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2391B1 - 양변기 - Google Patents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2391B1
KR101942391B1 KR1020180008000A KR20180008000A KR101942391B1 KR 101942391 B1 KR101942391 B1 KR 101942391B1 KR 1020180008000 A KR1020180008000 A KR 1020180008000A KR 20180008000 A KR20180008000 A KR 20180008000A KR 101942391 B1 KR101942391 B1 KR 101942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tank
water storage
toilet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동훈
Original Assignee
양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동훈 filed Critical 양동훈
Priority to KR1020180008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3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24Low-level flushing systems
    • E03D1/26Bowl with flushing cistern mounted on the rearwardly extending end of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양변기는, 저수탱크부(10), 변기부(20), 급수밸브조립체(30), 및 수세밸브조립체(40)를 포함하는 양변기로서, 저수탱크부(10)는, 배수구(12)의 외측 둘레에 링-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실링홈(13)을 포함하고; 수세밸브조립체(40)는, 저수탱크부(10)의 내측에서 배수구(12)를 포위하여 덮는 덮개판부(41); 덮개판부(41)의 둘레에 링-형상으로 아래로 돌출 형성되고 실링재(S)를 매개하여 실링홈(13)에 삽입 및 수밀하게 고정되는 실링돌기(42); 배수구(12)에 연통되게 덮개판부(41)에 좌우로 형성되고 저수탱크부(10)로부터의 물이 배수구(12)와 급수구(21)를 통해 변기부(20)로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1 밸브시트부(43a)와 제2 밸브시트부(43b); 제1 밸브시트부(43a)를 개폐하는 제1 개폐판부(44a), 제1 개폐판부(44a)에 부력을 제공하는 제1 부력부(44b), 및 제1 부력부(44b)의 하부중앙에 형성된 제1 통공(44c)을 포함하는 제1 수세밸브(44); 제2 밸브시트부(43b)를 개폐하는 제2 개폐판부(45a), 제2 개폐판부(45a)에 부력을 제공하는 제2 부력부(45b), 제2 부력부(45b)의 하부중앙에 형성된 제2 통공(45c), 및 제2 개폐판부(45a)의 하측에 제2 부력부(45b)의 측면에 형성된 제3 통공(45d)을 포함하는 제2 수세밸브(45);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이 월류되게 하는 월류관부(46); 및 제1 수세밸브(44)와 제2 수세밸브(45)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핀부(47);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변기{TOILET BOWL}
본 발명은 양변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고, 물을 절약할 수 있는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수자원 부족으로 절수가 강조되고 있으며, 물사용량이 많은 용품 중의 하나는 일상생활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수세식 양변기(좌변기)이다.
수세식 양변기는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긴 하지만, 1회 사용으로 대략 10리터 내외의 물이 사용되는 경우가 흔히 있고, 절수형으로 개발된 양변기의 경우도 대체로 6리터 이상의 물이 소비되고 있다.
양변기의 절수를 위해 많은 기술들이 개발되어 있으며, 특히 사이펀 방식의 수세식 양변기에 관련하여, 대변 보다는 소변의 처리에 적은 수량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소변과 대변 처리에 동일한 수량이 사용되는 것으로 인해 물이 낭비되는 것을 해소하기 위한 양변기들도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절수에 관련된 양변기에 관한 종래기술로서는, 대한민국 특허 제10-1210443호의 '절수를 위한 보조장치가 구비된 양변기', 대한민국 특허 제10-1282339호의 '절수형 양변기의 구조', 대한민국 특허 제10-1218592호의 '양변기 물탱크의 절수형 잔수조절장치', 대한민국 특허 제10-1542646호의 '대소변 분리형 좌변기 및 그것을 사용하는 오수처리 시스템', 대한민국 특허 제10-1582074호의 '절수형 양변기', 대한민국 특허 제10-1577696호의 '대변용과 소변용의 배수구가 분리된 수세식 양변기의 절수 장치' 등이 있고, 본 발명자도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68732호의 '좌변기 또는 양변기용 물탱크 개폐구'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96887호의 '대소변 구별식 절수형 좌변기' 등을 제안한 바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도기로 제조되는 양변기는 그 구조적인 특성이나 수세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저수탱크부가 변기부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원피스) 양변기와 저수탱크부와 변기부가 별도로 형성되어 조립된 분리형(투피스) 양변기로 구별할 수 있다.
분리형 양변기는, 일체형 양변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제조가 용이하여 원가가 저렴하고 물류(포장, 운반 및 보관)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이런 이유로 소음이 적고 디자인의 고급화가 가능한 일체형 양변기는 주로 고가의 고급형으로 사용되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분리형 양변기는 주로 보급형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10은 종래의 예시적인 분리형 양변기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분리형 양변기(100)는 저수탱크부(200)와 변기부(300)로 구성되고, 저수탱크부(200)에는 급수원(101: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저수하고 저수된 물을 변기로 배수하여 용변이 수세되도록 하는 급수장치(210)가 설치되어 있고, 변기(300)에는 급수장치(210)에 의해 공급된 물에 의해 용변이 배출되도록 하는 사이펀수로(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분리형 양변기에 관련된 문제점의 하나는, 저수탱크부(200)를 변기부(300) 위에 올려 조립함에 있어서, 볼트 체결 등을 위해 저수탱크부(200)의 저면에 불가피하게 형성할 수밖에 없는 다수의 구멍들을 통해서 누수가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탱크부(200)의 저면에는 저수탱크부(200)에 저수된 물을 변기부(300)로 공급하는 급수장치(210)의 배수구(211)가 관통하는 구멍(201a) 뿐만 아니라, 저수탱크부(200)를 변기부(300)에 고정하기 위한 2개의 고정볼트(220)가 관통되는 볼트공(201b), 수도관으로부터의 물을 저수탱크부(200)의 볼탭밸브(212)로 공급하는 급수관(230)이 관통되는 구멍(201c) 등, 적어도 3개 이상, 4-5개까지의 구멍(201)들이 형성되어 있는바, 비록 이들 구멍(201)들에 급수장치(210)의 밸브시트(213), 고정볼트(220), 및 볼탭밸브(212)를 설치할 때, 패킹들을 적용하여, 수밀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장시간 사용으로 패킹이 변성되거나 반복적으로 저수탱크부(200)에 외력이 가해져 흔들리게 될 경우에, 구멍(201)들에 틈새가 생겨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분리형 양변기에 관한 종래기술에 관련하여, 저수탱크부와 변기부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를 최소화할 목적으로 개발된 양변기는 제안된 바가 없었으며, 이런 배경에서 본 발명자는 분리형 양변기의 누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6-0114669호의 '좌변기'를 제안한 바 있다.
