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871B1 - 양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871B1
KR100736871B1 KR1020040110029A KR20040110029A KR100736871B1 KR 100736871 B1 KR100736871 B1 KR 100736871B1 KR 1020040110029 A KR1020040110029 A KR 1020040110029A KR 20040110029 A KR20040110029 A KR 20040110029A KR 100736871 B1 KR100736871 B1 KR 100736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hing water
washing
water supply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0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2180A (ko
Inventor
송공석
Original Assignee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0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871B1/ko
Publication of KR20060072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2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2Arrangement of in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3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floa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8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flushing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레버의 작동으로 수도관을 경유하여 변기본체의 림측으로 세척수의 수압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필밸브의 림측급수관에 결합된 플렉시블연결관에 장착되는 수압조절부를 구성하고, 상기 수압조절부에 의해 일정한 수압으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플렉시블연결관보다 작은 직경의 이동공을 통과하면서 유속이 증가함과 동시에 유속에 의해 발행하는 압력차에 의해 수조에 저장된 많은 량의 세척수를 순간적으로 흡수하여 변기본체의 림측으로 배수시키는 세척수공급수단을 구성하며, 상기 세척수공급수단을 통해 변기본체의 림측으로 세척수가 배수되어 수조에 저장된 세척수의 수위가 하강하면,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하강하는 부구의 가압으로 개폐변과 동일하게 회전하는 방향전환레버의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개폐레버를 상부로 밀어 필밸브의 급수변을 순간적으로 폐쇄시켜 세척수의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방향전환레버의 개폐변이 수조측급수관을 개방시키면서 림측급수관을 폐쇄시키도록 회전하여 필밸브의 내부로 이동되는 세척수가 수조측급수관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세척수제어부를 구성함으로서,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원활하게 공급함과 아울러 림측급수관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유속으로 높아진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으로 수조에 저장된 세척수를 순간적으로 유입하여 림측으로 공급하고, 수조에 저장된 세척수의 일정량이 림측으로 공급되어 낮아지는 수위에 따라 부구가 하강하면서 필밸브의 출구를 순간적으로 폐쇄시키면서 급수전환부의 개폐변이 용이하게 수조측급수관을 개방시키도록 회전하여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양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device for rim washing of a toilet}
도 1은 일반적인 양변기를 나타낸 것으로,
a는 평면구성도이고,
b는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도 2는 선 등록된 세척수 제어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작동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세척수가 배수되어 부구가 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세척수가 만수되어 부구가 상승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평면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세척수가 림측으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작동레버의 가압에 따라 후레쉬밸브가 개방됨과 동시에 세척수가 필밸브의 림측급수관을 통해 플렉시블연결관으로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도 7a에 플렉시블연결관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c는 도 7b의 림측급수관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유속에 의해 수조에 저장된 세척수를 흡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d는 도 7d에서 이동하는 세척수의 수압에 따라 공기유입구를 폐쇄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e는 도 7d에서 이동하는 세척수가 림측으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7에 의해 세척수의 수위가 하강하여 방향전환레버를 회전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도 8a의 부구가 다시 하강하면서 세척수제어레버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회전되는 세척수제어레버의 제1가압돌기가 안내구를 가압하여 개폐레버를 상부로 이동시켜 필밸브의 급수변을 차단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도 8a에 의해 필밸브의 급수변을 차단한 상태에서 부구가 순간적으로 하강하여 세척수제어레버와 방향전환밸브를 동시에 회전시키면서 급수변이 수조측급수관을 개방시키고, 림측급수관을 폐쇄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c는 필밸브의 수조측급수관으로 유입되는 세척수가 저장되면서 상승하는 수위에 따라 부구가 상승하여 세척수제어레버와 방향전환밸브에 가압력을 해제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d는 도 8c에 의해 부구의 가압력이 해제된 방향전환밸브와 세척수제어레버가 자중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척수제어레버의 제1가압돌기가 안내구를 가압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e는 도 8d의 회전에 의해 급수변이 림측급수관을 개방시키면서 수조측급수관을 폐쇄시킴과 동시에 부구의 작동대가 개폐레버를 상부로 이동시켜 필밸브의 급수변을 차단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수압조절부 110: 플렉시블연결관
120: 지지부재 130: 이동부재
140: 탄성부재 150: 지지캡
200: 세척수공급수단 210: 세척수안내부
220: 공기유입부 230: 지지부
300: 세척수제어부 310: 세척수제어레버
320: 지지편 330: 안내구
본 발명은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동레버의 작동시, 수조에 저장된 세척수가 원피스 포스트로 공급되어 이동되는 세척수의 유속에 의해 순간적으로 많은 량을 림측으로 배출시켜 양변기의 내면을 용이하게 세척함과 아울러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하강하는 부구의 가압으로 회전하는 세척수제어레버의 제1가압돌기가 개폐레버를 상부로 이동시켜 필밸브의 급수변을 순간적으로 폐쇄시켜 방향전환밸브를 용이하게 회전시키므로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는 양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양변기는 용변을 수용하도록 세척공간이 형성된 변기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변기본체의 후방에는 세척공간이 수용한 용변을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수가 담수되는 수조가 탑재되며, 상기 변기본체의 세척공간을 개폐시키도록 세척공간의 상부 외주면에 시트와 변기커버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한편, 상기 양변기의 사용은, 사용자가 변기본체의 상면에 시트가 밀착되도록 회전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시트에 앉아 용변을 본 후, 세척공간에 위치한 용변을 사용자의 작동레버 작동에 의해 후레쉬밸브를 개방하여 배수되는 세척수로 세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후레쉬밸브로 세척수가 배수됨과 동시에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는 림측과 수조측으로 각각 공급되어 변기본체의 세척공간에 잔류한 용변을 세척하여 배수시킨 후, 후레쉬밸브가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배수관을 폐쇄시키면, 수조의 내부에 일정량의 세척수를 수조에 저장하면서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가 림측과 수조측으로 각각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는, 본건 출원인이 2004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129호로 출원하여 제347510호로 등록받은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가 사용되었다.
