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096Y1 -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096Y1
KR200301096Y1 KR20-2002-0024649U KR20020024649U KR200301096Y1 KR 200301096 Y1 KR200301096 Y1 KR 200301096Y1 KR 20020024649 U KR20020024649 U KR 20020024649U KR 200301096 Y1 KR200301096 Y1 KR 2003010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passage
water supply
cov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46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홍기
Original Assignee
정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홍기 filed Critical 정홍기
Priority to KR20-2002-00246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0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0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0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2Arrangement of in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3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flo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20Noise reduction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내부에 급수배관과 수조를 연결하는 급수로와 공급로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 상기 덮개와 상기 본체 사이에 설치되는 다이아후램패킹으로 이루어진 밸브와, 상기 덮개에 힌지 결합되어 수조의 수위에 따라 승강작동하는 수위조절부로 이루어진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로의 중앙 내주벽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로에는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중앙에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제 1배출구가 다수개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제 2배출구가 다수 형성된 수절부재가 삽입 설치되는 구성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공급로에 삽입 설치된 수절부재에 의해 급수시 공급로로 배출되는 물의 소음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급수되는 물의 소음이 감소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물소리로 인한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제품보다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WATER SUPPLY SYSTEM FOR WATER TANK OF TOILET BOWL}
본 고안은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수조로 물이 공급될때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한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의 수조는 일정량의 물을 저수시켜 사용자가 용변을 보고 난 후 변기에 담긴 용변을 정화조로 배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며, 이러한 수조에는 수도배관과 연결되어 수조 내에 물이 항상 일정량 유지되도록 하는 급수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WT)의 내부 저면에 돌출 설치되는 밸브(100)와, 상기 밸브(100)의 상단에 설치되어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부(140)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100)는 본체(110)와 덮개(120)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110)는 중심부에 급수로(111)가 형성되고, 상기 급수로(111)의 외주 둘레에는 상단부는 급수로(111)와 연통되고 하단부는 수조(WT)와 연통되는 공급로(113)가 형성되며, 상기 급수로(111)와 공급로(113)의 상단에 형성된 연통부(116)에는 상기 급수로(111)와 공급로(113)를 개폐하고 중앙에 설치공(131)이 형성된 다이아후램패킹(13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다이아후램패킹(130)의 설치공(131)에는 안내부재(13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다이아후램패킹(130)의 상부에는 압력실(13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력실(139)은 안내부재(136)의 관통공(137)에 의해 급수로(111)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덮개(120)는 상기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내측면에는 상기 관통공(137)에 끼워지는 안내핀(121)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 일측에는 배출공(127)을 갖는 배출구(1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위조절부(140)는 수조(WT)의 수위를 조절하는 것으로, 사각봉체의 양측면에 요철로 이루어진 걸림턱(142)이 하단부의 소정 위치까지 형성되고 하단에는 덮개(120)에 형성된 힌지편(129)에 힌지 결합될 수 있게 힌지단(144)이 형성된 지지대(141)와, 상기 지지대(141)에 끼워져 걸림턱(142)에 다단으로 걸리면서 수위를 조절하는 플로우트(148)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미설명부호(146)는 지지대(141)의 하단 저면에 설치되어 배출구(126)의 배출공(127)을 개폐하는 패킹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조(WT)에 일정량의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플로우트(148)가 연결된 지지대(141)가 덮개(120)의 상부로 돌출된 배출구(126)의 배출공(127)을 막게되면 덮개(120)의 내부에는 진공 압력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다이아후램패킹(130)의 고정블록(130a)은 본체(110)의 상단에 밀착되어 급수되지 않도록 폐쇄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조(WT)의 물이 변기로 배출되어 수위를 따라플로우트(148)가 하강하게 되면 플로우트(148)를 연결한 지지대(141)의 하단은 힌지단(144)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하여 배출공(127)을 개방하게 된다. 이때, 덮개(120) 내부의 공기는 배출공(127)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급수로(111)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다이아후램패킹(130)의 고정블록(130a)을 밀어 급수로(111)를 개방시킨다.
상기와 같이 고정블록(130a)의 상승에 의해 급수로(111)가 개방되면 물은 연통부(116) 및 급수로(111)와 공급로(113)를 통해 수조(WT)로 배출되고, 일부는 본체(110)에 형성된 배출로(119)를 통해 오버플로우어관(미도시)으로 배출된다.
