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884B1 -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양변기 - Google Patents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884B1
KR101468884B1 KR20130085045A KR20130085045A KR101468884B1 KR 101468884 B1 KR101468884 B1 KR 101468884B1 KR 20130085045 A KR20130085045 A KR 20130085045A KR 20130085045 A KR20130085045 A KR 20130085045A KR 101468884 B1 KR101468884 B1 KR 101468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im
water tank
pipe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5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우승
이홍석
박준혁
Original Assignee
이수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인 (주) filed Critical 이수인 (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26Devices preventing overflow or locks inhibiting the use of the flushing system ; Devices preventing sucking-up of sealing and flushing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40Devices for distribution of flush water inside the bowl

Abstract

세척수가 지속적으로 세척보울을 넘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를 구비하는 양변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분사펌프를 구비하는 양변기는 내부의 수위에 따라서 급수를 개폐하는 볼탭을 통하여 일정량의 세척수를 보유하는 물탱크; 상기 볼탭에서 공급되는 급수를 공급받는 림 수로와 림 토출구가 림의 내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물탱크와는 측면수로로 연결되는 세척보울; 상기 물탱크 하부의 측면수로 배출구를 개폐하는 물덮개; 상기 볼탭과 상기 림 수로 사이에 배치되며, 급수와 물탱크에 저장된 세척수를 합친 혼합 세척수를 림 수로에 공급하는 분사펌프; 상기 분사펌프의 분사노즐과 스로트 사이에 볼 안내관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할 수 전환볼; 및 상기 전환볼의 상부 위치하여, 설정 시간에 하강하여 전환볼을 분사노즐에 인입하여 급수를 전환하게 하는 누름물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누름 물통을 구비하여 원피스 양변기에 오물이 막힌 경우에도 세척보울의 외부로 세척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양변기{JET PUMP FOR PREVENTING OVERFLOWING AND TOILET STOO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수가 지속적으로 세척보울을 넘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양변기는 볼탭을 통하여 세척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물탱크와 변기본체로 이루어지며, 세척수는 물탱크에 설치된 조작레버의 작동에 의해 물덮개가 열리게 되면 변기본체측으로 배출되어 오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양변기는 물탱크와 변기본체가 분리되어 있는 투피스(two-piece) 양변기와 물탱크와 변기본체가 일체로 형성되고 물탱크 정상수위가 본체보다 낮은 원피스(one-piece) 양변기로 구별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주택 고급화로 디자인 측면에서 고급스러운 원피스 양변기인 물탱크 일체형 양변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원피스 양변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원피스 양변기의 세척대기 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볼탭의 설치방향을 바꾸어 도시하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변기 본체 도기(19)는 세척공간인 세척보울(18)과 일체로 물탱크(9)가 형성되어 있으며, 물탱크(9)와 세척보울(19)은 측면수로(29)로 연결된다.
이러한 양변기는 물탱크(9)의 정상수위(WL)가 세척보울(18)보다 낮기 때문에 세척보울(18)의 벽면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물탱크(9) 내의 급수관(7)에서 급수를 공급 받아 물탱크의 수위에 따라 급수의 개폐, 및 림측 또는 물탱크측으로 급수를 전환하는 기능을 갖는 볼탭(17)이 배치된다. 볼탭(17)에는 림연결관(21)을 통하여 변기본체의 림수로(22)로 연결된다. 물탱크(9)의 하부에는 측면수로(29)를 개폐하는 물덮개(13)가 배치되며, 물덮개(13)는 연결줄(14)을 통하여 핸드레버 링크(15)와 연결된다. 핸드레버 링크(15)는 물탱크 외부의 핸들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물덮개(13)를 개폐한다.
세척보울(18)의 상부 측면으로는 림수로(22)와 연결되는 림 토출구(25)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로는 오물을 배출하는 배출구(30)가 배치된다. 림수로(22)를 통하여 림 토출구(25)는 볼탭(17)에서 공급되는 급수를 세척보울의 벽면으로 토출한다. 배출구(30)와 대향하여 측면수로(29)와 연결되는 제트 분사구(27)가 배치된다. 제트 분사구(27)는 물탱크(9)에 저장된 세척수를 정상수위(WL)의 낙차를 이용하여 오물을 강하게 밀어내며 세척보울(18)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도기 밖으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양변기의 세척 방식을 제트 사이펀형 양변기라고 한다.
물탱크 내의 세척수가 정상수위(WL)에서 바닥수위(DL)까지 설정된 양만큼 측면수로(29)로 빠져나가면 물덮개(13)는 닫히고 측면수로(29)를 차단한다. 이때 볼탭(17)은 전환부(16)를 통하여 급수를 림수로(22)측에서 물탱크측 급수 공급관(31)으로 전환하여 공급하여 물탱크(9)에 세척수를 채운다. 세척수가 설정된 정상수위(WL)만큼 차오르면 볼탭(17)에 연결된 수위감지 부구(33)의 작용으로 볼탭(17)은 급수를 차단하고 다음 동작을 대기한다. 상술한 양변기의 구조는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96-2280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전환볼탭은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1998-2801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원피스 양변기는 배출트랩과 제트 분사구(27)의 전면에 오물이 막히는 경우에 세척수가 지속적으로 세척보울(18)을 넘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넘침 현상에 대하여는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814681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간략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종래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피스 양변기의 넘침 현상을 설명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오물이 세척보울(18)에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세척 작동을 하기 전의 단면도이다. 물탱크(9)의 수위는 물탱크에 세척수가 가든 찬 상태인 정상수위(WL)를 유지한다. 도면부호 'DL'은 바닥수위로서 물탱크의 세척수가 완전히 빠져나가서 볼탭(17)에서 림과 물탱크측으로 급수전환이 이루어지면서 물덮개(13)가 닫히는 수위이다. 세척보울(18)의 수위(BWL)는 정상상태를 유지한다.
