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330Y1 - 양변기의세척수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의세척수제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90330Y1 KR200190330Y1 KR2019980002801U KR19980002801U KR200190330Y1 KR 200190330 Y1 KR200190330 Y1 KR 200190330Y1 KR 2019980002801 U KR2019980002801 U KR 2019980002801U KR 19980002801 U KR19980002801 U KR 19980002801U KR 200190330 Y1 KR200190330 Y1 KR 20019033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water supply
- ball tap
- opening
- supply pip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2—Arrangement of inlet val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3—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floa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구가 수위을 따라 수직으로 하강하면 볼탭의 급수변을 개방하며 부구가 수위를 따라 상승하면 볼탭의 급수변을 폐쇄시키고, 볼탭의 급수변이 개방되어 세척수가 급수되면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수조측 급수관을 개방하고, 볼탭의 급수변이 폐쇄되어 세척수의 급수가 정지되면 레버의 자중에 의해 수조측 급수관을 폐쇄시키도록 구성하여 제어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수압의 변화에 따라 수위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볼탭으로 급수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전환밸브가 자동으로 전환되어 후레쉬 밸브의 동작을 간섭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적량의 세척수가 변기측으로 배출된 후 세척수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급수전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수조측과 변기의 림측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양변기는 용변을 마친 후 변기에 세척수를 배출하여 용변을 세척할 수 있도록 일정량의 세척수를 보유하는 수조가 본체의 후방에 탑재된다.
이러한 양변기의 수조에는 일정량의 세척수가 보유되고, 보유된 세척수는 용변을 세척하기 위해 사용자가 배수버튼을 작동시키게 되면 변기 본체의 중앙으로 많은량(약 80%)의 세척수가 공급되어 용변을 세척함과 동시에 변기 본체의 림측으로는 적은량(약20%)의 세척수가 공급되어 변기 본체에 잔류해 있는 용변을 세척한 후 세척수의 배수가 정지되고, 수조내에는 다시 세척수가 공급되어 일정량 보유되며, 이러한 세척수의 공급 및 차단은 제어장치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된다.
도 1과 도 2는 종래 세척수 제어장치의 구성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종래 세척수 제어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양 변기는 사용자가 걸터 앉아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타원형으로 림(11)이 형성되고, 림(11)의 내주면에는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의 배수공이 통공되며, 그 하부에 세척공간이 형성된 본체(10)가 구성되어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가 유지되도록 설치되고, 이러한 본체(10)의 후방에는 볼탭(22)을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아 보유하고, 조절레버(21)의 조작에 의해 후레쉬 밸브(23)를 개방하여 보유된 세척수를 변기 본체(10)의 중앙으로 많은량 배출함과 동시에 림(11)측으로 적은량 배출하도록 수조(20)가 구성된다.
이러한 양변기 구조에 있어 종래의 세척수 제어장치는, 볼탭(30)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어 적정수위 이상으로 상승하면 볼탭(30)의 급수변을 폐쇄하고 수위가 적정수위 이하로 하강하면 급수변을 개방하는 부구(60)가 구비되고, 볼탭(30)의 일측에는 조절레버(21)가 조작되면 후레쉬 밸브(23)의 개방과 동시에 회전하여 수조측 급수관(31) 림측 급수관(32)의 급수를 전환시키는 전환밸브(70)가 구비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세척수 제어장치는 볼탭의 급수변을 개폐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부구의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공간을 많이 점유하여 조립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특히 급수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압이 강할 경우 수위가 적정치 이상으로 상승하고, 세척수의 수압이 약할 경우에는 수위가 적정치 이하로 하강하여 수위의 변동폭이 크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높이보다 폭이 넓어 수위의 증감에 따라 담수량의 차이가 심한 일체형 수조에는 적합하지 못한 결함이 있다.