선 등록된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20)의 내부에 세척수가 만수된 상태에서 용변을 세척하기 위해 작동레버(21)를 작동시키면, 당김끈에 연결된 후레쉬밸브(22)가 상승하면서 개방된 배수관(23)을 통해 변기본체(10)의 세척공간(13)으로 배수됨과 동시에 제어부(70)의 부구(71)를 지지하는 안내부(60)의 안내부재(62)가 슬라이드홈(61a)을 따라 하강하여 밀착되며, 급수제어부(40)의 개폐레버(41)는 필밸브(30)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힌지(41a)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급수변(33)을 개방시킴과 동시에 급수변(33)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방향전환레버(50)가 자중에 의해 수조측급수관(31)의 상면을 개폐변(52)이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림측급수관(32)으로 공급되어 림측(11)의 배수공(12)을 통해 변기본체(10)의 세척공간으로 배출되어 용변을 세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세척수의 수위가 하강함과 동시에 하부몸체(71b)의 담수공간(71d)에 저장된 세척수가 세척수배출공(71e)으로 배수되어 작동부재(72)의 부력이 소멸되지 않을 때까지는 림측급수관(32)으로 계속 공급되고, 상기 담수공간(71d)의 내부에 위치한 세척수의 수위가 낮아져 작동부재(72)의 부력이 소멸되면 회전공(71c)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걸림돌기(72a)가 걸림턱(62b)에 이탈하며, 수조(20)에 저장된 세척수는 세척공간(13)으로 배수되어 용변을 세척한다.
이때, 상기 담수공간(71d)에 잔류해있는 세척수와 자중에 의해 부구(71)가 하강하면서 작동대(73)의 가압돌기(73a)가 방향전환레버(50)의 가압홈(51)을 가압함과 동시에 방향전환레버(50)를 강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개폐변(52)이 림측 급수관(32)을 폐쇄시키면서 수조측급수관(31)을 개방시킨 후, 회전제어부(53)의 자석A,B(53a)(53b)가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필밸브(30)의 급수변(33)으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수조측급수관(31)을 통해 수조(20)의 내부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수조(20)의 내부에 저장되면서 수위가 상승하는 세척수가 하부몸체(71b)의 세척수배출공(71e)으로 유입되어 담수공간(71d)에 저장됨과 동시에 담수공간(71d)의 내부에서 수위가 상승하는 세척수에 의해 부력이 발생하고, 이 부력으로 작동부재(72)가 회전공(71c)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걸림돌기(72a)를 걸림턱(62b)에 걸리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도 세척수의 수위가 계속 상승하면, 작동부재(72)에서 발생한 부력으로 걸림돌기(72a)가 안내부재(62)의 걸림턱(62b)에 걸리면서 상.하부몸체(71a)(71b)의 부구(71)가 상부로 이동하여 안내부재(62)의 단부가 안내리브(61)의 슬라이드홈(61a) 상단에 밀착함과 동시에 상승하는 세척수의 수위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72)와 부구(71)의 상부몸체(71a)에서 생성되는 부력으로 부구(71)만 다시 상승하면서 작동대(73)의 가압돌기(73a)가 급수제어부(40)의 스토퍼(42)를 밀어 올림과 동시에 개폐레버(41)가 힌지(41a)를 중심으로 상승하면서 회전제어부(53)의 자석A,B(53a)(53b)가 분리되고, 자석A,B(53a)(53b)가 분리된 방향전환레버(50)는 자중에 의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변(52)이 수조측급수관(31)의 상면을 폐쇄시키며, 상기 개폐레버(41)가 급수변(33)을 가압하여 세척수의 공급을 차단시키면서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는, 작동레버의 작동 시, 수조에 저장된 세척수가 일정량 배수될 때까지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가 부력을 유지하는 부구에 의해 림측으로 공급하면서 변기본체의 세척공간에 잔류해 있는 용변을 세척하는 이점은 있으나, 수도관으로부터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압이 다를 뿐만 아니라, 세척수의 수압이 낮을 경우는 림측급수관으로 세척수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해 변기본체의 세척공간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없어 제품의 성능을 개선할 필요성이 있으며, 세척수의 수압이 높을 경우는 림측급수관으로 세척수가 공급될 때 방향전환레버의 회전이 원활하지 못해 림측급수관으로만 공급되고, 림측급수관으로 많은 량의 세척수가 변기본체의 세척공간으로 공급된다 하더라도 세척공간을 깨끗하게 세척하지 못하는 부작용이 발생하여 사용이 불편하면서도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원활하게 공급함과 아울러 림측급수관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유속으로 높아진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으로 수조에 저장된 세척수를 순간적으로 유입하여 림측으로 공급하고, 수조에 저장된 세척수의 일정량이 림측으로 공급되어 낮아지는 수위에 따라 부구가 하강하면서 필밸브의 급수변을 순간적으로 폐쇄시키면서 급수전환부의 개폐변이 용이하게 수조측급수관을 개방시키도록 회전하여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양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가 필밸브를 경유하여 수조에 담수된 상태에서 작동레버의 작동으로 세척수를 배수시켜 변기본체의 세척공간에 잔류해 있는 용변을 세척하는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의 작동으로 수도관을 경유하여 변기본체의 림측으로 세척수의 수압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필밸브의 림측급수관에 결합된 플렉시블연결관에 장착되는 수압조절부와;
