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081Y1 -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081Y1
KR200301081Y1 KR20020023223U KR20020023223U KR200301081Y1 KR 200301081 Y1 KR200301081 Y1 KR 200301081Y1 KR 20020023223 U KR20020023223 U KR 20020023223U KR 20020023223 U KR20020023223 U KR 20020023223U KR 200301081 Y1 KR200301081 Y1 KR 2003010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water supply
closing
hol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200232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관호
Original Assignee
한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관호 filed Critical 한관호
Priority to KR200200232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0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0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0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2Arrangement of in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03Cisterns in combination with wash-basins, urina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3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flo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2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 F16K3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with the float rigidly connected to the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3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ing on pilot valve controlling the cut-of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변기 수조 내의 물이 항상 일정량 유지되도록 하는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안내부재를 따라 승하강하는 개폐부재가 밸브캡의 중앙에 내측으로 하향 설치된 지지부재에 끼워진 스프링에 의해서 밸브시트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력설치되어 상기 밸브캡의 일측에 설치된 통공이 개방됨에 따라서 압력실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 상기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밸브시트를 개방하고, 또 상기 개폐부재의 하부 중앙에 형성한 유입공의 하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그물망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개폐부재의 개폐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개폐동작이 원활하고, 또 개폐부재가 고착되어 움직이지 않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토록 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Flushing Water Control Device For a Toilet Tank}
본 고안은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양변기 수조 내의 물이 항상 일정량 유지되도록 하는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변기의 수조는 일정량의 물을 저수시켜서 용변을 정화조로 배출시키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수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함체상의 몸체(1)가 구비되고, 이 몸체(1)의 상부에는 뚜껑(2)이 씌워지며, 상기 몸체(1)의 내부에는 급수관(4)과 연결되어 수조 내의 물이 항상 일정량 유지되도록 하는 급수장치(3)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급수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실0138379에 개시된 양변기 저수조의 급수장치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급관(5)을 통하여 공급된 물이 연결관(6)의 상부로 상승하여 안내관(7)의 외곽에 형성된 통로로 유입되면 그 수압에 의해 개폐변(8)의 중앙부가 상승하고, 따라서, 공급되는 물은 개폐변(8)과 안내관(7)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경유하여 안내관(7)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렇게 안내관(7)으로 유입된 물은 일측으로 연통된 배출구(9)를 통해 수조의 내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의 급수장치는 안내관(7)의 상부에 개폐변(8)을 위치시켜 밸브의 개폐구조를 간소화한 장점은 있으나, 위의 급수장치는 연결관(6)을 통하여 급수되는 방향이 일측으로 치우쳐 있고, 또 상기 개폐변(8)이 견고하게 지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급수시 개폐변(8)이 불완전하게 작동하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02257에 개시된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우트(미도시)를 연결한 작동대(10)의 하단이 힌지(H)를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동하여 통공(11)을 개방하게 되면, 밸브캡(12) 내부의 유체가 통공(1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급수관(13)으로 공급된 물이 패킹(14)의 중앙에 형성한 고정블록(14a)을 밀어 출구(16)를 개방시키고, 따라서, 급수관(13) 내부에 대기하고 있던 물이 지지부재(17)의 통공(18) 내측의 공간을 경유하여 급수관(13)의 일측으로 연결된 배출구(9)를 통해 수조로 배출되도록 하며, 수조로 배출된 물이 적정량으로 플로우트에 의해 감지되어 플로우트와 연동하는 작동대(10)의 하부가 통공(11)을 막게 되면 패킹(14)이 다시 하강하여 급수관(13)의 출구를 폐쇄시켜 