오물을 세척하기 위해 사용자가 핸들(12)을 작동시키게 되면, 물덮개(13)는 상부로 회전하여 물탱크(9)의 측면수로(29)를 개방한다. 물탱크(9)에 저장된 세척수는 측면수로(29)를 통하여 세척보울(18)의 제트 분사구(27)로 배출되어 오물 및 세척보울 내부의 물은 도기의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한다. 사이펀 작용으로 오물과 함께 세척수가 배출트랩(42)으로 넘어가면서 세척보울의 수위(BWL)가 낮아지는데, 이때 배출되는 오물이 배출트랩(42)의 내부에 걸려서 막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배출트랩(42)이 막힌 상태에서 볼탭(17)에서 림측으로 공급되는 급수는 세척보울(18)에 계속 공급되고, 배출트랩(42)은 오물의 막힘으로 소량의 배출수만 빠져나가기 때문에 세척보울(18)의 수위는 지속적으로 상승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세척보울(18)의 수위(BWL)는 계속 상승하는 반면에, 물탱크(9)의 수위(TWL)는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세척보울의 수위(BWL)는 도기(19) 최상단을 넘어 외부로 넘치는 형상이 발생한다. 한편, 볼탭(17)에서 림측으로의 급수는 림수로(22) 및 림 토출구(25)를 통하여 계속 토출되면서 외부 넘침 현상은 계속된다.
외부 넘침 현상은 물탱크(9)의 수위(TWL)가 서서히 상승되어 정상수위(WL)에 도달하여 볼탭(17)은 급수를 중단하면서 멈추게 된다.
하지만, 외부 넘침 현상은 주기적으로 반복하게 되는데, 상술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814681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넘침 현상은 물탱크의 수위가 바닥수위(DL)까지 내려가지 않은 상태에서, 볼탭(17)이 물탱크측으로 급수전환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반복하여 림측으로 급수를 공급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주기적인 넘침 현상 하에서는 물덮개(13)는 항상 자체 부력 때문에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역시 물덮개(13)는 물탱크(9)의 수위가 바닥수위(DL)까지 내려간 상태에서 닫힐 수 있는데, 주기적인 넘침 현상 하에서는 물탱크의 수위는 바닥수위(DL)까지 내려가지 않는다.
한편, 본 출원인은 상술한 원피스 양변기의 림세척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10-483510호 및 대한민국 특허등록 10-555834호에서 물탱크 일체형 양변기의 볼탭과 림 수로 사이에 분사펌프를 개재하여 급수관에서 공급되는 급수와 물탱크 내의 세척수가 합쳐진 혼합 세척수를 림 수로에 공급하는 분사펌프를 포함하는 양변기를 개시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2004-36347호에도 분사펌프를 이용한 양변기가 개시되어 있다.
도 4는 종래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펌프를 이용한 원피스 양변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볼탭(60)과 림수로(22) 사이에 분사펌프(50)가 개재되어 있다. 여기서 볼탭(60)은 물탱크 수위에 따라서 급수를 단순 개폐하는 작용을 하며, 물탱크측과 림측으로의 전환기능은 분사펌프에 구비되어 있다.
도 5는 종래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펌프를 이용한 원피스 양변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볼탭(17)과 림 수로(22) 사이에는 분사펌프(51)가 개재되어 있다. 여기서 볼탭(17)은 물탱크 수위에 따라서 급수를 개폐하는 작용뿐만 아니라, 물탱크측과 림측으로의 전환부(16)를 갖는 전환볼탭이다.
그런데, 이러한 분사펌프를 이용한 양변기에서도 주기적인 넘침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분사펌프를 이용한 양변기에서도 물탱크 측과 림측으로의 급수전환은 물탱크의 수위가 바닥 수위(DL)까지 내려가야지 급수를 전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주기적인 넘침 방지를 방지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814681호인 "넘침 방지 보조수조를 갖는 양변기"에서, 넘침 방지 보조수조를 구비하여 원피스 양변기에 오물이 막힌 경우에도 세척보울의 외부로 세척수가 넘치는 경우를 방지하는 양변기를 개시하였다.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넘침 방지 보조수조(17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넘침 방지 보조수조(170)는 양변기 물탱크 내에 설치되는 보조수조로서, 분사펌프를 내부에 장착하며, 외부와 소통하는 개구부(171)와 개구부(171)의 일방향 흐름만 개방하는 판형 체크밸브(172)를 구비한다. 넘침 방지 보조수조(170)의 높이는 물탱크의 정상수위보다 높으며, 보조수조 내부에서 물탱크측으로 일방향 개방만 가능한데, 보조수조의 수위가 물탱크 수위보다 높으면 개방되어 보조수조 내부의 물을 물탱크측으로 보내고, 물탱크측의 수위가 높으면 보조수조로의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정상적인 양변기 작동 중에는 급수가 보조수조(170)에 먼저 채워지고 개구부(171)와 판형 체크밸브(172)를 경유하여 물탱크에 세척수를 저장하게 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173', '174'는 분사펌프로의 급수 인입관 및 림측으로의 출구관을 삽입하는 개구부이며, 도면부호 '175'는 보조수조(170)를 물탱크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볼트이다.
