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429A - 변기 물내림장치 - Google Patents

변기 물내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429A
KR20200112429A KR1020190032882A KR20190032882A KR20200112429A KR 20200112429 A KR20200112429 A KR 20200112429A KR 1020190032882 A KR1020190032882 A KR 1020190032882A KR 20190032882 A KR20190032882 A KR 20190032882A KR 20200112429 A KR20200112429 A KR 20200112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toilet
coupled
driving moto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춘석
Original Assignee
장춘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춘석 filed Critical 장춘석
Priority to KR1020190032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2429A/ko
Publication of KR20200112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4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변기 물내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인체를 감지하도록 양변기의 수조 또는 양변기의 외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의 신호에 따라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소정의 길이를 왕복 이동되는 작동바가 설치된 작동부; 상기 작동바의 왕복 이동에 의해 양변기 내부에 설치된 개폐부재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양변기 내측에 위치되게 상기 체결부재에 결합되는 버튼형 동작부재 또는 레버형 동작부재;를 마련하여 센싱부의 제어에 따라 대변과 소변을 구분하여 변기의 물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변기의 물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변기 물내림장치{Toilet water descent device}
본 발명은 변기 물내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수형 양변기 또는 수조형 양변기 등으로 물을 자동으로 내리거나 보내줌으로써 사용자가 변기 사용 후 양변기에 설치된 버튼 또는 레버를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되는 변기 물내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가정집은 물론 대부분의 건물에 있는 화장실에는 양변기가 대체적으로 많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양변기의 물탱크 내에는 양변기의 물내림 장치가 마련된다. 양변기의 물내림 장치는 적정한 량의 물을 공급하여 저장해주는 급수관과 부레, 오버플로관, 오버플로관에 설치되어 배수구를 덮고 있는 배수구 덮개 그리고 배수구 덮개와 개폐줄로 연결되는 레버 등을 포함한다.
이에 레버에 의해 개폐줄이 당겨지면 배수구 덮개가 열리면서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배수구를 통해 배출해줄 수 있게 된다.
한편 물내림 장치 중에서도 특히 자동 물내림 장치는 최근 비데에 추가된 기능으로서, 용변 후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물이 내려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자동 물내림 장치의 대표적인 것이 수압식 자동 물내림 장치이다.
수압식 자동 물내림 장치는 도기 일체형 비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수압 방식에 의해 자동으로 물이 내려지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물내림장치는 수조가 구비된 수조형 양변기와 수조가 구비되지 않은 직수형 양변기에 각각 대응되게 마련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수조가 구비된 수조형 양변기는 수동으로 조작되는 버튼형과 레버형으로 구분되며, 직수형 양변기에는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프레시밸브가 설치된다.
이들 양변기에는 양변기를 사용하고 난 후 사욤자가 수동으로 조작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 자동물내림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자동물내림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는 물탱크를 가지는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덮개조인트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물탱크의 내부바닥면에 설치된 덮개시트에 착좌하는 배수덮개, 상기 배수덮개에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슬릿에 미끄럼 직선운동 및 미끄럼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연결슬라이더, 일단부가 상기 연결슬라이더와 일체로 연결되는 작동로드, 상기 작동로드를 직선운동시켜 상기 배수덮개를 상기 덮개조인트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양변기의 물내림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양변기의 물내림 장치는 도기 내의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도기의 바닥 영역에 형성되는 물배출부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 일단부가 상기 개폐부재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동작을 위하여 상기 와이어를 조작하되 일측이 상기 도기의 수동버튼에 이웃되는 와이어 조작레버 및 동력에 의해 상기 수동버튼을 자동으로 가압하여 물내림이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자동 물내림 유닛을 포함하는 양변기의 물내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 물내림 유닛은 유닛 바디, 상기 유닛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며, 소정의 입력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모터, 상기 유닛 바디에 마련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운동 변환부 및 일단부는 상기 운동 변환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동버튼에 배치되어 상기 수동버튼을 가압하는 버튼 가압체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137527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1208793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2-0105998호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물내림장치는 수조 내에 저장된 물을 내리기 위하여 조작되는 버튼형 또는 레버형에 따라 물내림장치를 별도의 다른 구조로 이루어진 물내링장치가 각각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직수형 양변기 및 수조형 양변기에 각각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변기 물내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조형 양변기의 버튼형 및 레버형에 상관없이 물내림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변기 