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484B1 -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 Google Patents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484B1
KR101990484B1 KR1020180171796A KR20180171796A KR101990484B1 KR 101990484 B1 KR101990484 B1 KR 101990484B1 KR 1020180171796 A KR1020180171796 A KR 1020180171796A KR 20180171796 A KR20180171796 A KR 20180171796A KR 101990484 B1 KR101990484 B1 KR 101990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tank
raw water
hole
wa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균
Original Assignee
임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균 filed Critical 임영균
Priority to KR1020180171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4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484B1/ko
Priority to CN201911218576.4A priority patent/CN111379298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24Low-level flushing systems
    • E03D1/26Bowl with flushing cistern mounted on the rearwardly extending end of the bowl
    • E03D1/263Bowl with flushing cistern mounted on the rearwardly extending end of the bowl provided with a bell or tube siph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펌프의 작동으로 저수조에 저장된 원수를 변기본체로 배수시켜 용변을 세척하므로 세척효율성이 향상되고 변기본체의 후방에 저수조 몸체를 고정시키되 변기본체의 상면보다 낮게 고정하므로 양변기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저수조의 전방으로 체크밸브를 장착하여 저수조에 저장된 원수의 배출과 오버플로우시 또는 변기본체의 역류 발생시 흐름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저수조의 상부에 에어밴트를 장착하여 원수의 배수시에는 저수조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고 저수조에 저장되는 원수의 오버플로우시에는 공기배출공을 폐쇄하므로 양변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pump type bidet one body toilet bowl}
본 발명은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펌프의 작동으로 저수조에 저장된 원수를 변기본체로 배수시켜 용변을 세척하므로 세척효율성이 향상되고 변기본체의 후방에 저수조 몸체를 고정시키되 변기본체의 상면보다 낮게 고정하므로 양변기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저수조의 전방으로 체크밸브를 장착하여 저수조에 저장된 원수의 배출과 오버플로우시 또는 변기본체의 역류 발생시 흐름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저수조의 상부에 에어밴트를 장착하여 원수의 배수시에는 저수조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고 저수조에 저장되는 원수의 오버플로우시에는 공기배출공을 폐쇄하므로 양변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변기 본체의 후방에 수조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용변후, 조절레버의 가압에 의해 수조에 저장된 세척수가 변기 본체로 배출됨과 동시에 변기 본체 내부에 위치한 용변이 배수관을 통해 정화조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양변기는 도기로 이루어진 변기 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변기 본체의 후방 상부에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물탱크가 안착 고정되며, 상기 물탱크 내부에는 세척수를 개폐하는 후레쉬밸브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양변기는 일정 용량의 세척수를 저장하는 물탱크로 인해 그 크기가 대형화될 뿐만 아니라 물탱크에 저장된 세척수의 수압으로 용변을 배출하는 구조이므로 수압이 약해 용변을 원활하게 배출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1513호로 로우탱크 양변기의 림부 급수 전환장치가 등록된 바 있다.
