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321Y1 -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 Google Patents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321Y1
KR200327321Y1 KR20-2003-0020354U KR20030020354U KR200327321Y1 KR 200327321 Y1 KR200327321 Y1 KR 200327321Y1 KR 20030020354 U KR20030020354 U KR 20030020354U KR 200327321 Y1 KR200327321 Y1 KR 2003273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handle
mass
small amou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3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이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우 filed Critical 이정우
Priority to KR20-2003-00203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3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3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3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 E03D5/09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the flushing element, e.g. siphon bell, being actuated through a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세식변기의 세척수를 절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량세척용손잡이 및 소량세척용손잡이가 설치된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에 있어서,
중공축의 일단에는 대량세척레버가 장착되며 상기 축상에 공기개폐구가 형성되는 대량세척용손잡이, 일단은 막혀있고 타단은 개방된 중공축 상에는 상기 공기개폐구에 대응하는 공기구가 형성되어 상기 대량세척용손잡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함과 아울러 막혀있는 일단은 소량세척레버가 장착되며 개방된 타단은 돌출되는 소량세척용손잡이, 상기 대량세척용손잡이 및 상기 소량세척용손잡이가 삽입되어 상기 저수조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대량세척용손잡이 및 상기 소량세척용손잡이의 선회각도를 제한하는 고정부재캡, 상기 대량세척용손잡이 및 상기 소량세척용손잡이와 링크연결되며 내부에 공기실이 형성된 배수구마개, 상기 소량세척용손잡이 중공축의 돌출된 부위와 상기 배수구마개의 공기실을 연결하는 공기이송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를 제공하여 극히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고장과 오작동의 염려가 없으며 절수의 효과가 극대화 된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Water saving apparatus for a toilet bowl}
본 고안은 수세식변기의 세척수를 절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변 및 소변세척에 따라 변기 저수조에서 배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세식변기는 변기에 급수장치를 하여 오물이 물에 씻겨 내려가게 처리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용변후 변기 손잡이와 연계된 배수구마개를 열어 저수조의 물을 변기쪽으로 배수시켜 세척되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수세식변기는 수도물과 같은 생활용수의 낭비가 심하고, 오폐수의 과량배출로 수질환경오염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배수구마개를 일명 사이펀덮개라 불리는 고무물마개를 사용하여 대변세 척용손잡이와 소량세척용손잡이 작동시 고무물마개 내부의 공기실의 체적변화를 이용하여 부력의 차이에 의한 절수 효과를 꾀하는 절수기 등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절수기 등은 고무물마개의 제작이 복잡하며 고무물마개의 압축되는 부위의 오작동 등이 많아 그 성능이 쉽게 보장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변기 저수조에 대,소량세척용손잡이와 상기 대, 소량세척용손잡이에 형성된 공기개폐구 및 공기구의 상호 작용으로 인한 배수구마개 내의 공기량을 조절하여 중력의 차이에 의한 배수구마개의 하강속도를 조정하여 절수되는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전면부 사시도,
도 2는 상기 일실시예에 따른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후면부 사시도,
도 3a는 상기 일실시예에 따른 대량세척용손잡이 및 소량세척용손잡이의 분리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단면도,
도 4a는 상기 일실시에에 따른 배수구마개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단면도,
도 5a는 상기 일실시에에 따른 대량세척용손잡이 하향선회시 사용상태도,
도 5b는 상기 일실시에에 따른 소량세척용손잡이 하향선회시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대량세척용손잡이 11 : 대량세척레버
12 : 공기구 13 : 제1링크
20 : 소량세척용손잡이 21 : 소량세척레버
22 : 공기개폐구 23 : 제2링크
30 : 고정부재 34 : 고정부재캡
40 : 공기이송관 50 : 배수구마개
60 : 오버플로우관 70 : 배수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는 대변 및 소변세척에 따라 변기 저수조에서 배수되는 세척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대량세척용손잡이 및 소량세척용손잡이가 설치된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에 있어서,
중공축의 일단에는 대량세척레버가 장착되며 상기 축상에 공기개폐구가 형성되는 대량세척용손잡이, 일단은 막혀있고 타단은 개방된 중공축 상에는 상기 공기개폐구에 대응하는 공기구가 형성되어 상기 대량세척용손잡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함과 아울러 막혀있는 일단은 소량세척레버가 장착되며 개방된 타단은 돌출되는 소량세척용손잡이, 상기 대량세척용손잡이 및 상기 소량세척용손잡이가 삽입되어 상기 저수조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대량세척용손잡이 및 상기 소량세척용손잡이의 선회각도를 제한하는 고정부재캡, 상기 대량세척용손잡이 및 상기 소량세척용손잡이와 링크연결되며 내부에 공기실이형성된 배수구마개, 상기 소량세척용손잡이 중공축의 돌출된 부위와 상기 배수구마개의 공기실을 연결하는 공기이송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일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전면부 사시도이며, 도 2는 상기 일실시예에 따른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후면부 사시도이고, 도 3a는 상기 일실시예에 따른 대량세척용손잡이 및 소량세척용손잡이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단면도이고, 도 4a는 상기 일실시에에 따른 배수구마개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단면도이고, 도 5a는 상기 일실시에에 따른 대량세척용손잡이 하향선회시 사용상태도이며, 도 5b는 상기 일실시에에 따른 소량세척용손잡이 하향선회시 사용상태도이다.
