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864U - 배수밸브 - Google Patents

배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864U
KR20110003864U KR2020090013328U KR20090013328U KR20110003864U KR 20110003864 U KR20110003864 U KR 20110003864U KR 2020090013328 U KR2020090013328 U KR 2020090013328U KR 20090013328 U KR20090013328 U KR 20090013328U KR 20110003864 U KR20110003864 U KR 201100038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valve
inlet
hole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효식
민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트싸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트싸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트싸이언스
Priority to KR2020090013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3864U/ko
Priority to PCT/KR2010/004711 priority patent/WO2011046286A2/ko
Publication of KR201100038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86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2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liding Valv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배수밸브는 수조에 수직으로 관통되게 고정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밸브 상부에 연통되게 유입밸브를 결합하되, 상기 유입밸브의 외주연에는 수조와 연통되는 유입공을 형성시킨 몸체부와, 상기 유입밸브 내부에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유입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하되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외주연과 하부면에 제1배수공과 제2배수공을 형성한 다음 유입밸브 내주연과 연통시킨 제1배수부와, 상기 제1배수부 내주연에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 범위에 따라 제1배수부를 이동시켜 유입공을 개방시키거나 제2배수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상호 배수량을 다르게 배수토록 하는 제2배수부로 구성한다.
양변기, 배수밸브

Description

배수밸브{Toilet Bowl Drain Valve}
본 고안은 배수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변기 사용시 배수량을 단계별로 선택하여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하여 급수의 절약을 꾀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양변기에는 일정량의 세척수를 보유하는 수조(1)가 변기의 후방에 설치되어 이에 보유된 세척수를 용변후 변기로 배출시켜 변기에 담긴 용변을 세척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세척수를 변기로 배출시키는 배수밸브는 일반적으로 수조(1)의 외부로 인출된 조절레버(10)에 개폐변이 직접 연결되어 조절레버(10)의 조작에 의해 개폐변이 개방되면 수조(1)에 담수된 세척수가 완전히 배출된 후 폐쇄되어 새로운 세척수를 일정량 공급받아 보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배출장치는 용변의 종류에 관계없이 수조(1)에 보유된 세척수를 모두 배출시키게 됨으로서 특히 불필요하게 많은 량의 물을 소비하게 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세척수를 2단으로 조절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배수밸브의 배수량 조절장치는 본건 출원인은 1995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4958호로 양변기용 2단 배수밸브의 배수량 조절장치를 출원한 바 있다.
선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 1995-24958호의 2단 배수밸브의 배수량 조절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손잡이(11)를 형성하고, 그 내측의 중앙에 고정홀(12)을 통공시키며, 상기 고정홀(12)의 외측에 캡(13)을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그 배면의 중앙 내측에 걸림편(14)을 수평으로 구비한 조절레버(1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절레버(1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지지부재(21)를 수조(1)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설치하고, 이 지지부재(21)의 후단에 받침편(233) 하부에 멈춤편(234)을 수평으로 연장되게 구성한 받침부재(23)를 삽입하여 고정너트(24)로 고정시킨 고정지지부(2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절레버(10)의 고정홀(12)에 억지 끼움으로 고정되는 후크(312)를 일 측단에 구비한 회전축(311)이 구비되고, 그 타단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그 단부의 양측벽에 한 쌍의 회동안내돌기(313)가 구비되며, 그 하부에 걸림턱(314)이 구비된 회동부재(31)를 구성하고, 상기 회동안내돌기(313)에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연결편(321)이 일단에 형성되며 그 하부에 상기 회동부재(31)의 걸림턱(314)이 걸리도록 받침턱(322)이 형성된 작동부재(32)를 구성한 작동부(3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선출원 2단 배수밸브의 배수량 조절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소변과 같이 적은량의 세척수가 요구되는 용변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를 보면 도 2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레버(10)의 손잡이(11)를 시계 방 향으로 회전시켜 조절레버(10)에 고정된 회동부재(31)가 하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회동부재(31)의 회동안내돌기(313)에 연결편(321)으로 연결된 작동부재(32)의 선단 하부가 받침부재(23)의 받침편(233) 상단에 걸려 상기 회동안내돌기(313)를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하여 작동부재(32)의 연결공(323)에 연결된 인장끈(3)을 당기게 된다. 이때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조절레버(10)의 걸림편(14)이 지지부재(21)의 회전제한홈(212) 상단에 걸림과 동시에 하강한 회동부재(31)의 하단이 받침부재(23)의 멈춤편(234)에 걸려 더 이상 회동하지 않고 멈추게 됨으로서 인장끈(3)에 연결된 2단배수밸브(2)의 상부개폐변(2a)만을 상승시키게 됨으로서 소량의 세척수를 배출시키게 된다.
