관통된 수용공(1a)에 고정시킨 후, 고정부재(80)를 일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용부(60)를 수조(1)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제1버튼(51)의 수용공간(512)에 제2버튼(52)을 안착시킨다. 이때, 수용공간(512)에 돌출된 고정돌기(513)는 제2버튼(52)의 하부에 구비된 제2작동공간(522)에 삽입되며, 상기 제2버튼(52)의 일측에 구비된 지지편(523)은 상기 제1버튼(51) 몸체(511)의 일측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고정된 버튼부(50)를 수용부(60)의 관통공(62)에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제1작동공간(514)의 내측에 곡선으로 형성된 걸림돌기(515)는 수용부(60)의 제어돌기(63)를 가압하면서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걸림돌기(515)가 제어돌기(63)에서 이탈하면 제1작동공간(514)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수용공간(512)에 안착된 제2버튼(52) 지지편(523)의 작동공(524)에 회전부재(70)의 작동대(73)를 끼우고, 이 회전부재(70)의 회전돌기(71)를 고정편(65)의 회전공(651)에 끼우는데, 이때, 작동대(73)의 일측에 형성된 만곡면(731)은 지지편(523)의 작동공(524)과 동일한 위치가 된다.
이와 같이 결합이 완료되면, 회전부재(70)의 연결공(721)에 당김끈(L)을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해 대량의 세척수를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의해 소량의 세척수를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대변과 같이 많은 량의 세척수가 요구되는 용변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버튼(51)을 가압하면, 상기 제1버튼(51)은 제1작동공간(514)의 일측이 수용부(60)의 제어돌기(63)에 걸릴 때까지 내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2작동공간(522)의 일측은 제1버튼(51)의 고정돌기(513)에 걸려 제1버튼(51)과 같이 내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2버튼(52)의 작동공(524)에 끼워지고 고정편(65)의 회전공(651)에 끼워진 회전부재(70)의 작동대(73)는, 상기 회전공(651)에 끼워진 회전돌기(71)를 중심으로 일정각도 상향으로 회전하여 당김끈(L)을 당긴다. 이때의 당김력은 후레쉬밸브(10)의 몸체(11)에 가해진 압력보다 크게 작용되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레쉬밸브(10) 전체를 상승시켜 배수관(2b)의 입구를 개방하여 세척수를 변기 본체로 배출시키고, 이때 후레쉬밸브(10)의 회전 각도는 부력제어부(20)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즉 개폐부재(21)의 스토퍼(30)가 오버플로우어관(2b)에 부딪치기 전, 또는 스토퍼(30)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 후레쉬밸브(10)의 몸체(11)가 오버플로우어관(2b)에 부딪치기 전에 정지한 후 세척수의 배출과 동시에 부력에 의해 서서히 하강하여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관(2)을 폐쇄시킨다.
그리고 소변과 같이 적은 량의 세척수가 요구되는 용변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2버튼(52)을 가압하면, 상기 제2버튼(52)은 일정길이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1버튼(51)의 고정돌기(513)가 상기 제2버튼(52)의 제2작동공간(522)의 일측에 걸림과 동시에 제1버튼(51)과 같이 내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2버튼(52)의 작동공(524)에 끼워진 회전부재(70)의 작동대(73)는 상기 회전공(651)에 끼워진 회전돌기(71)를 중심으로 일정각도 상향으로 회전하여 당김끈(L)을 당긴다.
이때의 당김력은 상기 대변을 세척할 경우보다 상향으로 길게 작용하여 후레쉬밸브(10) 전체를 연결공(721)을 중심으로 상승시켜 배수관(2)의 입구를 개방하여 세척수를 변기 본체로 배수시킨 후,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30)가 오버플로우어관(2a)에 부딪쳐 후레쉬밸브(10)의 회전이 정지하거나, 회전부재(70)가 회전공(651)을 중심으로 일정각도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부재(70)는 고정편(65)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구(652)에 걸려 더 이상 회전하지 않음과 동시에, 당김력에 의해 자석B(212)는 자석A(114)로부터 이격됨으로서, 개폐부재(21)는 축수대(115)를 중심으로 상향 회동함과 동시에 유입홀(111)이 개방된다. 이어서 개폐부재(21)의 후크(214)가 자석A(114)가 설치된 설치홈(112) 바닥에 걸리게 되면 개폐부재(21)의 회전 동작은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입홀(111)이 강제로 개방되면, 후레쉬밸브(10)의 하부에 통공된 배출공(132)과 공기유입공(133)을 통해 몸체(11)의 내부로 물이 유입됨과 동시에 몸체(11)의 내부의 공기는 개방된 유입홀(111)을 통해 배출되어 몸체(11)의 내부에는 물이 가득 차게되고, 후레쉬밸브(10)는 부력을 상실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버튼(51)을 놓게 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A(114)와 자석B(212)는 상호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신속하게 부착되어 유입홀(111)을 폐쇄시켜 후레쉬밸브(10)는 급속히 하강한다. 이때, 부구(22)는 고정핀(222)에 걸림과 동시에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정지하여 부력을 상실한 상태로 하강하는 후레쉬밸브(10)에 다소의 부력을 제공하면서 후레쉬밸브(10)와 함께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의 수위가 부구(22)의 중간에 위치하게 되면 부구(22)가 부력을 상실함과 동시에 후레쉬밸브(10)는 배수관(2)의 입구를 폐쇄시킨다. 이때, 폐쇄된 배수관(2) 내부의 공기는 후레쉬밸브(10)의 공기유입공(133)을 통해 유입되고, 몸체(11) 내부에 차있는 물은 중앙의 배출공(132)으로 모두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2단 배수밸브의 배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하는 버튼부를 구성하고, 수조에 체결되어 상기 버튼부를 수용하며 작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수용부를 구성하며, 상기 수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버튼부의 작동에 의해 2단 배수밸브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회전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버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되며, 상기 수용부 몸체의 외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끼워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구비된 고정부재를 구성함으로서, 설치시나 수리시에 투입되는 많은 시간과 경비를 줄일 수 있도록 내구성이 양호하고,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4)

