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953Y1 - 수세식변기의 보충수 탱크 - Google Patents

수세식변기의 보충수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953Y1
KR200170953Y1 KR2019980005154U KR19980005154U KR200170953Y1 KR 200170953 Y1 KR200170953 Y1 KR 200170953Y1 KR 2019980005154 U KR2019980005154 U KR 2019980005154U KR 19980005154 U KR19980005154 U KR 19980005154U KR 200170953 Y1 KR200170953 Y1 KR 2001709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hole
valve
repleni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51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9114U (ko
Inventor
김하용
Original Assignee
김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하용 filed Critical 김하용
Priority to KR20199800051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0953Y1/ko
Publication of KR199800191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1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9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9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2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1Shape or selection of material for flushing cisterns
    • E03D1/012Details of shape of cisterns, e.g. for connecting to wall, for supporting or connecting flushing-device actu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충 수 탱크 내에 저장되는 보충 수의 저장량을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보충 수의 사용량을 절약시켜 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보충 수의 개폐가 정확히 이루어져 오 동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수세식변기의 보충 수 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보충 수가 담겨지는 보충 수 탱크에 있어서, 보충수가 입수되는 입수관의 선단에 구성된 수용 실내에서 승, 하강되면서 관통 공을 밀폐시켜 주는 밸브와; 입수관의 직 상부에 위치하는 탱크 내에 갖추어진 구획 벽 하단에 탱크와 연통 될 수 있도록 통 공이 형성된 수용 부와; 상기 수용부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면 투입구를 통해 담겨지는 물의 량에 따라 부력이 조절되면서 밸브를 승, 하강 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부력 체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세식변기의 보충 수 탱크
본 고안은 수세식변기의 보충 수 탱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충 수 탱크 내에 저장되는 보충 수의 저장량을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보충 수의 사용량을 절약시켜 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보충 수의 개폐가 정확히 이루어져 오 동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수세식변기의 보충 수 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세식변기의 보충 수 탱크는 일정량의 물이 담겨진 상태에 있다가 용변 후 탱크 내에 담겨져 있는 물의 수압으로 인해 용변이 깨끗이 쓸려내려 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종래의 보충 수 탱크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크기를 갖고 하단에 물이 입수되는 입수관(2)과 저장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 관(2a)이 형성된 탱크(1)가 구성되고, 상기 탱크의 내부 상단에 축 핀(3a)으로 연결된 회동 편(3) 선단에 공급되는 보충 수의 수위에 따라 부상되는 부 구(4)가 구성되며, 회동편의 후단에는 입수관을 개폐시켜 주는 개폐밸브(5)가 구성되어 있으며, 배출 관의 상면에는 작동레버(6)와 와이어(7)로 연결된 상태에서 개폐가 이루어지는 개폐 판(8)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충 수 탱크는 탱크(1)내에 보충 수가 없을 경우 부 구(4)가 자체의 중량에 의해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작동레버(6)의 후단에 갖추어져 있는 개폐밸브(5)가 입수관(2)으로부터 이 격된 상태이므로 서, 입수관을 통해 보충 수가 탱크 내로 급수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급수되는 보충 수의 수위에 따라 부 구(4)가 부상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의 부 구가 연결된 회동 편(3)의 선단이 축 핀(3a)을 중심으로 상승함에 따라 축 핀을 중심으로 하여 후단이 하강하다가 상기 작동 편의 후단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개폐밸브(5)가 입수관(2)을 차단시켜 주게되면 보충 수의 공급이 차단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 있다가 탱크 내에 저장되어 있는 보충 수를 사용하기 위해 작동레버를 잡아 당겨주게 되면 이의 당겨지는 