급수동작을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의 급수장치는 통공(11)이 개방됨과 동시에 패킹(14)이 상승할 때 급수관(13)을 통하여 물이 유입되는 과정에서 물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이 지지부재(17)의 통공(18) 내측의 공간을 경유하여 하부로 배출되지 아니하고 안내부재(15)의 중앙부에 형성한 구멍에 끼게 되어 상기 구멍을 따라 승강하는 안내핀(19)의 승강작동을 방해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되면 통공(11)이 개방되거나 폐쇄된 상태에서 그에 따라 패킹(14)이 연동되지 아니하고 패킹(14)이 어느 한 위치에서 고착되어 급수장치로서의 기능을 상실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급수장치는 고정블록(14a)이 상부에 위치하는 압력실의 압력에 따라 상하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얇은 연결편(14b)에 의해서 고정편(14c)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편(14c)은 압력실 내부의 압력에 따라 계속적인 상하 이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상기 연결편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따라서 패킹으로서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되므로 이 역시 급수장치로서의 기능을 상실케 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급수장치의 개폐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개폐동작이 원활하고, 또 개폐부재가 고착되어 움직이지 않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는 수조의 일측 하측에 설치된 급수관과 연결되는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본체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내부에는 압력실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통공이 상부로 연장된 개폐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캡과, 상기 밸브본체와 밸브캡 사이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의 중앙에 형성한 안내장공에 끼워져 상하로 승강되어 상기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수조 내로 급수시키거나 폐쇄시키기 위한 개폐부재와, 상기 밸브캡의 일측에 설치되어 수위의 높이에 따라 상기 밸브캡에 형성된 통공을 개폐하기 위한 작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밸브캡의 중앙에 내측으로 하향 설치된 지지부재에 끼워진 스프링에 의해서 밸브시트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력설치되어 상기 밸브캡의 일측에 설치된 통공이 개방됨에 따라서 압력실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 상기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밸브시트를 개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양변기의 수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또 다른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가 수조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에 대한 외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가 폐쇄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4 : 급수관 21 : 밸브본체
22 : 밸브캡 22a : 압력실
24 : 안내부재 25 : 개폐부재
30 : 작동부재 35 : 부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가 수조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뚜껑(2)이 개폐가능하게 씌워지는 함체상의 몸체(1) 내부에 설치되어 급수관(4)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양변기의 수조 내에 일정량 담가 두었다가변기로 물을 배출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에 대한 외관 사시도이고, 도 6은 그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8은 폐쇄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20)는 수조의 일측 하측에 설치된 급수관(4, 도 4 참조)과 연결되는 밸브본체(21)와, 상기 밸브본체(21)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내부에는 압력실(22a)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통공(22b)이 상부로 연장된 개폐돌기(22c)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캡(22)과, 상기 밸브본체(21)와 밸브캡(22) 사이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안내부재(24)와, 상기 안내부재(24)의 중앙에 형성한 안내장공(24a)에 끼워져 상하로 승강되어 상기 급수관(4)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수조 내로 급수시키거나 폐쇄시키기 위한 개폐부재(25)와, 상기 밸브캡(22)의 일측에 설치되어 수위의 높이에 따라 상기 밸브캡(22)에 형성된 통공(22b)을 개폐하기 위한 작동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본체(21)는 상부가 개구된 통체상의 몸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하부 중앙에는 수조의 일측 하측에 설치된 급수관(4)과 연결되는 유입관(2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입관(21a)의 상측으로 개폐부재(25)를 안착시키기 위한 밸브시트(21b)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또 그 벽체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유입관(21a)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수조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1c)와, 변기 내에 미량의 보충수를 공급하기 위한 보충수유출구(21d)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캡(22)은 밸브본체(21)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내부에는 개폐부재(25)의 피스톤(26)이 