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466Y1 -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466Y1
KR200287466Y1 KR2020020014614U KR20020014614U KR200287466Y1 KR 200287466 Y1 KR200287466 Y1 KR 200287466Y1 KR 2020020014614 U KR2020020014614 U KR 2020020014614U KR 20020014614 U KR20020014614 U KR 20020014614U KR 200287466 Y1 KR200287466 Y1 KR 2002874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toilet
closing
coupled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46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홍기
Original Assignee
정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홍기 filed Critical 정홍기
Priority to KR20200200146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4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4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466Y1/ko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변기본체의 사이폰에 설치되는 제 1패킹; 상기 제 1패킹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게 일단에 나사선을 구비한 체결부가 형성된 몸체; 수조의 바닥에 형성된 배수구에 위치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체결부에 결합되는 제 2패킹; 상기 체결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체결부에 끼워진 제 2패킹과 슬립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너트; 상기 몸체의 가이드편을 통해 삽입될 수 있게 하단부에 안내편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편의 상단에는 가이드공과 세척수배출구를 구비한 몸통이 일체로 형성된 하부개폐변; 상기 몸통의 상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는 연결공이 형성된 상부개폐변; 상기 연결공에 삽입될 수 있게 하단에 연결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핀의 상부에는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연결고리;로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은 소변과 같은 적은량의 세척수를 배출시 상부개폐변을 상승시키고, 대변과 같이 많은량의 세척수를 배출시에는 상부개폐변과 하부개폐변을 상승시킴으로써 배출되는 세척수의 량을 조절할 수 있고, 또한 하부개폐변의 안내편을 다수개 형성하여 하부개폐변의 상승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중·대형 양변기 및 절수형 양변기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OF DRAINAGE OF A TOILET}
본 고안은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배출되는 세척수의 배수량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배수량 조절장치의 작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대형 양변기 및 절수형 양변기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변기는 용변을 마친 후 변기본체에 세척수를 공급하여 용변을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수가 담수되는 수조가 변기본체의 후방에 구비된다. 이러한 수조에 구성되어 세척수를 변기로 배출시키는 일반적인 배출장치는 수조의 외부로 표출되게 설치된 조절레버의 개폐변이 직접 연결되어 조절레버의 조작에 의해 개폐변이 개방되면 수조에 담수된 세척수가 배출된 후 새로운 세척수를 일정량 공급받아 보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배출장치는 용변의 종류에 관계없이 수조에 보유된 세척수를 모두 배출시키게 됨으로써 특히 소변시 불필요하게 많은 량의 물을 소비하게 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세척수를 2단으로 조절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선출원된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 1991-23211호(명칭 : 양변기용 배수 밸브의 2단배수 조절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00)에 담수된 세척수의 배수량을 선택적인 2단조절을 선택적인 2단조절에 의해 많고 적게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배수구(121)의 상단 주벽에 연이어 안내봉(122)을 입설하며, 상기 배수구(121)의 상단 외주연에 환상의 패킹(123)을 외향으로 돌설되게 개재시킨 배수관(120)과; 상기 안내봉(122)의 하부에 원통형 몸체(141)의 하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하향으로 개구되고 바닥면이 상기 패킹(123)의 상면에 밀착되는 커버(142)를 구성하고, 상기 몸체(141) 상단의 외주연에 환상의 패킹(143)을 외향으로 돌설되게 개재시키며, 상기 커버(142)의 상부 양측에 상부로 연장되어 중앙에 소정길이로 길게 안내장공(144a)이 통공된 승강안내대(144)를 구성한 