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3920B1 -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3920B1
KR100663920B1 KR1020050088127A KR20050088127A KR100663920B1 KR 100663920 B1 KR100663920 B1 KR 100663920B1 KR 1020050088127 A KR1020050088127 A KR 1020050088127A KR 20050088127 A KR20050088127 A KR 20050088127A KR 100663920 B1 KR100663920 B1 KR 100663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oilet
washing
water supply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8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행철
Original Assignee
신원테크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원테크 (주) filed Critical 신원테크 (주)
Priority to KR1020050088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24Low-level flushing systems
    • E03D1/28Bowl integral with the flushing cister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8Bowls with means producing a flushing water swir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조가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있는 양변기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양변기 상단의 전둘레에 걸쳐서 형성된 수로(이하, "림(Rim)수로"라 한다.)로 공급되는 물을 급수와 함께 수조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의 일부를 공급되게 함에 의해 많은 양의 물이 림 수로로 공급되게 하여 세척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수조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를 사용함에 의해 급수의 공급을 줄여 절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변기, 수조, 세척, 임펠러, 수압

Description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water supply device for cleansing of toilet stool}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조 일체형 양변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수조 일체형 양변기의 수조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수조 일체형 양변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조 일체형 양변기의 수조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조 일체형 양변기의 수조 내부에 구비되는 급수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조 일체형 양변기의 수조 내부에 구비되는 급수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양변기 12 - 수조
20 - 밸브체 110 - 급수이동관
112 - 이동로 120 - 세척수 혼합 공급수단
122 - 원통체 124 - 임펠러
130 - 개폐밸브 132 - 힌지
본 발명은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조와 양변기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양변기를 세척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한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의 수조는 일정량의 세척수를 저장하여 양변기에 담긴 용변을 정화조로 배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며, 이러한 수조에는 수도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수조 내에 세척수가 항상 일정량 유지되도록 하는 급수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급수장치는, 상기 수조 내에 저장된 세척수를 사용하여 변기를 세척하였을 경우, 그 수조 내로 일정량의 세척수가 자동으로 채워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급수장치의 내부에는 부구의 부력을 이용하여 그 수위에 따라 개폐되어 세척수의 유입 및 차단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양변기는 수조가 양변기와 분리되어 있는 투피스(two-piece)양변기와, 수조가 양변기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원피스(one-piece)양변기로 구분되며, 최근에는 주택의 고급화로 인해 디자인 측면에서 고급스러운 원피스양변기인 수조 일체형 양변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조 일체형 양변기를 도 1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조 일체형 양변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수조 일체형 양변기의 수조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수조 일체형 양변기의 세척용 급수장치는 수조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여 양변기를 세정함과 동시에 상기 급수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급수를 직접 림 수로로 보내 세척하도록 한 구조이다.
이러한 수조 일체형 양변기에서 용변을 세척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레버(14)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조작레버(14)에 연결된 물마개(16)가 상부로 회전하여 수조(12)의 수로(22)를 개방하게 되고, 이 수로(22)로 배수되는 세척수는 양변기(10)의 하단에 구비되는 분사구(24)로 배출되어 용변을 세척함과 동시에 급수장치를 통해 양변기(1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림 수로(26)로 세척수가 공급되어 림 배출공(28)으로 배수되면서 양변기(10)의 내부를 세척하여 양변기(10)의 내부에 잔류해 있는 용변을 세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조 내의 세척수가 설정된 양만큼 수로(22)를 통해 빠져나가면 물마개(16)는 닫혀 수로(22)를 차단하고 급수장치를 통해 다시 수조 내부에는 세척수를 채우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수조(12) 내부에서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조작하는 부구(18)에 의해 작동된다.