승강가능하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은 개폐부재(25)의 상부표면과 함께 압력실(22a)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밸브캡(22)은 그 상부의 소정 위치에는 작동부재(30)에 의해서 개폐되는 통공(22b)이 형성된 개폐돌기(22c)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또 중앙의 내부에는 스프링(23)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22d)가 하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재(24)는 밸브본체(21)의 상부 테두리(21e)와 밸브캡(22)의 하부테두리(22f) 사이에 위치하는 환상의 원판체로서, 그 상부표면(24b)은 가운데 부분이 단턱지게 돌출형성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밸브캡(22)의 요홈에 끼워지면서 개폐부재(25)의 상부에 위치하는 피스톤(26)의 하방이동을 제한하는 정지부의 역할을 하며, 중앙에 상하로 관통형성된 안내장공(24a)은 개폐부재(25)의 상하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개폐부재(25)는 안내부재(24)의 중앙에 형성한 안내장공(24a)에 끼워져 상부에 위치하는 압력실(22a)의 압력변화에 따라 상하로 승강되어 급수관(4)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수조 내로 급수시키거나 폐쇄시키도록 하며, 피스톤(26)과, 상기 피스톤(26)의 하부에 결합되는 개폐변(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26)은 밸브캡(22)의 내벽을 따라 승하강가능하도록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스프링(23)이 끼워진 지지부재(22d)가 관통가능한 관통공(26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22a)의 하부에는 개폐변(27)을 억지끼워맞추기 위한 대경부(26b)가 형성되어 있고, 외주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오링(26c)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개폐변(27)은 상기 피스톤(26)의 하부에 결합되어 피스톤(26)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하로 승강되어 밸브시트(21b)를 개폐하며, 밸브시트(21b)를 개폐하기 위한 원판형의 개폐부(28)와, 상기 개폐부(28)의 상부에 돌출형성된 로드부(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폐부(28)는 그 하부면에 밸브시트(21b)와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환상의 패킹(28a)이 끼워져 있으며, 상기 패킹(28a)의 안쪽 중앙부에는 압력실(22a)과 연통되는 유입공(28b)을 형성하되, 상기 유입공(28b)은 그 입구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그물망(28c)이 설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요홈의 상측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드부(29)는 개폐부(28)의 상부 중앙에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그 상부의 일부분이 피스톤(26)의 하부에 형성한 대경부(26b)에 억지끼워맞추어지며, 그 중앙에는 밸브캡(22)의 중앙 하단에 설치된 지지부재(22d)에 끼워진 스프링(23)을 탄력설치하기 위하여 피스톤(26)의 중앙에 형성한 관통공(22b)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대직경부(29a)와, 상기 대직경부(29a)의 하부에 상기 대직경부(29a)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소직경부(29b)가 단턱이 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소직경부(29b)의 하단은 유입공(28b)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공(28b)을 통하여 유입관(21a) 내부의 물이 압력실(22a)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소직경부(29b)는 압력실(22a)의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서 피스톤(26)이 지지부재(22d)에 끼워진 스프링(23)을 압축하면서 상부로 이동하게 될 때, 지지부재(22d)의 하단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직경부(29b) 내로 삽입되도록 하여 피스톤(26)이 상부로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피스톤과 개폐변으로 구성되는 개폐부재(25)를 조립함에 있어서는 개폐변의 상부에 돌출형성된 로드부에 안내부재(24)를 삽입하고 상기 로드부의 상측부분을 피스톤에 끼워 조립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개폐부재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로드부(29)를 개폐부(28)에 일체로 형성하여 피스톤(26)에 억지끼워맞추는 방법으로 할 수도 있고, 또 그 형태를 달리하여 로드부(29)를 피스톤(26)과 일체로 형성하여 개폐부(28)에 결합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작동부재(30)는 밸브캡(22)의 상측에 설치된 힌지결합구(22e)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회동바(31)와, 상기 회동바(31)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부구(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동바(31)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길게 연장형성되어 그 일측부분에 부구(35)가 결합될 수 있는 제1부분(32)과, 상기 제1부분(32)과 힌지결합부(22e)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장형성되어 있는 제2부분(33)으로 구분된다.
상기 제1부분(32)은 부구(35)를 설치할 수 있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의 소정거리에 걸쳐서 나사산(32a)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나사산(32a) 사이에는 부구(35)를 임의의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홈(32b)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부분(33)은 힌지결합부(22e)에서 밸브캡(22)의 일측에 돌출되어 있는 통공(22b)이 위치하는 지점까지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부분(32)의 움직임에 따라서 연동되어 통공(22b)을 개폐토록 한다.