상기 수압조절부에 의해 일정한 수압으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플렉시블연결관보다 작은 직경의 이동공을 통과하면서 유속이 증가함과 동시에 유속에 의해 발행하는 압력차에 의해 수조에 저장된 많은 량의 세척수를 순간적으로 흡수하여 변기본체의 림측으로 배수시키는 세척수공급수단과;
상기 세척수공급수단을 통해 변기본체의 림측으로 세척수가 배수되어 수조에 저장된 세척수의 수위가 하강하면,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하강하는 부구의 가압으로 개폐변과 동일하게 회전하는 방향전환레버의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개폐레버를 상부로 밀어 필밸브의 급수변을 순간적으로 폐쇄시켜 세척수의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방향전환레버의 개폐변이 수조측급수관을 개방시키면서 림측급수관을 폐쇄시키도록 회전하여 필밸브의 내부로 이동되는 세척수가 수조측급수관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세척수제어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평면구성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가 필밸브(30)를 경유하여 수조(20)에 담수된 상태에서 작동레버(21)의 작동으로 세척수를 배수시켜 변기본체(10)의 세척공간(13)에 잔류해 있는 용변을 세척하는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21)의 작동으로 수도관을 경유하여 변기본체(10)의 림측(11)으로 세척수의 수압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필밸브(30)의 림측급수관(32)에 결합된 플렉시블연결관(110)에 장착되는 수압조절부(100)가 구성되고, 상기 수압조절부(100)에 의해 일정한 수압으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플렉시블연결관(110)보다 작은 직경의 이동공(123)을 통과하면서 유속이 증가함과 동시에 유속에 의해 발행하는 압력차에 의해 수조(20)에 저장된 많은 량의 세척수를 순간적으로 흡수하여 변기본체(10)의 림측(11)으로 배수시키는 세척수공급수단(20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세척수공급수단(100)을 통해 변기본체(10)의 림측(11)으로 세척수가 배수되어 수조(20)에 저장된 세척수의 수위가 하강하면,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하강하는 부구(71)의 가압으로 개폐변(52)과 동일하게 회전하는 방향전환레버(50)의 제1회전축(54)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개폐레버(41)를 상부로 밀어 필밸브(30)의 급수변(33)을 순간적으로 폐쇄시켜 세척수의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방향전환레버(50)의 개폐변(52)이 수조측급수관(31)을 개방시키면서 림측급수관(32)을 폐쇄시키도록 회전하여 필밸브(30)의 내부로 이동되는 세척수가 수조측급수관(31)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세척수제어부(300)가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압조절부(100)는, 상기 플렉시블연결관(110)의 내부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이동시키는 지지몸체(121)의 하단부에 상기 플렉시블연결관(110)과 동일 선상으로 결합되도록 수평으로 결합리브(122)가 돌출되고, 상기 결합리브(122)의 내부로 이동하는 세척수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결합리브(122)보다 작은 직경으로 지지몸체(121)의 상면에 이동공(123)이 관통되며, 상기 지지몸체(121)의 상면에 지지돌기(124)가 대향하게 돌출되고 상기 지지몸체(12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지지몸체(121)의 외주면에 지지리브(125)가 돌출되는 지지부재(12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리브(125)의 단부에 밀착되어 플렉시블연결관(110)의 내부로 이동하는 세척수의 수압에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130)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130)를 탄력있게 지지하면서 세척수가 이동하지 않을 때는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켜 주는 탄성부재(140)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140)의 이동을 안내하고, 세척수를 이동시키도록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가이드리브(151)가 돌출되며, 상기 이동부재(130)의 이동에 따라 세척수가 이동할 수 있는 통공(152)이 중앙에 관통되는 지지캡(150)이 구비된다.