힘에 의해 와이어(7)로 연결된 개폐 판(8)이 들리면서 배수관(2a)이 열림에 따라 탱크(1)내에 저장되어 있는 보충 수가 배수관을 통해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배수관을 빠져나가는 보충 수의 배수 수압으로 인해 용변이 깨끗이 쓸려 나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탱크(1)내에 저장 되어있던 보충 수가 빠져나가는 수위에 따라 부상되어 있던 부 구가 서서히 하강하게 되므로 서 회동 편(3)의 후단에 갖추어진 상태에서 입수관(2)을 밀폐시켜 주고 있던 개폐밸브(5)가 떨어지므로 인해 입수관(2)으로부터 보충 수가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입수관(2)을 통해 입수되는 보충 수의 량보다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는 보충 수의 량이 상대적으로 많아 탱크(1)내에 저장되어 있던 보충 수의 배수가 완료되면 개폐 판(8)이 배수관(2a)을 밀폐시켜 줌에 따라 이때부터 입수관(2)을 통해 공급되는 보충 수가 탱크(1)내에 저장되는 것이고, 저장되는 보충 수의 수위에 따라 부 구(4)가 부상되다가 일정 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회동 편(3)의 후방에 형성된 개폐밸브가 입수관을 밀폐시켜 주므로 서 보충 수의 급수가 완료되어 탱크 내에 보충 수가 저장된 상태에서 다음 사용을 기다리고 있게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충 수 탱크는 급수되는 보충 수의 수위에 따라 축 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 편의 선단에 연결된 부 구의 부상으로 인해 작동편의 후단에 형성된 개폐밸브가 입수관을 개폐시켜 주도록 하여 보충 수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도록 되어있어 탱크 내에 저장되는 보충 수의 량이 일정 수위로 한정되어 있어 필요 이상으로 보충 수가 사용되는 낭비를 초래하였던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보충 수의 낭비를 최소한으로 줄여주기 위해 사용자가 탱크 내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벽돌이나 물이 담겨진 용기를 투입시켜 주어 벽돌이나 용기의 크기만큼 보충수의 사용을 절약하게 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 목적 및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탱크 내에 저장되는 보충 수의 공급량을 임의로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필요 이상으로 낭비되는 보충 수의 사용량을 절약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는 보충 수가 담겨지는 보충 수 탱크에 있어서, 보충수가 입수되는 입수관의 선단에 구성된 수용 실내에서 승, 하강되면서 관통 공을 밀폐시켜 주는 밸브와; 입수관의 직 상부에 위치하는 탱크 내에 갖추어진 구획 벽 하단에 탱크와 연통 될 수 있도록 통 공이 형성된 수용 부와; 상기 수용부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면 투입구를 통해 담겨지는 물의 량에 따라 부력이 조절되면서 밸브를 승, 하강 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부력 체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 종래 보충 수 탱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 - 본 고안이 적용된 보충 수 탱크의 단면도.
도 3 -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단면도.
도 4 -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단면도.
도 5 - 도4의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탱크 11:입수관 12:배수관
13:구획 벽 30:작동 편 40,41:와이어
50:개폐 판 60:수용 실 61:관통 공
70:밸브 71:밸브몸체 72: 수직 핀
80:수용 부 81:통 공 90:부력 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이 적용된 상태의 구성을 보인 측 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요부 확대단면도로서,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하여 하부 일 측에 보충 수가 공급될 수 있는 입수관(11)이 구성되고, 중앙에 보충 수가 배수될 수 있는 배수관(12)이 구성된 탱크(10)와; 상기 탱크의 상단 일 측에 구성된 고정 편(20)과 축 핀(31)에 의해 중간지점이 연결되어 임의로 회동되는 작동 편(30)과; 배수관(12)을 덮어준 상태에서 일 측이 축 핀(51)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 단은 작동 편의 선단과 연결된 와이어(40)의 당겨지는 힘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 판(50)으로 구성된 수세식변기의 보충 수 탱크에 있어서, 입수관(11)의 선단에 구성된 수용 실(60) 내부에 위치하여 공급되는 보충 수의 수압에 의해 상승되는 밸브(70) 즉, 수용 실(60)내에서 승, 하강될 수 있는 밸브몸체(71)를 구성하고, 상기 밸브몸체의 상면 중앙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수용실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관통 공(61)을 관통된 수직 핀(7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입수관(11)의 직 상부에 위치하는 탱크(10)내에 구획 벽(13)에 의해 소정의 크기를 갖는 하단에 탱크와 연통 될 수 있도록 통 공(81)이 형성된 수용 부(80)를 구성하며, 상기 수용부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면 투입구(91)를 통해 담겨지는 물의 량에 따라 부력이 조절되면서 밸브(70)를 승, 하강 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부력 체(90)로 갖추어진 것이다.