아울러, 도11은 종래의 예시적인 일체형 양변기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체형 양변기(400)는 일체로 형성된 저수탱크부(410)와 변기부(420)로 구성되고, 저수탱크부(410)에는 급수밸브조립체(430)와 수세밸브조립체(440)가 설치되어 있다.
저수탱크부(410)의 저면(411)에는, 외부의 급수원을 급수밸브조립체(430)에 연결하기 위한 급수구(412)가 양변기(400)의 외부와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수세밸브조립체(440)를 장착하기 위한 배수구(413)가 변기부(420)에 연통되게 형성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일체형 양변기(400)는, 수세밸브조립체(440)를 저수탱크부(410)의 저면(411)에 형성된 배수구(413)에 장착함에 있어서, 수세밸브조립체(440)를 저면(411)에 고정하기 위한 너트를 양변기의 외부에서는 체결할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나비형 고정너트(441)를 고정나사(442)에서 충분히 풀어준 다음에, 저수탱크부(410)의 좁은 공간 내에서, 비스듬하게 고정너트(441)를 눕혀서 배수구(413) 안으로 삽입한 후에, 저수탱크부(410)의 내부에서 고정나사(442)를 조임으로써, 저면(411)의 아래로부터 고정너트(441)가 조여지도록 하는 방법으로, 수세밸브조립체(440)를 저수탱크부(410)에 설치하였으며, 따라서 수세밸브조립체(440)를 설치하는 작업이 상당히 불편할 뿐만 아니라, 저면(411)과의 사이에 패킹(443)을 매개한 고정너트(441)와 고정나사(442)의 조임이 느슨해질 경우, 저수탱크부(410)의 물이 배수구(413)를 통해 변기부(420)로 누수되어 물이 낭비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일체형 양변기(400)는, 급수밸브조립체(430)를 설치하기 위한 급수구(412)가 저수탱크부(410)의 저면(411)에 주로 형성됨에 따라, 저수탱크부(410)에 저수된 물이 급수구(412)를 통해 화장실 바닥으로 누수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이와 같은 일체형 양변기에 관련된 종래기술로서는, 대한민국 특허 제10-1546066호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일체형 양변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12320호의 '다용도 원피스형 양변기',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2010-0011798호의 '막힘해제기능 일체형 양변기'등 다수가 있으나, 이런 일체형 양변기를 포함한 종래 양변기에 관한 기술은, 주로 절수 등을 목적으로 개발된 좌변기로서, 수세밸브조립체(440)를 저수탱크부(410)에 설치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방법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대부분이었을 뿐, 수세밸브조립체(440)를 저수탱크부(410)에 설치하는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하고, 누수의 가능성을 낮추며, 제조단가를 절감하고자 하는 발명은 제안된 바 없다.
이런 저수탱크부와 변기부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좌변기에 관련하여, 본 발명자는 누수 가능성을 최소화하면서 저수탱크부에 수세밸브조립체를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관련 부품을 단순화하여 그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일체형 양변기를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6-0127484호의 '일체형 좌변기'로 제안한 바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변처리용 물사용량보다 소변처리용 물사용량을 적게 함으로써 양변기의 전체적인 물사용량을 절약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수탱크부와 변기부가 분리 형성되어 있는 분리형 양변기에 관련하여, 저수탱크부를 변기부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저수탱크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양변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수탱크부와 변기부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양변기에 관련하여, 누수 가능성을 최소화하면서 저수탱크부에 수세밸브조립체를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관련 부품을 단순화하여 그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양변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양변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양변기는, 물이 저수되고, 저면에 형성되어 저수된 물이 배출되는 배수구를 구비하는 저수탱크부; 상기 저수탱크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용변이 처리되고 상기 배수구에 연통된 급수구를 구비하는 변기부; 상기 저수탱크부에 설치되고, 상기 저수탱크부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밸브조립체; 및 상기 저수탱크부에 설치되고 상기 저수탱크부에 저수된 물을 상기 변기부로 공급하여 용변이 세척되게 하는 수세밸브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저수탱크부는, 상기 저면의 내측면에 상기 배수구의 외측 둘레에 링-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실링홈을 포함한다.