상기 선 등록된 발명은 변기본체의 후방에 세척수를 저장하는 저수조를 낮은 높이로 형성하고, 후레쉬밸브를 통해 세척수가 배출됨과 동시에 급수전환장치를 통해 림측으로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선 등록된 발명은 저수조를 낮게 설치하여 양변기 전체크기를 줄이려는 시도는 하였으나 소비자가 원하는 크기로 소형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무엇보다 후레쉬밸브의 개방으로 세척수가 배출되면서 용변을 배출하므로 낮은수압으로 원활한 용변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1513호(2013.04.30.등록)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배수펌프의 작동으로 저수조에 저장된 원수를 변기본체로 배수시켜 용변을 세척하므로 세척효율성이 향상되는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변기본체의 후방에 저수조 몸체를 고정시키되 변기본체의 상면보다 낮게 고정하므로 양변기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수조의 전방으로 체크밸브를 장착하여 저수조에 저장된 원수의 배출과 오버플로우시 또는 변기본체의 역류 발생시 흐름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양변기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수조의 상부에 에어밴트를 장착하여 원수의 배수시에는 저수조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고 저수조에 저장되는 원수의 오버플로우시에는 공기배출공을 폐쇄하는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는, 변기본체의 후방에 안착 고정되는 고정베이스;
상기 고정베이스의 상부에 안착되어 일정량의 원수를 저장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일측 전방에 고정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저수조에 저장된 원수를 펌핑하여 변기 본체로 배수시키는 배수펌프;
상기 저수조의 상부에 고정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수도전에서 저수조 내부로 원수를 공급함과 동시에 공급되는 원수의 일부를 림측으로 배출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저수조와 배수펌프 사이에 장착되어 저수조에 저장되는 원수를 변기본체로 배수하도록 제어하며 오염된 용변과 이물질이 저수조로 역류되지 않도록 흐름을 제어하는 체크밸브; 및
상기 저수조의 상부에 설치되며 저수조에 저장된 원수가 변기본체로 배수될 때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에어밴트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수조는, 상기 고정베이스 상부에 안착되며 내부에 저장된 원수가 배수펌프를 통해 배수되도록 펌프고정공이 형성되는 저수조 몸체;
상기 저수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저수조 내부를 폐쇄하는 상부캡;
상기 상부캡의 상면에 솔레노이드밸브가 고정되어 수도전으로부터 저수조 내부로 원수가 공급되는 원수 공급공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하부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게 안착되어 저수조에 저장된 원수가 배수펌프의 작동으로 급격히 배수될 때 원수의 출렁임을 방지하는 격판이 더 구비된다.
상기 격판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배수안내관과 근거리에 위치한 통공은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원거리에 위치한 통공은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저수조의 하부에는 저수조 내부의 원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드레인밸브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저수조의 상부캡에 형성되는 설치공;
상기 설치공에 고정되며 설치공과 연통되도록 통공이 형성되는 제1밸브몸체;
상기 제1밸브몸체의 전방에 고정되며 하부에는 배출안내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안내공과 직교되도록 배출공이 형성되는 제2밸브몸체;
상기 제1밸브몸체 내부에 형성된 축홈에 회전축이 결합되어 통공과 배출안내공을 개방 및 폐쇄하는 제1,2개폐부재;
상기 제1,2밸브몸체 내부에 각각 형성되어 제1,2개폐부재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가 구비된다.
상기 제1,2개폐부재는 통공과 배출안내공에 밀착되도록 일측에 실링부재가 장착되고, 타측에는 제1,2개폐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돌기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는 저수조의 원수가 변기본체로 배수될 때, 제1개폐밸브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제2개폐밸브는 폐쇄되고, 오버플로우시 제2개폐밸브는 개방되고 제1개폐밸브는 폐쇄되며, 변기본체의 역류 발생시 제1,2개폐밸브가 동시에 폐쇄된다.
상기 설치공은 수도전으로부터 원수가 저수조 내부에 빠르게 저장될 경우 오버플로우되지 않도록 저수조 몸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밴트는, 상기 저수조의 상부캡에 장착되며 상면에 공기유입공이 형성되는 마감캡;
상기 저수조와 마감캡의 내부에 형성되는 작동공간;
상기 작동공간 내에서 승강하며 상부에 패킹이 장착된 부구;
상기 부구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자로 교차되게 형성되는 지지판이 구비된다.
상기 부구는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게 형성되며, 평상시에는 부구의 자중에 의해 하강한 상태가 되고, 오버플로우시 원수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공기유입공을 폐쇄한다.
본 발명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에 의하면, 배수펌프의 작동으로 저수조에 저장된 원수를 변기본체로 배수시켜 용변을 세척하므로 세척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에 의하면, 변기본체의 후방에 저수조 몸체를 고정시키되 변기본체의 상면보다 낮게 고정하므로 양변기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어 설치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에 의하면, 저수조의 전방으로 체크밸브를 장착하여 저수조에 저장된 원수의 배출과 오버플로우시 또는 변기본체의 역류 발생시 흐름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양변기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수조의 상부에 에어밴트를 장착하여 원수의 배수시에는 저수조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고 저수조에 저장되는 원수의 오버플로우시에는 공기배출공을 폐쇄하므로 양변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비데 일체형 양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격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체크밸브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체크밸브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에어밴트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배수펌프의 작동으로 저수조에 저장된 원수가 변기본체로 배수되는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체크밸브를 통해 원수가 배출되는 상태도의 측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저수조에 저장되는 원수가 오버플로우되는 상태도이다.