본고안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는 이중구조로 되어있는 대량세척용손잡이(10) 및 소량세척용손잡이(10)를 구비한다.
대량세척용손잡이(10)는 중공축의 일단에 대량세척레버(11)가 일체로 형성되며 중공축 상에는 후술할 공기구(22)와 대응되는 위치에 공기개폐구(12)가 형성된다.
소량세척용손잡이(20)는 일단은 막혀있고 타단은 개방된 중공축으로 형성되어 대량세척용손잡이(10)의 중공축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며, 막혀진 일단에는 소량세척레버(21)가 일체로 형성되며 타단은 대량세척용손잡이(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소량세척용손잡이(20)는 중공축 상에 공기개폐구(12)의 대응하는 위치에 공기구(22)가 형성되며, 돌출된 끝단에는 후술할 이음구(41)가 삽입하여 공기이송관(40)과 결합된다.
대량세척용손잡이(10)와 소량세척용손잡이(2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100)에 고정결합되며 중공홈이 형성된 고정부재(3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이에 대량세척레버(11) 및 소량세척레버(21)는 저수조(100) 외측으로 설치되며 나머지 부분은 저수조(100) 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고정부재(30)에는 내부가 비어 있으며 원주면상의 일정부위가 절단된 고정부재캡(31)이 씌워진다.
고정부재캡(31)의 원주면상의 절단된 부위만큼 대량세척레버(11) 및 소량세척레버(21)의 선회각도가 제한된다.
대량세척용손잡이(10) 및 소량세척용손잡이(20)는 저수조(100) 내에 위치한 오버플로우관(60)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배수구마개(50)와 링크결합된다.
대량세척용손잡이(10)는 대량세척용손잡이(10)의 중공축에 결합되어 일체로 선회되는 제1링크(13)가 결합된다.
소량세척용손잡이(20)는 소량세척용손잡이(20)의 중공축에 결합되어 일체로 선회되는 제2링크(23)가 결합된다.
제1, 2링크(13, 23)는 각 끝단에서 줄로 연계되어 하나의 줄로 결합되고 다시 배수구마개(50)와 결합된다.
배수구마개(50)는 내부가 비어 있어 공기실(51)이 형성되어있으며, 상면에는소량세척용손잡이(20)의 끝단에 결합된 이음구(41)에서 연장된 배수관(40)과 연결되는 공기통로(52)가 형성되어 공기실(51)과 연결되고, 저면에는 고무패킹(53)이 부착되어 있다.
대량세척용손잡이(10) 및 소량세척용손잡이(20)가 미작동되는 기준위치에서는 공기구(22)가 공기개폐구(12)와 같은 자리에 위치하여 외부로 부터 공기구(22), 소량세척용손잡이(20)의 중공축, 공기이송관(40)을 통하여 배수구마개(50)의 공기실(51)까지 공기가 유입되게된다.
이에 대량세척용손잡이(10) 또는 소량세척용손잡이(20)를 하향선회시키면 각 중공축을 중심으로 지렛대의 원리로 제1링크(13) 또는 제2링크(14)는 상향선회되며, 제1링크(13) 및 제2링크(23)와 연계돤 줄을 끌어올려 배수구마개(50)가 오버플로우관(60)에 힌지결합축을 중심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그리하여 저수조(100) 내에 저장된 세척수가 배수구(70)를 통하여 변기측으로 배출된다.
또한 배수구마개(50)의 하부에는 흡입구(54)가 형성되어있어 대량세척용손잡이(10) 및 소량세척용손잡이(20)가 작동되면 배수구마개(50)가 들어올려지게되고 이에 흡입구(54)를 통해 세척수가 유입되게된다.