상기 수세밸브조립체는, 상기 저수탱크부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배수구를 포위하여 덮는 덮개판부; 상기 덮개판부의 둘레에 링-형상으로 아래로 돌출 형성되고 실링재를 매개하여 상기 실링홈에 삽입 및 수밀하게 고정되는 실링돌기; 상기 배수구에 연통되게 상기 덮개판부에 좌우로 형성되고 상기 저수탱크부로부터의 물이 상기 배수구와 상기 급수구를 통해 상기 변기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1 밸브시트부와 제2 밸브시트부; 상기 제1 밸브시트부를 수밀하게 개폐하는 제1 개폐판부, 상기 제1 개폐판부에 부력을 제공하는 제1 부력부, 및 상기 제1 부력부의 하부중앙에 형성된 제1 통공을 포함하는 제1 수세밸브; 상기 제2 밸브시트부를 수밀하게 개폐하는 제2 개폐판부, 상기 제2 개폐판부에 부력을 제공하는 제2 부력부, 상기 제2 부력부의 하부중앙에 형성된 제2 통공, 및 상기 제2 개폐판부의 하측에 상기 제2 부력부의 측면에 형성된 제3 통공을 포함하는 제2 수세밸브; 상기 배수구에 연통되게 상기 덮개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저수탱크부 내에서 상측으로 길게 신장되어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이 월류되게 하는 월류관부; 및 상기 월류관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수세밸브와 상기 제2 수세밸브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핀부; 를 포함한다.
상기 저수탱크부와 상기 변기부는 별도로 형성하여 분리 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저수탱크부는, 상기 저면에 아래로 돌출 형성된 조립돌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변기부는, 상기 조립돌기가 꼭 맞게 삽입되고 실링재를 매개하여 상기 조립돌기와 견고하고 수밀하게 끼워맞춤 조립되는 조립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수탱크부는, 후측 안쪽에 상기 저수탱크부와 격리된 상태로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저수탱크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이 차폐 상태로 아래에서 위로 배관되는, 급수관배관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는, 상기 수세밸브조립체에, 상대적으로 많은 물이 배출되는 대변처리를 위한 상기 제1 밸브시트부와 상기 제1 수세밸브 및 상대적으로 적은 물이 배출되는 소변처리를 위한 상기 제2 밸브시트부와 상기 제2 수세밸브를 각각 구비하고 있음에 따라, 소변을 처리할 때 대변처리용의 상기 제1 밸브시트부와 상기 제1 수세밸브를 사용하지 않고 소변처리용 상기 상기 제2 밸브시트부와 상기 제2 수세밸브를 사용함으로써, 소변를 처리하는 것에 불필요하게 대변처리에 필요한 많은 양의 물을 사용해 버리는 것으로 인한 물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양변기의 전체적인 물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저수탱크부와 상기 변기부가 분리 형성되어 있는 분리형 양변기에 본 발명의 양변기를 적용하면, 누수의 염려가 있는 고정볼트와 고정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공 및 패킹 등을 적용하지 아니하면서, 분리된 상기 저수탱크부와 상기 변기부를 누수의 염려 없이 용이하고 견고하고 수밀하게 끼워맞춤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단순한 상기 수세밸브조립체를 용이하고 견고하고 수밀하게 상기 저수탱크부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는 분리형 양변기이면서도, 상기 저수탱크부와 상기 변기부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양변기에 준하는 정도로 누수 위험이 실질적으로 없으며, 따라서 제조원가와 물류비용이 저렴한 분리형 양변기의 장점과 함께 누수의 염려가 없는 일체형 양변기의 장점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분리형 양변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저수탱크부와 상기 변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일체형 양변기에 본 발명의 양변기를 적용하면, 일체형 양변기의 장점과 분리형 양변기의 장점을 모두 살려서, 상기 수세밸브조립체를 누수의 가능성을 최소화하면서 보다 용이하게 상기 저수탱크부에 설치할 수 있고, 관련 부품을 단순화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양변기로서 분리형 양변기의 개략 사시도.
도2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분리형 양변기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분리형 양변기의 개략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양변기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수세밸브조립체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양변기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수세밸브의 하측방향에서의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양변기의 개략 평면도 및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일체형 양변기의 개략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일체형 양변기의 분해 사시도.
도10은 예시적인 종래 분리형 양변기의 개략 단면도.
도11은 예시적인 종래 일체형 양변기의 개략 평면도 및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1 내지 도9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1)는, 통상적인 종래의 일체형 양변기와 마찬가지로, 저수탱크부(10)와 변기부(20)를 포함하고, 상기 저수탱크부(10)에는 급수밸브조립체(30)와 수세밸브조립체(40)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1)는, 저수탱크부(10)와 변기부(20)를 분리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구체예는 분리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8과 도9에 도시된 구체예는 일체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변기를 분리형 양변기에 적용한 예를 설명한다.
상기 저수탱크부(10)는, 변기부(20)에 존재하는 용변(대변 및/또는 소변)을 수세하기 위한 물이 저수되는 저수구조로서,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주로 도기로 성형되며, 상부가 개방된 수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개방된 상부는 뚜껑(10a)으로 덮는다.
저수탱크부(10)의 저면(11)에는, 배수구(12) 및 실링홈(13)과 함께 조립돌기(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구(12)는, 저수탱크부(10)의 저면(11)의 예를 들어 중앙에 관통 형성된 구멍으로서, 저수탱크부(10)에 저수된 물이 변기부(20)로 흘러 내려가는(배출되는) 관통 통로이다.
상기 실링홈(13)은, 저수탱크부(10)의 저면(11)의 내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배수구(12)의 둘레를 따라 대략 링-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구체예는, 실링홈(13)이 배수구(12)를 포위하도록 일정 깊이와 폭의 타원형으로 형성된 예이며, 배수구(12)를 둘러싸는 형상이라면 타원형이 아닌 사각형 등 다른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실링홈(13)의 길이와 폭은, 후술하는 수세밸브조립체(40)의 실링돌기(42)를 실리콘과 같은 실링재(S)를 매개하여 상기 실링홈(13)에 삽입할 수 있고, 삽입된 실링돌기(42)를 투입한 실링재(S)로 실링홈(13)에 견고하고 수밀하게 고정할 수 있을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조립돌기(14)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탱크부(10)의 저면(11)의 아래쪽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부분으로서, 실링홈(13)을 포위(내포)하는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조립돌기(14)는 외부 형태는 실링홈(13)의 형상에 대응하여 타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실링홈(13)과 마찬가지로 사각형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조립돌기(14)는 후술하는 변기부(20)에 형성된 조립요부(22)에 끼워맞춤 조립되는 부분이며,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변기부(20)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주로 도기로 성형되며, 저수탱크부(10)에서 변기부(20)로 공급된 물은 용변을 수세한 후에 사이펀수로(도시생략)를 통해 화장실 배관을 경유하여 정화조 등으로 배출된다.