도 12는 변기본체에서 용변이 역류되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비데 일체형 양변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100)는, 고정베이스(110), 저수조(120), 배수펌푸(130), 솔레노이드밸브(140), 체크밸브(150), 에어밴트(160)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베이스(110)는 변기본체(10)의 후방에 안착되어 고정볼트를 통해 고정되며, 상기 고정베이스(110)의 상면에는 고정돌기(111)가 돌출형성되어 저수조(120)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안착고정된다.
상기 저수조(120)는 고정베이스(110)의 상부에 저수조 몸체(121)가 안착되며 내부에는 일정량의 원수를 저장하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수조 몸체(121)에 저장된 원수는 배수펌프(130)에 의해 배수되며, 상기 배수펌프(130)가 고정되도록 펌프고정공(121a)이 전방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저수조 몸체(121)의 상부에는 저수조(120) 내부를 폐쇄하도록 상부캡(122)이 고정되며, 상기 상부캡(122)은 솔레노이드밸브(140), 체크밸브(150), 에어밴트(160)가 설치되도록 상부로 일정 높이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상부캡(122)의 돌출된 상면에는 원수공급공(123)이 형성되어 솔레노이드밸브(140)가 고정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40)의 중앙 하부에 형성된 원수공급관(11)을 통해 원수가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저수조 몸체(121)의 내부에는 저수조 몸체(121)에 저장된 원수의 출렁임을 방지하는 격판(124)이 고정된다.
상기 격판(12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 몸체(121)의 하부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며, 다수의 관통공(124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펌프(130)의 배수안내관(131)과 근거리에 위치한 관통공(124a)은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원거리에 위치한 관통공(124a)은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저수조(120)에 저장된 원수가 급격하게 배수되더라도 출렁임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저수조 몸체(120)의 하부에는 저수조(120)를 청소하기 위해 저수조(120) 내부의 원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드레인밸브(125)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배수펌프(130)는 저수조(120)의 일측 전방에 형성된 펌프고정공(121a)에 고정되며 상기 펌프고정공(121a) 타측의 배수펌프(130) 단부는 고정베이스(110)의 상부에 고정되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여 저수조(120)에 저장된 원수를 변기본체(10)로 배수시키게 된다.
상기 배수펌프(130)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배수안내관(131)이 펌프고정공(121a)을 통해 저수조(120) 내부로 설치되며, 상기 배수안내관(131)의 단부는 격판(124)의 하부로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40)는 저수조(120)의 상부캡(122)에 고정되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수도전으로부터 저수조(120) 내부로 원수를 공급함과 동시에 원수의 일부를 림측으로 배출시키게 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40)는 통상의 솔레노이드밸브의 구조와 동일하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40)의 중앙 하부에는 수도전으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저수조(120) 내부에 저장하는 원수공급관(11)이 고정되고, 상기 원수공급관(11)의 일측에는 림측배수관(13)이 고정되어 변기본체(10)의 림측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150)는 저수조(120)와 배수펌프(130) 사이에 장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수조(120)의 상부캡(122)에 설치공(151)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설치공(151)에는 제1밸브몸체(152)가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설치공(151)은 저수조 몸체(121)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다.
상기 제1밸브몸체(152)는 상기 설치공(151)과 연통되도록 통공(152a)이 형성되며, 제1,2개폐부재(154)(155)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상,하부에 축홈(152b)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밸브몸체(152) 내부에는 제1개폐부재(154)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토퍼(156)가 돌출형성된다.
하부에 형성된 축홈(152b)에는 제1개폐부재(154)의 회전축(154a)이 결합되며, 상기 제1개폐부재(154)의 일측에는 실링부재(154c)가 장착되고, 타측에는 회전제어돌기(154b)가 돌출형성된다.