상기 세척수공급수단(200)은, 상기 수압조절부(100)의 플렉시블연결관(110) 내부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이동공(123)을 통과하면서 증가하는 유속에 의해 수조(20)에 저장된 세척수를 흡수하여 변기본체(10)의 림측(11)으로 배수시키는 세척수 안내부(210)가 구비되고, 상기 세척수안내부(210)의 내부로 이동하는 세척수의 이동을 제어하며, 수조(20)의 내부에 저장되는 세척수와 동일 선상을 유지하도록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부(220)가 구비되며, 상기 세척수안내부(210)를 변기본체(10)의 림측(1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시켜 지지하는 지지부(230)가 구비된다.
상기 세척수안내부(210)는, 상기 수압조절부(100)이 이동공(123)을 통과하는 세척수가 변기본체(10)의 림측(11)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되고, 상기 림측(11)으로 세척수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단부가 만곡된 몸체(211)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211)의 하단부에 지지부재(120)의 지지돌기(124)가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이동공(123)으로 통과하는 세척수의 유속에 의해 수조(20)에 저장된 세척수를 흡입할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관통되는 세척수유입공(212)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211)의 상단부 만곡된 부분에 몸체(211)의 내부와 연통되게 공기유입부(220)를 안착시키도록 다단으로 관통되는 안착공간(213)이 구비되고, 상기 안착공간(213)의 일측에 변기본체(10)의 세척공간(13)에 세척수를 보충하도록 필밸브(30)의 수조측급수관(31)에 연결된 세척수보충관(215)이 결합되는 연결구(214)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211)의 만곡된 하단부에 내측으로 장착홈(216)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부(220)는, 상기 세척수안내부(210)의 안착공간(213) 내부에 안착되어 세척수안내부(210)로 이동하는 세척수의 수압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다단으로 관통된 안착공간(213)을 개폐시키는 차단판(221a)이 형성되고, 이 차단판(221a)의 상부에 가이드돌기(221b)가 돌출된 차단부재(221)가 구비되며, 상기 차단부재(221)의 가이드돌기(221b)가 돌출되도록 수용공(222a)이 수용하면서 차 단부재(22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안착공간(213)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상기 수용공(222a)의 둘레에 안착공간(213)의 상.하부로 이동하는 차단부재(221)에 의해 개폐되면서 세척수안내부(210)의 몸체(211) 내.외부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공기유입공(222b)이 관통되는 덮개(222)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230)는, 상기 변기본체(10)의 림측(11)에 내부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몸체(231a)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231a)의 일측단부에 대향하게 돌출되어 림측(11)의 내측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기(231b)가 돌출되며, 상기 몸체(231a)의 타측단부에 형성되는 나사산(231c)의 단부에 걸림홈(231d)이 형성되는 걸림부재(231)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재(231)가 결합된 림측(11)으로 수조(20)에 저장된 세척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몸체(231a)의 타측단부에 결합되는 패킹(232)이 구비되며, 상기 패킹(232)을 밀착하도록 몸체(231a)의 타측단부에서 결합되어 고정너트(234)를 안내하는 와샤(233)가 구비되고, 상기 패킹(232)과 와샤(233)를 가압하도록 나사산(231c)에 체결되어 걸림부재(231)를 림측(11)에 고정시키는 고정너트(234)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재(231)의 결합홈(231d)에 결합되어 세척수안내부(210)의 장착홈(216)을 밀폐시키는 오링(235)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세척수제어부(300)는, 상기 개폐변(52)과 결합되어 동일하게 회전하는 방향전환레버(50)의 제1회전축(54)을 제2회전축(311)이 수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회전축(311)의 외주면에 개폐레버(41)를 상부로 이동시키도록 제1가압돌기(312)가 돌출되며, 상기 제1가압돌기(312)를 중심으로 제2회전축(311)의 외주면 일측에 작동대(73)의 가압돌기(73a)가 가압하는 가압편(313)이 돌 출되고, 이 가압편(313)의 타측에 제2회전축(311)을 일정 방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무게중심편(314)이 돌출되는 세척수제어레버(310)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레버(41)의 측면에 지지축(321)이 형성되어 돌출되는 지지편(320)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편(320)의 지지축(32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2회전축(31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가압돌기(312)가 