상기 변기부(20)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구(21)와 조립요부(22)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구(21)는 저수탱크부(10)의 배수구(12)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배수구(12)에 연통되는 부분으로서, 저수탱크부(10)의 배수구(12)로 배출된 물은 급수구(21)를 통해 변기부(20)로 공급되고, 변기부(20)로 공급된 물은 용변을 수세한 후에 사이펀수로(도시생략)를 통해, 화장실 배관을 경유하여 정화조 등으로 배출된다.
상기 조립요부(22)는 저수탱크부의 조립돌기(14)에 끼워맞춤 조립되는 부분으로서, 돌출된 조립돌기(14)가 꼭 맞게 끼워질 수 있도록 급수구(21)를 중심에 두고 조립돌기(14)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변기부(20)의 후방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조립요부(22)에 실리콘과 같은 실링재(S)를 투입한 후에 조립요부(22)에 조립돌기(14)를 삽입하여 조립하면, 경화된 실링재(S)에 의해 배수구(12)와 급수구(21)는 외부와 수밀한 상태를 유지하고, 조립요부(22)와 조립돌기(14)의 견고한 끼워맞춤과 저수탱크부(10)의 하중에 의하여, 저수탱크부(10)는 변기부(20)에 견고하고 수밀하며 안정적으로 조립된다.
상기 급수밸브조립체(30)는, 도1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원(2: 수도관)으로부터 저수탱크부(10)로 물을 공급하는 기구로서, 예를 들어 필밸브 또는 볼탭밸브 등으로 매우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는, 저수탱크부(10)에 급수하기 위한 밸브구조이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급수밸브조립체(30)는, 예를 들어 급수원(2)과 연결된 급수관(31), 저수탱크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급수관(31)에 연결됨으로써 급수관(31)으로부터 저수탱크부(10)로의 급수를 단속하는 급수밸브(32: 예, 필밸브, 볼탭밸브), 및 저수탱크부(10)의 수위에 의존하여 급수밸브(32)를 개폐하는 부력체인 부구(33)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변기부(20)로 강한 수류의 물을 직접 분사하는 분사펌프(도시 생략) 등이 포함된 예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1)에 적용되는 급수밸브조립체(30)는, 기존의 양변기용으로 개발된 다양한 종류의 급수밸브조립체를 본 발명에 맞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다만 저렴한 양변기를 공급하고자 하는 것도 본 발명의 목적의 하나이므로, 급수밸브(32)와 부구(33) 정도의 최소한의 부품으로 구성된, 단순하고 저렴한 급수밸브조립체(30)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수세밸브조립체(40)는, 저수탱크부(10)에 설치되어서 저수탱크부(10)에 공급된 물을 저수하고 저수된 물을 변기부(20)에 공급하여 용변을 세척하기 위한 밸브구조이며, 전술한 실링홈(13)과 함께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을 이룬다.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세밸브조립체(40)는, 덮개판부(41), 실링돌기(42), 제1 밸브시트부(43a), 제2 밸브시트부(43b), 제1 수세밸브(44: 대변용 배수마개), 제2 수세밸브(45: 소변용 배수마개), 월류관부(46) 및 힌지핀부(47)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판부(41)는, 저수탱크부(10)의 내측에서 배수구(12)를 포위하여 덮는 판상의 부분이다. 덮개판부(41)는 실링홈(13)의 형상에 대응하여 타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실링홈(13)과 마찬가지로 사각형 등 다른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링돌기(42)는, 덮개판부(41)의 외곽 둘레에 링-형상으로 아래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분으로서, 실링홈(13)의 형상에 대응하여 예를 들어 타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실링재(S)를 매개하여 실링홈(13)에 삽입된다. 따라서 실링홈(13)에 실링재(S)를 투입하고 실링홈(13)에 실링돌기(42)를 삽입한 후에 실링재(S)를 경화시키면, 수세밸브조립체(40)는 후술하는 밸브시트부(43, 43a, 43b)를 통해서만 저수탱크부(10)와 변기부(20)가 연통하는 상태로, 저수탱크부(10)의 저면(11)의 내측에 견고하고 수밀하게 고정된다.
실링재(S)의 경화에 의하여 실링홈(13)에 수밀하게 고정되는 실링돌기(42)가, 실링재(S)에 의한 고정 상태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이탈되는 것을 더욱 방지하기 위하여, 실링돌기(42)의 바람직하게 외측 둘레에는 걸림돌기(42a)를 돌출 형성하거나 단차(도시 생략)를 줄 수 있으며, 이로써 실링돌기(42)의 단면 니은자 형상 부분이 실링홈(13)에 충전된 실링재(S) 내에 매설된 상태로 실링재(S)가 경화되므로, 실링재(S)에 의한 실링돌기(42)의 결속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어서, 보다 견고하고 수밀하게 실링돌기(42)를 실링홈(13) 내에 수밀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밸브시트부(43)는 대변용인 제1 밸브시트부(43a)와 소변용인 상기 제2 밸브시트부(43b)를 포함한다.