상부에 형성된 축홈(152b)에는 제2개폐부재(155)의 회전축(155a)이 결합되며, 상기 제2개폐부재(155)의 일측에는 실링부재(155c)가 장착되고, 타측에는 회전제어돌기(155b)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밸브몸체(152)에 제1,2개폐부재(154)(155)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밸브몸체(152)에 제2밸브몸체(153)를 결합하여 고정스크류로 고정한다.
또한, 상기 에어밴트(1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120)의 상부에 마감캡(161)이 고정되며, 사익 마감캡(161)에는 공기유입공(16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수조(120)와 마감캡의 내부에는 부구(163)가 승강할 수 있도록 작동공간(162)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공간(162)에는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게 형성된 부구(163)가 장착된다.
상기 부구(163)의 상부에는 공기유입공(161a)을 폐쇄하는 패킹(163a)이 장착된다.
상기 부구(163)는 '+'자형으로 형성된 지지판(164)이 지지하게 되며, 상기 지지판(164)은 저수조(120)의 상부캡(122)의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100)의 작동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제어부를 제어하게 되면, 배수펌프(130)가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구동하게 되고, 상기 배수펌프(130)의 구동력에 의해 저수조(120)에 저장된 원수를 순간적으로 흡입하게 된다.
순간적으로 흡입되는 원수는 배수안내관(131)을 통해 배수됨과 동시에 배출안내공(153a)을 통해 체크밸브(150) 내부로 배수된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안내공(153a)으로 배수되는 원수의 수압으로 제1개폐부재(154)가 회전축(154a)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회전제어돌기(154b)가 스토퍼(156)에 밀착되면서 배출안내공(153a)을 개방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원수의 수압에 의해 제2개폐부재(155)는 통공(152a)을 폐쇄하게 된다.
상기 배출안내공(153a)을 통과한 원수는 배출공(153b)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변기배수관(12)을 통해 변기본체(10) 내부로 배수되어 용변을 세척하게 되며, 원수가 변기본체(10)로 배출될 때, 에어밴트(160)의 부구(163)는 자중에 의해 지지판(164) 상부로 하강한 상태이므로 공기유입공(161a)을 통해 저수조(120) 내부에 공기가 유입된다.
이때, 저수조(120)에 저장된 원수는 수위가 낮아지게 되며, 저수조(120)에 장착된 수위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함과 동시에 감지신호를 솔레노이드밸브(140)에서 전달받아 원수공급관(11)을 개방하여 저수조(120) 내부에 원수를 공급하게 되고, 솔레노이드밸브(140)는 림측배수관(13)을 개방함과 동시에 원수의 일부가 림측배수관(13)으로 통해 변기본체(10)의 림으로 배출된다.
또한, 배수펌프(130)의 작동으로 저수조(120)에 저장된 원수가 순간적으로 배수될 때, 저수조 몸체(121) 내부에 구비된 격판(124)은 원수의 출렁임 및 소음을 최소화하게 되어 양변기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용변배출이 완료되어 배수펌프(130)의 작동이 중지되면 상기 저수조(120)의 원수 배출이 중지되며, 상기 체크밸브(150)의 제1개폐부재(154)가 자중에 의해 회전축(154a)을 중심으로 하강 회전하여 배출안내공(153a)을 폐쇄하게 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40)의 개방으로 원수공급관(11)을 통해 저수조(120) 내부로 일정 수위의 원수가 저장되면, 수위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솔레노이드밸브(140)는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원수공급관(11)과 림측배수관(12)을 폐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저수조(120)의 상부캡(122)에 형성된 설치공(151)은 저수조 몸체(121)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일정 수위를 추가로 확보하고 있으므로 수위감지센서의 감지신호보다 저수조(120)에 저장되는 원수의 저장 속도가 더 빠르더라도 그 수위만큼 원수를 저장할 수 있어 오버플로우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한편, 오작동으로 인해 저수조(120)로 저장되는 원수가 오버플로우될 경우,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는 저수조 몸체(121)보다 더 높은 수위로 저장되며, 상기 원수는 상부캡(122)과 에어밴트(160)의 작동공간(162)에 채워지게 된다.
이때, 에어밴트(160)의 부구(163)는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패킹(163a)에 의해 공기유입공(161a)을 폐쇄하게 되고, 상기 원수는 상부캡(122)에 고정된 체크밸브(150)의 통공(152a)으로 배출된다.