물내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내림장치의 사용으로 양변기에서 사용되는 물의 양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변기 물내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물내림장치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인체를 감지하도록 양변기의 수조 또는 양변기의 외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의 신호에 따라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소정의 길이를 왕복 이동되는 작동바가 설치된 작동부; 상기 작동부가 양변기에 설치되도록 구비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물내림장치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인체를 감지하도록 양변기의 수조 또는 양변기의 외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의 신호에 따라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소정의 길이를 왕복 이동되는 작동바가 설치된 작동부; 상기 작동바의 왕복 이동에 의해 양변기 내부에 설치된 개폐부재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양변기 내측에 위치되게 상기 작동부의 나사부에 결합되는 버튼형 동작부재 또는 레버형 동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튼형 동작부재는 상기 양변기 내측에 설치되는 제1 브래킷; 상기 제1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브래킷; 및 상기 제2 브래킷에 결합되는 일자형 브래킷;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형 동작부재는 상기 양변기 내측에 설치되는 제1 브래킷; 상기 제1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브래킷; 및 상기 제2 브래킷에 결합되는 꺽쇠브래킷;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브래킷은 소정의 길이와 직경으로 형성되는 브래킷본체; 상기 브래킷본체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브래킷; 상기 브래킷의 선단에 상기 제2 브래킷이 결합되도록 힌지구멍이 형성된 힌지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래킷은 상기 힌지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힌지; 상기 힌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로드; 상기 작동부의 작동바가 접촉되도록 상기 힌지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작동로드; 상기 일자형 브래킷이 결합되도록 상기 수평로드의 선단에 형성되는 요홈부; 상기 꺽쇠 브래킷이 결합되도록 상기 수평로드에 형성되는 결합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부는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전면케이스와 상기 전면케이스의 일면에 결합되는 배면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케이스는 래크기어가 일직선상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공간부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바와, 상기 배면판이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고정소켓;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면판은 일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기어;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의해 수평 이동되는 래크기어; 상기 래크기어의 선단에 소정의 길이로 고정되는 작동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물내림장치에 의하면, 직수형 양변기 또는 수조형 양변기에 모두 물내림장치를 설치할 수 있고, 수조형 양변기 중 버튼 또는 레버를 사용하는 양변기에 상관없이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센싱부와 동작부가 분리되어 있어 설치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물내림장치에 의하면, 센싱부의 제어에 따라 대변과 소변을 구분하여 변기의 물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변기의 물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물내림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물내림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물내림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물내림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물내림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물내림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물내림장치의 버튼형 동작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물내림장치의 버튼형 동작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물내림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물내림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물내림장치의 레버형 동작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물내림장치의 레버형 동작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물내림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물내림장치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인체를 감지하도록 양변기의 수조 또는 양변기의 외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센싱부(10), 상기 센싱부(10)의 신호에 따라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32)와, 상기 구동모터(32)의 회전에 의해 소정의 길이를 왕복 이동되는 작동바(35)가 설치된 작동부(20), 상기 작동부(35)가 양변기에 설치되도록 구비되는 체결부재(4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물내림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물내림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물 내림장치는 직수형 양변기에 설치되어 적용되는 것으로, 직수형 양변기의 프레시 직수밸브(미도시)에는 일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레버를 분리시켜 설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물내림장치의 센싱부(10)는 인체를 감지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양변기(미도시)를 사용하기 위하여 감지 영역 내에 들어오면 적외선 센서에 의해서 인체를 인식하게 된다.
상기 센싱부(10)는 양변기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양변기가 설치된 벽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작동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된다.
아울러 센싱부(10)에는 센서창(미도시)이 구비될 뿐만 아니라 인체를 감지하는 감지부(미도시)가 설치됨은 물론이다.