밸브시트부(43)는 덮개판부(41)에 좌우로 1개씩 대칭 형성할 수 있으며, 저수탱크부(10)로부터의 물이 변기부(20)로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도시된 구체예의 경우, 중심에 형성된 후술하는 월류관부(46)를 중심으로 좌우의 대칭 위치에 제1 밸브시트부(43a)와 제2 밸브시트부(43b)를 각각 형성하고, 덮개판부(41)로부터 저수탱크부(10)의 내측으로 원통형으로 돌출된 예이다. 밸브시트부(43)의 상면을 각각 내고외저(內高外低)의 경사면으로 형성한 것은 후술하는 수세밸브(44, 45)가 밸브시트부(43)를 보다 확실히 수밀하게 폐쇄하도록 한 것이며,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제1 수세밸브(44)는 대변용인 제1 밸브시트부(43a)를 개폐하는 마개 형태의 밸브이다. 즉, 제1 수세밸브(44)가 제1 밸브시트부(43a)를 폐쇄하고 있을 때에는, 저수탱크부(10)에 저수된 물이 제1 밸브시트부(43a)를 통해 변기부(20)로 배수되는 것이 차단되고, 제1 수세밸브(44)를 개방하면 저수탱크부(10)의 저수된 물이 제1 밸브시트부(43a)를 통해 변기부(20)로 배출된다.
종래와 마찬가지로, 제1 수세밸브(44)는, 제1 밸브시트부(43a)를 수밀하게 개폐하는 크기로 형성된 예를 들어 링-형상의 제1 개폐판부(44a), 제1 개폐판부(44a)의 중앙에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어 제1 수세밸브(44)에 부력을 제공하는 제1 부력부(44b), 및 제1 부력부(44b)의 하부중앙에 형성되어 제1 부력부(44b)의 내외로 공기와 물이 통과되게 하는 제1 통공(44c)을 포함한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대변용인 제1 밸브시트부(43a)와 제1 수세밸브(44)에 의하면, 저수탱크부(10)에 물이 없는 상태에서 제1 수세밸브(44)는 자중에 의하여 제1 밸브시트부(43a)를 수밀하게 폐쇄하고 있고, 이때 제1 부력부(44b) 내에 물이 존재한다면 존재하는 물은 제1 통공(44c)을 통해 낙하하여 배수구(12)와 급수구(21)를 경유하여 변기부(20)로 배출됨으로서 제1 부력부(44b)에는 공기만 충전된 상태가 된다. 이런 상태에서 급수밸브조립체(30)에 의해 물이 공급되면, 저수탱크부(10)에 정해진 수위까지 물이 저수된다. 이후 사용자가 대변 후에 후술하는 대변용 배수스위치(48a)를 조작하면, 제1 수세밸브(44)가 위로 회동하여 제1 밸브시트부(43a)를 개방함으로써 저수탱크부(10)의 물이 제1 밸브시트부(43a)를 통해 변기부(20)로 흘러 내려가고, 이때 제1 수세밸브(44)는, 공기가 충전된 제1 부력부(44b)의 부력에 의하여 수중에서 부상되어 있는 상태(위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제1 밸브시트부(43a)의 개방 상태를 상당 시간 계속 유지하며, 이런 상태에서 저수탱크부(10)의 물은 제1 밸브시트부(43a)를 통해 변기부(20)로 계속 배출된다. 저수탱크부(10)의 대부분의 물(예, 6리터 이상)이 변기부(20)로 배출되어 제1 수세밸브(44)에 물의 부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는 시점이 되면, 제1 수세밸브(44)가 자중에 의해 아래로 회동하여 제1 밸브시트부(43a)를 폐쇄한다. 다시 저수탱크부(10)에 정해진 수위까지 물이 저수되고, 이때 제1 부력부(44b) 내로 유입된 물이 있다면, 제1 통공(44c)을 통해 낙하하여 공기만 충전된 상태가 된다.
상기 제2 수세밸브(45)는 소변용인 제2 밸브시트부(43b)를 개폐하는 마개 형태의 밸브이다. 제2 수세밸브(45)가 제2 밸브시트부(43b)를 폐쇄하고 있을 때에는, 저수탱크부(10)에 저수된 물이 제2 밸브시트부(43b)를 통해 변기부(20)로 배수되는 것이 차단되고, 제2 수세밸브(45)를 개방하면 저수탱크부(10)의 저수된 물이 제2 밸브시트부(43b)를 통해 변기부(20)로 배출된다.
제2 수세밸브(45)는 제2 밸브시트부(43b)를 수밀하게 개폐하는 크기로 형성된 예를 들어 링-형상의 제2 개폐판부(45a), 제2 개폐판부(45a)의 중앙에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어 제2 수세밸브(45)에 부력을 제공하는 제2 부력부(45b), 제2 부력부(45b)의 하부중앙에 형성되어 제2 부력부(45b)의 내외로 공기와 물이 통과되게 하는 제2 통공(45c), 및 제2 개폐판부(45a)의 아래 위치에 제2 부력부(45b)의 측면에 형성된 제3 통공(45d)을 포함한다.
소변용인 제2 밸브시트부(43b)와 제2 수세밸브(45)에 따르면, 저수탱크부(10)에 물이 없는 상태에서 제2 수세밸브(45)는 자중에 의하여 제2 밸브시트부(43b)를 수밀하게 폐쇄하고 있고, 이때 제2 부력부(45b) 내에 존재하는 물은 제2 통공(45c)을 통해 낙하하여 배수구(12)와 급수구(21)를 경유하여 변기부(20)로 배출됨으로써 제2 부력부(45b)에는 공기만 충전된 상태가 된다. 이런 상태에서 급수밸브조립체(30)에 의해 물이 공급되면, 저수탱크부(10)에 정해진 수위까지 물이 저수된다. 이후 사용자가 소변 후에 후술하는 소변용 배수스위치(48b)를 조작하면, 제2 수세밸브(45)가 위로 회동하여 제2 밸브시트부(43b)를 개방함으로써 저수탱크부(10)의 물이 변기부(20)로 흘러 내려가고, 이때 제2 수세밸브(45)는, 공기가 충전된 제2 부력부(45b)의 부력에 의하여 수중에서 부상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제2 밸브시트부(43b)의 개방 상태를 어느 정도 계속 유지하고, 이런 상태에서 저수탱크부(10)의 물은 제2 밸브시트부(43b)를 통해 변기부(20)로 배출된다.