그리고 전환밸브(70)는 조절레버(21)의 조작에 의해 후레쉬 밸브(23)와 동시에 작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특히 전환밸브(70)의 힌지부에 이물질이 끼거나 녹이 생겨 후레쉬 밸브(23)와 동시에 작동하여 급수방향을 전환시킨 후 복원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가 있다. 이렇게 전환밸브(70)가 복원되지 않게 되면 후레쉬 밸브(23)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수조(20)로 공급된 세척수는 계속 변기측으로 배출되어 불필요하게 물을 낭비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조립구조를 간소화하고, 수압 변화에 따라 수위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볼탭으로 급수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전환밸브가 자동으로 전환되어 후레쉬 밸브의 동작을 간섭하지 않는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부구가 수위을 따라 수직으로 하강하면 볼탭의 급수변을 개방하고, 부구가 수위를 따라 상승하면 볼탭의 급수변을 폐쇄시키는 급수제어부와; 볼탭의 급수변이 개방되어 세척수가 급수되면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수조측 급수관을 개방하고, 볼탭의 급수변이 폐쇄되어 세척수의 급수가 정지되면 레버의 자중에 의해 수조측 급수관을 폐쇄시키는 급수전환부가 구성된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세척수 공급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종래 세척수 공급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A)는 세척수가 보충된 상태이고,
(B)는 세척수가 배출된 상태이다.
도 6은 본 고안 급수전환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A)는 세척수가 보충된 상태이고,
(B)는 세척수가 배출된 상태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변기 본체 20: 수조
30: 볼탭 31: 수조측 급수관
32: 림측 급수관 40: 급수제어부
41: 개폐레버 42: 부구
43: 작동대 50: 급수전환부
52: 개폐변 53: 전환레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양변기는 림(11)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의 배수공이 통공되며, 그 하부에 세척공간이 형성된 본체(10)가 구성되어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가 유지되도록 설치되고, 이러한 본체(10)의 후방에는 볼탭(30)을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아 보유하고, 조절레버(21)의 조작에 의해 후레쉬 밸브(23)를 개방하여 보유된 세척수를 변기 본체(10)의 중앙으로 많은량 배출함과 동시에 림(11)측으로 적은량 배출하도록 수조(20)가 구성된다.
이러한 양변기에 있어 본 고안 세척수 제어장치는, 부구(42)가 수위를 따라 수직으로 하강하면 볼탭(30)의 급수변을 개방하고 부구가 수위를 따라 상승하면 볼탭(30)의 급수변을 폐쇄시키는 급수제어부(40)가 구성되고, 볼탭(30)의 급수변이 개방되어 세척수가 급수되면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수조측 급수관을 개방하고, 볼탭의 급수변이 폐쇄되어 세척수의 급수가 정지되면 레버의 자중에 의해 수조측 급수관을 폐쇄시키는 급수전환부(50)가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급수제어부(40)는, 볼탭(30)의 급수변 직상부에 힌지(411)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선단이 길게 연장되며 측벽에 외향으로 스토퍼(412)가 돌설된 개폐레버(41)를 구성한다. 또한 볼탭(30)의 상부 일측에 수직 하향으로 길게 연장된 수조측 급수관(31)을 따라 일측이 안내되어 자유로이 승강 가능하도록 부구(42)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레버(41)의 스토퍼(412)와 수직으로 대응하는 부구(42)의 후방에 입설되어 선택적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작동대(43)를 구성한다. 이 작동대(43)는 부구(42)와 함께 상승하여 그 상단이 개폐레버(41)의 스토퍼(412)를 밀어 올려 힌지를 중심으로 후단을 하강시킴으로써 볼탭(30)의 급수변을 폐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급수전환부(50)는, 볼탭(30)의 급수변(34)을 통하여 급수된 세척수를 수직 하향으로 안내하여 수조(20)로 급수되도록 하는 수조측 급수관(31)과, 수평 방향으로 안내하여 변기 본체(10)의 림(11)측으로 급수되도록 하는 림측 급수관(32)의 교차되는 위치의 캡(51) 내부에는 90도 회전하여 수조측 급수관(31)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변(52)이 구비되고, 상기 개폐변(52) 중심의 내측 방향으로 무게 중심이 치우친 전환레버(53)가 구비되어 캡(51)의 전면에서 개폐변(52)과 일체로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급수전환부(50)의 전환레버(53)의 외측단과 급수제어부(40)의 부구(42)의 중심을 끈(54)로 연결하여 부구(42)가 하강할 때 전환레버(53)를 외측으로 강제 회동시켜 수조측 급수관(31)이 개방되도록 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세척수 제어장치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수조(20)에 세척수가 만수된 상태에서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구(42)가 수조측 급수관(31)을 따라 상승하여 부구(42)에 일체로 연결된 개폐레버(41)의 스토퍼(412)를 밀어 올리게 되고, 이때 개폐레버(41)의 후단은 힌지(411)를 중심으로 하강하여 그 직하부에 설치된 패킹(33)을 강제로 가압한다. 이렇게 가압된 패킹(33)은 급수변(34)측의 공기유로를 차단하여 볼탭(30)의 급수 출구(35)를 폐쇄시킴으로써 세척수의 급수를 중단시킨다.