상기 작동부(20)는 내측에 공간부(22)가 형성되는 전면케이스(21)와 상기 전면케이스(21)의 일면에 결합되는 배면판(3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케이스(21)는 래크기어(34)가 일직선상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공간부(22)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바(23)와, 상기 배면판(31)이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고정소켓(2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면판(31)은 일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2), 상기 구동모터(32)의 구동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기어(33), 상기 피니언기어(33)의 회전에 의해 수평 이동되는 래크기어(34), 상기 래크기어(34)의 선단에 소정의 길이로 고정되는 작동바(35)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부(20)는 인체를 감지한 센싱부(1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것으로,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모터(32)를 구동시키고, 상기 구동모터(32)의 구동에 의해 작동바(35)를 소정의 거리만큼 왕복 이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작동부(20)는 센싱부(1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며, 작동부(20)에 설치된 작동바(35)는 수평 이동됨에 따라 직수형 양변기(미도시)의 프레시 밸브(미도시)를 작동시키며, 이에 따라 직수형 양변기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직수형 양변기는 통상의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작동부(2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전면케이스(21)와 상기 전면케이스(21)의 배면에 설치되는 배면판(31)으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케이스(21)는 일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전면케이스(21)의 내부에는 배면판(31)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2) 및 래크기어(34)가 수납되도록 공간부(22)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공간부(22)에는 래크기어(34)의 이동 시 래크기어(34)가 일직선 상으로 이동되도록 소정의 직경으로 이루어진 고정바(23)가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바(23)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바(23)의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고정가이드(23a)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바(23) 및 고정가이드(23a)는 일체로 형성되어 래크기어(34)의 회전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래크기어(34)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또한 공간부(22)에는 래크기어(34)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미도시)가 설치되도록 'C'자형의 고정프레임(24)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24)은 'C'자 형상으로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며, 이는 래크기어(34)에 설치된 감지돌기(34a)가 이동되게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22)에는 배면판(31)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다수의 고정소켓(25)이 형성된다.
상기 배면판(31)의 일면에는 구동모터(32)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32)는 센싱부(10)에서 인가된 신호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32)의 일측에는 피니언기어(3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기어(33)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래크기어(34)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피니언기어(33)는 구동모터(32)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래크기어(34)는 피니언기어(33)에 맞물려 피니언기어(33)의 회전에 의해 이동된다.
상기 래크기어(34)의 일측에는 고정프레임(24)을 따라 이동되는 감지돌기(34a)가 설치되고, 상기 래크기어(34)에는 고정바(23)를 따라 일직선상으로 이동되도록 결합구멍(34b)이 형성된다.
상기 감지돌기(34a)는 래크기어(34)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고정프레임(24)을 따라 이동되는데, 상기 고정프레임(24)에 설치된 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래크기어(34)의 이동 길이를 감지하게 된다.
이는 피니언기어(33)에 의해 래크기어(34)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결합구멍(34b)은 고정바(23)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바(23) 및 고정가이드(23a)를 따라 래크기어(34)가 일직선으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 래크기어(34)의 일면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작동바(35)가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작동바(35)는 래크기어(34)에 의해 수평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작동바(35)는 직수형 양변기의 내부에 설치된 개폐부재(미도시)와 접촉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배면판(31)의 타면에는 작동부(20)가 직수형 양변기(미도시)에 설치되도록 나사부(36)가 형성되며, 상기 배면판(31)에는 전면케이스(21)의 고정소켓(25)에 대응되는 고정소켓(37)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40)는 나사부(36)에 체결되는 체결소켓(41)과 상기 체결소켓(41)을 직수형 양변기(미도시)에 밀착 고정시키는 결합너트(43)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소켓(41)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소켓(41)의 내면 일측에는 나사부(36)에 체결되도록 나사부(42)가 형성된다.
또 상기 결합너트(43)는 체결소켓(41)의 외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소켓(41), 즉 작동부(20)를 직수형 양변기의 프레시밸브(미도시)에 체결하게 된다.
이러한 결합너트(43)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너트(43)의 내면에는 프레시밸브에 체결되도록 나사부(44)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물 내림장치는 직수형 양변기의 프레시밸브에 설치되며, 상기 센싱부(10)에서는 직수형 양변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근접한 사용자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센싱부(10)에서는 직수형 양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감지하게 되고, 사용자가 사용을 끝낸 후 직수형 양변기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작동부(20)에 구동신호 및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상기 작동부(20)의 구동모터(32)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며, 이에 피니언기어(33)는 소정의 횟수만큼 회전된다. 상기 피니언기어(33)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래크기어(34)는 이동하게 되며, 상기 래크기어(34)의 이동에 의해 상기 작동바(35)는 프레시밸브의 내측으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작동바(35)는 프레시밸브의 개폐부재(미도시)를 작동시켜 직수형 양변기에 물을 공급하게 되고, 이에 직수형 양변기를 세척하게 된다.