그러나 제1 수세밸브(44)와는 달리 제2 수세밸브(45)에는 제3 통공(45d)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제2 수세밸브(45)가 수중에 부상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3 통공(45d)을 통해 공기가 빠져나감과 함께 제2 통공(45c)을 통해 물이 유임됨으로써 제2 부력부(45b)의 부력이 일부 상실되어 제2 수세밸브(45)의 하중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저수탱크부(10)에 저수되어 있던 물(예, 6리터 이상) 중에 상당한 정도의 물(예, 2-3 리터)이 아직 변기부(20)로 배출되지 않고 남아 있는 상태에서도 남아 있는 물의 부력을 극복하고 제2 수세밸브(45)는 자중에 의해 아래로 회동하여 제2 밸브시트부(43b)를, 제1 수세밸브(44) 보다 일찍 폐쇄한다. 이후, 저수탱크부(10)에 정해진 수위까지 다시 물이 저수되고, 이때 제2 부력부(45b) 내로 유입된 물은, 제3 통공(45d)으로 공기가 유입됨으로 인하여, 제2 통공(45c)을 통해 쉽게 낙하하여 공기만 충전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자는, 물사용량이 6리터 정도인 것으로 표시된 시판의 절수형 양변기를 대상으로, 용변처리에 사용되는 실제 수량을 테스트한 바에 의하면, 대변의 경우 보충수를 포함하여 대략 7 내지 7.5리터 내외의 물이 필요하고, 소변의 경우 보충수를 포함하여 대략 4 내지 4.5리터의 물이 필요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이런 절수형 양변기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 대변과 소변을 구분하여 처리하면, 즉, 소변의 처리에 소변용인 제2 밸브시트부(43b)와 제2 수세밸브(45)를 적용하면, 소변의 처리에 대변용인 제1 밸브시트부(43a)와 제1 수세밸브(44)를 적용해 버리는 것에 비하여, 1회당 대략 2 내지 3리터 내외의 물을 절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세밸브조립체(40)의 특징에 따라, 대변용인 제1 밸브시트부(43a)와 제1 수세밸브(44)를 기준으로, 제2 수세밸브(45)의 하중, 제2 부력부(45b)의 크기, 및 제2 통공(45c)과 제3 통공(45d)의 직경 등을 소변의 처리에 맞게 적절히 설정하고, 소변처리에 대변용인 제1 수세밸브(44)와 제1 밸브시트부(43a)를 사용하지 않고 소변용인 제2 밸브시트부(43b)와 제2 수세밸브(45)를 사용하면, 소변처리에 대변용인 제1 수세밸브(44)와 제1 밸브시트부(43a)를 사용하는 것보다 물사용량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이때, 제2 밸브시트부(43b)와 제2 수세밸브(45)에 의한 소변용 물사용량을 과소하게 설정하면, 배수량이 과소하여 사이펀 작용이 발생하지 아니하여 수변을 희석할 수 있을 뿐 완전하게 배출이 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소변용 물사용량을 과다하게 설정하면, 절수의 효과가 불충분할 수 있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저수탱크부(10)의 상부에는 수세밸브(44, 45)의 개폐 조작을 위한 예를 들어 배수스위치(48, 48a, 48b: 배수레버 등)를 설치할 수 있고, 수세밸브(44, 45)와 배수스위치(48)의 사이는 와이어(49, 49a, 49b)로 연결할 수 있으며, 각각의 배수스위치(48)를 누르면 각각의 와이어(49)가 각각의 수세밸브(44, 45)를 위로 당겨 각각의 밸브시트부(43)가 개방되고, 배수가 완료되면 자중에 의하여 각각의 수세밸브(44, 45)가 다시 각각의 밸브시트부(43)를 폐쇄한다.
도시된 구체예는, 배수스위치(48)를 그 용도가 구분되도록 저수탱크부(10)의 양측 측면에 분리하여 설치한 예이나, 저수탱크부(10)의 전면에 설치하거나 양자의 배수스위치(48)를 동일 위치에 다른 크기나 형상으로 구분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배수스위치(48)는, 종래의 양변기에 적용된 배수스위치에 관한 구성들을 본 발명에 맞게 적용할 수 있으며, 첨부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은 하나의 예시로서, 도시된 이외의 다른 구성들을 본 발명에 맞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도시된 구체예는 배수스위치(48)로서 레버식을 도시하고 있으나 버튼식 등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월류관부(46)는, 배수구(12)에 연통되게 덮개판부(41)에 형성되되 저수탱크부(10) 내로 상측으로 길게 신장되어,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이 월류되게 하는 관-형상의 부분이다. 월류관부(46)는, 예를 들어 필밸브 등 급수밸브(32)의 고장으로 저수탱크부(10)에 공급되는 물이 월류관부(46)의 상단 보다 높은 수위로 물이 공급될 경우에, 과도하게 공급된 물이 월류관부(46)를 월류하여 배수구(12)를 통해 변기부(20)로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즉,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은 월류하여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저수탱크부(10)의 물이 뚜껑(10a)으로 덮인 상부를 통해 흘러넘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일반적으로 급수밸브(32)에는 보충수호스(34)의 일단을 연결하여, 급수밸브(32)로부터의 물의 일부를 저수탱크부(10)가 아닌 배수구(12)로 직접 배수함으로써, 변기부(20)의 사이펀수로(도시 생략)에 의한 과도한 사이펀 작용에 의해 변기부(20)에 남아 있는 물이 과소하게 되지 않도록 보충하고 있는 바, 보충수호스(34)의 타단은 월류관부(46)의 상단에 클립(46a)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보충수호스(34)에 의해 공급되는 물이 월류관부(46)를 통해 배수구(12)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힌지핀부(47)는 수세밸브(44, 45)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분이다. 힌지핀부(47)는 수세밸브(44, 45)에 대응하는 위치의 월류관부(46)에 형성할 수 있다. 즉, 수세밸브(44, 45)의 암(44e, 45e)을 힌지핀부(47)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면, 수세밸브(44, 45)는 자중과 수압에 의해 밸브시트부(43)를 폐쇄한 상태와 배수스위치(48)의 작동에 따른 와이어(49)의 작용에 의해 밸브시트부(43)를 개방한 상태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된다.