하부개폐변(140)과; 상기 하부개폐변(140)의 상부에 원통형 몸체(131)의 하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하향으로 개구되고 바닥면이 하부개폐변(140)의 패킹(143) 상면에 밀착되는 커버(132)를 구성하고, 상기 커버(132)의 하단 양측에 상기 승강안내대(144)의 안내장공(144a)에 삽입되어 자유로이 승강하는 안내핀(133)을 구성하며, 상기 커버(132)의 일측 상부에 인장끈(151)이 연결되도록 연결공(134a)이 통공된 연결편(134)을 돌설한 상부개폐변(130)을 구성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은 상부개폐변(130) 커버(132)의 일측에 구비된 연결공(134a)에 인장끈(151)을 연결하여 수조(100)의 전면에서 조절레버(170)로 배수량을 조절할 수 있어 변기의 후방에 수조(100)가 구비되는 양변기에 적용이 가능하며, 하부개폐변(140) 양측의 승강안내대(144)에 상부개폐변(130) 양측의 안내핀(133)이 승강 안내되어 세척수 배수량의 많고 적음에 따라 2단조절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상,하부개폐변(130)(140)의 상승에 따라 세척수 배수량을 조절할 수 있지만 이 또한 소변 세척을 할 경우 그렇게 큰 효과를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절수형 양변기에는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배수량 조절장치의 구조를 변경하여 배출되는 세척수의 배수량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배수량 조절장치의 작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대형 양변기 및 절수형 양변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수조에 담수된 세척수의 배수량을 조절 할 수 있게 설치된 배수량 조절장치에 있어서, 변기본체의 사이폰에 설치되는제 1패킹; 상기 제 1패킹의 상부에 삽입 설치될 수 있게 일단에 나사선을 구비한 체결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보충수 유입구가 형성되며, 내주연에는 다수의 가이드편이 형성된 된 몸체; 상기 수조의 바닥에 형성된 배수구에 위치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는 제 2패킹; 상기 체결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체결부에 끼워진 제 2패킹과 슬립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너트; 상기 몸체의 가이드편을 통해 삽입 설치될 수 있게 하단부에는 시트패킹과 결합판이 결합되는 안내편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편의 상단에는 중앙에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의 외측으로는 세척수가 유입될 수 있게 세척수배출구를 구비한 몸통이 일체로 형성된 하부개폐변; 상기 몸통의 상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는 연결공이 형성된 상부개폐변; 상기 연결공에 삽입 결합될 수 있게 하단에 연결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핀의 상부에는 부구에 연결된 인장끈이 연결 될 수 있게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연결고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도 1은 종래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로써, 도 5a는 소변시 작동상태이고, 도 5b는 대변시 작동상태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조 12 : 배수구
20 : 제 1패킹 30 : 몸체
31 : 체결부 32 : 나사선
36 : 보충수 유입구 38 : 가이드편
40 : 제 2패킹 46 : 슬립판
50 : 너트 60 : 하부개폐변
61 : 안내편 63 : 몸통
64 : 가이드공 65 : 세척수배출구
72 : 시트패킹 76 : 결합판
80 : 상부개폐변 82 : 연결공
90 : 연결고리 91 : 연결핀
93 : 결합부 96 : 부구
이하, 본 고안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구성도로써, 본 고안은 변기본체(미도시)의 사이폰(미도시)에 설치되는제 1패킹(20)과, 상기 제 1패킹(20)에 결합되는 몸체(30)와, 제 2패킹(40)과, 너트(50)와, 세척수의 배수량을 조절하는 상,하부개폐변(80)(60)과, 상기 상,하부개폐변(80)(60)을 작동시키는 연결고리(90)로 크게 이루어져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몸체(30)는 변기본체의 사이폰에 설치되는 제 1패킹(20)의 상부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에 나사선(32)을 구비한 체결부(31)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보충수 유입구(36)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연에는 후술할안내편이 결합될 수 있게 가이드편(38)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편(38)은 하부개폐변(60)이 동작시 안내편(61)이 흔들리게 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상기 제 2패킹(40)은 수조(10)의 바닥에 형성된 배수구(12)에 위치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상기 체결부(31)에 결합된다.
상기 너트(50)는 상기 체결부(31)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체결부(31)에 끼워진 제 2패킹(40)과 슬립판(46)의 이탈과 누수를 방지해 준다.