이와 같은 넘침 방지 보조수조는 사이펀 작용으로 오물과 함께 세척수가 배출트랩으로 넘어갈 때, 배출되는 오물이 배출트랩 내부에 걸려서 막히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주기적인 외부 넘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보조수조(170) 내의 수위가 분사펌프의 흡입작용으로 인하여 바닥수위(DL)까지 내려가므로, 림측으로의 급수 공급을 보조수조 측으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넘침 방지 보조수조를 갖는 양변기는, 보조수조가 물탱크 내부에 별도로 형성되어 부피를 많이 차지한다. 이로 인하여 제작 비용이 증가하고, 물탱크 내부 활용에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814681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원피스 양변기에 오물이 막힌 경우에도 세척보울의 외부로 세척수가 넘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양변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피를 적게 차지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양변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림측에 제공되는 보충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보충수 조절 수단을 갖는 분사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양변기를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는 급수를 공급받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과 연결되어 급수를 분출하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에 대향 배치되는 스로트; 상기 스로트와 연결되는 확대관 및 림연결부; 상기 분사노즐과 상기 스로트 사이에서 분사노즐의 급수 분출에 따라 분사노즐의 급수와 물탱크 내의 세척수로 구성되는 혼합 세척수를 상기 스로트로 유입되도록 하는 외부로 통공된 유입구; 상기 분사노즐의 앞을 차단하여 물탱크측 또는 림측으로의 급수를 전환하는 급수전환부재; 및 상기 급수전환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물통을 일정량 채우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설정하여, 이 설정된 시간에 상기 급수전환부재를 물탱크측으로 전환하는 누름 물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확대관에는 유입관이 형성되어, 분사펌프가 림측으로 급수를 전환하여 확대관을 통하여 림측 급수가 이루어질 때, 일부 급수는 유입관과 이와 연결되는 호스를 통하여 상기 누름 물통의 물통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통에 물을 채우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급수 전환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급수 전환밸브는 하면에 인입공과 측면의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부에 전환밸브 조절축이 결합된 전환밸브 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확대관에 형성된 유입관과 이와 연결되는 호스는 상기 전환밸브 몸체의 인입공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누름 물통은, 하부에 배수공이 형성된 물통; 상기 배수공을 개폐하는 개폐판; 상기 물통의 하부에 연장되어 배치되는 누름판; 및 상기 물통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급수전환부재는 상기 분사노즐과 스로트 사이에는 볼이 삽입된 볼 안내관이 소정길이만큼 위로 연장되어서, 수위에 따라서 급수를 저수조와 림측으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한 다른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분사펌프를 구비하는 양변기는 내부의 수위에 따라서 급수를 개폐하는 볼탭을 통하여 일정량의 세척수를 보유하는 물탱크; 상기 볼탭에서 공급되는 급수를 공급받는 림 수로와 림 토출구가 림의 내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물탱크와는 측면수로로 연결되는 세척보울; 상기 물탱크 하부의 측면수로 배출구를 개폐하는 물덮개; 상기 볼탭과 상기 림 수로 사이에 배치되며, 급수와 물탱크에 저장된 세척수를 합친 혼합 세척수를 림 수로에 공급하는 분사펌프; 상기 분사펌프의 분사노즐과 스로트 사이에 볼 안내관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할 수 전환볼; 및 상기 전환볼의 상부 위치하며, 물통을 일정량 채우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설정하여, 이 설정된 시간에 하강하여 전환볼을 분사노즐에 인입하여 급수를 전환하게 하는 누름 물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확대관에는 유입관이 형성되어, 분사펌프가 림측으로 급수를 전환하여 확대관을 통하여 림측 급수가 이루어질 때, 일부 급수는 유입관과 이와 연결되는 호스를 통하여 상기 누름 물통의 물통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통에 물을 채우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급수 전환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급수 전환밸브는 하면에 인입공과 측면의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부에 전환밸브 조절축이 결합된 전환밸브 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확대관에 형성된 유입관과 이와 연결되는 호스는 상기 전환밸브 몸체의 인입공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사펌프의 확대관은 하부 확대관에 상부 확대관이 끼워진 상태에서 확대관 고정핀에 의하여 고정되며, 상기 확대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누름 물통은 하부에 배수공이 형성된 물통, 상기 배수공을 개폐하는 개폐판, 물통의 하부에 배치되는 누름판, 및 물통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또 다른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분사펌프를 구비하는 양변기는 내부의 수위에 따라서 급수를 개폐하는 볼탭을 통하여 일정량의 세척수를 보유하는 물탱크; 상기 볼탭에서 공급되는 급수를 공급받는 림 수로와 림 토출구가 림의 내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물탱크와는 측면수로로 연결되는 세척보울; 상기 물탱크 하부의 측면수로 배출구를 개폐하는 물덮개; 상기 볼탭과 상기 림 수로 사이에 배치되며, 급수와 물탱크에 저장된 세척수를 합친 혼합 세척수를 림 수로에 공급하는 분사펌프; 및 상기 분사펌프의 확대관의 단부에 하부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보충수 조절공, 상기 보충수 조절공이 형성된 확대관의 둘레에는 형성된 보충수 조절홈을 구비하여, 상기 보충수 조절홈에 상기 보충수 조절링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보충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확대관의 상부에 형성된 통기공을 더 포함하여, 상기 확대관 내부의 진공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누름 물통을 구비하여 원피스 양변기에 오물이 막힌 경우에도 세척보울의 외부로 세척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림측에 제공되는 보충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원피스 양변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원피스 양변기의 세척대기 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피스 양변기의 넘침 현상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펌프를 이용한 원피스 양변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펌프를 이용한 원피스 양변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넘침 방지 보조수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를 나타내는 다른 각도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를 양변기에 설치한 평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를 구비하는 양변기의 정상적인 수세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19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를 구비하는 양변기의 오물에 막힌 경우의 수세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충수 조절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충수를 많이 공급하는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충수를 적게 공급하는 경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분사펌프는 수로 전환기능이 전환볼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수로 전환기능을 갖는 급수전환부재에 응용할 수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63721호 및 제1163722호에서 사용된 회전하는 수로개폐부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200)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결합 사시도이며, 도 9는 다른 각도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10은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분사펌프(200)는 볼탭 연결관과 접속하는 연결관(210), 분사노즐(215), 스로트(220), 및 확대관(230)을 포함하며, 분사노즐(215)과 스로트(220)의 사이에는 유입구(2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사노즐(215)과 스로트(220) 사이에는 볼 안내관(260)이 소정길이만큼 위로 연장되어 있으며, 볼 안내관(260)의 내부에는 전환볼(270)이 삽입되어 있다. 전환볼(270)이 삽입된 볼 안내관(260)의 상부에는 걸림턱(26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환볼(270)은 스로트(220)보다는 직경이 크며, 물보다 밀도가 작을 수 있다.