<제2 실시 예>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물내림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물내림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물내림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물내림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수조형 양변기 중에서 버튼을 누름에 따라 개폐부재(미도시)를 개방시켜 물을 내리는 변기 물내림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버튼형 동작부재(5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함과 함께 버튼형 동작부재(50)가 설치된 상태, 즉 개폐부재(미도시)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버튼형 동작부재(50)가 물을 내리기 위하여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버튼형 동작부재(50)의 상승에 의해 개폐부재가 상승시키게 되고, 이에 개폐부재는 개방되어 수조에 저장된 물을 양변기로 보내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센싱부(10), 작동부(20) 및 체결부재(40)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물내림장치의 버튼형 동작부재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물내림장치의 버튼형 동작부재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형 동작부재(50)는 상기 양변기 내측에 설치되는 제1 브래킷(51), 상기 제1 브래킷(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브래킷(56) 및 상기 제2 브래킷(56)에 결합되는 일자형 브래킷(63)을 포함한다.
상기 버튼형 동작부재(50)는 수조형 양변기(미도시)의 수조(미도시)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버튼형 동작부재(50)는 수조에 설치되어 있던 버튼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수조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물내림장치의 작동부(20)는 수조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버튼형 동작부재(50)는 수조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1 브래킷(51)은 소정의 길이와 직경으로 형성되는 브래킷본체(52), 상기 브래킷본체(52)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브래킷(53), 상기 브래킷(53)의 선단에 상기 제2 브래킷(56)이 결합되도록 힌지구멍(55)이 형성된 힌지결합부(54);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브래킷(56)은 상기 힌지결합부(5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힌지(57), 상기 힌지(57)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로드(58), 상기 작동부(20)의 작동바(35)가 접촉되도록 상기 힌지(57)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작동로드(59), 상기 일자형 브래킷(63)이 결합되도록 상기 수평로드(58)의 선단에 형성되는 요홈부(60), 상기 꺽쇠 브래킷(71)가 결합되도록 상기 수평로드(58)에 형성되는 결합구멍(6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브래킷(51)은 작동부(20)의 나사부(36)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브래킷본체(52)는 나사부(36)에 체결되도록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브래킷본체(52)의 내면에는 나사부(52a)가 형성된다.
상기 브래킷본체(52)의 상부에는 한 쌍의 브래킷(53)이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53)의 선단에는 제2 브래킷(56)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힌지결합부(54)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힌지결합부(54)에는 제2 브래킷(56)의 힌지(57)가 결합되도록 힌지구멍(55)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브래킷(56)은 작동바(35)에 의해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제2 브래킷(56)은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 브래킷(56)의 일측에는 힌지구멍(55)에 결합되는 힌지(57)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57)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수평로드(58)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힌지(57)의 하부로 작동로드(58)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작동로드(58)는 작동바(35)에 의해 회전되며,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작동바(35)가 후진한 상태이면 개폐부재(미도시)에 의해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작동바(35)가 전진하게 되면 개폐부재를 상승시켜 열린 상태로 전환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수평로드(58)의 선단에는 일자형 브래킷(63)이 결합되도록 요홈부(60)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로드(58)에는 레버형 동작부재(70)가 결합되도록 결합구멍(61)이 형성된다.
상기 일자형 브래킷(63)은 수조형 양변기 중 버튼을 눌러 수조의 물을 내리는 양변기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조에 미리 설치되어 있던 버튼을 분리시킨 다음 일자형 브래킷(63)과 작동부(20)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일자형 브래킷(63)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일자형 브래킷(63)의 일측에는 요홈부(60)에 결합되게 결합돌기(64)가 형성되며, 상기 일자형 브래킷(63)의 타측에는 부이결합부(65)가 형성된다.
상기 부이결합부(65)에는 부이고정줄(82)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부이결합구멍(66)이 형성되며, 상기 부이결합구멍(66)은 부이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부이고정줄(82)을 관통시킬 수 있는 관통구멍 및 상기 부이고정줄(82)을 고정시키는 관통구멍이 다수로 형성된다.
<제3 실시 예>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물내림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물내림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물내림장치는 수조형 양변기 중 수조에 레버가 설치되어 레버를 조작하여 양변기의 물내림이 이루어지는 양변기에 설치된다.
도 9는 수조형 양변기의 수조가 닫힌 상태, 즉 수조에 물이 저장된 상태이고, 도 10은 수조형 양변기의 사용에 따라 작동부(20)의 구동으로 레버형 동작부재(70)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레버형 동작부재(70)의 제1 브래킷(51) 및 제2 브래킷(56)은 전술한 버튼형 동작부재(50)의 제1 브래킷(51)과 제2 브래킷(56)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명칭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이에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레버형 동작부재(70)는 제2 브래킷(56)의 결합구멍(61)에 결합되는 꺽쇠브래킷(71)이 구비되며, 상기 꺽쇠브래킷(71)의 일측에는 결합구멍(61)에 끼워지도록 원형결합돌기(72)가 돌출 형성된다.