상기 원수의 수압으로 제2개폐부재(155)는 회전축(155a)을 중심으로 상향 회전하여 통공(152a)을 개방하게 됨과 동시에 원수의 수압으로 제1개폐부재(154)는 배출안내공(153a)을 폐쇄하게 되며, 원수는 배출공(153b)과 변기배수관(12)을 통해 변기본체(10)로 배출된다.
한편, 변기본체(10)가 막히거나 오작동에 의해 용변 및 이물질이 역류할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질은 변기배수관(12)을 통해 체크밸브(15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이물질의 역류되는 수압에 의해 제1개폐부재(154)와 제2개폐부재(155)는 축공(12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밸브몸체(152)의 통공(152a)과 제2밸브몸체(153)의 배출안내공(153a)을 폐쇄하여 저수조(120) 및 배수펌프(130) 측으로 이물질이 역류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110: 고정베이스 120: 저수조
121: 저수조 몸체 122: 상부캡
123: 원수공급공 124: 격판
125: 드레인밸브 130: 배수펌프
131: 배수안내관 140: 솔레노이드밸브
150: 체크밸브 151: 설치공
152: 제1밸브몸체 153: 제2밸브몸체
154: 제1개폐부재 155: 제2개폐부재
156: 스토퍼 160: 에어밴트
161: 마감캡 162: 작동공간
163: 부구 164: 지지판

Claims (11)

  1. 변기본체의 후방에 안착 고정되는 고정베이스;
    상기 고정베이스의 상부에 안착되어 일정량의 원수를 저장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일측 전방에 고정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저수조에 저장된 원수를 펌핑하여 변기 본체로 배수시키는 배수펌프;
    상기 저수조의 상부에 고정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수도전에서 저수조 내부로 원수를 공급함과 동시에 공급되는 원수의 일부를 림측으로 배출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저수조와 배수펌프 사이에 장착되어 저수조에 저장되는 원수를 변기본체로 배수하도록 제어하며 오염된 용변과 이물질이 저수조로 역류되지 않도록 흐름을 제어하며, 상기 저수조의 원수가 변기본체로 배수될 때, 제1개폐부재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제2개폐부재는 폐쇄되고, 저수조로 저장되는 원수의 오버플로우시 제2개폐부재는 개방되고 제1개폐부재는 폐쇄되며, 변기본체의 역류 발생시 제1,2개폐부재가 동시에 폐쇄되는 체크밸브 및;
    상기 저수조의 상부에 설치되며 저수조에 저장된 원수가 변기본체로 배수될 때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에어밴트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저수조는,
    상기 고정베이스 상부에 안착되며 내부에 저장된 원수가 배수펌프를 통해 배수되도록 펌프고정공이 형성되는 저수조 몸체;
    상기 저수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저수조 내부를 폐쇄하는 상부캡;
    상기 상부캡의 상면에 솔레노이드밸브가 고정되어 수도전으로부터 저수조 내부로 원수가 공급되는 원수 공급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하부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게 안착되어 저수조에 저장된 원수가 배수펌프의 작동으로 급격히 배수될 때 원수의 출렁임을 방지하는 격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격판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배수안내관과 근거리에 위치한 통공은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원거리에 위치한 통공은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하부에는 저수조 내부의 원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드레인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체크밸브는,
    상기 저수조의 상부캡에 형성되는 설치공;
    상기 설치공에 고정되며 설치공과 연통되도록 통공이 형성되는 제1밸브몸체;
    상기 제1밸브몸체의 전방에 고정되며 하부에는 배출안내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안내공과 직교되도록 배출공이 형성되는 제2밸브몸체;
    상기 제1밸브몸체 내부에 형성된 축홈에 회전축이 결합되어 통공과 배출안내공을 개방 및 폐쇄하는 제1,2개폐부재;
    상기 제1,2밸브몸체 내부에 각각 형성되어 제1,2개폐부재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2개폐부재는 통공과 배출안내공에 밀착되도록 일측에 실링부재가 장착되고, 타측에는 제1,2개폐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8. 삭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은 수도전으로부터 원수가 저수조 내부에 빠르게 저장될 경우 오버플로우되지 않도록 저수조 몸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밴트는,
    상기 저수조의 상부캡에 장착되며 상면에 공기유입공이 형성되는 마감캡;
    상기 저수조와 마감캡의 내부에 형성되는 작동공간;
    상기 작동공간 내에서 승강하며 상부에 패킹이 장착된 부구;