가압할 경우는 개폐레버(41)를 상부로 밀어 올리며, 상기 제2회전축(311)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가압돌기(312)가 가압할 경우는 내측으로 회전하여 개폐레버(41)를 상부로 밀어 올리지 않는 안내구(330)가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필밸브(30)의 상부에 개폐레버(41)와 일체로 형성된 지지편(320)의 지지축(321)에 안내구(330)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후, 방향전환레버(50)의 제1회전축(54)에 세척수제어레버(310)의 제2회전축(311)을 결합한 상태에서 개폐변(52)의 축(52')에 제1회전축(54)을 결합하여 스크류(S)로 고정시켜 방향전환레버(50)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필밸브(30)를 수조(20)의 내측에 장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걸림부재(231)의 몸체(231a)를 변기본체(10)의 림측(11)에 비스듬히 밀착하여 일측의 걸림돌기(231b)가 걸리도록 한 후, 상기 몸체(231a)를 회전시켜 수평이 되도록 하면 타측의 걸림돌기(231b)가 림측(11)의 내측에 걸리면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걸림부재(231)의 몸체(231a)가 림측(11)에 결합되면, 몸체 (231a)의 타측에 패킹(232)을 결합하여 림측(11)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또 와샤(233)를 몸체(231a)의 타측에서 결합하여 패킹(232)에 밀착시킨 후, 고정너트(234)를 나사산(231c)에 체결하여 걸림부재(231)를 림측(11)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나사산(231c)에 체결되는 고정너트(234)는, 와샤(233)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하므로 나사산(231c)에 용이하게 체결됨과 동시에 림측(11)에 패킹(233)이 밀착되도록 고정너트(234)를 체결하였기 때문에 걸림부재(231)의 몸체(231a) 외주면으로 세척수가 누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231)의 결합홈(231d)에 오링(235)를 결합한 후, 세척수안내부(210)의 장착홈(216)에 결합하면, 상기 오링(235)이 장착홈(216)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세척수안내부(210)의 내부로 이동하는 세척수의 누수 또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안내부(210)의 몸체(211) 상단부에 형성된 만곡된 부분의 안착공간(213)에 차단부재(221)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덮개(222)를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키므로 차단부재(221)의 가이드돌기(221b)가 수용공(222a)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안착공간(213)에 밀착하면, 상기 덮개(222)를 안착공간(213)의 외주면에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한편, 가이드리브(151)가 돌출된 지지캡(150)의 내부에 탄성부재(140)의 내주면이 가이드리브(151)에 밀착되도록 장착하고, 상기 탄성부재(140)의 에 이동부재(13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지캡(150)을 지지부재(120)의 지지리브(125) 에 결합하면 된다.
상기 지지캡(150)이 결합된 지지부재(120)를 세척수안내부(210)의 몸체(211) 저면에서 상부로 이동시켜 지지부재(120)의 지지돌기(124)가 세척수유입공(212)에 걸리도록 결합하면 상기 지지부재(120)는 세척수안내부(210)의 몸체(211) 저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지지부재(120)의 결합리브(122)에 필밸브(30)의 림측급수관(32)에 일측이 결합된 플렉시블연결관(110)의 타측을 결합하고, 상기 필밸브(30)의 수조측급수관(31)에는 세척수안내부(210)의 연결구(214)에 결합된 세척수보충관(215)을 결합하면 세척수공급수단(200)의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231)의 몸체(231a)에 결합된 세척수안내부(210)가 수조(20) 내부의 높이에 따라 지지부(230)에 경사지게 장착할 수도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결합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가 필밸브(30)의 급수변(33)의 경유하고, 수조측급수관(31)을 통해 수조(20)의 내부에 저장되며, 상기 수조(20)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부구(71)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세척수가 만수위가 되면, 작동대(73)의 가압돌기(73a)가 힌지(41a)를 중심으로 스토퍼(42)를 상부로 이동시켜 개폐레버(41)가 급수변(33)을 폐쇄시키면서 세척수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용변 후, 용변이 위치한 변기본체(10)의 세척공간(13)을 세척하기 위해 수조(20)의 작동레버(21)를 가압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레버(21)에 당김끈으로 연결된 후레쉬밸브(22)가 오버플로우어관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상부로 회전하여 수조(20)의 배수관(23)을 개방시켜 변기본체(10)의 세척공간(13)으로 세척수를 배수시킴과 동시에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가 필밸브(30)의 림측급수관(32)으로 공급된다.