그러나 종래의 수조 일체형 양변기는 상기 수조의 정상 수위가 림 수로 보다 낮을 경우 양변기는 림 세척력이 대단히 저조하게 된다. 이는 수조에 저장된 세척수를 높은 위치의 림 수로로 보낼 수 없기 때문에 급수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급수를 직접 림으로 보내 세척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상기 림 수로로 보내지는 급수는 그 유량이 매우 적기 때문에 양변기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급수장치를 통해 림 수로로 공급되는 급수와 함께 수로에 채워져 있는 세척수의 일부를 림 수로로 함께 공급되게 하여 양변기의 세척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절수가 가능하도록 한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변기의 수조 내부로 일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게 외부의 수도배관과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수조 내의 수위에 따라 개폐되게 작동하는 밸브체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를 통해 수조 내부로 공급된 물을 양변기의 하단에 구비된 분사구와 양변기의 상단에 구비된 림 수로로 각각 이동시켜 상기 양변기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게 한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 어느 일단이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림 수로에 결합되어 상기 밸브체를 통해 공급되는 급수를 상기 림 수로로 공급할 수 있는 이동로를 제공하는 급수이동관; 상기 이동로와 연락되게 상기 급수이동관에 일체로 설치됨과 아울러 일측면이 개구된 내부 공간을 갖는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의 내부 공간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로를 통해 공급되는 급수의 수압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수로에 채워진 세척수를 상기 원통체의 개구된 일측면을 통해 상기 급수와 함께 이동로로 공급되게 하는 임펠러(impeller)와 상기 임펠러를 원통체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상기 원통체의 개구된 일측면으로 설치된 커버링으로 이루어진 세척수 혼합 공급수단; 및 상기 원통체의 후단부에 위치되게 상기 급수이동관의 상부에 관통구멍을 형 성하고 상기 관통구멍에 인접되게 일측단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수조에 채워지는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회전되면서 상기 이동로의 중간을 단속(斷續)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수이동관의 선단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급수의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게 상기 이동로의 내경 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밸브를 수용할 수 있게 하부만이 개구되는 캡을 구비하여 상기 급수이동관의 관통구멍의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함에 의해 상기 수조 내부에서 상기 개폐밸브가 작동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캡의 표면에는 내외부를 연락되게 하는 구멍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수조 일체형 양변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조 일체형 양변기의 수조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조 일체형 양변기의 수조 내부에 구비되는 급수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는, 상기 양변기양변기(10)의 수조(12) 내부로 일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게 외부의 수도배관(21)과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수조(12) 내의 수위에 따라 개폐되게 작동하는 밸브체(20)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20)를 통해 수조(12) 내부로 공급된 물을 양변기(10) 의 하단에 구비된 분사구(24)와 양변기(10)의 상단에 구비된 림 수로(26)로 각각 이동시켜 상기 양변기(10)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러한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에 대한 구조는 통상의 구조로서 여기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은 급수이동관(1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급수이동관(110)은 상기 밸브체(20)에 어느 일단이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양변기(10)의 상단에 구비되는 림 수로(26)에 결합되어 상기 밸브체(20)를 통해 공급되는 급수를 상기 림 수로(26)로 직접 공급할 수 있는 이동로(112)를 제공한다. 이러한 급수이동관(110)을 통해 밸브체(20)로부터 공급되는 급수는 상기 수조(12) 내부에 채워진 세척수를 양변기(10)의 하단에 구비되는 분사구(24)로 공급할 때에만 공급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조는 부구(18)에 의해 밸브체(20)가 작동하도록 된 일반적인 구조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는 세척수 혼합 공급수단(12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세척수 혼합 공급수단(120)은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부분으로, 상기 급수이동관(110)을 통해 공급되는 급수의 수압에 의해 수조(12) 내부에 채워져 있는 세척수의 일부를 함께 공급되게 함에 의해 보다 많은 양의 물을 림 수로(26)로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세척수 혼합 공급수단(120)은 상기 급수이동관(110)를 통해 급수가 공급되는 이동로(112)와 연락되게 상기 급수이동관(110)에 일체로 설치됨과 아울러 일측면이 개구된 내부 공간을 갖는 원통체(12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원통체(122)의 내부 공간에 임펠러(impeller)(124)가 회전되게 설치되 어, 상기 이동로(112)를 통해 공급되는 급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임펠러(124)가 회전되면서 상기 수조(12)에 채워진 세척수의 일부를 상기 원통체(122)의 개구된 일측면을 통해 상기 급수와 함께 이동로(112)로 공급되게 하여 보다 많은 양의 물이 림 수로(26)로 공급되게 한다.