    상기 부구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자로 교차되게 형성되는 지지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부구는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게 형성되며, 평상시에는 부구의 자중에 의해 하강한 상태가 되고, 오버플로우시 원수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공기유입공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KR1020180171796A 2018-12-28 2018-12-28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KR101990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796A KR101990484B1 (ko) 2018-12-28 2018-12-28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CN201911218576.4A CN111379298B (zh) 2018-12-28 2019-12-03 泵式洁身器一体型座便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796A KR101990484B1 (ko) 2018-12-28 2018-12-28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0484B1 true KR101990484B1 (ko) 2019-06-18

Family

ID=67103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796A KR101990484B1 (ko) 2018-12-28 2018-12-28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90484B1 (ko)
CN (1) CN11137929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170B1 (ko) 2019-09-10 2019-12-12 임영균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KR102309442B1 (ko) * 2020-11-17 2021-10-06 주식회사 토디이노베이션 직수양변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9566A (ko) * 2004-11-03 2006-05-09 (주)이커머넷 기계식 비데
JP2008082031A (ja) * 2006-09-27 2008-04-10 Toto Ltd 水洗大便器
KR20100025503A (ko) * 2007-06-28 2010-03-09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수세식 대변기
KR101261513B1 (ko) 2011-12-15 2013-05-13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로우탱크 양변기의 림부 급수 전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1585A (zh) * 2015-04-20 2016-11-23 安徽汇隆给水设备有限公司 一种三通止回阀
CN106089398A (zh) * 2016-07-29 2016-11-09 无锡康柏斯机械科技有限公司 汽车水箱
KR101757863B1 (ko) * 2016-12-29 2017-07-17 주식회사 엔씨엠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9566A (ko) * 2004-11-03 2006-05-09 (주)이커머넷 기계식 비데
JP2008082031A (ja) * 2006-09-27 2008-04-10 Toto Ltd 水洗大便器
KR20100025503A (ko) * 2007-06-28 2010-03-09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수세식 대변기
KR101261513B1 (ko) 2011-12-15 2013-05-13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로우탱크 양변기의 림부 급수 전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170B1 (ko) 2019-09-10 2019-12-12 임영균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KR102309442B1 (ko) * 2020-11-17 2021-10-06 주식회사 토디이노베이션 직수양변기
WO2022108182A1 (ko) * 2020-11-17 2022-05-27 주식회사 토디이노베이션 직수양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79298B (zh) 2021-04-13
CN111379298A (zh)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3316B2 (ja) 水洗大便器
KR101990484B1 (ko)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JP5051611B2 (ja) 水洗大便器
JP5130802B2 (ja) 水洗便器
KR100663920B1 (ko)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
JP6880534B2 (ja) 洗浄水タンク装置
JPH11256652A (ja) 節水型水洗便器兼用簡易水洗便器
JP2002327479A (ja) 水洗便器
KR20110044050A (ko) 물절약형 좌변기
KR102055170B1 (ko)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KR100736871B1 (ko) 양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JPH10196837A (ja) 給水制御装置
JP7411926B2 (ja) 水洗便器及び便器装置
JP4941892B2 (ja) 水洗大便器
KR101789012B1 (ko) 유연성 트랩
KR101124613B1 (ko) 절수형 변기
JP2002038562A (ja) 給水装置
CN219033431U (zh) 水阀结构和智能马桶
KR200229713Y1 (ko) 수세식 변기의 내장형 절수장치
CN217974633U (zh) 马桶冲洗系统
KR200190330Y1 (ko) 양변기의세척수제어장치
KR102647536B1 (ko)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CN215858047U (zh) 一种马桶水箱节水阀
KR200327321Y1 (ko)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CN210658579U (zh) 用于坐便器的清洁装置及使用该清洁装置的坐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