즉, 대량세척용손잡이(10)가 하향선회시에는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최초 기준위치에서 공기구(22)는 개방된 상태에서 대량세척용손잡이(10)가 선회됨에 따라 공기개폐구(12)도 따라서 선회되어 공기구(22)는 차단되고 이에 공기의 유출도차단됨으로 인해 배수구마개(50)의 공기실(51)에 공기가 차 있게 되고 배수구마개(50) 하부의 흡입구(54)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양이 적으므로 중력의 영향을 덜받아 하강속도가 느려져 배수구(70)를 통해 세척수가 충분히 배수된다.
소량세척용손잡이(20)가 하향선회시에는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최초 기준위치에서 공기구(22)는 개방된 상태에서 소량세척용손잡이(20)가 선회됨에 따라 공기구(22)도 따라서 선회되나 공기개폐구(12)의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므로 공기구(22)는 계속 개방되게 되고 이에 배수구마개(50) 하부의 흡입구를 통해 공기실(51)내에 대량의 물이 유입되면서 공기가 유출됨으로 인해 중력의 영향을 많이받아 배수구마개(50)의 하강속도가 빨라지므로 세척수가 대량세척용손잡이(10) 선회시보다 소량 배출되게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극히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고장과 오작동의 염려가 없으며 또한 절수의 효과가 극대화 된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대변 및 소변세척에 따라 변기 저수조에서 배수되는 세척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대량세척용손잡이 및 소량세척용손잡이가 설치된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에 있어서,
    중공축의 일단에는 대량세척레버가 장착되며 상기 축상에 공기개폐구가 형성되는 대량세척용손잡이;
    일단은 막혀있고 타단은 개방된 중공축 상에는 상기 공기개폐구에 대응하는 공기구가 형성되어 상기 대량세척용손잡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함과 아울러 막혀있는 일단은 소량세척레버가 장착되며 개방된 타단은 돌출되는 소량세척용손잡이;
    상기 대량세척용손잡이 및 상기 소량세척용손잡이가 삽입되어 상기 저수조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며 원주면상의 일정부위가 절단되어 상기 대량세척용손잡이 및 상기 소량세척용손잡이의 선회각도를 제한하는 고정부재캡;
    상기 대량세척용손잡이 및 상기 소량세척용손잡이와 링크연결되며 내부에 공기실이 형성된 배수구마개;
    상기 소량세척용손잡이 중공축의 돌출된 부위와 상기 배수구마개의 공기실을 연결하는 공기이송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KR20-2003-0020354U 2003-06-26 2003-06-26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KR2003273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354U KR200327321Y1 (ko) 2003-06-26 2003-06-26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354U KR200327321Y1 (ko) 2003-06-26 2003-06-26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321Y1 true KR200327321Y1 (ko) 2003-09-19

Family

ID=49415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354U KR200327321Y1 (ko) 2003-06-26 2003-06-26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32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517B1 (ko) * 2011-10-05 2012-02-20 주식회사 원호지더블에스 절수 시스템
KR101734848B1 (ko) 2015-12-09 2017-05-24 고덕순 좌변기 절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517B1 (ko) * 2011-10-05 2012-02-20 주식회사 원호지더블에스 절수 시스템
KR101734848B1 (ko) 2015-12-09 2017-05-24 고덕순 좌변기 절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0295B2 (ja) 溢れ防止補助水槽を有する洋風便器
JPWO2005085538A1 (ja) 水洗大便器
JP2020524235A (ja) 可変式節水型洋式便器の汚水排出装置
JP2006500496A (ja) 節水型洋風便器
KR100663920B1 (ko)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
KR100901186B1 (ko)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KR200327321Y1 (ko)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KR100225965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200439371Y1 (ko) 물 절감 좌변기
WO2007129864A1 (en) Chamberpot with auto controlling fill-valve for water saving
KR200262721Y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271548Y1 (ko) 절수형 양변기
KR101468884B1 (ko)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양변기
KR100384388B1 (ko) 절수형 양변기
KR101124613B1 (ko) 절수형 변기
KR200170953Y1 (ko) 수세식변기의 보충수 탱크
KR200432084Y1 (ko)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
KR100897560B1 (ko) 양변기의 물탱크를 개폐하는 물덮개
KR200389176Y1 (ko) 수세식 변기의 절수 장치
KR102186897B1 (ko) 변기용수배출장치
KR200335749Y1 (ko) 변기용 절수기
KR200210865Y1 (ko) 변기용 절수기
KR200306433Y1 (ko) 절수형 양변기의 분뇨개폐장치
KR200301112Y1 (ko) 절수용 사이폰
KR200176999Y1 (ko) 절수형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