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859B1 -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859B1
KR102412859B1 KR1020200183228A KR20200183228A KR102412859B1 KR 102412859 B1 KR102412859 B1 KR 102412859B1 KR 1020200183228 A KR1020200183228 A KR 1020200183228A KR 20200183228 A KR20200183228 A KR 20200183228A KR 102412859 B1 KR102412859 B1 KR 102412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ressing
water
toilet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재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재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재진테크
Priority to KR1020200183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22Operating automatical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1Shape or selection of material for flushing cister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 E03D5/09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the flushing element, e.g. siphon bell, being actuated through a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작동레버부를 회전시켜 물내림부재를 회전시키므로 정확한 작동이 가능하고, 작동레버부의 회전시 제2링크가 제1링크로부터 회전하여 수평을 유지하면서 회전부재의 제1가압편을 상부로 가압하므로 회전부재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구동모터의 전원 차단시 수동 물내림부를 통해 변기의 물내림을 수동으로 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되는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Automatic toilet bowl flushing device}
본 발명은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작동레버부를 회전시켜 물내림부재를 회전시키므로 정확한 작동이 가능하고, 작동레버부의 회전시 제2링크가 제1링크로부터 회전하여 수평을 유지하면서 회전부재의 제1가압편을 상부로 가압하므로 회전부재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구동모터의 전원 차단시 수동 물내림부를 통해 변기의 물내림을 수동으로 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되는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가정이나 건물의 화장실에 사용되는 수세식 변기로 소정량의 세척수를 보관하는 수조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양변기에 분뇨를 본 후, 수조 외측에 설치된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분뇨가 세척수와 함께 분뇨 배출관을 통해 정화조로 배출되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양변기의 수조 내에는 양변기의 물내림 장치가 마련된다. 양변기의 물내림 장치는 적정한 량의 물을 공급하여 저장해주는 급수관과 부레, 오버플로관, 오버플로관에 설치되어 배수구를 덮고 있는 배수구 덮개, 그리고 배수구 덮개와 개폐줄로 연결되는 레버 등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물내림장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85037호(이하 '인용문헌 2'라 한다.)로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가 등록된 바 있다.
상기 인용문헌 1은 용변 후 변기커버를 닫으면 물내림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사용성은 편리할 수는 있으나, 변기커버가 파손되거나 회전작동 불능으로 폴버튼을 가압하지 않게 될 경우 물내림이 원활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물내림시에는 항상 변기커버를 내려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수동으로 버튼을 조작하는 방법 이외에 모터의 구동으로 수조 내의 물을 배출시키는 장치들도 제안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6230호(이하 '인용문헌 2'라 한다.)로 '양변기용 전동 물내림 장치'가 공개된 바 있다.
상기 인용문헌 2는 누름버튼을 가압하게 되면 정역모터가 제어부의 신호를 수신받아 회전하면서 배수관 덮개를 개방 및 폐쇄하게 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 인용문헌 2는 전기가 끊기게 되면 전기로 제어되는 정역모터가 구동하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물내림을 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85037호(2017.10.17. 공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6230호(2011.06.22. 공개)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작동레버부를 회전시켜 물내림부재를 회전시키므로 정확한 작동이 가능한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동레버부의 회전시 제2링크가 제1링크로부터 회전하여 수평을 유지하면서 회전부재의 제1가압편을 상부로 가압하므로 회전부재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모터의 전원 차단시 수동 물내림부를 통해 변기의 물내림을 수동으로 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되는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양변기의 후방에 설치된 저수조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회전부재에 결합되어 저수조의 내측면으로 돌출되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회전하는 물내림부재가 구비되어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물내림하고, 상기 물내림부재가 장착되는 저수조와 케이스의 통공에는 밀폐부재가 구비되어 수분침투가 방지되는 물내림 