  1. 양변기의 후방에 설치되는 수조(1)의 내부에 담수된 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2단 배수밸브가 설치된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2단 배수밸브의 배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하는 버튼부(50)와;
    상기 수조(1)에 체결되어 상기 버튼부(50)를 수용하며 작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수용부(60)와;
    상기 수용부(6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버튼부(50)의 작동에 의해 2단 배수밸브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회전부재(70)와;
    상기 버튼부(5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되며, 상기 수용부(60) 몸체(61_의 외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끼워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구비된 고정부재(8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2단 배수밸브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50)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곡선으로 절단되어 수용공간(512)이 형성된 몸체(511)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512)의 일측 단부에 고정돌기(513)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511)의 하부 일측에 내측으로 제1작동공간(514)이 구비되며, 이 제1작동공간(514)의 일측에 내측으로 걸림돌기(515)가 형성된 제1버튼(51)이 구성되고, 상기 제1버튼(51)의 수용공간(512)에 안착되는 몸체(521)가 구비되고, 이 몸체(521)의 하부 일측에 내측으로 관통되며 상기 고정돌기(513)를 수용하여 안내하는 제2작동공간(522)이 구비되며, 이 제2작동공간(522)의 일측에 작동공(524)이 관통된 지지편(523)이 하측으로 돌출된 제2버튼(52)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2단 배수밸브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60)는,
    원통형상의 내부에 상기 제1,2버튼(51)(52)을 수용할 수 있도록 관통공(62)이 구비되고, 이의 외부는 나사산이 구비된 몸체(61)가 구성되고, 상기 관통공(62)의 일측 단부에 상기 제1작동공간(514)에 수용되어 제1버튼(5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돌기(63)가 구성되며, 상기 관통공(62)의 내부에 제1버튼(51)의 몸체가 자연스럽게 동작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돌기(64)가 대향하게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 상부에 내측으로 회전공(651)이 관통되어 소정길이 돌출된 고정편(65)이 대향되게 구성되며, 이 고정편(65)의 상부에 걸림구(652)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61)의 일측에 삽입되는 패킹(66)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2단 배수밸브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회전부재(70)는,
    상기 고정편(65)의 회전공(651)에 끼워져 자유로이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돌기(71)가 구성되고, 이 회전돌기(71)의 일측에 길게 연장한 연결대(72)가 구성되며, 이 연결대(72)의 단부에는 당김끈(L)의 상단을 연결할 수 있는 다수의 연결공(721)이 통공되고, 상기 회전돌기(71)의 하부에 소정각도 내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작동대(73)가 구성되며, 이 작동대(73)의 중앙 일측에 내측으로 만곡면(7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2단 배수밸브 개폐장치.
KR2019990029008U 1999-12-21 1999-12-21 양변기의 2단 배수밸브 개폐장치 KR2001848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008U KR200184873Y1 (ko) 1999-12-21 1999-12-21 양변기의 2단 배수밸브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008U KR200184873Y1 (ko) 1999-12-21 1999-12-21 양변기의 2단 배수밸브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873Y1 true KR200184873Y1 (ko) 2000-06-01

Family

ID=19602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008U KR200184873Y1 (ko) 1999-12-21 1999-12-21 양변기의 2단 배수밸브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87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954B1 (ko) 2010-03-17 2012-04-18 이수인 (주) 레버형 배수량 조절용 양변기 핸드레버
KR20210144079A (ko) * 2020-05-21 2021-11-30 김수영 세면수 재활용 절수기
KR102412859B1 (ko) * 2020-12-24 2022-06-24 주식회사 재진테크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954B1 (ko) 2010-03-17 2012-04-18 이수인 (주) 레버형 배수량 조절용 양변기 핸드레버
KR20210144079A (ko) * 2020-05-21 2021-11-30 김수영 세면수 재활용 절수기
KR102375529B1 (ko) * 2020-05-21 2022-03-17 김수영 세면수 재활용 절수기
KR102412859B1 (ko) * 2020-12-24 2022-06-24 주식회사 재진테크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3520B1 (en) Water discharging system for toilet
US4341238A (en) Flushing means
KR200184873Y1 (ko) 양변기의 2단 배수밸브 개폐장치
KR200401453Y1 (ko) 양변기의 세척수 2단 배수장치
KR200310476Y1 (ko) 양변기용 2단 급수조절레버
KR200164180Y1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100263368B1 (ko) 양변기의배수량조절장치
KR200277618Y1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0372410Y1 (ko)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
KR200251220Y1 (ko) 양변기 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0262563Y1 (ko) 양변기용 2단 배수밸브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0202263Y1 (ko) 양변기의 2단 배수밸브 조절장치
KR200199263Y1 (ko) 양변기 2단배수밸브의 작동장치
KR200347510Y1 (ko)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KR200338278Y1 (ko) 양변기의 세척수 2단 배수장치
KR0127588Y1 (ko) 양변기용 2단배수밸브 개폐장치
KR19990036029U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19990036030U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0287466Y1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0127590Y1 (ko) 양변기용 2단배수밸브의 배수량 조절장치
JP3383899B2 (ja) フロート弁
KR100349496B1 (ko) 양변기용 로우 탱크의 개폐밸브.
KR200349292Y1 (ko) 양변기의 절수용 레버 장치
KR200343795Y1 (ko) 양변기의 절수용 레버 장치
KR200237184Y1 (ko) 양변기용 로우 탱크의 개폐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