상기 하부개폐변(60)은 몸체(3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될 수 있게 하단부에 시트패킹(72)과 결합판(76)이 결합되는 안내편(6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편(61)의 상단에는 중앙에 가이드공(64)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64)의 외측으로는 세척수가 유입될 수 있게 세척수배출구(65)를 구비한 몸통(6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개폐변(80)은 몸통(63)의 상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중앙에는 연결공(8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고리(90)는 상,하부개폐변(80)(60)을 작동시키는 것으로, 연결공(82)에 삽입 결합될 수 있게 하단에 연결핀(9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핀(91)의 상부에는 부구(96)에 연결된 인장끈(97)이 연결 될 수 있게 결합부(9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몸체(30)의 체결부(31)에 제 2패킹(40)과 슬립판(46)을 결합시킨 후 상기 체결부(31)의 나사선(32)에 너트(50)를 나사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결합되면 상기 몸체(30)의 체결부(31) 하단부에 제 1패킹(20)을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하부개폐변(60)의 안내편(61)에 시트패킹(72)과 결합판(76)을 결합시키고, 하부개폐변(60)의 몸통(63) 상부에는 연결고리(90)가 결합된 상부개폐변(80)을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결합되면 상기 하부개폐변(60)의 안내편(61)을 몸체(30)의 내부로 결합시키면 본 고안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안내편(61)의 하단부에는 제 1걸림단(61a)이 외향 절곡되어 있어 하부개폐변(60)이 몸체(30)에서 빠지지 않게 되고, 연결고리(90)의 연결핀(91) 하단에도 제 2걸림편(91a)이 형성되어 있어 연결핀(91)이 하부개폐변(60)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배수량조절장치를 수조(10)의 배수구(12)에 설치하면 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변과 같이 작은량의 세척수가 요구되는 용변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에는 수조(10)의 외부로 표출되게 설치된 조절레버(미도시)를 회전시켜 이에 연결된 인장끈(97)이 당겨지게 되면 도 5a와 같이 인장끈(97)이 연결된 부구(96)와 상부개폐변(80)이 상승하게 되고, 상기한 상부개폐변(80)의 상승으로 인하여 하부개폐변(60)에 형성된 세척수배출구(65)가 개방된다.
상기와 같이 세척수배출구(65)가 개방되면 수조(10)에 담수된 세척수는 세척수배출구(65)를 통해 배수구(12)로 1단으로 배수되고 세척수가 몸체(30)의 상면과 동일선상이 되면 상부개폐변(80)이 하강하면서 1단배수의 동작이 정지되면서 하부개폐변(60)의 세척수배출구(65)를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 세척수배출구(65)가 폐쇄됨과 동시에 보충수 유입구(36)로는 세척수가 유입되어 수조(10)의 내부에 담수되어 진다.
그리고, 대변과 같이 많은량의 세척수가 요구되는 용변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에는 수조(10)의 외부로 표출된 조절레버를 회전시키면 1단배수와 동일하게 상부개폐변(80)이 상승하여 세척수배출구(65)가 개방되고 이어서 연결핀(91)의 하단부가 하부개폐변(60)의 상단부에 걸리면서 하부개폐변(60)을 상승시킨다.
상기한 하부개폐변(60)이 수직 상승하게 되면 하부개폐변(60)의 연결고리(90)의 연결핀(91)도 상승하면서 몸체(30)의 상단부에 걸리게 된다. 이렇게 상부개폐변(80)과 하부개폐변(60)이 순차적으로 개방되면 수조(10) 내에 담수된 세척수는 세척수배출구(65)와 몸체(30)의 내부를 통해 배수되고, 몸체(30)의 내부로 배수된 물은 다시 배수구(12)를 통해 배수된다.