이어서 대변과 같이 많은량의 세척수가 요구되는 용변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를 보면 도 2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레버(10)의 손잡이(1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조절레버(10)에 고정된 회동부재(31)가 상향으로 회동하여 조절레버(10)의 걸림편(14)이 지지부재(21)의 회전제한홈(212) 하단에 걸리게 됨과 동시에 회동부재(31)의 회동이 정지된다. 이때 회동부재(31)에 연결된 작동부재(32)는 회동부재(31)의 타단부에 형성된 걸림턱(314)이 받침턱(322)의 저면에 걸려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회동부재(31)와 같은 방향으로 연동되어 인장끈(3)에 연결된 2단배수밸브(2)의 상부개폐변(2a)과 하부개폐변(2b)을 순차적으로 상승시키게 됨으로서 많은량의 세척수를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선출원된 2단 배수밸브의 배수량 조절장치는 고정지지부의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조절레버의 동작도 시계방향과 반 시계방향으로 작동해야 함으로 작동상의 어려움도 있으며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양변기 사용시 배수량을 선택하여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배수밸브는 수조에 수직으로 관통되게 고정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밸브 상부에 연통되게 유입밸브를 결합하되, 상기 유입밸브의 외주연에는 수조와 연통되는 유입공을 형성시킨 몸체부와, 상기 유입밸브 내부에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유입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하되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외주연과 하부면에 제1배수공과 제2배수공을 형성한 다음 유입밸브 내주연과 연통시킨 제1배수부와, 상기 제1배수부 내주연에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 범위에 따라 제1배수부를 이동시켜 유입공을 개방시키거나 제2배수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상호 배수량을 다르게 배수토록 하는 제2배수부로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는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 관통되게 고정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밸브 상부에 결합되어 중공의 내부가 유입밸브 내주연과 연 통시키되, 상기 유입공 외주연에는 유입공을 등간격으로 형성시켜 수조와 연통시키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1배수부는 내부에 슬라이드턱을 형성시켜 내부공간을 구획시킨 다음 슬라이드턱 내부에는 제2배수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외주연에는 제1배수공을 등간격으로 형성시킨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수직으로 제2배수공을 형성하여 제2배수부 하단부가 제2배수공 입구 단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커버로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에는 걸림홈을 형성시키고, 커버의 상부 외주연에는 걸림턱을 형성시켜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2배수부와 커버의 하부에는 패킹을 각각 결합하여 상기 제2배수공 221 입구 단부를 상부로 돌출시킨 돌출턱과 상기 고정밸브의 내주연 상부에 형성시킨 단턱 패킹이 밀착되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유입밸브와 하우징의 상부에는 관통공을 각기 형성시킨 다음 외부로 부터 배수줄을 제2배수부에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고정밸브의 상부 외주연에는 나사를 형성시켜 너트를 체결하여 수조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면서 유입밸브의 내주연에 나사 체결하여 상기 고정밸브와 유입밸브의 상호 체결 상태에 따라 유입밸브를 리이드 이동시켜 유입공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여 배수량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하우징 210의 상단에는 간격유지돌기를 돌출되게 형성시켜 상기 유입밸브의 내부의 상부 단면과 하우징의 상부면이 밀착되지 않도록 구성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수밸브는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제1배수부와 제2배수부의 승강 높이에 따라 양변기 사용시 배수량을 단계별로 선택할 수 있도록하여 급수의 절약을 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배수밸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배수밸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는 본 고안의 배수밸브의 배수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배수밸브의 적은 배수량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배수밸브의 많은 배수량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수밸브 10는 수조 1에 담수된 급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몸체부 100와, 상기 배수량이 다르게 배수되 는 제1배수부 200와, 제2배수부 300로 구성한다.