상기 필밸브(30)의 내부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방향전환레버(50)의 개폐변(52)이 수조측급수관(31)을 차단시킨 상태이기 때문에 림측급수관(32)으로만 공급되며, 상기 림측급수관(32)으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플렉시블연결관(110)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플렉시블연결관(110)의 내부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압이 적정수압(1.5∼2.5 ㎏/㎠) 이상일 경우(여기서 적정수압을 수치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작동과정에 의한 실시예일 뿐임을 밝혀둔다.)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연결관(110)을 통해 결합리브(122)의 내부로 공급된 세척수는 유입되는 양만큼 배출해야 되므로 세척수의 일부는 이동공(123)을 통과함과 동시에 일부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지지캡(150)의 내부에 위치한 이동부재(130)를 가압하면서 지지캡(150)의 내주면에 돌출된 가이드리브(151)와 통공(152)을 통해 지지캡(15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세척수의 수압으로 가압되는 아동부재(130)가 탄성부재(140)를 가압하면서 지지캡(150)의 내부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부재(130)의 이동에 따라 지지캡(150)의 탄성부재(140)에 위치해 있는 세척수는 통공(152)을 통해 수조(20)의 내부로 방출되면서 플렉시블연결관(110)의 내부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연결관(110)의 내부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압이 적정수압(1.5∼2.5 ㎏/㎠) 이하일 경우는 탄성부재(140)가 지지하고 있는 이동부재(130)를 이동시키지 못한 상태에서 유입되는 세척수의 전량이 이동공(123)을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압조절부(100)에 의해 수압이 일정하게 공급되는 세척수가 결합리브(12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이동공(123)을 빠르게 통과하면서 세척수의 유속이 증대되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의 증대된 유속으로 세척수안내부(210)의 세척수유입공(212) 주변 압력이 높아지고, 상기 세척수안유입공(212)보다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수조(20)에 저장된 세척수를 세척수유입공(212)을 통해 순간적으로 흡수하면서 많은 량의 세척수를 세척수안내부(210)의 몸체(211) 내부로 이동시킨다.
또한,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11)의 내부로 이동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공기유입부(220)의 가이드돌기(221b)가 수용공(222a)을 따라 상부로 이동함과 아울러 차단부재(221)의 차단판(221a)이 덮개(222)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공기유입공(222b)을 밀폐시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서 외부의 간섭없이 세척수를 원활하게 공급함과 동시에 세척수안내부(210)의 몸체(211)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높은 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세척수안내부(210)의 몸체(211) 내부로 이동되는 세척수가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231)를 경유하여 변기본체(10)의 림측(11)으로 배 수됨과 동시에 세척공간(13)의 내면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는 세척수가 세척공간(13)에 위치해 있는 용변을 세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70) 부구(71)의 담수공간(71d)에 저장된 세척수가 세척수배출공(71e)으로 배수되어 작동부재(72)의 부력이 소멸되지 않을 때까지 림측급수관(32)으로 계속 공급되고,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20)에 저장된 세척수(수조에 만수된 상태를 100%로 기준)의 약 20~30%가 림측으로 배수되어 수조(20)에 저장된 세척수의 수위가 낮아지면, 상기 작동부재(72)의 부력이 소멸되면서 회전공(71c)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걸림돌기(72a)가 걸림턱(62b)에서 이탈하면서 부구(71)가 하강함과 아울러 작동대(73)의 가압돌기(73a)가 세척수제어레버(310)의 가압편(313)을 가압하여 제2회전축(31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세척수제어레버(310)의 제2회전축(311)에 돌출된 제1가압돌기(312)가 안내구(330)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 안내구(330)는 지지축(321)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지지편(320)에 밀착되기 때문에 더 이상 회전하지 않음으로 제1가압돌기(312)의 경사면을 따라 상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개폐부재(41)는 힌지(41a)를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급수변(33)을 가압하여 세척수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세척수의 공급이 차단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구(71)에 담수된 세척수와 자중에 의해 순간적으로 하강하면서 작동대(73)의 가압돌기(73a)가 세척수제어레버(310)의 가압편(313)과 방향전환레버(50)의 가압홈(51)을 강제로 동시에 가압함과 아울러 방향전환레버(50)의 개폐변(52)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수조측급수관(31)을 개방시키면서 림측급수관(32)을 폐쇄시켜 수조측급수관(31)으로 세척수를 공급하고, 수조(20)에 저장된 약 70~80%의 세척수가 변기본체(10)의 세척공간(13)으로 공급되면서 세척공간(13)에 잔류해 있는 용변을 세척하여 정화조로 배출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의 과정으로 변기본체(10)의 세척공간(13)에 위치한 용변의 세척을 완료하면, 상기 수조측급수관(31)으로 이동되는 세척수가 수조(20)의 내부에 저장되고, 수조(20)에 저장되면서 수위가 상승하는 세척수가 하부몸체(71b)의 세척수배출공(71e)으로 유입되어 담수공간(71d)에 저장됨과 동시에 담수공간(71d)에 내부에서 수위가 상승하는 세척수에 의해 부력이 발생하고, 이 부력으로 작동부재(72)는 회전공(71c)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걸림돌기(72a)가 