이러한 임펠러(124)가 상기 원통체(122)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상기 임펠러(124)의 외측면으로 회전축(125)을 구비하고 그 회전축(125)을 고정링(125a)으로 결합함에 의해 건다 임펠러(124)가 분리되지 않게 함과 아울러 상기 원통체(122)의 개구된 일측면으로도 커버링(126)을 설치하여 임펠러(124)가 분리되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임펠러(124)는 공급되는 급수에 의해 회전될 수 있게 임펠러(124)의 하측 일부위 만이 상기 이동로(112) 상에 위치되게 하여 공급되는 급수에 의해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임펠러(124)의 설치로 인해 밸브체(20)를 통해 공급되는 급수의 수압으로 상기 임펠러(124)가 회전되게 되고, 그 회전에 의해 원통체(122)의 일측면이 개구된 부분을 통해 수조(12) 내부에 채워져 있는 세척수의 일부가 빨려 들어와 급수이동관(110)을 통해 함께 림 수로(26)로 공급되어 양변기의 세척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임펠러(124)를 회전시키면서 공급되는 급수의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급수이동관(110)의 선단에는 상기 이동로(112)의 내경 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노즐(140)을 더 설치한다. 이러한 노즐(140)의 설치로 인해 공급되는 급수는 빠른 유속을 갖게 되어 상기 임펠러(124)를 더욱 확실하게 회전시킬 수 있어 보다 많은 양의 세척수가 상기 이동로(112)를 통해 림 수로(26)로 공급되게 할 수 있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은 개폐밸브(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개폐밸브(130)는 상기 수조(12)의 내부에 채워진 세척수가 모두 배출되어 양변기의 세척을 완료한 후 다시 수조 내부에 세척수를 채울 때 상기 이동로(112)를 차단하여 림 수로(26)로 물이 공급되지 않게 이동로(112)를 단속(斷續)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개폐밸브(130)는 양변기의 세척시에는 림 수로(26)로 물이 공급될 수 있게 개방되고, 또 양변기의 세척이 완료되면 상기 이동로(112)를 폐쇄하여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수조(12)의 내부에 채워지는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작동할 수 있는 부력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개폐밸브(130)는 원통체(122)의 후단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급수이동관(110)의 상부에 관통구멍(114)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멍(114)에 인접되게 상기 개폐밸브(130)를 설치하여 상기 수조에 채워지는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회전되게 일측단이 힌지(132)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수조(12) 내부에 세척수가 채워져 있으면 상기 개폐밸브(130)는 부력에 의해 상부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고 양변기를 세척하기 위해 수조(12)의 내부에 채워진 세척수가 완전히 배출되면 그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하부로 회전되어 이동로(112)를 막게 된다.
이때, 상기 세척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개폐밸브(130)가 상부로 회전되어 이동로(112)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수도배관(21)과 연결된 밸브체(20)에 의해 수조 내부로 공급되는 물이 완전 차단됨에 의해 상기 개폐밸브(130)가 열려 있어도 림 수로(26)로 물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폐밸브(130)를 수용할 수 있게 하부만이 개구되는 캡(134)을 구비하여 상기 급수이동관(110)에 구비되는 관통구멍(114)의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함에 의해 상기 수조(12) 내부에서 상기 개폐밸브(130)가 작동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캡(134)의 표면에는 내외부를 연락되게 하는 구멍(136)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캡(134)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급수이동관(110)에는 걸림돌기(134a)를 형성하고 이 걸림돌기(134a)에 결합되는 걸림공(134b)을 상기 캡(134)에 형성함에 의해 상기 캡(134)을 결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캡(134)은 개폐밸브(130)의 작동을 정확히 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수조 내부에 별도의 공간을 구분하여 그 공간에 상기 개폐밸브(130)를 위치시켜 작동되게 함에 의해 상기 개폐밸브(130)에 가해는 부력을 제어하여 보다 효과적인 개폐동작이 이루어지게 한다. 즉, 상기 캡(134)을 설치하지 않게 되면 상기 급수이동관(110)을 통해 공급되는 급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개폐밸브(130)가 빨리 폐쇄되게 현상이 종종 발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상기 개폐밸브(130)가 미세한 수압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게 한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조 일체형 양변기의 수조 내부에 구비되는 급수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양변기를 세척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레버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조작레버에 연결된 물마개가 상부로 회전하여 수조(12)의 수로(22)를 개방하게 되고, 이 수로(22)로 배수되는 세척수는 양변기(10)의 하단에 구비되는 분사구(24)로 배출되어 용변을 세척함과 동시에 밸브체(20)를 통해 급수이동관(110)으로 급수가 공급되고, 그 공급되는 급수는 양변기(1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림 수로(26)로 공급되어 림 배출공(28)으로 배수되면서 양변기(10)의 내부를 세척하여 양변기(10)의 내부에 잔류해 있는 용변을 세척하게 된다.(도 6a참조)