도시된 구체예의 경우 하나의 힌지핀부(47)에 암(44e, 45e)의 폭을 달리하여 2개의 수세밸브(44, 45)를 모두 설치한 예이며,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상과 같은 수세밸브조립체(40)는, 덮개판부(41)와 실링돌기(42)에 의해 배수구(12)를 수밀하게 포위한 상태로 실링재(S)에 의하여 저수탱크부의 저면(11)에 형성된 실링홈(13)에 견고하고 수밀하게 설치되므로, 저수탱크부(10)의 물은 밸브시트부(43)와 월류관부(46)를 통해서만 배수구(12)로 배출된다.
수세밸브조립체(40)는, 본 발명의 양변기(1)를 화장실 등에 시공하는 현장에서 저수탱크부(10)에 설치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양변기(1)를 제조하는 장소에서 미리 저수탱크부(10)에 설치한 상태로 시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1)는, 저수탱크부(10)에서의 누수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것도 목적의 하나이므로, 급수밸브(32)가 연결되는 급수관(31)은, 도10에 도시된 종래 양변기와 같이, 저수탱크부의 저면(11)이 아니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탱크부(10)의 최고 수위보다 높은 위치의 저수탱크부(10)의 측면이나 후면에 설치함으로써, 급수관(31)을 설치하기 위해 저수탱크부(10)에 형성한 구멍(급수구)을 통해 누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31)을 저수탱크부(10)의 상측에 배관하면 아래로부터 위로 배관된 급수관(31)이 저수탱크부(10)의 측면이나 후면에 노출되어 미관상 바람직하지 않을 수도 있다.
급수관(31)의 노출을 차폐하기 위하여, 도1과 도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1)에는 급수관배관로(15)를 형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급수관고정홈(16)을 더 형성할 수 있다. 급수관배관로(15)와 급수관고정홈(16)은 본 발명의 양변기를 도기로 성형할 때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급수관배관로(15)는 저수탱크부(10)의 후측, 바람직하게 후측 모서리의 안쪽에 형성할 수 있다. 급수관배관로(15)는 물이 저수되는 저수탱크부(10)와 격리된 상태로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급수관배관로(15)에는 저수탱크부(10)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31)이 차폐 상태로 아래에서 위로 배관된다.
상기 급수관고정홈(16)은, 급수관배관로(15)와 저수탱크부(10) 사이에서 경계를 형성하는 격벽(17)의 상단에 오목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급수관고정홈(16)에는 급수관(31)이 삽입 및 고정된다. 예를 들어 급수관(31)에 고무링과 같은 탄성의 고정구(18)를 삽입한 후에, 고정구(18)를 급수관고정홈(16)에 타이트하게 강제 삽입하여 고정하면, 급수관(31)을 급수관고정홈(16)에 누수 없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저수탱크부(10)의 상측에 설치된 급수밸브(32)에 연결되어 저수탱크부(10)의 저부로 내려진 유도호수(35: 도4)는, 급수밸브(32)에서 급수되는 물을 저수탱크부(10)의 저부로 유도함으로써, 급수밸브(32)로부터 저수탱크부(10)로 급수되는 물이 아래로 낙수됨으로써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호스이다.
도8과 도9는 본 발명의 양변기를 일체형 양변기에 적용한 예이다.
도8과 도9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양변기(1)는, 저수탱크부(10)와 변기부(20)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저수탱크부(10)의 저면(11)이 저수탱크부(10)와 변기부(20)를 구획하는 격벽이 되고, 상기 저면(11)에 배수구(12)가 관통 형성되어 있고, 배수구(12)는 변기부(20)의 급수구(21)와 통합되어 저수탱크부(10)와 변기부(20) 사이를 연통하는 통로가 되며, 배수구(12)에 전술한 수세밸브조립체(40)가 설치된다.
본 구체예의 양변기(1)는 일체형임에 따라, 도1 내지 도4의 분리형 양변기에 포함되어 있는 저수탱크부(10)의 조립돌기(14)와 변기부(20)의 조립요부(22)에 대응하는 구성이 존재하지 아니하며, 나머지 구성은 분리형 양변기와 동일하다.
도8과 도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체형 양변기에 의하면, 수세밸브조립체(40)를 저수탱크부(10)의 뚜껑(10a)을 개방하고, 바로 저수탱크부(10)의 내측 저면(11)에 형성된 실링홈(13)에 매우 용이하고 수밀하게 설치할 수 있다.
