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379Y1 - 양변기 저수조의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 저수조의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379Y1
KR0138379Y1 KR2019960010735U KR19960010735U KR0138379Y1 KR 0138379 Y1 KR0138379 Y1 KR 0138379Y1 KR 2019960010735 U KR2019960010735 U KR 2019960010735U KR 19960010735 U KR19960010735 U KR 19960010735U KR 0138379 Y1 KR0138379 Y1 KR 01383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pening
closing
valv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0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2582U (ko
Inventor
송공석
Original Assignee
송공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공석 filed Critical 송공석
Priority to KR2019960010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379Y1/ko
Publication of KR9700625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25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3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3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2Arrangement of in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3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floa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14Noise-reducing means combined with flushing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Float Valv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양변기,
2.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밸브의 개폐구조가 복잡하고 개폐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공급관을 통해 급수될 때 소음이 발생하고 소위조절을 정확하게 실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임.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저수조의 내부에 일정량의 물이 담수되도록 급수시키는 양변기 저수조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공급관(51)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안내하여 저수조로 급수시키는 밸브(52)와; 지지대(531)의 양측을 따라 플로우트(533)를 일정한 높이씩 다단으로 승강시켜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부(53)와; 상기 플로우트(533)를 지지하는 지지대(531)의 하부 일측이 편심으로 축설되어 상기 밸브(52)를 직접 개폐시키는 개폐부(54)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양변기 저수조의 급수장치.

