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170B1 -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 Google Patents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170B1
KR102055170B1 KR1020190111964A KR20190111964A KR102055170B1 KR 102055170 B1 KR102055170 B1 KR 102055170B1 KR 1020190111964 A KR1020190111964 A KR 1020190111964A KR 20190111964 A KR20190111964 A KR 20190111964A KR 102055170 B1 KR102055170 B1 KR 102055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pump
reservoir
toile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균
Original Assignee
임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균 filed Critical 임영균
Priority to KR1020190111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1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24Low-level flushing systems
    • E03D1/28Bowl integral with the flushing cistern
    • E03D1/286Bowl integral with the flushing cistern provided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using flushing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본체의 후방에 고정되는 저수조의 폭을 좁게 형성하면서 수직으로 높게 형성하여 전체적인 체적비를 최소화하므로 공간활용성이 향상되어 비데 관련 부품들의 조립성을 용이하게 하고 각 부품들 간의 간섭을 방지하며, 저수조의 하부몸체 하단부를 더욱더 좁게 형성하여 격판의 크기를 소형화하고 배수펌프를 통한 세척수의 흡입경로를 단순화하여 세척수의 순간적인 출렁임 방지 및 정숙성을 유지하고, 변기본체의 상부에 고정플레이트를 고정하여 저수조와 체크밸브를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 이물질로부터 오염을 방지하며, 세척수 안내관과 배수펌프를 고정부재로 견고하게 고정하므로 누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pump type bidet one body toilet bowl}
본 발명은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수조의 폭을 좁게 형성하면서 수직으로 높게 형성하여 전체적인 체적비를 최소화하므로 공간활용성을 높이고, 저수조의 하부몸체의 하단부를 더욱더 좁게 형성하여 격판의 크기를 소형화하면서 배수펌프를 통한 세척수의 흡입경로를 단순화하여 정숙성을 유지하며, 고정 플레이트를 통해 저수조와 체크밸브를 보호함과 동시에 세척수 안내관과 배수펌프를 고정부재로 견고하게 고정하여 누수를 차단하는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변기 본체의 후방에 수조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용변후, 조절레버의 가압에 의해 수조에 저장된 세척수가 변기 본체로 배출됨과 동시에 변기 본체 내부에 위치한 용변이 배수관을 통해 정화조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양변기는 도기로 이루어진 변기 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변기 본체의 후방 상부에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물탱크가 안착 고정되며, 상기 물탱크 내부에는 세척수를 개폐하는 후레쉬밸브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양변기는 일정 용량의 세척수를 저장하는 물탱크로 인해 그 크기가 대형화될 뿐만 아니라 물탱크에 저장된 세척수의 수압으로 용변을 배출하는 구조이므로 수압이 약해 용변을 원활하게 배출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1513호로 로우탱크 양변기의 림부 급수 전환장치가 등록된 바 있다.
상기 선 등록된 발명은 변기본체의 후방에 세척수를 저장하는 저수조를 낮은 높이로 형성하고, 후레쉬밸브를 통해 세척수가 배출됨과 동시에 급수전환장치를 통해 림측으로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선 등록된 발명은 저수조를 낮게 설치하여 양변기 전체크기를 줄이려는 시도는 하였으나 소비자가 원하는 크기로 소형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무엇보다 후레쉬밸브의 개방으로 세척수가 배출되면서 용변을 배출하므로 낮은수압으로 원활한 용변세척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 제10-1990484호로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를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선 등록된 발명은 변기 본체의 후방에 고정된 고정베이스에 저수조가 안착되고, 저수조에 저장된 원수를 펌핑하여 변기 본체로 배수시키는 배수펌프가 고정되며, 수도전에서 저수조로 원수를 공급하고 림측으로 일부를 배출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가 고정되고, 원수의 흐름을 제어하면서 이물질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와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에어밴트가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선 등록된 발명은 저수조가 반달형상을 이루면서 변기본체의 후방 전체에 결쳐 형성되므로 크기가 대형화되어 제품의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원수를 펌핑하는 배수펌프가 저수조의 일측에 고정되므로 원수 펌핑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저수조 내부의 원수가 출렁이면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배수안내관과 근거리에 위치한 관통공은 직경을 작게 형성하고, 원거리에 위치한 관통공은 직경을 크게 형성한 격판을 설치하였으나, 편심되게 설치된 배수안내관으로 원수가 흡입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1513호(2013.04.30.