이때, 물의 수압에 의해 상승한 다이아후램패킹(130)은 안내부재(136)가 안내핀(121)을 따라 상승하여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급수장치를 통하여 수조(WT)로 배출된 물이 적정량으로 플로우트(148)에 의해 감지되어 플로우트(148)와 연동되는 지지대(141)의 하부가 배출공(127)을 막게되면 덮개(120)의 내부에 진공압력이 작용함과 동시에 다이아후램패킹(130)은 다시 하강하여 급수로(111)를 폐쇄시킴으로써 급수동작을 정지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급수로(111)를 통해 급수되는 물이 공급로(113)를 통해 수조(WT)로 공급될때 소음이 크게 발생되었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기술적 과제는 밸브의 본체 내부에 수절부재를 설치하여 급수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내부에 급수배관과 수조를 연결하는 급수로와 공급로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 상기 덮개와 상기 본체 사이에 설치되는 다이아후램패킹으로 이루어진 밸브와, 상기 덮개에 힌지 결합되어 수조의 수위에 따라 승강작동하는 수위조절부로 이루어진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로의 중앙 내주벽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로에는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중앙에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제 1배출구가 다수개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제 2배출구가 다수 형성된 수절부재가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도 1은 종래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제 1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수절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밸브 20 : 본체
21 : 급수로 23 : 공급로
24 : 단턱 30 : 덮개
38 : 작동공 39 : 힌지편
40 : 다이아후램패킹 50 : 수절부재
51 : 결합공 52 : 제 1배출구
53 : 제 2배출구 60 : 수위조절부
61 : 지지대 64 : 힌지단
80 : 작동구
이하, 본 고안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 제 1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서 수절구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본 고안 급수장치는 수조(WT)의 내부 저면에 돌출 설치되는 밸브(10)와, 상기 밸브(10)의 상단에 설치되어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부(60)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10)는 본체(20)와 덮개(30)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20)는 중심부에 급수로(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급수로(21)의 외주둘레에는 상단부는 급수로(21)와 연통되고 하단부는 수조(WT)와 연통되며 중앙 내주벽에는 단턱(24)이 형성된 공급로(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급수로(21)와 공급로(23)의 상단에 형성된 연통부(26)에는 상기 급수로(21)와 공급로(23)를 개폐하고 중앙에 설치공(41)이 형성된 다이아후램패킹(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급로(23)에는 급수되는 물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게 수절부재(50)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수절부재(50)는 상기 공급로(23)에 삽입 설치될 수 있게 중앙에 결합공(51)이 관통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제 1배출구(52)가 다수개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제 2배출구(53)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다이아후램패킹(40)의 설치공(41)에는 안내부재(4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다이아후램패킹(40)의 상부에는 압력실(4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력실(49)은 안내부재(46)의 관통공(47)에 의해 급수로(21)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덮개(30)는 상기 본체(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내측면에는 상기 관통공(47)에 끼워지는 안내핀(31)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 일측에는 배출공(37)을 갖는 배출구(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위조절부(60)는 수조(WT)의 수위를 조절하는 것으로, 사각봉체의 양측면에 요철로 이루어진 걸림턱(62)이 하단부의 소정 위치까지 형성되고 하단에는 덮개(30)에 형성된 힌지편(39)에 힌지 결합될 수 있게 힌지단(64)이 형성된 지지대(61)와, 상기 지지대(61)에 끼워져 걸림턱(62)에 다단으로 걸리면서 수위를 조절하는 플로우트(68)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미설명부호(66)는 지지대(61)의 하단 저면에 설치되어 배출구(36)의 배출공(37)을 개폐하는 패킹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밸브(10)의 공급로(23)에 수절부재(50)를 삽입 설치한다. 그러면, 수절부재(50)는 공급로(23)에 형성된 단턱(24)에 의해 공급로(23)의 내부에 지지 설치된다.
그런 다음 본체(20)의 상부에 다이아후램패킹(40)을 안착시킨 후 덮개(30)를 본체(20)에 결합시키면 급수장치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덮개(30)에는 수위조절부(6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급수장치가 결합되면 이 급수장치를 급수배관(70)에 결합시키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조(WT)에 일정량의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플로우트(68)가 연결된 지지대(61)가 덮개(30)의 상부로 돌출된 배출구(36)의 배출공(37)을 막게되면 덮개(30)의 내부에는 진공 압력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다이아후램패킹(40)의 고정블록(40a)은 본체(20)의 상단에 밀착되어 급수되지 않도록 폐쇄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조(WT)의 물이 변기로 배출되어 수위를 따라 플로우트(68)가 하강하게 되면 플로우트(68)를 연결한 지지대(61)의 하단은 힌지단(64)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하여 배출공(37)을 개방하게 된다. 이때, 덮개(30) 내부의 공기는 배출공(37)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급수로(21)를통해 공급되는 물은 다이아후램패킹(40)의 고정블록(40a)을 밀어 급수로(21)를 개방시킨다.