상기와 같이 수조(20)에 세척수가 만수된 상태에서 용변을 세척하기 위해 조절레버(21)를 작동시키게 되면 당김끈(22)이 당겨지면서 이에 연결된 후레쉬 밸브(23)를 상승시켜 변기 본체(10)의 중심으로 세척수를 배수시킨다.
이와 같이 세척수가 배수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구(42)는 낮아지는 수위를 따라 하강하고, 이에 일체로 연결된 작동대(43)가 개폐레버(41)의 스토퍼(412)로부터 이탈하게 되면 개폐레버(41)는 힌지(411)를 중심으로 무거운 외측이 자중에 의해 하강함에 따라 내측단이 상승하여 패킹(33)의 가압력을 해제시킨다. 이렇게 패킹(33)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급수변(34)측에 형성된 공기유로가 개방된에 따라 볼탭(30)을 통해 급수되는 세척수의 수압이 급수변(34)을 상향으로 가압하여 볼탭(30)의 출구를 개방시킨다.
한편 수위를 따라 하강하는 부구(42)가 (b)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곡선으로 접혀있던 끈(54)이 직선으로 펼쳐짐과 동시에 부구(42)를 따라 하강하는 끈(54)은 조절레버(21)를 외측 하향으로 회동시켜 조절레버(21)와 일체로 연결된 개폐변(52)이 수직으로 입설된다. 이때 상기 과정을 통해 볼탭(30)의 개방된 출구를 통과한 세척수는 일측으로 연통된 캡(51)의 내부를 경유하여 수조측 급수관(31)로 많은량(약 80%) 배출되어 후레쉬 밸브(23)로 폐쇄된 수조(20)로 급수되고, 림측 급수관(32)로 적은량(약 20%) 배출되어 변기 본체(10)의 림(11)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공으로 급수되어 잔류 용변을 세척한다.
그리고 상기 과정을 통하여 수조(20)로 급수된 세척수의 수위를 따라 상승하는 부구(42)가 적정위치에 도달하여 작동대(43)의 상단이 개폐레버(41)의 스토퍼(412)를 밀어올리게 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레버(41)의 내측단은 힌지(411)를 중심으로 하강하여 패킹(33)을 가압하고, 가압된 패킹(33)은 급수변(34)의 공기유로를 폐쇄하여 볼탭(30)의 출구를 폐쇄시킨다.
한편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부구(42)와 전환레버(53)에 상호 연결된 끈(54)이 곡선으로 접혀지기 시작하면 전환레버(53)는 힌지(411)를 중심으로 무게 중심이 치우친 내측으로 회동되고, 이때 개폐레버(41)는 볼탭(30)의 출구를 폐쇄시킨다.
본 고안은 부구가 수위을 따라 수직으로 하강하면 볼탭의 급수변을 개방하며 부구가 수위를 따라 상승하면 볼탭의 급수변을 폐쇄시키고, 볼탭의 급수변이 개방되어 세척수가 급수되면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수조측 급수관을 개방하고, 볼탭의 급수변이 폐쇄되어 세척수의 급수가 정지되면 레버의 자중에 의해 수조측 급수관을 폐쇄시키도록 구성하여 제어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수압의 변화에 따라 수위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볼탭으로 급수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전환밸브가 자동으로 전환되어 후레쉬 밸브의 동작을 간섭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적량의 세척수가 변기측으로 배출된 후 세척수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 수조(20)의 수위에 따라 볼탭(30)의 급수변(34)을 개폐시키고, 볼탭(30)을 통해 급수된 세척수가 수조(20)와 변기 본체(10)의 림(11)측으로 적정한 비율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볼탭(30)의 급수변 상부에 힌지(411)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선단이 길게 연장되며, 측벽에 외향으로 스토퍼(412)가 돌설된 개폐레버(41)가 구성되고, 수위가 상승`하강할 때 상기 수조측 급수관(31)을 따라 일측이 안내되어 자유로이 승강하는 부구(42)가 구성되며, 상기 개폐레버(41)의 스토퍼(412)와 수직으로 대응하는 부구(42)의 후방에 선택적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작동대(43)가 구성된 급수제어부(40)와; 상기 볼탭(30)의 출구를 통해 세척수가 급수되면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수조측 급수관(31)을 개방하고, 볼탭(30)의 급수변(34)이 폐쇄되어 세척수의 급수가 정지되면 자중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수조측 급수관(31)을 폐쇄시키는 급수전환부(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급수전환부(50)는,수조측 급수관(31)과 림측 급수관(32)이 교차되는 위치에 볼탭(30)의 출구로 급수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수조측 급수관(31)을 완전히 개방함과 동시에 림측 급수관(32)을 적정 비율로 개방하고 세척수가 양 급수관(31)(32)의 입구를 적정 비율로 개방하거나 수조측 급수관(31)을 폐쇄시키는 개폐변(52)이 구비되고, 상기 