회전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장착되어 회전부재의 제1 가압편을 상부로 가압하는 작동레버부; 상기 구동모터 일측의 고정프레임에 장착되며 작동레버부의 상,하 회전반경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폐부재는, 평직으로 직조하여 제조된 파이버 글라스 원단으로 구성되어 탄성을 가지는 소재층; 상기 소재층의 외측면에 형성된 실리콘 코팅층으로 구비되며, 상기 실리콘 코팅층은 상온 경화 타입 또는 열경화 타입의 내열 실리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레버부는, 상기 구동모터에 고정되는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의 말단부에 관절부에 의해 결합되는 제2링크; 상기 제2링크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리미트스위치를 가압하는 스위치가압부;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며 제2링크의 최하단부에 위치하여 제1링크로부터 회전된 제2링크를 복원시키는 복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링크는, 상부면에 형성되는 홈부; 상기 홈부에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부재의 제1가압편에 형성된 결합홈으로 결합되도록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가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가압부재는, 접착력을 갖지 않으면서 연성을 갖는 LSR(Liquid Silicone Rubber)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절부는, 상기 제1링크의 일측 단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관절홈; 상기 제2링크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관절홈으로 결합되면서 작동레버부의 회전시 제2링크가 수평을 이루도록 관절돌기가 형성되는 관절부재; 상기 제2링크의 회전시 관절부재의 단부가 밀착되는 스토퍼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프레임에 장착되며 정전으로 인한 구동모터의 미작동 시 사용자가 수동으로 가압하여 물내림하는 수동 물내림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수동 물내림부는, 상기 고정프레의 상부에 장착되는 수동버튼; 상기 수동버튼의 가압으로 회전부재의 제2 가압편을 가압하도록 가압레버가 형성되는 수직작동부재; 상기 수직작동부재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하부로 가압된 수직작동부재를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작동레버부를 회전시켜 물내림부재를 회전시키므로 정확한 작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작동레버부의 회전시 제2링크가 제1링크로부터 회전하여 수평을 유지하면서 회전부재의 제1가압편을 상부로 가압하므로 회전부재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모터의 전원 차단시 수동 물내림부를 통해 변기의 물내림을 수동으로 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작동레버부의 회전작동을 리미트스위치가 감지하는 상태의 측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물내림 회전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작동레버부가 회전하면서 제1가압편을 가압하여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작동레버부의 관절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구동모터의 전원 차단시 수동 물내림부를 통해 물내림하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구성도이다.
본 발명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는, 크게 케이스(100), 물내림 회전부(200), 고정프레임(300), 구동모터(400), 작동레버부(500), 리미트스위치(600)(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저수조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합성수지재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300)은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되어 고정스크류로 고정되며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물내림 회전부(200)는 회전부재(210), 물내림부재(220), 밀폐부재(230)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부재(210)는 케이스(100)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중앙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제1가압편(21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가압편(212)이 형성되며, 상기 제1가압편(211)의 하부에는 작동레버부(500)가 결합되도록 결합홈(211a)이 형성된다.
상기 물내림부재(220)는 고정프레임(300)과 저수조(10)에 걸쳐 설치되며, 물내림부재(220)의 일측 단부는 회전부재(210)가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저수조(10)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물내림을 위한 통상의 와이어가 연결된다.
상기 밀폐부재(230)는 물내림부재(220)가 결합되는 저수조(10)와, 케이스(100)의 단부에 장착되어 수분 침투를 방지하게 되며, 내측은 평직으로 직조하여 제조된 파이버 글라스 원단으로 구성되어 탄성을 가지는 소재층(231)이 형성되고, 상기 소재층(231)의 외측면에는 실리콘 코팅층(232)이 형성되어 밀폐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400)는 고정프레임(300)의 일측에 장착되며, 인가되는 전원으로 작동레버부(50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작동레버부(500)는 구동모터(400)의 구동축에 장착되어 구동모터(40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회전부재(210)를 상부로 가압하여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작동레버부(500)는 제1링크(510), 제2링크(520), 관절부(530), 스위치가압부(540), 복원부재(550)로 구성된다.