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90484호(2019.06.12.등록)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변기본체의 후방에 고정되는 저수조의 폭을 좁게 형성하면서 수직으로 높게 형성하여 전체적인 체적비를 최소화하므로 공간활용성이 향상되어 비데 관련 부품들의 조립성을 용이하게 하고 각 부품들 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수조의 하부몸체의 하단부를 더욱더 좁게 형성하여 격판의 크기를 소형화하고 배수펌프를 통한 세척수의 흡입경로를 단순화하여 세척수의 순간적인 출렁임을 방지하고 정숙성을 유지할 수 있는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변기본체의 상부에 고정플레이트를 고정하여 저수조와 체크밸브를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 이물질로부터 오염을 방지하는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척수 안내관과 배수펌프를 고정부재로 고정하여 배수펌프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누수를 차단하는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는, 변기본체의 후방 하부에 안착 고정되어 저수조를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안착되어 일정량의 세척수를 저장하도록 폭은 좁게 형성되면서 수직으로 높게 형성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하부몸체에 고정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저수조에 저장된 세척수를 펌핑하여 변기 본체로 배수시키는 배수펌프;
상기 배수펌프에 고정되어 펌핑된 세척수를 체크밸브 측으로 배수하는 세척수 배수관;
상기 저수조의 상부몸체와 세척수 배수관에 장착되어 저수조에 저장된 세척수를 변기본체로 배수하도록 제어하며 오염된 용변과 이물질이 저수조로 역류되지 않도록 흐름을 제어하는 체크밸브;
상기 저수조와 체크밸브를 감싸 보호하도록 변기본체의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저수조의 상부로 고정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수도전에서 저수조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함과 동시에 공급되는 세척수의 일부를 림측으로 배출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수조는, 상기 지지판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며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가 배수펌프를 통해 배수되도록 펌프고정공이 형성되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저수조 내부를 폐쇄하는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상면에 솔레노이드밸브가 고정되어 수도전으로부터 저수조 내부로 세척수가 공급되는 세척수 공급공;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에 하부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게 안착되어 저수조에 저장된 세척수가 배수펌프의 작동으로 급격히 배수될 때 세척수의 출렁임을 방지하는 격판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몸체의 하부에는 저수조 내부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드레인밸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배수관은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에 형성된 설치공에 결합되어 상기 저수조의 내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상부몸체에 형성되는 축홈;
상기 축홈에 각각 결합되어 통공과 배출안내공을 개방 및 폐쇄하는 제1,2개폐부재;
상기 상부몸체와 밸브커버에 각각 형성되어 제1,2개폐부재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
상기 상부몸체의 전방에 고정되며 하부에는 배출안내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안내공과 직교되도록 배출공이 형성되는 밸브커버가 구비된다.
상기 제1,2개폐부재는 통공과 배출안내공에 밀착되도록 일측에 실링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제1개폐부재의 타측에는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돌기가 구비된다.
상기 체크밸브는 저수조의 세척수가 변기본체로 배수될 때, 제1개폐부재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제2개폐부재는 폐쇄되고, 저수조로 저장되는 세척수의 오버플로우시 제2개폐부재는 개방되고 제1개폐부재는 폐쇄되며, 변기본체의 역류 발생시 제1,2개폐부재가 동시에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펌프의 상부에 결합된 세척수 배수관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일측 방향으로 개방되며 세척수 배수관을 수용하면서 세척수 배수관의 하부에 형성된 홈부에 결합되는 결합홀;
상기 결합홀 하부의 내측에는 배수펌프의 걸림턱에 결합되도록 결합턱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홈의 입구부에 형성되어 고정부재가 걸림턱에 결합될 때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결합안내면이 더 구비된다.