상기와 같이 고정블록(40a)의 상승에 의해 급수로(21)가 개방되면 물은 연통부(26) 및 급수로(21)와 공급로(23)를 통해 수조(WT)로 배출되는데, 상기 공급로(23)로 배출되는 물은 수절부재(50)의 제 1배출구(52)로 배출되면서 1차적으로 소음이 감소되면서 낙하하고, 수절부재(50)로 낙하된 물은 다시 제 2배출구(53)를 통해 공급로(23)로 배출됨과 동시에 소음을 2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2배출구(53)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소음이 차단되는 것은 제 2배출구(53)보다 공급로(23)의 직경이 크기 때문이다.
이때, 물의 수압에 의해 상승한 다이아후램패킹(40)은 안내부재(46)가 안내핀(31)을 따라 상승하여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제 1배출구(52)로 낙하된 일부의 물은 본체(20)에 형성된 배출로(29)를 통해 오버플로우어관(미도시)으로 배출된다. 이때, 물의 수압에 의해 상승한 다이아후램패킹(40)은 안내부재(46)가 안내핀(31)을 따라 상승하여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급수장치를 통하여 수조(WT)로 배출된 물이 적정량으로 플로우트(68)에 의해 감지되어 플로우트(68)와 연동되는 지지대(61)의 하부가 배출공(37)을 막게되면 덮개(30)의 내부에 진공압력이 작용함과 동시에 다이아후램패킹(40)은 다시 하강하여 급수로(21)를 폐쇄시킴으로써 급수동작을 정지시킨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로서, 이는 덮개(30)의 일측에 지지대(61)의 힌지단(64)이 결합될 수 있게 힌지편(39)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작동공(38)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공(38)에는 수위조절부(60)의 작동에 의해 상하운동할 수 있게 작동구(80)가 설치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작동구(80)의 상단은 힌지편(39)의 끝단에 끼워 고정되고, 상기 작동구(80)의 하단에는 패킹(90)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작용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여 생략하기로 하고, 다만 수위조절부(60)에 의해 작동구(80)가 동작하면서 물의 흐름을 개폐시키는 것으로, 어느 수압에서나 물을 수조에 항상 일정하게 채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에 따르면 급수장치의 본체에 형성된 공급로에 단턱을 형성함과 동시에 공급로에 수절부재를 삽입 설치한 구성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수절부재에 의해 급수시 공급로로 배출되는 물의 소음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급수되는 물의 소음이 감소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물소리로 인한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제품보다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내부에 급수배관(70)과 수조(WT)를 연결하는 급수로(21)와 공급로(23)가 형성된 본체(20), 상기 본체(20)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30), 상기 덮개(30)와 상기 본체(20) 사이에 설치되는 다이아후램패킹(40)으로 이루어진 밸브(10)와, 상기 덮개(30)에 힌지 결합되어 수조(WT)의 수위에 따라 승강작동하는 수위조절부(60)로 이루어진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로(23)의 중앙 내주벽에 단턱(24)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로(23)에는 수조(WT)로 공급되는 물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중앙에 결합공(51)이 관통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제 1배출구(52)가 다수개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제 2배출구(53)가 다수 형성된 수절부재(50)가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0)의 일측에는 상기 수위조절부(60)의 지지대(61)에 형성된 힌지단(64)이 결합될 수 있게 힌지편(39)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작동공(38)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공(38)에는 상기 지지대(61)의 작동에 의해 상하운동할 수 있게 작동구(8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KR20-2002-0024649U 2002-08-19 2002-08-19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KR2003010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649U KR200301096Y1 (ko) 2002-08-19 2002-08-19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649U KR200301096Y1 (ko) 2002-08-19 2002-08-19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096Y1 true KR200301096Y1 (ko) 2003-01-24

Family

ID=49398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649U KR200301096Y1 (ko) 2002-08-19 2002-08-19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0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55318B2 (ja) 調節可能な注入弁組立体
JP2008223219A (ja) 直立式洋式便器用の補助水槽装置
KR200301096Y1 (ko)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KR200271585Y1 (ko) 양변기용 대소변 구분 절수기
KR101696865B1 (ko) 전자제어 양변기 및 비데 일체형 양변기용 배수밸브장치
KR200348995Y1 (ko) 양변기의 급수장치
US5956781A (en) Dual flush cistern
KR100953175B1 (ko) 변기 소음 감소 장치
JP5094873B2 (ja) 節水型洋式便器
US20210324620A1 (en) Anti-backflow device and bidet
US6880181B2 (en) Apparatus for delaying the closing of a toilet flapper valve
KR200301081Y1 (ko)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KR200287466Y1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0297671Y1 (ko) 무소음 볼탭
KR20040086075A (ko) 절수형 양변기
KR200277610Y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
KR101582074B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338316Y1 (ko)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KR102439410B1 (ko) 역류방지수단을 구비한 좌변기 급수장치
KR200190330Y1 (ko) 양변기의세척수제어장치
KR20040061452A (ko)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
JPH08311953A (ja) 便器洗浄用タンク装置
KR200432084Y1 (ko)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
KR200344345Y1 (ko)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
JPH031021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