상기 제1링크(510)는 구동모터(400)의 구동축에 고정되며, 제2링크(520)는 제1링크(510)와 일정 간격 이격되는 구조로 관절부(530)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제2링크(520)는 상부에 홈부(521)가 요입형성되고 상기 홈부(521)에는 가압부재(522)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가압부재(522)의 양측면에는 축이 형성되어 홈부(510)에 삽입될 경우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되고, 상기 가압부재(522)의 상부에는 가압돌기(522a)가 돌출형성되어 제1가압편(211)에 형성된 결합홈(211a)에 결합된다.
상기 가압부재(522)는, 접착력을 갖지 않으면서 연성을 갖는 LSR(Liquid Silicone Rubber)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절부(530)는 다수의 관철홈(531), 관절부재(532), 스토퍼(533)로 구성되며, 상기 관절홈(531)은 제1링크(510) 일측 단부의 내측에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방사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절부재(532)는 제2링크(520)의 타측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관절홈(531)에 대응하도록 원형의 단면을 이루면서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절돌기(532a)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533)는 일정 각도로 형성되어 작동레버부(500)가 회전하였을 때, 제1링크(510)는 일정각도로 회전된 상태가되고, 제2링크(520)는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가압부(540)는 제2링크(520)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작동레버부(500)의 회전시 리미트스위치(600)(600')를 가압하게 되며, 리미트스위치(600)(600')에서 감지된 신호는 구동모터(400)와 연동되어 작동레버부(500)의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성기 복원부재(550)는 고정프레임(300)의 내측에 돌출형성되어 작동레버부(500)의 복귀시 제1링크(510)로부터 회전된 상태의 제2링크(520)가 제1링크(510)와 동일선상으로 복원되도록 제2링크(520)의 하단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300)에 장착되며 정전으로 인한 구동모터(400)의 미작동 시 사용자가 수동으로 가압하여 물내림하는 수동 물내림부(70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수동버튼(710), 수직작동부재(720), 복원스프링(7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동버튼(710)은 케이스(100)와 고정프레임(300)에 장착되며 일부는 케이스(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상기 수직작동부재(720)는 수동버튼(710)의 하부에 결합되어 하단부는 고정프레임(300)의 하단부 상면에 지지된다.
상기 수직작동부재(720)의 하단부에는 복원스프링(730)이 장착되어 수직작동부재(720)를 탄력있게 복원시키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저수조(10)의 물을 물내림하기 위해 자동버튼(미도시)을 터치하거나 가압하게 된다.
상기 자동버튼은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구동모터(400) 및 리미트스위치(600)(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자동버튼의 작동신호에 의해 구동모터(400)가 구동하여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작동레버부(500)는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스위치가압부(540)가 상부의 리미트스위치(600)의 단자를 가압하게 되고, 구동모터(400)는 일정시간동안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물내림부재(220)가 저수조(10)의 배출공을 개방하여 변기의 물내림을 하게 된다.
상기 작동레버부(500)가 회전할 때, 가압부재(522)의 가압돌기(522a)가 제1가압편(211) 하부의 결합홈(211a)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가압편(211)을 상부로 가압하여 회전부재(2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제2링크(520)에 형성된 관절부재(532)의 관절돌기(532a)는 일정각도 회전되면서 관절홈(530)에 결합되면서 제2링크(520)가 수평이 되고, 제1링크(510)는 일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522)의 가압돌기(522a)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가압돌기(522)의 상부면이 결합홈(211a)에 밀착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제1가압편(211)을 상부로 가압하게 되면, 가압부재(522)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1가압편(211)을 상부로 가압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가압돌기(522a)가 결합홈(211a)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압하므로 회전부재(210)를 아무런 유동없이 정확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회전부재(210)가 회전하여 변기의 물내림을 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구동모터(40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작동레버부(500)를 하부로 회전시킨다.