이때, 상기 밸브체(20)를 통해 급수이동관(110)으로 공급되는 급수의 수압에 의해 임펠러(124)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임펠러(12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임펠러(124)가 설치되는 원통체(122)의 개구된 일측면을 통해 수조(12)에 채워져 있는 세척수가 이동로(112)로 빨려 들어가 림 수로(26)로 함께 공급되어 양변기(10)를 세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밸브체(20)를 통해 급수이동관(110)으로 공급되는 급수의 수압이 낮을 경우에도 상기 급수이동관(110)의 선단에 설치된 직경이 작은 노즐(140)을 통과하게 됨에 의해 유속이 증가되어 상기 임펠러(124)를 회전시킬 수 있고 이 회전에 의해 수조(12) 내부에 채워진 세척수의 일부를 림 수로(26)로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밸브체(20)를 통해 공급되는 급수와 수조(12) 내부에 채워져 있는 세척수가 함께 공급됨에 의해 많은 양의 물이 림 수로(26)로 공급되어 양변기의 세척을 용이하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림 수로(26)로 급수와 함께 수조에 채워져 있는 세척수를 함께 공급함에 의해 적은 양의 급수를 공급하면서 많은 량의 세척수를 함께 공급할 수 있게 하여 절수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급수이동관(110)을 통해 급수와 세척수가 함께 림 수로 (26)로 공급될 때 상기 개폐밸브(130)는 수조(12)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세척수의 수위에 의해 상부로 회전되어 있는 상태로 이동로(112)를 개방하고 있어 상기 급수이동관(110)을 통한 급수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상기 수조(12)의 내부에 채워진 세척수가 수로(22)와 림 수로(26)로 배출되면서 수조(12)의 내부에 채워진 세척수의 양이 줄게 되면, 상기 개폐밸브(130)는 이동로(112)를 통해 공급되는 수압과 세척수의 수위에 의해 하부로 회전되어 이동로(112)를 폐쇄하게 됨에 의해 이동로(112)를 통한 급수의 공급을 차단한다.(도 6b참조)
이 상태에서 상기 수조(12) 내의 세척수가 설정된 양만큼 수로(22)를 통해 빠져나가면 물마개(16)는 닫혀 수로(22)를 차단하고 밸브체(20)에 의해 다시 수조(12)의 내부에는 세척수를 채우게 된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림 수로로 공급되는 급수와 함께 수로에 채워져 있는 세척수의 일부를 림 수로로 공급되게 함에 의해 양변기의 세척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적은 양의 급수를 공급하여 림 수로를 세척함에 의해 절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양변기의 수조 내부로 일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게 외부의 수도배관과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수조 내의 수위에 따라 개폐되게 작동하는 밸브체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를 통해 수조 내부로 공급된 물을 양변기의 하단에 구비된 분사구와 양변기의 상단에 구비된 림(Rim) 수로로 각각 이동시켜 상기 양변기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게 한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 어느 일단이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림 수로에 결합되어 상기 밸브체를 통해 공급되는 급수를 상기 림 수로로 공급할 수 있게 이동로를 제공하는 급수이동관;
    상기 급수이동관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이동로와 연락됨과 아울러 일측면이 개구된 내부 공간을 갖는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의 내부 공간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로를 통해 공급되는 급수의 수압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수로에 채워진 세척수를 상기 원통체의 개구된 일측면을 통해 상기 급수와 함께 이동로로 공급되게 하는 임펠러(impeller)와 상기 임펠러를 원통체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상기 원통체의 개구된 일측면으로 설치된 커버링으로 이루어진 세척수 혼합 공급수단; 및
    상기 원통체의 후단부에 위치되게 상기 급수이동관의 상부에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멍에 인접되게 일측단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수조에 채워지는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회전되면서 상기 이동로의 중간을 단속(斷續)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이동관에는 유입되는 급수의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게 상기 이동로의 내경 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노즐을 상기 급수이동관의 선단에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를 수용할 수 있게 하부만이 개구되는 캡을 구비하여 상기 급수이동관의 관통구멍의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함에 의해 상기 수조 내부에서 상기 개폐밸브가 작동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캡의 표면에는 내외부를 연락되게 하는 구멍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
KR1020050088127A 2005-09-22 2005-09-22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 KR100663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127A KR100663920B1 (ko) 2005-09-22 2005-09-22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127A KR100663920B1 (ko) 2005-09-22 2005-09-22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300U Division KR200403907Y1 (ko) 2005-09-22 2005-09-22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3920B1 true KR100663920B1 (ko) 2007-01-04

Family