이렇게 배수되는 세척수의 수위가 배수구(12)의 상면과 동일선상이 되면 동시에 상승한 하부개폐변(60)이 하강하게 되고, 상부개폐변(80)이 하강하여 2단배수의 동작이 정치되는 것이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상기 세척수배출구(65)가 폐쇄됨과 동시에 보충수 유입구(36)로는 세척수가 유입되어 수조(10)의 내부에 담수되어 진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에 따르면 제 1패킹과, 상기 제 1패킹에 결합되고, 체결부에는 누수방지 제 2패킹과 슬립판이 결합되고, 상기 제 2패킹과 슬립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너트가 나사 결합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결합되는 하부개폐변과, 상기 하부개폐변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상부개폐변으로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소변과 같은 적은량의 세척수를 배출시 상부개폐변을 상승시키고, 대변과 같이 많은량의 세척수를 배출시에는 상부개폐변과 하부개폐변을 상승시킴으로써 배출되는 세척수의 량을 조절할 수 있고, 또한 하부개폐변의 안내편을 다수개 형성하여 하부개폐변의 상승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대형 양변기 및 절수형 양변기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수조(10)에 담수된 세척수의 배수량을 조절 할 수 있게 설치된 배수량 조절장치에 있어서,
    변기본체의 사이폰에 설치되는 제 1패킹(20);
    상기 제 1패킹(20)의 상부에 삽입 설치될 수 있게 일단에 나사선(32)을 구비한 체결부(3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보충수 유입구(36)가 형성되며, 내주연에는 다수의 가이드편(38)이 형성된 된 몸체(30);
    상기 수조(10)의 바닥에 형성된 배수구(12)에 위치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상기 체결부(31)에 결합되는 제 2패킹(40);
    상기 체결부(31)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체결부(31)에 끼워진 제 2패킹(40)과 슬립판(46)의 이탈을 방지하는 너트(50);
    상기 몸체(30)의 가이드편(38)을 통해 삽입 설치될 수 있게 하단부에는 시트패킹(72)과 결합판(76)이 결합되는 안내편(61)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편(61)의 상단에는 중앙에 가이드공(64)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64)의 외측으로는 세척수가 유입될 수 있게 세척수배출구(65)를 구비한 몸통(63)이 일체로 형성된 하부개폐변(60);
    상기 몸통(63)의 상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는 연결공(82)이 형성된 상부개폐변(80);
    상기 연결공(82)에 삽입 결합될 수 있게 하단에 연결핀(91)이 형성되고 상기연결핀(91)의 상부에는 부구(96)에 연결된 인장끈(97)이 연결 될 수 있게 결합부(93)가 일체로 형성된 연결고리(9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20020014614U 2002-05-14 2002-05-14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02874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614U KR200287466Y1 (ko) 2002-05-14 2002-05-14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614U KR200287466Y1 (ko) 2002-05-14 2002-05-14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466Y1 true KR200287466Y1 (ko) 2002-09-05

Family

ID=73122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614U KR200287466Y1 (ko) 2002-05-14 2002-05-14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46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6286A2 (ko) * 2009-10-13 2011-04-21 주식회사 루트싸이언스 배수밸브
KR101152633B1 (ko) 2008-10-30 2012-06-05 김영일 양변기용 2단 배수밸브
KR102073234B1 (ko) * 2019-07-11 2020-02-04 윤길홍 대소변 구분이 가능한 변기용 밸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633B1 (ko) 2008-10-30 2012-06-05 김영일 양변기용 2단 배수밸브
WO2011046286A2 (ko) * 2009-10-13 2011-04-21 주식회사 루트싸이언스 배수밸브
WO2011046286A3 (ko) * 2009-10-13 2011-06-16 주식회사 루트싸이언스 배수밸브
KR102073234B1 (ko) * 2019-07-11 2020-02-04 윤길홍 대소변 구분이 가능한 변기용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5148B1 (en) Water-saving device for a toilet having a sink with a float-operated drain valve
US3015827A (en) Toilet tanks
US4341238A (en) Flushing means
KR200287466Y1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US4922556A (en) Flushing means
KR100263368B1 (ko) 양변기의배수량조절장치
US4842011A (en) Flushing means
KR102214200B1 (ko) 양변기 수조의 가변식 보충수 공급장치
KR200190330Y1 (ko) 양변기의세척수제어장치
CN109881751B (zh) 一种预存水马桶
KR200338316Y1 (ko)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KR200344345Y1 (ko)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
KR200187584Y1 (ko) 변기용 수세장치
KR100384388B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187771Y1 (ko) 양변기 저수통의 절수용 덮개
KR20100009972U (ko) 절수형 변기 수조
KR100839444B1 (ko) 급수밸브
KR200198086Y1 (ko) 양변기용 절수구
GB2305944A (en) Overflow fitting and odour extraction assembly for a valve-discharge W.C. cistern
KR200198097Y1 (ko) 변기용 수세장치
KR950006223Y1 (ko) 양변기용 수압식 밸브
KR200176999Y1 (ko) 절수형 양변기
KR19990036030U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0187601Y1 (ko) 변기용 수세장치
KR101152633B1 (ko) 양변기용 2단 배수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