볼탭과 분사펌프의 분사노즐(215)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210)의 맞은 편에는 분사노즐의 수압을 조절할 수 있는 분배기 장치(280)가 배치될 수 있는데, 분배기 장치(280)에 의한 수압조절은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555834호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볼 안내관(260)의 상부로는 누름 물통(300)이 배치되어 넘침 방지 기능을 수행한다. 누름 물통(300)은 하부에 배수공(311)이 형성된 물통(310), 상기 배수공(311)을 개폐하는 개폐판(313), 물통의 하부에 배치되는 누름판(315), 및 물통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구(317)를 포함한다. 물통(310)은 볼 안내관(260)을 따라서 하강하면, 걸림턱(261)에 걸려서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며, 이때 개폐판(313)은 배수 받침대(319, 도 10 참조)에 의하여 배수공(311)을 개방하게 되어서 물통(310)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누름 물통(310)은 전환볼(270)을 강제로 하강시켜 분사펌프의 급수를 전환시킬 수가 있는데, 이를 위하여 물통에 물을 채울 수 있는 급수 전환밸브(500)를 구비한다.
급수 전환밸브(500)는 하면에 인입공(511)과 측면의 배출공(513)이 형성되며 상부에 전환밸브 조절축(515)이 결합된 전환밸브 몸체(510), 및 상기 확대관(230)에 형성된 유입관(517)과 전환밸브 몸체(510)의 인입공(511)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인 전환밸브 앨보관(518), 및 호스(519)로 구성된다. 전환밸브 조절축(515)은 상부에 조절나사(516)가 형성되어 전환밸브 몸체(510)의 배출공(513)으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누름 물통(300)의 물통(310)을 일정량 채우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분사펌프의 확대관(230)은 하부 확대관(231)에 상부 확대관(232)이 끼워진 상태에서 확대관 고정핀(236)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확대관 고정핀(236)은 상부 확대관(232)의 삽입홀(233)을 관통하면서, 하부 확대관(232)의 끼움홈(234)에 끼워져서 하부 확대관(232) 및 상부 확대관(232)을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하부 확대관(232)의 표면에는 다수의 끼움홈(234)이 형성되어 확대관(230)의 길이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확대관(230)에는 상술한 유입관(517)이 형성되어, 분사펌프가 림측으로 급수를 전환하여 확대관(230)을 통하여 림측 급수가 이루어질 때, 일부 급수는 유입관(517)과 이와 연결되는 호스(519) 및 전환밸브 몸체(510)를 통하여 상기 누름 물통(300)의 물통(310)에 제공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물통(310)으로 급수를 유입시키는 방법으로, 볼탭 연결관과 접속하는 연결관(210)에 유입관(517)을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급수의 수압이 높아 적절한 양의 물을 유입시키기 위해서는 유입관(517)의 지름이 너무 작아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실제 실험에서 약간의 모래 알갱이를 급수에 혼입시키면 유입관(517)이 막혀서 물통으로의 급수 공급이 중단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일반적인 신축 건물의 급수 배관에서 초기에 나올 수 있는 작은 이물질에 대해서도 원활히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유입관(517)의 지름이 적절한 크기(2mm 이상)를 가져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적절히 감압된 급수 위치로 확대관(230) 부위를 선정한 것이다. 이곳은 토출압력이 직수의 수압보다는 매우 낮아 유입관(517)의 지름을 3~4mm 정도로 실현할 수 있다.
상부 확대관(232)은 상부로 연장되면서 단부는 림측 방향으로 꺾어져 있는데, 단부의 하부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보충수 조절공(237)이 형성되며, 보충수 조절공(237)이 형성된 확대관의 둘레에는 보충수 조절홈(23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충수 조절홈(239)에는 보충수 조절링(240)이 결합되어 보충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부 확대관(232)의 상부에는 통기공(235)을 더 포함하여, 상기 확대관 내부의 진공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확대관(230)의 단부와 림 수로는 림 연결관(290)을 삽입하여 클램프와 같은 체결수단(295)으로 고정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700'은 분사펌프를 보호하는 덮개이다.
이하,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를 이용한 넘침 방지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를 양변기에 설치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2에서의 단면도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각 구성부분을 전개한 물탱크 내부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변기 본체 도기(119)는 세척공간인 세척보올(118)과 일체로 물탱크(109)가 형성되어 있으며, 물탱크(109)와 세척보올(118)은 측면수로(129)로 연결된다. 물탱크(109) 내에는 급수관(107)에서 급수를 공급받아 물탱크의 수위에 따라 급수를 개폐하는 단순 볼탭(180)이 배치되어 있다. 볼탭(180)과 림수로(122) 사이에는 분사펌프(200)가 개재되어 있다. 물탱크측과 림측으로의 전환기능은 분사펌프(200)에 구비되어 있으며, 분사펌프의 확대관(230)은 림 연결관(290)을 통하여 림수로(122)로 연결된다.
물탱크(109)의 하부에는 측면수로(129)를 개폐하는 물덮개(113)가 배치되며, 물덮개(113)는 연결줄(114)을 통하여 핸드레버 링크(115)와 연결된다. 핸드레버 링크(115)는 물탱크 외부의 핸들(112)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물덮개(113)를 개폐한다.