걸림턱(62b)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도 수조(20)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수위가 계속 상승하면, 작동부재(72)에서 발생한 부력으로 걸림돌기(72a)가 안내부재(62)의 걸림턱(62b)에 걸리면서 부구(71)가 상부로 이동하여 안내부재(62)의 단부가 안내리브(61)의 슬라이드홈(61a) 상단에 밀착함과 동시에 상승하는 세척수의 수위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72)와 부구(71)의 상부몸체(71a)에서 생성되는 부력으로 부구(71)만 다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부구(71)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대(73)의 가압돌기(73a)가 세척수제어레버(310)의 가압편(313)과 방향전환레버(50)의 가압홈(51)에서 이탈함과 동시에 방향전환레버(50)의 자중에 의해 제1회전축(54)을 중심으로 수조측급수관(31)을 폐쇄시키도록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세척수제어레버(310)는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중심편(314)의 안내에 의해 제2회전축(311)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가압돌기(312)가 가압하는 안내구(330)는 지지편(320)의 지지축(32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세척수제어레버(31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으며, 상기 세척수제어레버(310)가 회전하여 제1가압돌기(312)가 안내구(330)를 이탈하며, 상기 안내구(330)는 자중에 의해 원래의 위치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폐레버(41)가 급수변(33)을 폐쇄시키기 전까지 세척수가 공급되면, 세척수보충관(215)을 통해 변기본체(10)의 세척공간(13)으로 배수되어 세척공간(13)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잔수를 보충하게 되고, 상기 수조(20)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면,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대(73)의 가압돌기(73a)가 급수제어부(40)의 스토퍼(42)를 밀어 올림과 동시에 힌지(41a)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급수변(33)을 폐쇄시켜 세척수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기유입부(220)의 차단부재(221)는 자중에 의해 가이드돌기(221b)가 수용공(222a)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서 안착공간(213)의 내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공기유입공(222b)을 개방시키게 되고, 상기 공기유입공(222b)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세척수안내부(210)의 내부압력이 대기압과 동일해지므로 불필요 하게 세척수가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며, 만수되는 세척수의 위치는 세척수안내부(210)의 만곡된 부분과 동일 선상을 이루거나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원활하게 공급함과 아울러 림측급수관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유속으로 높아진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으로 수조에 저장된 세척수를 순간적으로 유입하여 림측으로 공급하고, 수조에 저장된 세척수의 일정량이 림측으로 공급되어 낮아지는 수위에 따라 부구가 하강하면서 필밸브의 출구를 순간적으로 폐쇄시키면서 급수전환부의 개폐변이 용이하게 수조측급수관을 개방시키도록 회전하여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작동레버(21)의 작동으로 수도관을 경유하여 변기본체(10)의 림측(11)으로 세척수의 수압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필밸브(30)의 림측급수관(32)에 결합된 플렉시블연결관(110)에 장착되는 수압조절부(100)가 구성되고, 상기 수압조절부(100)의 플렉시블연결관(110) 내부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이동공(123)을 통과하면서 증가하는 유속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차로 수조(20)에 저장된 세척수를 순간적으로 흡수하여 많은 량의 세척수를 변기본체(10)의 림측(11)으로 배수시키는 세척수안내부(210)가 구비되고, 상기 세척수안내부(210)의 내부로 이동하는 세척수의 이동을 제어하며, 수조(20)의 내부에 저장되는 세척수와 동일 선상을 유지하도록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부(220)가 구비되며, 상기 세척수안내부(210)를 변기본체(10)의 림측(1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시켜 지지하는 지지부(230)가 구비된 세척수공급수단(200)이 구성되고, 상기 세척수공급수단(100)을 통해 변기본체(10)의 림측(11)으로 세척수가 배수되어 수조(20)에 저장된 세척수의 수위가 하강하면,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하강하는 부구(71)의 가압으로 개폐변(52)과 동일하게 회전하는 방향전환레버(50)의 제1회전축(54)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개폐레버(41)를 상부로 밀어 필밸브(30)의 급수변(33)을 순간적으로 폐쇄시켜 세척수의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방향전환레버(50)의 개폐변(52)이 수조측급수관(31)을 개방시키면서 림측급수관(32)을 폐쇄시키도록 회전하여 필밸브(30)의 내부로 이동되는 세척수가 수조측급수관(31)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세척수제어부(300)가 구성되는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제어부(300)는,