도면중 미 설명 부호 41은 작동 편의 끝단에 연결되어 작동 편을 작동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의 예시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탱크(10)에 저장되는 보충 수의 수위에 맞도록 부력 체(90)내에 물을 담아준 상태에서 상기의 부력 체(90)를 수용 부(80)내에 수용시켜 주게되면 자체의 중량에 의해 부력 체 하단이 입수관(11)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 실(60)의 상면으로 노출된 밸브(70)의 수직 핀(72)을 눌러주므로 인해 밸브몸체(71)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밸브몸체(71)의 상면과 수용 실(60)의 상단이 이 격되면서 입수관(11)을 통해 공급되는 보충 수가 수직 핀(72)이 관통한 관통 공(61)을 통해 수용 부(80)내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상기 수용 부내로 공급된 보충 수는 구획 벽(13)의 하단에 구성된 통 공(81)을 통해 탱크(10)내로 흘러 들어가 탱크내의 수위와 수용 부내의 수위가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보충 수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자체의 중량에 의해 하강하고 있던 부력 체(90)에 부력이 전달되므로 서, 이때부터 부력 체(90)가 서서히 부상되는 것이고, 상기 부력 체의 부상 높이만큼 입수관(11)으로부터 공급되는 보충 수의 공급 수압으로 인해 밸브몸체(71)가 밀려 상승되다가 상기 밸브몸체(71)의 상면이 수용 실(60)의 상면에 면 접촉되면 관통 공(61)이 밀폐됨으로서 보충 수의 공급이 차단되므로 인해 탱크(10)내에 일정량의 보충 수가 저장된 상태에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탱크(10)내에 보충 수가 저장되어 있다가 와이어(41)를 당겨주게 되면 축 핀(31)을 중심으로 하여 작동 편(30)의 선단이 상승하게 되고, 상기 작동 편의 선단이 상승함에 따라 와이어(40)로 연결된 상태에서 배출 관(12)을 밀폐시켜 주고 있는 개폐 판(50)이 축 핀(5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면서 배출 관(12)을 열어주므로 인해 탱크(10)내에 저장되어 있는 보충 수가 배출 관(12)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보충 수가 배출되는 수위만큼 부상되어 있는 부력 체(90)의 부력이 약해져 부상되어 있던 부력 체(90)가 서서히 하강하므로 서, 이때부터 수용 실(60)의 관통 공(61)을 통해 상부로 노출되어 있는 수직 핀(72)을 눌러주어 밸브몸체(71)가 수용 실(60)과 이 격되어 배출 관(12)을 통해 보충수가 배출됨과 아울러, 관통 공(61)을 통해 입수관(11)으로부터 공급되는 보충수가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입수관(11)으로부터 공급되는 보충 수의 량보다 배출 관(12)을 통해 배출되는 보충 수의 량이 상대적으로 많아 배출 관(12)을 통해 탱크(10)내의 보충수가 완전히 배출되면 열려진 개폐 판(50)이 배출 관을 밀폐시켜 주므로 인해 입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보충수가 탱크(10)내에 재차 저장되는 것이며, 소정 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부력 체(90)가 보충수의 부력에 의해 부상되므로 서 눌려있던 밸브몸체(71)가 공급되는 보충수의 공급수압으로 인해 강제로 상승되어 수용 실(60)의 관통 공(61)을 긴밀히 밀착시켜 보충수가 공급되지 않고 대기 상태에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는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핀(72)이 관통하는 관통 공(61)의 하단 외주 연 부에 밸브몸체(71)의 상면이 점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충 수의 압력에 구애됨이 없이 밸브몸체의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돌 출구(62)를 구성하고, 상기 밸브몸체(71)와 수직 핀(72)의 외주 연이 수용 실(60)과 관통 공(61)의 내주 연에 긴밀히 끼워진 상태에서 자유롭게 승, 하강됨과 아울러, 보충수가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밸브몸체(71)와 수직 핀(72)의 외주 연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수직 상태로 하여 내 측으로 요 입 되는 요 입 부(73)(73a)를 구성하며, 수직 핀(72)의 선단 외주 연에 형성된 걸림 홈(72a)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하단 내 측에 걸림 돌기(75a)가 형성된 연결 편(75)이 갖추어진 누름 편(74)을 구성하여 된다.