이때, 저수조(10) 내부의 사이폰 덮개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배출공을 폐쇄하게 됨과 동시에 회전부재(210)의 제1가압편(211)은 하부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작동레버부(500)의 제2링크(520)는 제1링크(510)로부터 회전된 상태로 하강하게 되며, 제2링크(520)의 하단부는 고정프레임(300)의 내측에 형성된 복원부재(550)의 상면에 접촉되면서 제1링크(510)와 동일선상으로 복원되며, 스위치가압부(540)는 하부의 리미트스위치(600')의 단자를 가압하게 되면서 다음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동모터(400)의 구동으로 변기의 물내림을 하다가 전원의 차단될 경우, 수동 물내림부(700)를 통해 변기의 물내림을 수동으로 실시할 수 있다.
먼저, 수동버튼(710)을 가압하게 되면 수직작동부재(720)가 하강하게 됨과 동시에 수직작동부재(720)에 형성된 가압레버(721)가 회전부재(210)의 제2가압편(212)을 가압하게 되고, 상기 제2가압편(212)의 가압으로 회전부재(210)와 물내림부재(220)가 상향으로 회전하면서 저수조(10)의 배출공을 개방하게 되어 물내림을 수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물내림이 완료되어 수동버튼(710)의 가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복원스프링(730)의 복원력에 의해 수직작동부재(720)가 상승하여 최초상태로 복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케이스
200: 물내림 회전부 210: 회전부재
220: 물내림부재 230: 밀폐부재
300: 고정프레임
400: 구동모터
500: 작동레버부 510: 제1링크
520: 제2링크 530: 관절부
540: 스위치가압부 550: 복원부재
600,600': 리미트스위치
700: 수동 물내림부 710: 수동버튼
720: 수직작동부재 730: 복원스프링

Claims (5)

  1. 양변기의 후방에 설치된 저수조(1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회전부재(210)가 장착되고, 상기 회전부재(210)에 결합되어 저수조(10)의 내측면으로 돌출되며 회전부재(210)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회전하는 물내림부재(220)가 구비되어 저수조(10)에 저장된 물을 물내림하고, 상기 물내림부재(220)가 장착되는 저수조(10)와 케이스(100)의 통공에는 밀폐부재(230)가 구비되어 수분침투가 방지되는 물내림 회전부(200);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300);
    상기 고정프레임(300)의 일측에 장착되는 구동모터(400);
    상기 구동모터(400)의 구동축에 장착되어 회전부재(210)의 제1 가압편(211)을 상부로 가압하는 작동레버부(500);
    상기 구동모터(400) 일측의 고정프레임(300)에 장착되며 작동레버부(500)의 상,하 회전반경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600)(600')가 구성되고,
    상기 밀폐부재(230)는,
    평직으로 직조하여 제조된 파이버 글라스 원단으로 구성되어 탄성을 가지는 소재층(231);
    상기 소재층(231)의 외측면에 형성된 실리콘 코팅층(232)으로 구비되며,
    상기 실리콘 코팅층(232)은 상온 경화 타입 또는 열경화 타입의 내열 실리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부(500)는,
    상기 구동모터(400)에 고정되는 제1링크(510);
    상기 제1링크(510)의 말단부에 관절부(530)에 의해 결합되는 제2링크(520);
    상기 제2링크(5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리미트스위치(600)(600')를 가압하는 스위치가압부(540);
    상기 고정프레임(300)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며 제2링크(520)의 최하단부에 위치하여 제1링크(510)로부터 회전된 제2링크(520)를 복원시키는 복원부재(550)를 포함하며,
    상기 제2링크(520)는,
    상부면에 형성되는 홈부(521);
    상기 홈부(521)에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부재(210)의 제1가압편(211)에 형성된 결합홈(211a)으로 결합되도록 가압돌기(522a)가 형성되는 가압부재(522)가 구비되며,
    상기 가압부재는, 접착력을 갖지 않으면서 연성을 갖는 LSR(Liquid Silicone Rubber)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530)는,
    상기 제1링크(510)의 일측 단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관절홈(531);
    상기 제2링크(52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관절홈(531)으로 결합되면서 작동레버부(500)의 회전시 제2링크(520)가 수평을 이루도록 관절돌기(532a)가 형성되는 관절부재(532);
    상기 제2링크(520)의 회전시 관절부재(532)의 단부가 밀착되는 스토퍼(53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300)에 장착되며 정전으로 인한 구동모터(400)의 미작동 시 사용자가 수동으로 가압하여 물내림하는 수동 물내림부(7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수동 물내림부(700)는,