아울러 꺽쇠브래킷(71)의 타측에는 부이부재(80)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부이결합부(73)가 형성되고, 상기 부이결합부(73)에는 부이고정줄(82)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부이결합구멍(74)이 형성된다.
상기 부이결합부(73)에는 부이부재(80)가 설치되며, 상기 부이부재(80)는 수조의 개폐부재(미도시)를 상승시켜 줌으로써 수조를 개방시켜 양변기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부이부재(80)는 부력을 갖도록 내부가 빈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져 개폐부재의 개폐 동작, 즉 개폐부재의 상승 시 부력을 가할 수 있도록 개폐부재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부이부재(80)의 상면에는 부이고정줄(82)에 고정되도록 부이고정구(81)가 형성되며, 상기 부이고정구(81)에는 개폐부재에 연결된 부이고정줄(82)이 끼워져 고정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물내림장치는 직수형 양변기 또는 수조형 양변기에 구애됨이 없이 설치할 수 있으며, 수조형 양변기 중 버튼 또는 레버로 조작이 이루어지는 양변기에 상관없이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변기 물내림장치는 센싱부(10)와 작동부(20)로 분리되어 있어 용변을 보기 위하여 변기에 착석하면 센싱부(10)의 적외선센서(미도시)가 5초 후 인체를 감지하고 90초를 기준으로 대소변을 구분하게 된다.
즉, 90초 이전에 일어나서 감지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소변으로 인식하고 3초 후 작동부(20)가 구동을 시작한 다음 3초 후 구동을 정지하게 된다.
또한 90초 이후에 일어나서 감지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대변으로 인식하여 3초 후 작동부(20)가 구동을 시작하여 6초 후 구동을 정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물의 양을 소변은 적게 사용하게 되고, 대변은 많은 양의 물을 자동으로 조절하므로, 약 30~40%의 절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센싱부
20: 작동부 21: 전면케이스
22: 공간부 23: 고정바
24: 고정프레임 25: 고정소켓
31: 배면판 32: 구동모터
33: 피니언기어 34: 래크기어
35: 작동바 36: 나사부
40: 체결부재 41: 체결소켓
43: 결합너트
50: 버튼형 동작부재 51: 제1 브래킷
52: 브래킷본체 52a: 나사부
53: 브래킷 54: 힌지결합부
55: 힌지구멍 56: 제2 브래킷
57: 힌지 58: 수평로드
59: 작동로드 60: 요홈부
61: 결합구멍
63: 일자형 브래킷 64: 결합돌기
65: 부이결합부 66: 부이결합구멍
70: 레버형 동작부재 71: 꺽쇠브래킷
72: 원형결합돌기 73: 부이결합부
74: 부이결합구멍
80: 부이부재 81: 부이고정구
82: 부이고정줄

Claims (6)

  1.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인체를 감지하도록 양변기의 수조 또는 양변기의 외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센싱부(10);
    상기 센싱부(10)의 신호에 따라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32)와, 상기 구동모터(32)의 회전에 의해 소정의 길이를 왕복 이동되는 작동바(35)가 설치된 작동부(20);
    상기 작동부(35)가 양변기에 설치되도록 구비되는 체결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물내림장치.