Description

양변기 저수조의 급수장치
제1도는 선출원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저수조의 단면도.
제2도는 선출원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저수조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단면도로써,
(a)는 밸브가 폐쇄된 상태이고,
(b)는 밸브가 개방된 상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급수부 51 : 공급관
52 : 밸브 521 : 연결관
522 : 안내관 523 : 배출구
526 : 개폐공 527 : 배출안내구
528 : 개폐변 53 : 수위조절부
531 : 지지대 532 : 걸림턱
533 : 플로우트 535 : 안내홀
536 : 후크 54 : 개폐부
541 : 패킹 543 : 힌지
544 : 개폐돌기 60 : 배수부
본 고안은 양변기의 저수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수조의 수위가 적정량이 되게 담수시키는 양변기 저수조의 급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변기의 저수조는 일정량의 물을 저수시켜서 용변을 정화조로 배출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저수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로 개구된 함체상의 몸체(1)가 구비되고, 이 몸체(1)의 상부에는 덮개(2)가 복개되고, 또한 상기 몸체(1)의 내부에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3)와 급수된 물을 변기로 일정량 배수시키는 배수부(4)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급수부(3)는 본건 출원인이 선출원(출원번호:95-24619)한 바와 같이 물의 유입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의 내부 저면 소정위치에 돌출되게 밸브(32)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32)의 축수대(321)에 힌지핀(331)이 상하 시소운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힌지핀(331)의 후방에 수평으로 끼움편(332)이 연장되는 작동레버(33)가 구비되며, 상기 작동레버(33)의 끼움편(332)을 수용하여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하단 소정위치에 수용홈(341)이 구비되고 상단에 나사부(342)가 형성되는 지지대(34)를 구비하고, 원통형상의 내부 중앙에서 하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그 내주벽 둘레의 나사산(351a)으로 상기 지지대(34)의 나사부(342)를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보스(351)를 가지는 플로우트(3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32)는 축수대(321)의 후방으로 소정폭과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작동레버(33)의 과도한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받침대(322)가 구성되어 공급관(31)에 수직으로 연결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선출원된 종래의 수위조절장치는 밸브(32)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지지대(34)의 하단에 별도의 작동레버(33)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함으로서 그 구조가 복잡하며, 공급관(31)을 통해 급수되는 물이 밸브(32)의 중앙을 경유하여 외곽으로 배출할 때 발생하는 소음의 감소 효과를 충족시킬 수 없었다. 특히 플로우트(35)가 나사식으로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수위조절을 정확하게 실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목적은 밸브의 개폐구조를 간소화하고 급수동작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급수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 시킬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플로우트를 수직으로 승강시키면서 수위조절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은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안내하여 저수조로 급수시키는 밸브와; 지지대의 양측을 따라 플로우트를 일정한 높이씩 다단으로 승강시켜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부와; 상기 플로우트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하부 일측이 편심으로 축설되어 밸브를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저수조의 단면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며, 제5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양변기의 저수조는 통상에서와 같이 상부로 개구된 함체상의 몸체(1)가 구비되고, 이 몸체(1)의 상부에는 덮개(2)가 복개되고, 또한 상기 몸체(1)의 내부에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5)와 급수된 물을 변기로 일정량 배수시키는 배수부(6)가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양변기의 저수조에 있어, 본 고안 저수조 급수장치는 공급관(51)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안내하여 저수조로 급수시키는 밸브(52)를 구성하고, 지지대(531)의 양측을 따라 플로우트(533)를 일정한 높이식 다단으로 승강시켜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부(53)를 구성하며, 상기 플로우트(533)를 지지하는 지지대(531)의 하부 일측이 편심으로 축설되어 밸브(52)를 개폐시키는 개폐부(54)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밸브(52)는, 상,하부로 통공된 원통형 연결관(521)의 상단 중심에 하부가 폐쇄되고 상부가 개구된 작은 직경의 안내관(522)을 구성하고, 이 안내관(522)의 일측을 관통시켜 연결관(521)의 일측으로 개구되게 연결한 배출구(523)를 구성하며, 상기 안내관(522)의 하부가 근접하게 일치하는 연결관(521)의 내주면에 안내관(522)보다 큰 직경으로 돌기(524)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연결관(521)의 상부에는 캡(525)을 착탈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이 캡(525)의 상부 일측에는 개폐공(526)을 통공시키며, 외주면의 일측에는 상기 배출구(523)와 연통되어 배출구(523)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일측의 하부로 안내하는 배출안내구(527)를 형성하고, 이러한 캡(525)의 내부와 연결관(521)의 상부 사이에는 고무로 된 원형 개폐변(528)을 개재시킨다.
상기 수위조절부(53)는, 사각봉체의 양측면에 요철(凹凸)로 이루어지는 걸림턱(532)이 하단의 소정 위치까지 구비된 지지대(531)를 구성한다. 또한 이러한 지지대(531)의 걸림턱(532)에 다단으로 걸리면서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부로 개구된 몸체(534)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534)의 중앙에는 상기 지지대(531)를 자유로이 승강 안내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안내홀(535)이 구비되며, 이 안내홀(535)의 하단 양측에는 상기 지지대(531)의 걸림턱(532)에 탄력있게 삽탈되는 후크(536)를 구비한 플로우트(533)를 구성한다.
상기 개폐부(54)는, 지지대(531)의 저면을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그 저면의 중앙에 패킹(541)을 삽입하고, 지지대(531)의 경사진 일측 중앙에 보스(542)를 형성하여 이의 양면에 힌지(543)를 돌설한다. 또한 상기 밸브 캡(525)의 일측에 통공된 개폐공(526)을 상부로 연장한 개폐돌기(544)를 입설하고, 그 양측에 상기 힌지(543)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한쌍의 축수편(545)을 구비한다. 이러한 축수편(545)의 사이에 지지대(531) 하단을 삽입하여 힌지(543)를 축설시킴과 동시에 일측의 개폐돌기(544)의 개폐공(526)의 입구에 패킹(541)이 일치하도록 조립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동 과정과 그에 따르는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수위조절부(53)에 의해 저수조에 담수되는 물의 량을 조절하고져 할 경우, 예를 들어 수위를 높이고져 할 경우에는 플로우트(533)를 손으로 파지하여 당기게 되면 제6도의 (a)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532)에 걸린 후크(536)가 걸림턱(532)의 경사면을 따라 외향으로 변형되고 중심을 넘어서면 자체 탄성에 의해 복원되면서 직상부의 걸림턱(532)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원하는 위치까지 플로우트(533)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면서 수위를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수위가 확정된 상태에서 공급관(51)을 통하여 공급된 물이 연결관(521)의 상부로 상승하여 안내관(522)의 외곽에 형성된 통로로 유입되면 그 수압에 의해 개폐변(528)의 중앙부가 상승하여 형성된 개폐변(528)과 안내관(522) 상부 사이의 통로를 경유하여 안내관(522)의 하부로 유입된다. 이렇게 안내관(522)으로 유입된 물은 일측으로 연통된 배출구(523)와 이 배출구(523)의 하부를 제외한 외곽을 감싸은 배출안내구(527)를 통해 저수조의 내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공급관(51)을 통해 급수되는 물은 안내관(522)의 외곽에서 중심으로 유입되어 일측으로 배출됨으로써 비교적 높은 압력으로 급수되는 물의 소음이 최소로 감소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급수 과정을 통하여 급수된 물이 저수조에 담수되어 그 수위가 플로우트(533)에 접근하여 계속 상승하게 되면 제6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에 의해 플로우트(533)가 상승하면 이에 연결된 지지대(531)가 따라 상승하면서 개폐부(54)를 연동시킨다.
이러한 개폐부(54)의 작동과정을 보면, 지지대(531)가 상승하게 되면 축수편(545)에 축설된 힌지(543)를 중심으로 지지대(531)의 경사진 저면이 하강하여 이에 삽입된 패킹(541)이 개폐돌기(544)의 중심에 통공된 개폐공(526)을 막아 폐쇄시킨다. 이렇게 개폐공(526)이 폐쇄되면 개폐변(528)의 상부와 캡(525)의 바닥면 사이에 진공상태가 되면서 개폐변(528)의 중심이 하강하여 안내관(522)의 입구를 견고하게 폐쇄시킴으로서 급수동작이 정지된다.
이와 같은 개폐동작은 플로우트(533)에 연결된 지지대(531)의 저면이 개폐공(526)을 직접 폐쇄시키게 됨으로서 간단한 개폐구조에 의해 급수동작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공급관으로부터 지지대의 양측을 따라 플로우트를 일정한 높이씩 다단으로 승강시켜 용이하고 정확하게 수위를 조절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플로우트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하부 일측이 개폐공을 직접 개폐시킬 수 있게 하여 밸브의 개폐구조를 간소화하고 급수동작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연결관을 통해 공급된 물이 외측에서 내측 중심으로 유입되어 일측으로 급수되도록 하여 급수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4)