이때, 관통공의 측면 하단 부 측에 수직 핀(72)의 외주 연에 구성된 요 입 부를 통해 공급되는 보충수가 수용 부를 통해 탱크(10)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 공(76)을 형성하여 준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고안은 수세식변기의 보충 수 탱크를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구성은 보일러 보충 수 탱크에서도 적용되어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탱크 내에 공급되어 보충 수의 부력에 의해 부상되어 보충 수의 공급을 차단시켜 주는 부력 체의 부상 중량을 상기 부력 체에 담겨지는 물의 중량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하므로 서, 사용자가 보충 수의 량을 임의로 조절시켜 필요 이상으로 낭비되는 보충 수를 절약시켜 줄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하부에 보충 수가 공급되고 배수될 수 있는 입수관(11) 및 배수관(12)이 구성된 탱크(10)와; 상기 탱크의 상단 일 측에 구성된 고정 편(20)과 축 핀(31)에 의해 임의로 회동되는 작동 편(30)과; 배수관(12)을 덮어준 상태에서 축 핀(51)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 단은 작동 편의 선단과 연결된 와이어(40)의 당겨지는 힘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 판(50)으로 구성된 수세식변기의 보충 수 탱크에 있어서, 입수관(11)의 선단에 구성된 수용 실(60) 내에서 승, 하강될 수 있는 밸브몸체(71)를 구성하고, 상기 밸브몸체의 상면 중앙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수용실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관통 공(61)을 관통된 수직 핀(72)으로 구성된 밸브(70)와; 상기 입수관(11)의 직 상부에 위치하는 탱크(10)내에 갖추어진 구획 벽(13) 하단에 탱크와 연통 될 수 있도록 통 공(81)이 형성된 수용 부(80)와; 상기 수용부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면 투입구(91)를 통해 담겨지는 물의 량에 따라 부력이 조절되면서 밸브(70)를 승, 하강 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부력 체(90)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변기의 보충 수 탱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직 핀(72)이 관통하는 관통 공(61)의 하단 외주 연 부에 밸브몸체(71)의 상면이 점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돌 출구(62)를 구성하고, 밸브몸체(71)와 수직 핀(72)의 외주 연에 수용 실(60)과 관통 공(61)의 내주 연에 긴밀히 끼워진 상태에서 보충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요 입 부(73)(73a)를 구성하며, 수직 핀(72)의 선단 외주 연에 형성된 걸림 홈(72a)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하단 내 측에 걸림 돌기(75a)가 형성된 연결 편(75)이 갖추어진 누름 편(74)을 구성하고 있으며, 관통공의 측면 하단 부 측에 수직 핀(72)의 외주 연에 구성된 요 입 부를 통해 공급되는 보충수가 수용 부를 통해 탱크(10)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 공(76)을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변기의 보충 수 탱크.
KR2019980005154U 1998-04-03 1998-04-03 수세식변기의 보충수 탱크 KR2001709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154U KR200170953Y1 (ko) 1998-04-03 1998-04-03 수세식변기의 보충수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154U KR200170953Y1 (ko) 1998-04-03 1998-04-03 수세식변기의 보충수 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114U KR19980019114U (ko) 1998-07-06
KR200170953Y1 true KR200170953Y1 (ko) 2000-03-02

Family

ID=19533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154U KR200170953Y1 (ko) 1998-04-03 1998-04-03 수세식변기의 보충수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095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51719A1 (ko) * 2000-01-14 2001-07-19 Kang Heung Mook Toilet water suppl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114U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0953Y1 (ko) 수세식변기의 보충수 탱크
US5611090A (en) Toilet flush control assembly and methods
KR100225965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CN215858047U (zh) 一种马桶水箱节水阀
KR102214200B1 (ko) 양변기 수조의 가변식 보충수 공급장치
KR200327321Y1 (ko)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KR200190330Y1 (ko) 양변기의세척수제어장치
KR100315301B1 (ko) 절수형 변기
KR100384388B1 (ko) 절수형 양변기
KR101468884B1 (ko)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양변기
KR200177904Y1 (ko) 양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
KR200184937Y1 (ko) 변기용 절수기
JP3049695U (ja) 直通式節水便器
KR100354526B1 (ko) 절수형 수세식 변기
KR101124613B1 (ko) 절수형 변기
KR200176999Y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150862Y1 (ko) 중수도를 이용하는 절수형 변기
JPH0649574U (ja) 便器洗浄用給水装置
KR200198086Y1 (ko) 양변기용 절수구
KR200316416Y1 (ko) 변기용 절수 개폐밸브
KR200306433Y1 (ko) 절수형 양변기의 분뇨개폐장치
KR200271612Y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229713Y1 (ko) 수세식 변기의 내장형 절수장치
JP2002088882A (ja) 大便器
KR0131347Y1 (ko) 변기용 절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