1: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양변기
10: 저수탱크부 10a: 뚜껑
11: 저면 12: 배수구
13: 실링홈 14: 조립돌기
15: 급수관배관로 16: 급수관고정홈
20: 변기부 21: 급수구
22: 조립요부 30: 급수밸브조립체
31: 급수관 32: 급수밸브
33: 부구 34: 보충수호스
35: 유도호스 40: 수세밸브조립체
41: 덮개판부 42: 실링돌기
42a: 걸림돌기 43, 43a, 43b: 밸브시트부
44, 45: 수세밸브(배수마개) 44a, 45a: 제1 및 제2 개폐판부
44b,45b: 제1 및 제2 부력부 44c, 45c, 45d: 제1 내지 제3 통공
46: 월류관부 47: 힌지핀부
48, 48a, 48b: 배수스위치 49, 49a, 49b: 와이어

Claims (3)

  1. 물이 저수되고, 저면(11)에 형성되어 저수된 물이 배출되는 배수구(12)를 구비하는 저수탱크부(10), 상기 저수탱크부(10)의 하측에 형성되어 용변이 처리되고 상기 배수구(12)에 연통된 급수구(21)를 구비하는 변기부(20), 상기 저수탱크부(10)에 설치되고, 상기 저수탱크부(10)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밸브조립체(30), 및 상기 저수탱크부(10)에 설치되고 상기 저수탱크부(10)에 저수된 물을 상기 변기부(20)로 공급하여 용변이 세척되게 하는 수세밸브조립체(40)를 포함하는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부(10)는, 상기 저면(11)의 내측면에 상기 배수구(12)의 외측 둘레에 링-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실링홈(13)을 포함하고;
    상기 수세밸브조립체(40)는,
    상기 저수탱크부(10)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배수구(12)를 포위하여 덮는 덮개판부(41);
    상기 덮개판부(41)의 둘레에 링-형상으로 아래로 돌출 형성되고 실링재(S)를 매개하여 상기 실링홈(13)에 삽입 및 수밀하게 고정되는 실링돌기(42);
    상기 배수구(12)에 연통되게 상기 덮개판부(41)에 좌우로 형성되고 상기 저수탱크부(10)로부터의 물이 상기 배수구(12)와 상기 급수구(21)를 통해 상기 변기부(20)로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1 밸브시트부(43a)와 제2 밸브시트부(43b);
    상기 제1 밸브시트부(43a)를 수밀하게 개폐하는 제1 개폐판부(44a), 상기 제1 개폐판부(44a)에 부력을 제공하는 제1 부력부(44b), 및 상기 제1 부력부(44b)의 하부중앙에 형성된 제1 통공(44c)을 포함하는 제1 수세밸브(44);
    상기 제2 밸브시트부(43b)를 수밀하게 개폐하는 제2 개폐판부(45a), 상기 제2 개폐판부(45a)에 부력을 제공하는 제2 부력부(45b), 상기 제2 부력부(45b)의 하부중앙에 형성된 제2 통공(45c), 및 상기 제2 개폐판부(45a)의 하측에 상기 제2 부력부(45b)의 측면에 형성된 제3 통공(45d)을 포함하는 제2 수세밸브(45);
    상기 배수구(12)에 연통되게 상기 덮개판부(41)에 형성되고 상기 저수탱크부(10) 내에서 상측으로 길게 신장되어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이 월류되게 하는 월류관부(46); 및
    상기 월류관부(46)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수세밸브(44)와 상기 제2 수세밸브(45)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핀부(4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부(10)와 상기 변기부(20)는 별도로 형성되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저수탱크부(10)는, 상기 저면(11)에 아래로 돌출 형성된 조립돌기(14)를 포함하고;
    상기 변기부(20)는, 상기 조립돌기(14)가 꼭 맞게 삽입되고 실링재(S)를 매개하여 상기 조립돌기(14)와 견고하고 수밀하게 끼워맞춤 조립되는 조립요부(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부(10)는, 후측 안쪽에 상기 저수탱크부(10)와 격리된 상태로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저수탱크부(10)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31)이 차폐 상태로 아래에서 위로 배관되는, 급수관배관로(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KR1020180008000A 2018-01-22 2018-01-22 양변기 KR101942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000A KR101942391B1 (ko) 2018-01-22 2018-01-22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000A KR101942391B1 (ko) 2018-01-22 2018-01-22 양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2391B1 true KR101942391B1 (ko) 2019-01-25

Family

ID=65280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000A KR101942391B1 (ko) 2018-01-22 2018-01-22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23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7398A (ko) * 2016-10-04 2018-04-12 양동훈 일체형 좌변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7398A (ko) * 2016-10-04 2018-04-12 양동훈 일체형 좌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920B1 (ko)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
KR101942391B1 (ko) 양변기
KR101910007B1 (ko) 일체형 좌변기
KR101789012B1 (ko) 유연성 트랩
KR20100011172U (ko) 세면대 배수관용 배수트랩
KR20210059288A (ko) 분리설치가 가능한 양변기
KR19990015952A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20050050967A (ko) 대,소변용 세척수의 분리 배수형 양변기
KR200372183Y1 (ko) 에너지절약형 변기
KR200150862Y1 (ko) 중수도를 이용하는 절수형 변기
KR20100126115A (ko) 절수형 변기
KR102375529B1 (ko) 세면수 재활용 절수기
KR200461190Y1 (ko) 탈착 가능한 보조탱크가 구비된 양변기
KR102309445B1 (ko) 분리설치가 가능한 가변식 절수양변기
KR200327321Y1 (ko)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KR200408973Y1 (ko)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KR200310562Y1 (ko) 절수형 변기
JPH0251014B2 (ko)
KR101833432B1 (ko) 좌변기
KR100499329B1 (ko) 자동개폐식 변기의 분뇨탱크
JP2002088882A (ja) 大便器
KR200331938Y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308725Y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306433Y1 (ko) 절수형 양변기의 분뇨개폐장치
KR200170953Y1 (ko) 수세식변기의 보충수 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