상기 몸체부 100는 수조 1의 바닥면에 관통되게 고정밸브 110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밸브 110 상부에 결합되어 중공의 내부가 유입밸브 120 내주연과 연통시키되, 상기 수조 1와 연통되도록 유입밸브 120 외주연에 유입공 121을 등간격으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고정밸브 110의 상부 외주연에는 나사 111를 형성시켜 유입밸브 120와 상호 체결 결합시켜 상호 체결 상태에 따라 유입밸브 120를 리이드 이동시켜 유입공 121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여 배수량을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밸브 110의 상부 외주연에는 나사 111를 형성시켜 너트 112를 체결함으로써, 수조 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유입밸브 120의 내주연에 나사 111를 체결하여 상기 고정밸브 110와 유입밸브 120의 상호 체결 상태에 따라 유입밸브 120를 리이드 이동시켜 유입공 121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여 배수량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배수부 200는 상기 유입밸브 120 내부에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유입공 121을 선택적으로 개폐 또는 개방 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배수부 200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외주연과 하부면에 제1배수공 212과 제2배수공 221을 형성하여 유입밸브 120 내주연과 연통시킨다.
즉, 상기 제1배수부 200는 내부에 슬라이드턱 211을 형성시켜 내부공간을 구획시킨 다음 슬라이드턱 211 내부에는 제2배수부 30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 고 외주연에는 제1배수공 212을 등간격으로 형성시킨 하우징 210과, 상기 하우징 21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수직으로 제2배수공 221을 형성하되, 상기 제2배수공 221 단부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시켜 제2배수부 300의 하단부가 밀착되도록 하는 커버 22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제1배수부 200의 하부에는 패킹 223을 결합하여 유입밸브 120 내주연에 나사 111 체결시킨 고정밸브 110의 상단에 안착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밸브 110의 내주연의 밀폐상태를 더욱 긴밀하게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1배수부 200는 몸체부 100의 유입공 121 개방시켜 상기 고정밸브 110의 내주연으로 배수시킴에 따라 큰 배수량을 요구할 때 적용된다.
그리고, 제2배수부 300는 상기 제1배수부 200 내주연에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 범위에 따라 제1배수부 200를 이동시켜 배수량이 다른 유입공 121을 개방시키거나 제2배수공 221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유입밸브 120, 하우징 210의 상부에는 관통공 122을 각기 형성시킨 다음 외부로 부터 배수줄 123을 제2배수부 300에 결합하여 상기 배수줄 123을 통해 제2배수부 300를 승하강 시키되, 상기 제2배수부 300의 승강 높이에 따라 고정밸브 110의 내주연 또는 제2배수공 221을 개방시켜 배수량의 차이를 둔다.
상기 배수줄 123은 양변기의 물내림 밸브와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 210의 외주연에는 걸림홈 213을 형성시키고, 커버 220의 상부 외주연에는 걸림턱 222을 형성시켜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2배수부 300의 하부에는 패킹 301을 결합하여 제2배수공 221의 돌출턱 224 단부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밀폐 상태를 더욱 긴밀하게 유지한다.
나아가, 상기 제2배수부 300와 커버 220의 하부에는 패킹 223,301을 각각 결합하여 상기 제2배수공 221 입구 단부를 상부로 돌출시킨 돌출턱 224과 상기 고정밸브 110의 내주연 상부에 형성시킨 단턱 113에 패킹 223,301이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의 배수밸브 1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배수밸브 10를 양변기에 적용한 경우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배수밸브 10는 배수량의 선택에 따라 배수줄 123을 통해 제2배수부 300의 승강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먼저, 적은 배수량으로 급수를 배수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배수줄 123을 통해 상부로 제2배수부 300를 승강시켜 커버 220의 돌출턱 224에 밀착된 상태의 패킹 301이 상승시킨다.