개폐변(52)의 고정단을 중심으로 내측 길이 방향이 무겁고 외측이 상대적으로 가벼웁게 형성되어 캡(51)의 전면에서 개폐변(52)과 일체로 연동하는 전환레버(53)가 구성되며, 수위가 하강할 때 전환레버(53)의 가벼운 외측이 부구(42)에 끌려 강제로 하강할 수 있도록 전환레버(53)의 외측단과 부구(42)의 일측 중심이 끈(54)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02801U KR200190330Y1 (ko) | 1998-02-28 | 1998-02-28 | 양변기의세척수제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02801U KR200190330Y1 (ko) | 1998-02-28 | 1998-02-28 | 양변기의세척수제어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6816U KR19990036816U (ko) | 1999-09-27 |
KR200190330Y1 true KR200190330Y1 (ko) | 2000-08-01 |
Family
ID=19532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02801U KR200190330Y1 (ko) | 1998-02-28 | 1998-02-28 | 양변기의세척수제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90330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3510B1 (ko) * | 2004-04-29 | 2005-04-19 | 이수인 (주) | 분사펌프를 이용한 림측 급수장치를 갖는 양변기 |
KR100758827B1 (ko) * | 2005-12-17 | 2007-09-14 |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 양변기의 세척수 급수제어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6216B1 (ko) * | 2008-07-30 | 2010-10-07 |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 양변기 급수제어밸브의 수로전환장치 |
-
1998
- 1998-02-28 KR KR2019980002801U patent/KR20019033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3510B1 (ko) * | 2004-04-29 | 2005-04-19 | 이수인 (주) | 분사펌프를 이용한 림측 급수장치를 갖는 양변기 |
KR100758827B1 (ko) * | 2005-12-17 | 2007-09-14 |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 양변기의 세척수 급수제어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6816U (ko) | 1999-09-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18763A (en) | Water closet with supplemented rim wash water flow | |
JP2006500496A (ja) | 節水型洋風便器 | |
KR100901186B1 (ko) |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 |
KR20010112040A (ko) | 절수용 변기 | |
US4996726A (en) | Accelerated rim wash for a toilet | |
KR200190330Y1 (ko) | 양변기의세척수제어장치 | |
JP2009275364A (ja) | 洗浄タンク装置及び水洗式便器 | |
JP2002021144A (ja) | ロータンクの流量調整装置 | |
KR100736871B1 (ko) | 양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 |
KR102214200B1 (ko) | 양변기 수조의 가변식 보충수 공급장치 | |
KR200427510Y1 (ko) | 양변기의 세척수 2단 배수장치 | |
US5761749A (en) | Structure of toilet bowl | |
KR200197292Y1 (ko) | 물탱크용 자동수위조절장치 | |
KR200378340Y1 (ko) | 양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 |
KR200207426Y1 (ko) | 공기개폐장치가 부착된 이중볼탑 | |
KR200287466Y1 (ko) |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 |
KR200338316Y1 (ko) |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 |
KR101124613B1 (ko) | 절수형 변기 | |
KR200424040Y1 (ko) | 양변기의 세척수 급수 제어장치 | |
KR100384388B1 (ko) | 절수형 양변기 | |
JP3018035U (ja) | 水洗便器の水タンク | |
JPH08144347A (ja) | 便器洗浄用の切換弁 | |
KR200229713Y1 (ko) | 수세식 변기의 내장형 절수장치 | |
KR200272603Y1 (ko) | 양변기의 물탱크 수위조절용 밸브 조립체 | |
KR200187584Y1 (ko) | 변기용 수세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226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