    상기 고정프레임(300)의 상부에 장착되는 수동버튼(710);
    상기 수동버튼(710)의 가압으로 회전부재(210)의 제2 가압편(212)을 가압하도록 가압레버(721)가 형성되는 수직작동부재(720);
    상기 수직작동부재(720)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하부로 가압된 수직작동부재(720)를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7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
KR1020200183228A 2020-12-24 2020-12-24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 KR102412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228A KR102412859B1 (ko) 2020-12-24 2020-12-24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228A KR102412859B1 (ko) 2020-12-24 2020-12-24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859B1 true KR102412859B1 (ko) 2022-06-24

Family

ID=82215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228A KR102412859B1 (ko) 2020-12-24 2020-12-24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85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873Y1 (ko) * 1999-12-21 2000-06-01 신우워토스주식회사 양변기의 2단 배수밸브 개폐장치
KR20110006230U (ko) 2009-12-15 2011-06-22 강재봉 양변기용 전동 물내림 장치
KR101576650B1 (ko) * 2015-08-18 2015-12-10 주식회사 아이젠 도기 일체형 비데의 물내림장치
KR101588426B1 (ko) * 2014-10-08 2016-01-25 서찬복 양변기의 배수 처리장치
KR101785037B1 (ko) 2015-10-27 2017-10-17 최창훈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
KR102131911B1 (ko) * 2019-06-24 2020-07-08 송태광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873Y1 (ko) * 1999-12-21 2000-06-01 신우워토스주식회사 양변기의 2단 배수밸브 개폐장치
KR20110006230U (ko) 2009-12-15 2011-06-22 강재봉 양변기용 전동 물내림 장치
KR101588426B1 (ko) * 2014-10-08 2016-01-25 서찬복 양변기의 배수 처리장치
KR101576650B1 (ko) * 2015-08-18 2015-12-10 주식회사 아이젠 도기 일체형 비데의 물내림장치
KR101785037B1 (ko) 2015-10-27 2017-10-17 최창훈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
KR102131911B1 (ko) * 2019-06-24 2020-07-08 송태광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2859B1 (ko)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
US7886374B2 (en) Passively discharging and water-saving toilet bowl
US10081936B2 (en) Flush toilet apparatus and drive unit for same
CN112323931B (zh) 一种杠杆式翻盖自动冲水马桶的操作方法
KR200445426Y1 (ko) 비데의 자동 물내림장치의 복원장치
KR20200112429A (ko) 변기 물내림장치
KR102214200B1 (ko) 양변기 수조의 가변식 보충수 공급장치
KR101207635B1 (ko) 양변기의 물내림 장치
KR102505129B1 (ko) 양변기용 자동 및 수동 물 내림장치
CN109208720B (zh) 一种坐便器及其进水装置
KR101245067B1 (ko) 양변기용 물내림 장치
US4086667A (en) Flush control device for conserving water
KR101947575B1 (ko)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
KR101221835B1 (ko) 자동물내림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KR102550829B1 (ko) 양변기의 플러시밸브 장치
WO2008030016A1 (en) Auto flushing devices of toilet bowls using the water pressure
KR960010611Y1 (ko) 좌변기용 배수장치
KR200343796Y1 (ko) 양변기의 절수용 레버 장치
JP2015190248A (ja) 操作装置
KR200271619Y1 (ko) 양변기의 버튼식 배수장치
JP4131069B2 (ja) 水洗便器装置
JP2000291098A (ja) 便器洗浄タンク装置
CN210482490U (zh) 具有两种方式启动排水的排水阀
CN219671544U (zh) 一种全自动下水器
CN213014536U (zh) 一种抽水设备和抽水马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