세척보울(118)의 상부 측면으로는 림수로(122)와 연결되는 토출구(125)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로는 오물을 배출하는 배출구(130)가 배치된다. 림수로(122)를 통하여 토출구(125)는 분사펌프로 공급되는 급수를 세척보울(118)의 벽면으로 토출한다. 배출구(130)와 대향하여 측면수로(129)와 연결되는 제트 분사구(127)가 배치된다. 제트 분사구(127)는 오물을 강하게 밀어내며 세척보울(118)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도기(119) 밖으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12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를 구비하는 양변기의 정상적인 수세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세척 작동을 하기 전의 단면도이다. 물덮개(113)는 닫혀있으며, 물탱크(109)의 수위는 물탱크에 세척수가 가득 찬 상태인 정상수위(WL)를 유지하며, 볼탭(180)은 지수상태이다. 물통(310) 속은 비어 있으며, 물통 개폐판(313)은 자중에 의하여 배수공(311)을 닫은 상태이다. 분사펌프의 전환볼(270)과 물통(310)은 볼 안내관(260)에 구속되어 부력에 의해 떠오른 상태이다. 도면부호 'DL'은 바닥수위로서 물탱크의 세척수가 완전히 빠져나가서 물탱크측으로 급수전환이 이루어지면서 물덮개가 닫히는 수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오물을 세척하기 위해 사용자가 핸들(112)을 작동시키게 되면, 이 핸들(112)에 연결된 물덮개(113)가 상부로 회전하여 측면수로(129)를 개방하게 된다. 핸들(112)은 원상태로 복귀하지만, 물덮개(113)는 자체 부력으로 인하여 열림을 유지하여, 물탱크에 저장된 세척수는 측면수로(129)를 통하여 세척보울의 제트 분사구로 배출되어 오물 및 세척보울 내부의 물은 도기의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한다. 물탱크(109)의 수위(TWL)가 볼탭(180)의 급수 개방 수위까지 하강하게 되면, 볼탭(180)이 급수 공급을 개시한다. 볼탭(180)에서의 급수는 연결호스(161)를 경유하여 분사펌프의 노즐(215)에서 분사된다. 분사된 급수는 물탱크 내부의 주변의 물을 흡입하여 분사펌프의 스로트(220)와 확대관(230)을 경유하여 도기의 림수로(122)에 림 세척수를 공급한다. 림 수로(122)를 통해 림 세척수가 급수되어 림 저부의 토출구를 통해 세척수가 분사되어 도기의 세척보울의 벽면을 세척한다.
한편, 확대관(23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일부는 유입관(517)과 호스를 통해 분사펌프의 상단에 있는 전환밸브(500)측으로 공급되고, 전환밸브의 배출공(513)으로부터 물통(310)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물통(310)에는 물이 차오르기 시작하지만, 물통(310)에 연결된 부구의 부력에 의하여 물에 떠 있는 상태이며, 물통 개폐판(313)은 닫혀있는 상태이다. 전환볼(270) 역시 부력에 의하여 볼 안내관(260)을 따라서 떠 있는 상태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물탱크의 수위(TWL)는 서서히 하강하면서, 물덮개(113)는 서서히 닫히고 있다. 볼탭(180)에서는 급수가 지속되고 있으며, 볼탭의 급수는 연결호스(161)를 경유하여 분사펌프(200)의 노즐(215)에서 계속 분사된다. 분사된 급수는 물탱크 내부의 주변의 물을 흡입하여 분사펌프의 스로트(220)와 확대관(230)을 경유하여 도기의 림수로(122)에 림 세척수를 공급한다.
한편, 확대관(23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일부는 유입관(517)과 호스를 통해 분사펌프의 상단에 있는 전환밸브(500)측으로 공급되고, 전환밸브의 배출공(513)으로부터 물통(310)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물통(310)에는 물이 차오르고 있으며, 물통 개폐판(313)은 닫혀있는 상태이다. 전환볼(270)은 물탱크의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서 같이 하강하고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물탱크의 수위(TWL)는 바닥수위(DL)에 도달하며, 물덮개(113)는 완전히 닫힌다. 이때, 전환볼(270)이 노즐(215) 앞쪽으로 빨려들어가면서 림측으로의 급수를 차단하면서, 볼탭(180)에서 계속 공급되는 급수는 물탱크측으로 전환된다. 전환볼(270)이 림측으로의 급수를 차단하지만, 일부의 급수는 확대관(230)을 통하여 보충수로서 공급된다. 하지만, 확대관(230)에서 유입관(517)과 호스를 통해 분사펌프의 상단에 있는 전환밸브(500)측으로 공급되는 급수는 차단되어 전환밸브는 작동을 멈추게 된다. 물통(310)은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며, 개폐판(313)은 닫혀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전환볼(270)이 노즐(215) 앞쪽으로 구속되어서 볼탭(180)에서 계속 공급되는 급수는 물탱크측으로 전환되어서, 물탱크의 수위(TWL)는 상승한다. 물통(310)은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면서, 볼 안내관(260)의 걸림턱(261)에 걸리게 되며, 이때 개폐판(313)은 하부의 배수 받침대(319)에 의하여 배수공이 개방되며, 물통(310)에 채워진 물은 아래로 배수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전환볼(270)이 노즐(215) 앞쪽으로 구속되어서 볼탭(180)에서 계속 공급되는 급수는 물탱크측으로 전환되어서, 물탱크의 수위(TWL)는 지속적으로 상승한다. 한편, 물통(310)에 채워진 물은 모두 비워지며 부력에 의해 상승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물탱크의 수위(TWL)가 정상수위(WL)에 도달하면, 볼탭(180)에서 공급되는 급수는 지수되며, 이에 따라 노즐(215)에 공급되는 급수도 멈추게 된다. 노즐(215) 앞쪽으로 구속되었던 전환볼(270)이 부력에 의해 떠오르며, 물통(310)도 부구 부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상승하여, 다음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도 19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를 구비하는 양변기의 오물에 막힌 경우의 수세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들이다. 사용자가 세척 작동을 하기 전의 상태는 상술한 도 12와 동일하다. 즉, 물덮개는 닫혀있으며, 물탱크의 수위는 물탱크에 세척수가 가득 찬 상태인 정상수위(WL)를 유지하며, 볼탭은 지수상태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오물을 세척하기 위해 사용자가 핸들(112)을 작동시키게 되면, 이 핸들(112)에 연결된 물덮개(113)가 상부로 회전하여 측면수로(129)를 개방하게 된다. 핸들(112)은 원상태로 복귀하지만, 물덮개(113)는 자체 부력으로 인하여 열림을 유지하여, 물탱크에 저장된 세척수는 측면수로(129)를 통하여 세척보울의 제트 분사구로 배출되는데, 이때 오물이 배출트랩 등에 막혀 있는 상태이므로 정상 작동상태처럼 현격한 물탱크의 수위의 하강이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물탱크(109)의 수위(TWL)가 볼탭(180)의 급수 개방 수위까지 하강하게 되면, 볼탭(180)이 급수 공급을 개시한다. 볼탭(180)에서의 급수는 연결호스(161)를 경유하여 분사펌프(200)의 노즐(215)에서 분사된다. 분사된 급수는 물탱크 내부의 주변의 물을 흡입하여 분사펌프의 스로트(220)와 확대관(230)을 경유하여 도기의 림수로(122)에 림 세척수를 공급한다. 림 수로(122)를 통해 림 세척수가 급수되어 림 저부의 토출구를 통해 세척수가 분사되어 도기의 세척보울의 벽면을 세척한다.