여기서 제2배수부 300의 승강 높이는 제1배수부 200 하우징 210의 슬라이드턱 211 단부까지만 승강시켜 제1배수부 200의 제2배수공 221을 개방시킨다.
상기 제2배수공 221의 개방에 따라 수조 1 내부에 담수된 급수가 유입공 121을 통하여 제2배수공 221으로 유입되어 고정밸브 110의 내주연으로 배수된다.
결국, 제2배수공 221의 개방에 의해 유입공 121과 연통된 제1배수공 212의 연통된 공간 만큼만 급수가 유입되어 고정밸브 110로 배수된다.
또한, 많은 배수량으로 배수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배수줄 123을 통해 제2배 수부 300를 이용하여 제1배수부 200를 승강시킨다.
즉, 제2배수부 300는 승강 하면서 하우징 210의 제1배수부 200 하우징 210의 슬라이드턱 211 단부에 걸려 일체로 상부로 더 이동된다.
이에, 제1배수부 200는 제2배수부 300에 의해 연동하여 고정밸브 110의 내주연과 제1배수부 200의 패킹 223에 의해 페쇄된 상태가 개방되면서 개방 공간이 넓은 유입공 121 전체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고정밸브 110의 내주연으로 담수된 급수를 배수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210의 상단에는 간격유지돌기 214를 돌출되게 형성시켜 상기 유입밸브 120의 내부의 상부 단면과 하우징 210의 상부면이 밀착되지 않도록 하여 하우징 210이 배수 기능을 행하기 위해 유입밸브 120 상부로 이동시 유입밸브 120의 내부 상부면과 하우징 210의 상면이 밀착될 경우 급수의 유체 마찰력에 의해 신속하게 하강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배수밸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배수밸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의 배수밸브의 배수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배수밸브의 적은 배수량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배수밸브의 많은 배수량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수조 10 : 배수밸브
100 : 몸체부 110 : 고정밸브
111 : 나사 112 : 너트
113 : 단턱 120 : 유입밸브
121 : 유입공 122 : 관통공
123 : 배수줄 200 : 제1배수부
210 : 하우징 211 : 슬라이드턱
212 : 제1배수공 213 : 걸림홈
214 : 간격유지돌기 220 : 커버
221 : 제2배수공 222 : 걸림턱
223 : 패킹 224 : 돌출턱
300 : 제2배수부 301 : 패킹

Claims (8)

  1. 수조에 수직으로 관통되게 고정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밸브 상부에 연통되게 유입밸브를 결합하되, 상기 유입밸브의 외주연에는 수조와 연통되는 유입공을 형성시킨 몸체부와,
    상기 유입밸브 내부에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유입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하되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외주연과 하부면에 제1배수공과 제2배수공을 형성한 다음 유입밸브 내주연과 연통시킨 제1배수부와,
    상기 제1배수부 내주연에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 범위에 따라 제1배수부를 이동시켜 유입공을 개방시키거나 제2배수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상호 배수량을 다르게 배수토록 하는 제2배수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 관통되게 고정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밸브 상부에 결합되어 중공의 내부가 유입밸브 내주연과 연통시키되, 상기 수조와 연통되도록 유입밸브 외주연에 유입공을 등간격으로 형성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부는,
    내부에 슬라이드턱을 형성시켜 내부공간을 구획시킨 다음 슬라이드턱 내부에는 제2배수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외주연에는 제1배수공을 등간격으로 형성시킨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수직으로 제2배수공을 형성하여 제2배수부 하단부가 제2배수공 입구 단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커버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밸브.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에는 걸림홈을 형성시키고, 커버의 상부 외주연에는 걸림턱을 형성시켜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밸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수부와 커버의 하부에는 패킹을 각각 결합하여 상기 제2배수공 221 입구 단부를 상부로 돌출시킨 돌출턱과 상기 고정밸브의 내주연 상부에 형성시 킨 단턱에 패킹이 밀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밸브.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밸브와 하우징의 상부에는 관통공을 각기 형성시킨 다음 외부로 부터 배수줄을 제2배수부에 결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밸브.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밸브의 상부 외주연에는 나사를 형성시켜 너트를 체결하여 수조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면서 유입밸브의 내주연에 나사 체결하여 상기 고정밸브와 유입밸브의 상호 체결 상태에 따라 유입밸브를 리이드 이동시켜 유입공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여 배수량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밸브.