ID=37866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127A KR100663920B1 (ko) 2005-09-22 2005-09-22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392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901B1 (ko) * 2010-03-25 2012-06-05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의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제어구조
KR101163721B1 (ko) 2011-11-09 2012-07-09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로우탱크 양변기의 림부 급수 전환장치
KR101163722B1 (ko) 2011-11-09 2012-07-09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로우탱크 양변기의 림부 급수 전환장치
KR101261513B1 (ko) 2011-12-15 2013-05-13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로우탱크 양변기의 림부 급수 전환장치
CN103233504A (zh) * 2013-04-19 2013-08-07 高杰 一种新型马桶的桶盖
CN106013361A (zh) * 2016-06-29 2016-10-12 佛山市法恩洁具有限公司 一种带有补水功能的快速排水装置
CN109972718A (zh) * 2019-05-20 2019-07-05 唐山梦牌瓷业有限公司 多流道虹吸式坐便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9311A (ko) * 1999-07-08 2001-02-05 정몽규 버스용 에이브이 시스템
JP2002173971A (ja) 2000-05-15 2002-06-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水洗便器装置
KR20050043610A (ko) * 2004-09-20 2005-05-11 이수인 (주) 정량의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는 분사펌프 및 이를 이용한림측 급수장치를 갖는 양변기
KR20060072180A (ko) * 2004-12-22 2006-06-28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9311A (ko) * 1999-07-08 2001-02-05 정몽규 버스용 에이브이 시스템
JP2002173971A (ja) 2000-05-15 2002-06-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水洗便器装置
KR20050043610A (ko) * 2004-09-20 2005-05-11 이수인 (주) 정량의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는 분사펌프 및 이를 이용한림측 급수장치를 갖는 양변기
KR20060072180A (ko) * 2004-12-22 2006-06-28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901B1 (ko) * 2010-03-25 2012-06-05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의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제어구조
KR101163721B1 (ko) 2011-11-09 2012-07-09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로우탱크 양변기의 림부 급수 전환장치
KR101163722B1 (ko) 2011-11-09 2012-07-09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로우탱크 양변기의 림부 급수 전환장치
KR101261513B1 (ko) 2011-12-15 2013-05-13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로우탱크 양변기의 림부 급수 전환장치
CN103233504A (zh) * 2013-04-19 2013-08-07 高杰 一种新型马桶的桶盖
CN103233504B (zh) * 2013-04-19 2014-08-13 高杰 一种新型马桶的桶盖
CN106013361A (zh) * 2016-06-29 2016-10-12 佛山市法恩洁具有限公司 一种带有补水功能的快速排水装置
CN106013361B (zh) * 2016-06-29 2018-04-03 佛山市法恩洁具有限公司 一种带有补水功能的快速排水装置
CN109972718A (zh) * 2019-05-20 2019-07-05 唐山梦牌瓷业有限公司 多流道虹吸式坐便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920B1 (ko)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
KR200202253Y1 (ko) 절수용 변기
KR100901186B1 (ko)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KR200432070Y1 (ko)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 지지장치
KR101990484B1 (ko)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KR200403907Y1 (ko)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
JP2000001892A (ja) 水洗便器
KR101282271B1 (ko) 보올부의 보충수 공급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보충수 공급호스 고정장치
KR200432084Y1 (ko)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
JP2011064009A (ja) 洗浄水供給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洗浄水タンク
KR200327321Y1 (ko)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JP5585926B2 (ja) 洗浄水供給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洗浄水タンク
JP3482777B2 (ja) 便器の給水構造
KR101942391B1 (ko) 양변기
KR101124613B1 (ko) 절수형 변기
KR100897560B1 (ko) 양변기의 물탱크를 개폐하는 물덮개
JP2013096213A (ja) 補給水供給装置、この補給水供給装置を備えた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この洗浄水タンク装置を備えた水洗大便器
KR100942040B1 (ko) 직입식 양변기의 역류안내배출구조
KR100384388B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200959Y1 (ko) 양변기의 급수장치
KR200176999Y1 (ko) 절수형 양변기
JP2866621B2 (ja) 便器の給水構造
KR200170953Y1 (ko) 수세식변기의 보충수 탱크
KR200237120Y1 (ko) 분사 회전형 개폐식 변기
KR200177904Y1 (ko) 양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