한편, 확대관(23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일부는 유입관(517)과 호스를 통해 분사펌프의 상단에 있는 전환밸브(500)측으로 공급되고, 전환밸브의 배출공(513)으로부터 물통(310)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물통(310)에는 물이 차오르기 시작하지만, 물통(310)에 연결된 부구의 부력에 의하여 물에 떠 있는 상태이며, 물통 개폐판(313)은 닫혀있는 상태이다. 전환볼(270) 역시 부력에 의하여 볼 안내관(260)을 따라서 떠 있는 상태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배출트랩 등이 막힌 상태에서 볼탭(180)에서의 급수는 연결호스(161)를 경유하여 분사펌프(200)의 노즐(215)에서 분사된다. 분사된 급수는 물탱크 내부의 주변의 물을 흡입하여 분사펌프의 스로트(220)와 확대관(230)을 경유하여 도기의 림수로(122)에 림 세척수를 공급한다. 따라서, 분사펌프(200)에서 물탱크(109)의 물을 흡입하여 세척보울(미도시)에 계속 공급되고, 배출트랩은 오물의 막힘으로 소량의 배출수만 빠져나가기 때문에 세척보울(미도시)의 수위는 지속적으로 상승한다. 이때, 물탱크측의 수위는 세척보울(미도시)의 수위의 상승으로 인하여 내려가지 않고 정체 상태에 있게 된다.
한편, 물통(310)에서는 전환밸브(500)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이 지속적으로 차오르고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볼탭(180)에서의 급수는 연결호스(161)를 경유하여 분사펌프(200)의 노즐(215)에서 분사되며, 분사된 급수는 물탱크 내부의 주변의 물을 흡입하여 분사펌프의 스로트(220)와 확대관(230)을 경유하여 도기의 림수로(122)에 림 세척수를 공급한다. 하지만, 배출트랩은 오물의 막힘으로 소량의 배출수만 빠져나가기 때문에 세척보울(미도시)의 수위는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세척보울의 수위는 물탱크측의 수위보다 높아지게 되어 물탱크측으로 역류가 발생한다. 나아가, 세척보울(미도시)이 림측으로의 지속적인 급수에 의하여 넘치려 한다.
한편, 물통(310)에서는 전환밸브(500)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로 다 채워지게 되며, 물통(310)이 부력을 이기고 하강하게 된다.
도 22를 참조하면, 물통(310)이 하강하면서 그 하부의 전환볼(310)을 누름판(315)이 밀게되며, 이때 전환볼(270)이 노즐(215) 앞쪽으로 빨려들어가면서 림측으로의 급수를 차단하면서, 볼탭(180)에서 계속 공급되는 급수는 물탱크측으로 전환된다. 전환볼(270)이 림측으로의 급수를 차단하지만, 일부의 급수는 확대관(230)을 통하여 보충수로서 공급된다. 하지만, 확대관(230)에서 유입관(517)과 호스를 통해 분사펌프의 상단에 있는 전환밸브(500)측으로 공급되는 급수는 차단되어 전환밸브는 작동을 멈추게 된다.
한편, 물통(310)은 볼 안내관(260)의 걸림턱(261)에 걸리게 되며, 이때 개폐판(313)은 하부의 배수 받침대(319)에 의하여 배수공이 개방되며, 물통(310)에 채워진 물은 아래로 배수된다.
도 23을 참조하면, 전환볼(270)이 볼탭(180)의 급수를 물탱크측으로 전환하여 물탱크(109)에 세척수가 차오르게 된다. 물덮개(113)는 열려있거나 또는 자동 닫힘으로 닫히게 된다. 물덮개(113)의 자동 닫힘은 물덮개의 부력을 제거하도록 한 경우로서, 이에 대하여는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42589호, 제897560호, 및 제1230354호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물통(310)은 물통에 채워진 물이 모두 배수되어 부구의 부력에 의하여 상승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물탱크의 수위(TWL)가 정상수위(WL)에 도달하면, 볼탭(180)이 급수를 차단한다. 전환볼(270)과 물통(310)은 부력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상승한다.