  1. 저수조의 내부에 일정량의 물이 담수되도록 급수시키는 양변기 저수조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공급관(51)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안내하여 저수조로 급수시키는 밸브(52)와; 지지대(531)의 양측을 따라 플로우트(533)를 일정한 높이씩 다단으로 승강시켜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부(53)와; 상기 플로우트(533)를 지지하는 지지대(531)의 하부 일측이 편심으로 축설되어 상기 밸브(52)를 직접 개폐시키는 개폐부(54)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저수조의 급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밸브(52)는, 연결관(521)의 상단 중심에 하부가 폐쇄되고 상부가 개구된 안내관(522)을 구비하고, 이 안내관(522)의 하부 일측에 연결관(521)의 일측으로 개구된 배출구(523)를 구비하며, 상기 안내관(522)의 하부가 근접하게 일치하는 연결관(521)의 내주면에 안내관(522)보다 큰 직경으로 돌기(524)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521)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캡(525)을 구비하고, 이 캡(525)의 상부 일측에 개폐공(526)을 통공시키며, 캡(525)의 외주면 일측에 상기 배출구(523)와 연통된 배출안내구(527)를 구비하고, 상기 캡(525)의 내부와 연결관(521)의 상부 사이에 개폐변(528)을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저수조의 급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수위조절부(53)는, 사각봉체로 된 지지대(531)의 양측면에 상단에서 하단의 소정 위치까지 걸림턱(532)을 구성하고, 플로우트(533) 몸체(534)의 중앙에 상기 지지대(531)를 자유로이 승강 안내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안내홀(535)을 구성하여 이 안내홀(535)의 하단 양측에 상기 걸림턱(532)에 탄력있게 삽탈되는 후크(536)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저수조의 급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개폐부(54)는, 상기 지지대(531)의 저면을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그 저면의 중앙에 패킹(541)을 삽입하고, 상기 지지대(531)의 경사진 양면에 힌지(543)를 돌설하며, 상기 밸브 캡(525)의 일측에 통공된 개폐공(526)을 상부로 연장한 개폐돌기(544)를 입설하고, 그 양측에 상기 힌지(543)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한쌍의 축수편(545)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저수조의 급수장치.
KR2019960010735U 1996-05-03 1996-05-03 양변기 저수조의 급수장치 KR01383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0735U KR0138379Y1 (ko) 1996-05-03 1996-05-03 양변기 저수조의 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0735U KR0138379Y1 (ko) 1996-05-03 1996-05-03 양변기 저수조의 급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582U KR970062582U (ko) 1997-12-11
KR0138379Y1 true KR0138379Y1 (ko) 1999-04-01

Family

ID=19455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0735U KR0138379Y1 (ko) 1996-05-03 1996-05-03 양변기 저수조의 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3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827B1 (ko) * 2005-12-17 2007-09-14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의 세척수 급수제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08717A1 (en) * 2001-07-14 2003-01-30 Choi Jong Sung Water supply valve for flush toil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827B1 (ko) * 2005-12-17 2007-09-14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의 세척수 급수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582U (ko) 199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9964B2 (en) Flush water supply device, flush water tank assembly with flush water supply device, and flush toilet with flush water tank assembly
KR0138379Y1 (ko) 양변기 저수조의 급수장치
US8720480B2 (en) Flush water supply device, flush water tank assembly with flush water supply device, and flush toilet with flush water tank assembly
KR100263368B1 (ko) 양변기의배수량조절장치
KR200424276Y1 (ko) 양변기의 세척수 급수 제어장치
KR100953175B1 (ko) 변기 소음 감소 장치
JPH10196837A (ja) 給水制御装置
KR102055170B1 (ko)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KR200164180Y1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0202257Y1 (ko)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KR200163417Y1 (ko) 양변기저수조용볼탭
KR960016756B1 (ko) 공기압력을 이용한 수세식 변기 세정용 급수탱크
KR101228989B1 (ko) 변기 소음 줄임 장치
KR0127592Y1 (ko) 양변기 저수조의 수위조절장치
KR200277618Y1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0198386Y1 (ko) 양변기용 수위조절장치
KR200301096Y1 (ko)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KR0127590Y1 (ko) 양변기용 2단배수밸브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0338316Y1 (ko)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KR20070113433A (ko) 드럼세탁기
KR200417189Y1 (ko) 수조의 배수구 개폐장치
KR101765884B1 (ko) 비잠수형 로탱크용 역류방지 필밸브
KR950004629Y1 (ko) 위생세정기의 입수제어유니트의 유량조절밸브
KR200286818Y1 (ko)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KR960010610Y1 (ko) 양변기저수조의 급수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