  2.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인체를 감지하도록 양변기의 수조 또는 양변기의 외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센싱부(10);
    상기 센싱부(10)의 신호에 따라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32)와, 상기 구동모터(32)의 회전에 의해 소정의 길이를 왕복 이동되는 작동바(35)가 설치된 작동부(20);
    상기 작동바(35)의 왕복 이동에 의해 양변기 내부에 설치된 개폐부재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양변기 내측에 위치되게 상기 작동부(20)의 나사부(36)에 결합되는 버튼형 동작부재(50) 또는 레버형 동작부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물내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형 동작부재(50)는 상기 양변기 내측에 설치되는 제1 브래킷(51);
    상기 제1 브래킷(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브래킷(56); 및
    상기 제2 브래킷(56)에 결합되는 일자형 브래킷(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물내림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형 동작부재(70)는 상기 양변기 내측에 설치되는 제1 브래킷(51);
    상기 제1 브래킷(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브래킷(56); 및
    상기 제2 브래킷(56)에 결합되는 꺽쇠브래킷(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물내림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래킷(51)은 소정의 길이와 직경으로 형성되는 브래킷본체(52);
    상기 브래킷본체(52)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브래킷(53);
    상기 브래킷(53)의 선단에 상기 제2 브래킷(56)이 결합되도록 힌지구멍(55)이 형성된 힌지결합부(54);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래킷(56)은 상기 힌지결합부(5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힌지(57);
    상기 힌지(57)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로드(58);
    상기 작동부(20)의 작동바(35)가 접촉되도록 상기 힌지(57)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작동로드(59);
    상기 일자형 브래킷(63)이 결합되도록 상기 수평로드(58)의 선단에 형성되는 요홈부(60);
    상기 꺽쇠 브래킷(71)가 결합되도록 상기 수평로드(58)에 형성되는 결합구멍(6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물내림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20)는 내측에 공간부(22)가 형성되는 전면케이스(21)와 상기 전면케이스(21)의 일면에 결합되는 배면판(3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케이스(21)는 래크기어(34)가 일직선상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공간부(22)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바(23)와, 상기 배면판(31)이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고정소켓(2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면판(31)은 일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2);
    상기 구동모터(32)의 구동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기어(33);
    상기 피니언기어(33)의 회전에 의해 수평 이동되는 래크기어(34);
    상기 래크기어(34)의 선단에 소정의 길이로 고정되는 작동바(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물내림장치.
KR1020190032882A 2019-03-22 2019-03-22 변기 물내림장치 KR202001124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882A KR20200112429A (ko) 2019-03-22 2019-03-22 변기 물내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882A KR20200112429A (ko) 2019-03-22 2019-03-22 변기 물내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429A true KR20200112429A (ko) 2020-10-05

Family

ID=72809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882A KR20200112429A (ko) 2019-03-22 2019-03-22 변기 물내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24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717A (ko) * 2020-11-30 2022-06-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양변기의 자동 및 수동 겸용 물내림장치 및 물내림시스템
KR102443935B1 (ko) 2021-09-29 2022-09-16 성두환 감지센서가 측면에 구비된 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7527A (ko) 2010-06-17 2011-12-23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자동물내림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KR20120105998A (ko) 2011-03-17 2012-09-26 조혜숙 자동 양변기
KR101208793B1 (ko) 2012-06-20 2012-12-05 대림통상 주식회사 양변기의 물내림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7527A (ko) 2010-06-17 2011-12-23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자동물내림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KR20120105998A (ko) 2011-03-17 2012-09-26 조혜숙 자동 양변기
KR101208793B1 (ko) 2012-06-20 2012-12-05 대림통상 주식회사 양변기의 물내림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717A (ko) * 2020-11-30 2022-06-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양변기의 자동 및 수동 겸용 물내림장치 및 물내림시스템
KR102443935B1 (ko) 2021-09-29 2022-09-16 성두환 감지센서가 측면에 구비된 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2256B2 (en) Tank toilet with autoflusher
KR20200112429A (ko) 변기 물내림장치
US10081936B2 (en) Flush toilet apparatus and drive unit for same
US9015871B2 (en) Manual-automatic flush driving device
KR101229955B1 (ko) 자동으로 회전되는 남성용 소변기를 구비한 좌변기
CN108035416B (zh) 移动厕所
US8430118B2 (en) Automatic flush device
KR101023764B1 (ko) 인체감지유닛을 이용한 후레쉬밸브 직수형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20140113847A (ko)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
US10226156B2 (en) Toilet seat controller
KR102443935B1 (ko) 감지센서가 측면에 구비된 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
CN211080455U (zh) 智能型全自动冲水马桶
KR101221835B1 (ko) 자동물내림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KR101656207B1 (ko) 양변기 시트커버 회전력을 이용한 물내림 및 절수장치
KR100882947B1 (ko) 자동물내림 비데의 실린더 압력 개폐장치
EP1193352B1 (en) A urinal applicable to toilet bowl
CN209854864U (zh) 一种多功能如厕系统
KR20130072112A (ko)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
US5469585A (en) Flushing device of toilet
CN217811410U (zh) 一种电动感应冲水马桶驱动装置
CN211571868U (zh) 一种自动及手动浴缸排水装置
KR102508878B1 (ko) 양변기의 자동 및 수동 겸용 물내림장치 및 물내림시스템
KR200291859Y1 (ko) 좌변기의 좌판개폐 및 자동배수장치
KR950007728B1 (ko) 공간활용 및 용수절약형 절첩식 자동변기
KR200301091Y1 (ko) 싸이폰 조작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104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409

Effective date: 2021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