본 발명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에 의하면, 변기본체의 후방에 고정되는 저수조의 폭을 좁게 형성하면서 수직으로 높게 형성하여 전체적인 체적비를 최소화하므로 공간활용성이 향상되어 비데 관련 부품들의 조립성을 용이하게 하고 각 부품들 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에 의하면, 저수조의 하부몸체 하단부를 더욱더 좁게 형성하여 격판의 크기를 소형화하고 배수펌프를 통한 세척수의 흡입경로를 단순화하여 세척수의 순간적인 출렁임을 방지하고 정숙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에 의하면, 변기본체의 상부에 고정플레이트를 고정하여 저수조와 체크밸브를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 이물질로부터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에 의하면, 세척수 안내관과 배수펌프를 고정부재로 고정하므로 배수펌프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누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비데 일체형 양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격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고정부재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고정부재의 사시도이고, (b)는 고정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체크밸브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체크밸브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에어밴트의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고정부재에 의해 세척수 배수관과 배수펌프가 고정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비데 일체형 양변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100)는, 지지판(110), 저수조(120), 배수펌프(130), 세척수 배수관(140), 체크밸브(150), 고정 플레이트(160), 솔레노이드밸브(170)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판(110)은 변기본체(10)의 후방 하부에 안착되어 저수조(1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고정볼트를 통해 저수조(120)와 고정된다.
상기 저수조(120)는 하부몸체(121), 상부몸체(122), 세척수 공급공(123), 격판(124)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몸체(121)와 상부몸체(122)는 내부에 일정량의 세척수를 저장하게 되며, 폭은 좁게 형성되면서 수직으로 높게 형성되어 크기를 최소화하므로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비데 관련 부품들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부품들 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하부몸체(121)는 지지판(110)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배수펌프(130)가 고정되도록 펌프고정공(121a)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펌프(130)가 고정되는 하부몸체(121)의 하단부는 더욱 좁아지게 형성되어 배수펌프(130)의 작동시 세척수가 빠르게 흡입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소음도 줄이게 된다.
상기 상부몸체(122)는 하부몸체(121)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를 폐쇄하게 되며, 상기 상부몸체(122)는 체크밸브(150), 솔레노이드밸브(170), 에어밴트(180)가 설치되도록 상부로 일정 높이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상부몸체(122)의 상면에는 세척수 공급공(123)이 형성되어 솔레노이드밸브(170)가 고정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70)의 중앙 하부에 형성된 세척수 공급관(11)을 통해 저수조(120) 내부로 세척수가 공급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판(124)은 하부몸체(121)의 하부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며 일정 간격으로 관통공(124a)이 형성되어 물의 출렁임 및 소음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격판(124)은 하부몸체(121)의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더욱더 좁게 형성됨으로써, 격판(124)의 크기도 종래에 비해 소형화되었으며, 이로 인해 격판(124)의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배수펌프(130)에 의한 순간적인 흡입력에도 소음을 대폭 줄여 정숙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몸체(121)의 하부에는 저수조(120)를 청소하기 위해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드레인밸브(125)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결합되는 하부몸체(121)와 상부몸체(122)에는 세척수 배수관(140)이 고정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설치공(126)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배수펌프(130)는 하부몸체(121)의 전방에 형성된 펌프고정공(121a)에 고정된다.
상기 세척수 배수관(140)은 저수조(120)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고정되며, 하부몸체(121)와 상부몸체(122)에 형성된 설치공(126)을 통해 결합되어 패킹에 의해 긴밀하게 고정된다.
상기 세척수 배수관(140)의 양측 단부는 하부몸체(121)와 상부몸체(122)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결합되며, 세척수 배수관(140)의 하단부에는 배수펌프(130)가 고정되고 상단부에는 체크밸브(150)가 고정된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크밸브(150)는 저수조(120)의 상부몸체(122)와 세척수 배수관(140)에 장착된다.
상기 상부몸체(122)의 상단부 전방에는 상,하부에 각각 축홈(151)이 형성되고, 하부에 형성된 축홈(151)에는 제1개폐부재(152)가 회전축(152a)에 의해 결합되며, 제1개폐부재(152)의 일측에는 실링부재(152c)가 장착되고 타측에는 회전제어돌기(152b)가 돌출형성된다.
상부에 형성된 축홈(151)에는 제2개폐부재(153)가 회전축(153a)에 의해 결합되며, 제2개폐부재(153)의 일측에는 실링부재(153b)가 장착된다.