    상기 개폐변(52)과 결합되어 동일하게 회전하는 방향전환레버(50)의 제1회전축(54)을 제2회전축(311)이 수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회전축(311)의 외주면에 개폐레버(41)를 상부로 이동시키도록 제1가압돌기(312)가 돌출되며, 상기 제1가압돌기(312)를 중심으로 제2회전축(311)의 외주면 일측에 작동대(73)의 가압돌기(73a)가 가압하는 가압편(313)이 돌출되고, 이 가압편(313)의 타측에 제2회전축(311)을 일정 방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무게중심편(314)이 돌출되는 세척수제어레버(310)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레버(41)의 측면에 지지축(321)이 형성되어 돌출되는 지지편(320)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편(320)의 지지축(32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2회전축(31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가압돌기(312)가 가압할 경우는 개폐레버(41)를 상부로 밀어 올리며, 상기 제2회전축(311)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가압돌기(312)가 가압할 경우는 내측으로 회전하여 개폐레버(41)를 상부로 밀어 올리지 않는 안내구(3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8. 삭제
KR1020040110029A 2004-12-22 2004-12-22 양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KR100736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029A KR100736871B1 (ko) 2004-12-22 2004-12-22 양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029A KR100736871B1 (ko) 2004-12-22 2004-12-22 양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347U Division KR200378340Y1 (ko) 2004-12-22 2004-12-22 양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180A KR20060072180A (ko) 2006-06-28
KR100736871B1 true KR100736871B1 (ko) 2007-07-10

Family

ID=37165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0029A KR100736871B1 (ko) 2004-12-22 2004-12-22 양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8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022Y1 (ko) * 2008-01-16 2009-12-21 주식회사 천일피앤씨 양변기용 세척수 공급장치
KR101178024B1 (ko) 2012-01-17 2012-08-29 김명선 볼탭용 플로트로 작동되는 혼합 분사식 급수장치 및 이를 탑재한 변기
KR101350380B1 (ko) * 2013-08-19 2014-01-13 계림요업주식회사 복수 개의 플렉시블 패킹에 의한 변기의 탱크저장수 역류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920B1 (ko) * 2005-09-22 2007-01-04 신원테크 (주)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
KR100764836B1 (ko) * 2006-09-04 2007-10-09 이재통 수압을 이용한 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
KR101143269B1 (ko) * 2010-04-26 2012-05-11 이수인 (주)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
KR102034015B1 (ko) * 2019-04-19 2019-10-18 이수인 (주) 비전기식 절수형 양변기용 세척수 공급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3610A (ko) * 2004-09-20 2005-05-11 이수인 (주) 정량의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는 분사펌프 및 이를 이용한림측 급수장치를 갖는 양변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3610A (ko) * 2004-09-20 2005-05-11 이수인 (주) 정량의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는 분사펌프 및 이를 이용한림측 급수장치를 갖는 양변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022Y1 (ko) * 2008-01-16 2009-12-21 주식회사 천일피앤씨 양변기용 세척수 공급장치
KR101178024B1 (ko) 2012-01-17 2012-08-29 김명선 볼탭용 플로트로 작동되는 혼합 분사식 급수장치 및 이를 탑재한 변기
KR101350380B1 (ko) * 2013-08-19 2014-01-13 계림요업주식회사 복수 개의 플렉시블 패킹에 의한 변기의 탱크저장수 역류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180A (ko) 200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6679B2 (ja) 洋風便器のフィルバルブの逆流止め装置
KR100764836B1 (ko) 수압을 이용한 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
KR100736871B1 (ko) 양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KR100901186B1 (ko)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KR200202253Y1 (ko) 절수용 변기
JP2006500496A (ja) 節水型洋風便器
KR101143269B1 (ko)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
JP5435606B2 (ja) 洋風便器のフィルバルブのリム側給水管物量調節弁
KR200378340Y1 (ko) 양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KR100408076B1 (ko) 절수용 변기
KR101072565B1 (ko)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
KR100758827B1 (ko) 양변기의 세척수 급수제어장치
KR101990484B1 (ko)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KR200427510Y1 (ko) 양변기의 세척수 2단 배수장치
KR101020102B1 (ko)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101010343B1 (ko) 양변기
KR100705646B1 (ko) 절수기능이 구비된 변기/비데의 자동 물내림 장치 및 방법
JP2004225431A (ja) 水洗便器装置
KR101282271B1 (ko) 보올부의 보충수 공급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보충수 공급호스 고정장치
KR200190330Y1 (ko) 양변기의세척수제어장치
KR200431122Y1 (ko) 양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KR200347510Y1 (ko)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KR102055170B1 (ko)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KR200229713Y1 (ko) 수세식 변기의 내장형 절수장치
KR101058551B1 (ko) 양변기의 세척수 급수 차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