이와 같이, 원피스 양변기의 배출 트랩 등에 막힘이 없는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물덮개가 열려 물탱크 내 세척수가 배출되어 수위가 하강되어 수위에 의한 급수전환이 일어나지만, 배출 트랩 등에 막힘이 있는 상태에서는 물탱크에 있는 세척수가 제대로 배출되지 않고 수위는 그대로인 상태이므로 급수전환이 일어나지 않아 계속 림측으로 세척수를 공급하여 이는 세척보울의 넘침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배출 트랩이 막힌 경우에도 누름 물통(300)의 물통(310)을 일정량 채우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설정하여, 그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물통(310)에 의하여 강제로 급수를 전환시켜 림측으로 하는 세척수의 공급을 끊어 변기가 막힌 경우에도 넘침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보충수 조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충수 조절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6 및 도 27은 도 25를 A-A'로 취한 단면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확대관(230)은 상부로 연장되면서 단부는 림측 방향으로 꺾어져 있는데, 단부의 하부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보충수 조절공(237)이 형성되며, 보충수 조절공(237)이 형성된 확대관의 둘레에는 보충수 조절홈(23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충수 조절홈(239)에는 보충수 조절링(240)이 결합되어 보충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확대관(230)의 상부에는 통기공(235)을 형성하여 확대관(230) 내부의 진공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충수를 많이 공급하는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보충수 조절링(240)을 회전시켜서 보충수 조절공(237)을 막게 되면, 림측으로 공급되는 보충수의 유실이 없으므로, 세척보울에 상대적으로 많은 보충수가 공급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충수를 적게 공급하는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보충수 조절링(240)을 회전시켜서 보충수 조절공(237)을 열게 되면, 림측으로 공급되는 보충수의 일부가 물탱크 쪽으로 다시 유실이 되므로, 세척보울에 상대적으로 적은 보충수가 공급될 수 있다.
그런데, 정상적인 세척 상태에서 림 세척수가 보충수 조절공(237)으로 유실됨으로 림 세척수의 부족을 우려할 수 있다. 그러나, 분사펌프의 토출압력과 흡입유량의 특성상 보충수 조절공(237)으로 유실되는 림 세척수만큼 흡입유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양변기의 림 토출구(125)로 공급되는 림 세척수는 감소하지 않는다.
7, 107 : 급수관 9, 109 : 물탱크
12, 112: 핸들 13, 113: 물덮개
114: 연결줄 15, 115: 핸드레버 링크
16; 전환부 17, 60, 180: 볼탭
18, 118 : 세척보울 19, 119: 변기 본체 도기
21: 림 연결관 22, 122: 림 수로
25, 125: 림 토출구 27, 127 : 제트 분사구 29, 129 : 측면수로 30, 130: 배출구
31: 급수 공급관 33: 부구
42, 142 : 배출트랩 50, 51, 200: 분사펌프
170: 넘침 방지 보조수조 171: 개구부
172: 판형 체크밸브 210: 볼 연결관
215: 분사 노즐 220: 스로트
230: 확대관 231: 하부 확대관
232: 상부 확대관 233: 삽입홀
234; 끼움홈 235: 통기공
236: 확대관 고정핀 237: 보충수 조절공
239: 보충수 조절홈 240: 보충수 조절링
250: 유입구 260: 볼 안내관
261: 걸림턱 270: 전환볼
280: 분배기 장치 290: 림 연결관
295: 체결수단 300: 누름 물통
310: 물통 311: 배수공
313: 개폐판 315: 누름판
317: 부구 319: 배수 받침대
500: 급수 전환밸브 510: 전환밸브 몸체
511: 인입공 513: 배출공
515: 전환밸브 조절축 516: 조절 나사
517: 유입관 518: 전환밸브 앨보관
519: 호스

Claims (12)

  1. 급수를 공급받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과 연결되어 급수를 분출하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에 대향 배치되는 스로트;
    상기 스로트와 연결되는 확대관 및 림연결부;
    상기 분사노즐과 상기 스로트 사이에서 분사노즐의 급수 분출에 따라 분사노즐의 급수와 물탱크 내의 세척수로 구성되는 혼합 세척수를 상기 스로트로 유입되도록 하는 외부로 통공된 유입구;
    상기 분사노즐의 앞을 차단하여 물탱크측 또는 림측으로의 급수를 전환하는 급수전환부재; 및
    상기 급수전환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물통을 일정량 채우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설정하여, 이 설정된 시간에 상기 급수전환부재를 물탱크측으로 전환하는 누름 물통을 포함하는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관에는 유입관이 형성되어, 분사펌프가 림측으로 급수를 전환하여 확대관을 통하여 림측 급수가 이루어질 때, 일부 급수는 유입관과 이와 연결되는 호스를 통하여 상기 누름 물통의 물통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에 물을 채우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급수 전환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급수 전환밸브는 하면에 인입공과 측면의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부에 전환밸브 조절축이 결합된 전환밸브 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확대관에 형성된 유입관과 이와 연결되는 호스는 상기 전환밸브 몸체의 인입공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물통은,
    하부에 배수공이 형성된 물통;
    상기 배수공을 개폐하는 개폐판;
    상기 물통의 하부에 연장되어 배치되는 누름판; 및
    상기 물통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전환부재는 상기 분사노즐과 스로트 사이에는 볼이 삽입된 볼 안내관이 소정길이만큼 위로 연장되어서, 수위에 따라서 급수를 저수조와 림측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
  6. 내부의 수위에 따라서 급수를 개폐하는 볼탭을 통하여 일정량의 세척수를 보유하는 물탱크;
    상기 볼탭에서 공급되는 급수를 공급받는 림 수로와 림 토출구가 림의 내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물탱크와는 측면수로로 연결되는 세척보울;
    상기 물탱크 하부의 측면수로 배출구를 개폐하는 물덮개;
    상기 볼탭과 상기 림 수로 사이에 배치되며, 급수와 물탱크에 저장된 세척수를 합친 혼합 세척수를 림 수로에 공급하는 분사노즐, 스로트 및 확대관을 포함하는 분사펌프;
    상기 분사펌프의 분사노즐과 스로트 사이에 볼 안내관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할 수 전환볼; 및
    상기 전환볼의 상부 위치하며, 물통을 일정량 채우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설정하여, 이 설정된 시간에 하강하여 전환볼을 분사노즐에 인입하여 급수를 전환하게 하는 누름물통을 포함하는 분사펌프를 구비하는 양변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관에는 유입관이 형성되어, 분사펌프가 림측으로 급수를 전환하여 확대관을 통하여 림측 급수가 이루어질 때, 일부 급수는 유입관과 이와 연결되는 호스를 통하여 상기 누름 물통의 물통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펌프를 구비하는 양변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에 물을 채우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급수 전환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급수 전환밸브는 하면에 인입공과 측면의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부에 전환밸브 조절축이 결합된 전환밸브 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확대관에 형성된 유입관과 이와 연결되는 호스는 상기 전환밸브 몸체의 인입공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펌프를 구비하는 양변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펌프의 확대관은 하부 확대관에 상부 확대관이 끼워진 상태에서 확대관 고정핀에 의하여 고정되며, 상기 확대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펌프를 구비하는 양변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물통은 하부에 배수공이 형성된 물통, 상기 배수공을 개폐하는 개폐판, 물통의 하부에 배치되는 누름판, 및 물통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펌프를 구비하는 양변기.