  8.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210의 상단에는 간격유지돌기를 돌출되게 형성시켜 상기 유입밸브의 내부의 상부 단면과 하우징의 상부면이 밀착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밸브.
KR2020090013328U 2009-10-13 2009-10-13 배수밸브 KR20110003864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328U KR20110003864U (ko) 2009-10-13 2009-10-13 배수밸브
PCT/KR2010/004711 WO2011046286A2 (ko) 2009-10-13 2010-07-19 배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328U KR20110003864U (ko) 2009-10-13 2009-10-13 배수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864U true KR20110003864U (ko) 2011-04-20

Family

ID=43876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328U KR20110003864U (ko) 2009-10-13 2009-10-13 배수밸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003864U (ko)
WO (1) WO2011046286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9007A1 (zh) * 2019-02-20 2020-08-27 厦门瑞尔特卫浴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离合结构的排水阀开关及排水阀
KR20210025807A (ko) * 2019-08-28 2021-03-10 이태준 시각적인 확인이 가능한 대류현상 실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228U (ko) * 1999-03-25 1999-08-05 김영준 좌변기수조의 급수장치
KR200243335Y1 (ko) * 2001-04-20 2001-10-12 김용회 양변기의 절수장치
KR200287466Y1 (ko) * 2002-05-14 2002-09-05 정홍기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070053195A (ko) * 2007-05-04 2007-05-23 성계용 양변기용 절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9007A1 (zh) * 2019-02-20 2020-08-27 厦门瑞尔特卫浴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离合结构的排水阀开关及排水阀
KR20210025807A (ko) * 2019-08-28 2021-03-10 이태준 시각적인 확인이 가능한 대류현상 실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46286A2 (ko) 2011-04-21
WO2011046286A3 (ko)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3864U (ko) 배수밸브
JP5435606B2 (ja) 洋風便器のフィルバルブのリム側給水管物量調節弁
KR200271585Y1 (ko) 양변기용 대소변 구분 절수기
KR200380190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대
KR200310476Y1 (ko) 양변기용 2단 급수조절레버
KR200347510Y1 (ko)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KR101152901B1 (ko) 양변기의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제어구조
KR200184873Y1 (ko) 양변기의 2단 배수밸브 개폐장치
KR200287466Y1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180022287A (ko) 대소변 구분이 가능한 변기용 밸브
KR200262721Y1 (ko) 절수형 양변기
TWM575689U (zh) Bathtub inlet and outlet
KR200199263Y1 (ko) 양변기 2단배수밸브의 작동장치
KR200338291Y1 (ko) 절수구조를 갖는 좌변기
KR200229787Y1 (ko)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KR200402335Y1 (ko) 변기용 절수기
KR20100012236A (ko) 배수구 개폐장치
KR0127592Y1 (ko) 양변기 저수조의 수위조절장치
KR200463825Y1 (ko) 샤워 커튼
KR200338316Y1 (ko)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KR0127590Y1 (ko) 양변기용 2단배수밸브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080034802A (ko) 수세식 좌변기용 급수장치
KR200379049Y1 (ko) 세면대의 배수장치
KR200251243Y1 (ko) 양변기의 배수량조절장치
KR200297662Y1 (ko) 공간 확장형 접이식 좌변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