상기 상부몸체(122)와 밸브커버(155)에는 스토퍼(154)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몸체(122)의 상단부 전방에 돌출형성된 스토퍼(154)는 제1개폐부재(152)의 회전을 제어하게 되며, 상기 밸브커버(155)의 내측 상부에 돌출형성된 스토퍼(1543)는 제2개폐부재(153)의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밸브커버(155)는 제1,2개폐부재(152)(15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밸브커버(155)는 상부몸체(122)에 고정스크류로 고정되며, 배출안내공(155a)은 세척수 배수관(140)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배출공(155b)에는 변기 배수관(12)이 연결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160)는 변기본체(10)의 상부에 안착되며 변기본체 후방의 일측에 위치한 저수조(120)와 체크밸브(150)가 수용공간(161)으로 위치하게 되면서 저수조(120)와 체크밸브(150)를 감싸 보호하게 됨과 동시에 외부 이물질로부터 오염되지 않게 하고, 변기본체(10) 후방의 타측은 비데 관련 부속품들이 설치되거나 위치되도록 고정플레이트(160)가 하부로 요입된 공간을 형성하므로 공간활용성이 개선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70)는 저수조(120)의 상부에 고정되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수도전으로부터 저수조(120)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함과 동시에 세척수의 일부를 림측으로 배출시키게 되는 구조로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70)는 통상의 솔레노이드밸브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70)의 중앙 하부에는 수도전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저수조(120) 내부에 저장하는 세척수 공급관(11)이 고정되고, 상기 세척수 공급관(11)의 일측에는 림측배수관(13)이 고정되어 변기본체(10)의 림측으로 연결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밴트(180)는 저수조(120)의 상부에 마감캡(181)이 고정되며, 상기 마감캡(181)에는 공기유입공(18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수조(120)와 마감캡(181)의 내부에는 부구(183)가 승강할 수 있도록 작동공간(182)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공간(182)에는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게 형성된 부구(183)가 장착된다.
상기 부구(183)의 상부에는 공기유입공(181a)을 폐쇄하는 패킹(183a)이 장착된다.
상기 부구(183)는 '+'자형으로 형성된 지지판(184)이 지지하게 되며, 상기 지지판(184)은 저수조(120)의 상부몸체(122)의 내부에 형성된다.
또한, 도 5,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펌프(130)에 고정되는 세척수 배수관(140)의 하단부에는 고정부재(190)를 장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재(190)는 결합홀(191)과 결합홈(19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결합홀(191)을 세척수 배수관(140)의 하부에 형성된 홈부(141)에 결합하게 되면 상기 결합홈(192)은 배수펌프(130)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31)에 걸림설정되면서 세척수 배수관(140)이 배수펌프(130)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결합홈(192)의 입구부에는 결합안내면(193)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190)가 걸림턱(131)에 결합될 때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100)의 작동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제어부를 제어하게 되면, 배수펌프(130)가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구동하게 되고, 상기 배수펌프(130)의 구동력에 의해 저수조(120)에 저장된 세척수를 순간적으로 흡입하게 된다.
순간적으로 흡입되는 세척수는 펌프고정공(121a)으로 배수됨과 동시에 세척수 배수관(140)을 통해 수직으로 배수되어 배출안내공(155a)을 통해 체크밸브(150) 내부로 배수된다.
이때, 배출안내공(155a)으로 배수되는 세척수의 수압으로 제1개폐부재(152)가 회전축(152a)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회전제어돌기(152b)가 스토퍼(154)에 밀착되면서 배출안내공(155a)을 개방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제2개폐부재(153)는 통공(122a)을 폐쇄하게 된다.
상기 배출안내공(155a)을 통과한 세척수는 배출공(155b)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변기배수관(12)을 통해 변기본체(10) 내부로 배수되어 용변을 세척하게 되며, 세척수가 변기본체(10)로 배출될 때, 에어밴트(180)의 부구(183)는 자중에 의해 지지판(184) 상부로 하강한 상태이므로 공기유입공(181a)을 통해 저수조(120) 내부에 공기가 유입된다.
이때, 저수조(120)에 저장된 세척수는 수위가 낮아지게 되며, 저수조(120)에 장착된 수위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함과 동시에 감지신호를 솔레노이드밸브(170)에서 전달받아 세척수 공급관(11)을 개방하여 저수조(120) 내부에 세척수를 공급하게 되고, 솔레노이드밸브(170)는 림측배수관(13)을 개방함과 동시에 세척수의 일부가 림측배수관(13)으로 통해 변기본체(10)의 림으로 배출된다.