  11. 내부의 수위에 따라서 급수를 개폐하는 볼탭을 통하여 일정량의 세척수를 보유하는 물탱크;
    상기 볼탭에서 공급되는 급수를 공급받는 림 수로와 림 토출구가 림의 내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물탱크와는 측면수로로 연결되는 세척보울;
    상기 물탱크 하부의 측면수로 배출구를 개폐하는 물덮개;
    상기 볼탭과 상기 림 수로 사이에 배치되며, 급수와 물탱크에 저장된 세척수를 합친 혼합 세척수를 림 수로에 공급하는 분사펌프; 및
    상기 분사펌프의 확대관의 단부에 하부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보충수 조절공, 상기 보충수 조절공이 형성된 확대관의 둘레에는 형성된 보충수 조절홈을 구비하여, 상기 보충수 조절홈에 상기 보충수 조절링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보충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펌프를 구비하는 양변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관의 상부에 형성된 통기공을 더 포함하여, 상기 확대관 내부의 진공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펌프를 구비하는 양변기.
KR20130085045A 2013-06-28 2013-07-19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양변기 KR1014688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127 2013-06-28
KR20130076127 2013-06-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8884B1 true KR101468884B1 (ko) 2014-12-05

Family

ID=52677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5045A KR101468884B1 (ko) 2013-06-28 2013-07-19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8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015B1 (ko) * 2019-04-19 2019-10-18 이수인 (주) 비전기식 절수형 양변기용 세척수 공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510B1 (ko) * 2004-04-29 2005-04-19 이수인 (주) 분사펌프를 이용한 림측 급수장치를 갖는 양변기
KR100555834B1 (ko) * 2004-09-20 2006-03-03 이수인 (주) 정량의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는 분사펌프 및 이를 이용한림측 급수장치를 갖는 양변기
KR100814681B1 (ko) * 2007-06-25 2008-03-18 이수인 (주) 넘침 방지 보조수조를 갖는 양변기
KR20110119152A (ko) * 2010-04-26 2011-11-02 이수인 (주)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510B1 (ko) * 2004-04-29 2005-04-19 이수인 (주) 분사펌프를 이용한 림측 급수장치를 갖는 양변기
KR100555834B1 (ko) * 2004-09-20 2006-03-03 이수인 (주) 정량의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는 분사펌프 및 이를 이용한림측 급수장치를 갖는 양변기
KR100814681B1 (ko) * 2007-06-25 2008-03-18 이수인 (주) 넘침 방지 보조수조를 갖는 양변기
KR20110119152A (ko) * 2010-04-26 2011-11-02 이수인 (주)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015B1 (ko) * 2019-04-19 2019-10-18 이수인 (주) 비전기식 절수형 양변기용 세척수 공급장치
WO2020213801A1 (ko) * 2019-04-19 2020-10-22 이수인 (주) 비전기식 절수형 양변기용 세척수 공급장치
CN113692470A (zh) * 2019-04-19 2021-11-23 利水人株式会社 为非电动式节水马桶供应冲洗水的装置
CN113692470B (zh) * 2019-04-19 2023-04-25 利水人株式会社 为非电动式节水马桶供应冲洗水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4681B1 (ko) 넘침 방지 보조수조를 갖는 양변기
US20070061955A1 (en) Flush toilet
WO2005106141A1 (en) Jet pump and toilet stool having rim side water suppl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483510B1 (ko) 분사펌프를 이용한 림측 급수장치를 갖는 양변기
KR101163721B1 (ko) 로우탱크 양변기의 림부 급수 전환장치
KR100901186B1 (ko)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KR101143269B1 (ko)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
KR101468884B1 (ko)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양변기
JP2013050027A (ja) 水洗大便器
KR20010110970A (ko) 절수용 변기
KR102101812B1 (ko) 절수식 양변기
JP6187759B2 (ja) 水洗大便器装置
JP2009002075A (ja) 水洗便器
KR100670933B1 (ko) 수돗물 절약 자동조절 필밸브를 구비한 양변기
KR101120636B1 (ko) 비데 겸용 양변기
JP2010236201A (ja) 水洗大便器
KR102350287B1 (ko) 절수형 직수 양변기 장치
KR100742589B1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JP6662138B2 (ja) 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その洗浄水タンク装置を備えた水洗大便器
KR102350288B1 (ko) 일체형 절수형 직수 양변기 장치
KR200465082Y1 (ko) 양변기 보충수 조절장치
WO2008060067A1 (en) Water savable toilet
KR200327321Y1 (ko)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KR101906976B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424040Y1 (ko) 양변기의 세척수 급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