또한, 배수펌프(130)의 작동으로 저수조(120)에 저장된 세척수가 순간적으로 배수될 때, 저수조 몸체(121) 내부에 구비된 격판(124)은 세척수의 출렁임 및 소음을 최소화하게 되어 양변기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용변배출이 완료되어 배수펌프(130)의 작동이 중지되면 상기 저수조(120)의 세척수 배출이 중지되며, 상기 체크밸브(150)의 제1개폐부재(152)가 자중에 의해 회전축(152a)을 중심으로 하강 회전하여 배출안내공(155a)을 폐쇄하게 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70)의 개방으로 세척수 공급관(11)을 통해 저수조(120) 내부로 일정 수위의 세척수가 저장되면, 수위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솔레노이드밸브(170)는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세척수 공급관(11)과 림측배수관(12)을 폐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저수조(120)의 상부몸체(122)에 형성된 통공(122a)은 저수조 상단부에 위치되어 일정 수위를 추가로 확보하고 있으므로 수위감지센서의 감지신호보다 저수조(120)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저장 속도가 더 빠르더라도 그 수위만큼 세척수를 저장할 수 있어 오버플로우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한편, 오작동으로 인해 저수조(120)로 저장되는 세척수가 오버플로우될 경우, 세척수는 하부몸체(121)보다 더 높은 수위로 저장되며, 상기 세척수는 상부몸체(122)과 에어밴트(180)의 작동공간(182)에 채워지게 된다.
이때, 에어밴트(180)의 부구(183)는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패킹(183a)에 의해 공기유입공(181a)을 폐쇄하게 되고, 상기 세척수는 상부몸체(122)에 형성된 통공(122a)으로 배출된다.
상기 세척수의 수압으로 제2개폐부재(153)는 회전축(153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통공(122a)을 개방하게 됨과 동시에 세척수의 수압으로 제1개폐부재(152)는 배출안내공(155a)을 폐쇄하게 되며, 세척수는 배출공(155b)과 변기배수관(12)을 통해 변기본체(10)로 배출된다.
한편, 변기본체(10)가 막히거나 오작동에 의해 용변 및 이물질이 역류할 경우, 상기 이물은질 변기배수관(12)을 통해 체크밸브(15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이물질의 역류되는 수압에 의해 제1개폐부재(152)와 제2개폐부재(153)는 축홈(15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부몸체(122)의 통공(122a)과 밸브커버(155)의 배출안내공(155a)을 폐쇄하여 저수조(120) 및 배수펌프(130) 측으로 이물질이 역류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110: 지지판 120: 저수조
121: 하부몸체 122: 상부몸체
123: 세척수 공급공 124: 격판
125: 드레인밸브 130: 배수펌프
140: 세척수 배수관 150: 체크밸브
151: 축홈 152: 제1개폐부재
153: 제2밸브부재 154: 스토퍼
155: 밸브커버 160: 고정플레이트
161: 수용공간 170: 솔레노이드밸브
180: 에어밴트 181: 마감캡
182: 작동공간 183: 부구
184: 지지판 190: 고정부재
191: 결합홀 192: 결합턱
193: 결합안내면

Claims (10)

  1. 변기본체의 후방 하부에 안착 고정되어 저수조를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안착되어 일정량의 세척수를 저장하도록 폭은 좁게 형성되면서 수직으로 높게 형성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하부몸체에 고정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저수조에 저장된 세척수를 펌핑하여 변기 본체로 배수시키는 배수펌프;
    상기 배수펌프에 고정되어 펌핑된 세척수를 체크밸브 측으로 배수하는 세척수 배수관;
    상기 저수조의 상부몸체와 세척수 배수관에 장착되어 저수조에 저장된 세척수를 변기본체로 배수하도록 제어하며 오염된 용변과 이물질이 저수조로 역류되지 않도록 흐름을 제어하는 체크밸브;
    상기 저수조와 체크밸브를 감싸 보호하도록 변기본체의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저수조의 상부로 고정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수도전에서 저수조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함과 동시에 공급되는 세척수의 일부를 림측으로 배출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저수조는,
    상기 지지판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며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가 배수펌프를 통해 배수되도록 펌프고정공이 형성되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저수조 내부를 폐쇄하는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상면에 솔레노이드밸브가 고정되어 수도전으로부터 저수조 내부로 세척수가 공급되는 세척수 공급공;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에 하부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게 안착되어 저수조에 저장된 세척수가 배수펌프의 작동으로 급격히 배수될 때 세척수의 출렁임을 방지하는 격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의 하부에는 저수조 내부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드레인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배수관은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에 형성된 설치공에 결합되어 상기 저수조의 내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체크밸브는,
    상기 상부몸체에 형성되는 축홈;
    상기 축홈에 각각 결합되어 통공과 배출안내공을 개방 및 폐쇄하는 제1,2개폐부재;
    상기 상부몸체와 밸브커버에 각각 형성되어 제1,2개폐부재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
    상기 상부몸체의 전방에 고정되며 하부에는 배출안내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안내공과 직교되도록 배출공이 형성되는 밸브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2개폐부재는 통공과 배출안내공에 밀착되도록 일측에 실링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제1개폐부재의 타측에는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저수조의 세척수가 변기본체로 배수될 때, 제1개폐부재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제2개폐부재는 폐쇄되고, 저수조로 저장되는 세척수의 오버플로우시 제2개폐부재는 개방되고 제1개폐부재는 폐쇄되며, 변기본체의 역류 발생시 제1,2개폐부재가 동시에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의 상부에 결합된 세척수 배수관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고정부재는,
    일측 방향으로 개방되며 세척수 배수관을 수용하면서 세척수 배수관의 하부에 형성된 홈부에 결합되는 결합홀;
    상기 결합홀 하부의 내측에는 배수펌프의 걸림턱에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의 입구부에 형성되어 고정부재가 걸림턱에 결합될 때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결합안내면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KR1020190111964A 2019-09-10 2019-09-10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KR102055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964A KR102055170B1 (ko) 2019-09-10 2019-09-10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964A KR102055170B1 (ko) 2019-09-10 2019-09-10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170B1 true KR102055170B1 (ko) 2019-12-12

Family

ID=69003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964A KR102055170B1 (ko) 2019-09-10 2019-09-10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17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818Y1 (ko) * 1995-08-28 1999-06-01 반안균 절수형 양변기
KR20100025503A (ko) * 2007-06-28 2010-03-09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수세식 대변기
KR101261513B1 (ko) 2011-12-15 2013-05-13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로우탱크 양변기의 림부 급수 전환장치
KR101510431B1 (ko) * 2014-05-23 2015-04-10 주식회사 삼홍테크 도기 일체형 비데의 착탈장치
KR101990484B1 (ko) 2018-12-28 2019-06-18 임영균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818Y1 (ko) * 1995-08-28 1999-06-01 반안균 절수형 양변기
KR20100025503A (ko) * 2007-06-28 2010-03-09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수세식 대변기
KR101261513B1 (ko) 2011-12-15 2013-05-13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로우탱크 양변기의 림부 급수 전환장치
KR101510431B1 (ko) * 2014-05-23 2015-04-10 주식회사 삼홍테크 도기 일체형 비데의 착탈장치
KR101990484B1 (ko) 2018-12-28 2019-06-18 임영균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0295B2 (ja) 溢れ防止補助水槽を有する洋風便器
KR20100025503A (ko) 수세식 대변기
JP5130802B2 (ja) 水洗便器
JP5051611B2 (ja) 水洗大便器
KR101990484B1 (ko)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KR102055170B1 (ko)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US11326614B2 (en) Automatic fluid pump
JP2008240402A (ja) 洋風水洗式便器
KR20070064462A (ko) 양변기의 세척수 급수제어장치
KR100451464B1 (ko) 씽크대의 절수장치
JP4941892B2 (ja) 水洗大便器
US11136752B2 (en) Flush toilet
US20210324620A1 (en) Anti-backflow device and bidet
KR20060072180A (ko) 양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KR20170089709A (ko) 배수펌프 및 이를 포함한 세탁장치
KR100424411B1 (ko) 씽크대의 절수장치
KR0138379Y1 (ko) 양변기 저수조의 급수장치
JP2002038562A (ja) 給水装置
KR200378340Y1 (ko) 양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KR200229713Y1 (ko) 수세식 변기의 내장형 절수장치
JP2012177257A (ja) 便器洗浄タンク
KR200424040Y1 (ko) 양변기의 세척수 급수 제어장치
KR100897560B1 (ko) 양변기의 물탱크를 개폐하는 물덮개
JP2018109335A (ja) 洗浄水供給装置および水洗大便器
RU2398938C2 (ru) Сл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зервуаров или бачков, оборудованных сливным клапан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