상기 부구(35)는 그 상부 중앙에서 하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체결보스(35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보스(35a)는 상기 제1부분(32)에 탄성적으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그 하단에 절개부(35d)가 형성되어 있고, 내주벽 둘레에는 상기 제1부분(32)에 형성한 나사산(32a)에 맞물릴수 있는 나사산(35b)이 형성되어 있고, 또상기 부구(35)를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부분(32)의 홈(32b)에 끼워지기 위한 걸림돌기(35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작동부재(30)는 변기 내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적게 또는 많게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부구(35)를 손으로 파지하여 시계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부구(35)의 중앙에 형성한 체결보스(35a)의 하단이 일부 절개되어 있으므로 부구(35)를 회전시키는 힘에 의해 체결보스(35a)의 하단에 형성한 걸림돌기(35c)가 제1부분(32)에 형성한 홈(32b)에서 이탈되면서 이동되게 되고, 상기 부구(35)를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에 상기 걸림돌기(35c)가 다시 홈(32b)에 걸리도록 하면 탄성적으로 결합이 단단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부구(35)가 회동바(31)에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수조 내의 물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가 개방되어 수조 내로 공급수가 유입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수조 내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면, 수조 내의 수위가 내려감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부구(35)가 하강하게 되고, 따라서 회동바(31)의 제1부분(32)도 힌지결합구(22e)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서 회동바(31)의 제2부분(33)이 같이 연동하여 밸브캡(22)의 일측에 돌출된 통공(22b)을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 통공(22b)이 개방되게 되면, 압력실(22a) 내부에 유입된 세척수는 압력실(22a) 외부로 상기 통공(22b)을 통하여 배출되게 되므로 압력실(22a) 내부의 압력이 급속히 저하되게 되어 결과적으로 개폐부재(25)가 스프링(23)의 힘을 이기고 위쪽으로 이동되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폐부재(25)가 개방되게 되고, 급수관(23) 내부에 대기하고 있던 물이 유입구(24)를 통해 배출구(21c)로 배출되게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수조 내에 일정량의 물이 공급되게 되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구(35)가 연결된 회동바(31)의 제1부분(32)이 힌지결합구(22e)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서 회동바(31)의 제2부분(33)이 같이 연동하여 밸브캡(22)의 일측에 돌출되어 있는 통공(22b)을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 통공(22b)이 폐쇄되면 유입관(21a)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개폐부재(25)의 하부에 형성한 유입공(28b)을 통하여 압력실(22a) 내부로 공급되게 되고, 압력실(22a) 내부에 공급된 물은 상기 통공(22b)이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더 이상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압력실(22a) 내부에 축적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압력실(22a) 내부의 압력은 유입관(21a) 쪽의 압력과 같아지게 되고, 결국개폐부재(25)는 스프링(23)의 힘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밀려지게 되어 개폐부재(25)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밸브시트(21b)를 폐쇄하게 되어 급수동작을 정지시키게 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수조 내의 물이 다시 외부로 배출되면, 수조 내의 수위가 내려감에 따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구(35)가 다시 하강하게 되고, 그에 따라서 회동바(31)가 다시 시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급수관(23)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입구(24)를 통해 배출구(21c)로 배출되게 되고, 다시 수조내에 일정량의 물이 공급되게 되면 부구(35)가 다시 상승하게 되어 급수동작을 정지시키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는 안내부재를 따라 승하강하는 개폐부재가 밸브캡의 중앙에 내측으로 하향 설치된 지지부재에 끼워진 스프링에 의해서 탄력설치되고, 또 상기 개폐부재의 하부 중앙에 형성한 유입공의 하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그물망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개폐부재의 개폐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개폐동작이 원활하고, 또 개폐부재가 고착되어 움직이지 않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토록 할 수가 있다.

Claims (8)

  1. 수조의 일측 하측에 설치된 급수관(4)과 연결되는 밸브본체(21)와, 상기 밸브본체(21)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내부에는 압력실(22a)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통공(22b)이 상부로 연장된 개폐돌기(22c)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캡(22)과, 상기 밸브본체(21)와 밸브캡(22) 사이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안내부재(24)와, 상기 안내부재(24)의 중앙에 형성한 안내장공(24a)에 끼워져 상하로 승강되어 상기 급수관(4)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수조 내로 급수시키거나 폐쇄시키기 위한 개폐부재(25)와, 상기 밸브캡(22)의 일측에 설치되어 수위의 높이에 따라 상기 밸브캡(22)에 형성된 통공(22b)을 개폐하기 위한 작동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25)는 밸브캡(22)의 중앙에 내측으로 하향 설치된 지지부재(22d)에 끼워진 스프링(23)에 의해서 밸브시트(21b)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력설치되어 상기 밸브캡(22)의 일측에 설치된 통공(22b)이 개방됨에 따라서 압력실(22a)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 상기 스프링(23)이 압축되면서 밸브시트(21b)를 개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25)는 압력실(22a)의 압력변화에 따라 밸브캡(22)의 내벽을 따라 승하강되는 피스톤(26)과, 상기 피스톤(26)의 하부에 결합되는 개폐변(27)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개폐변(27)은 밸브시트(21b)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28)와, 상기 개폐부(28)의 상부에 돌출형성되어 상부의 피스톤(26)에 결합되는 로드부(2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29)는 그 중앙에 밸브캡(22)의 중앙 하단에 설치된 지지부재(22d)에 끼워진 스프링(23)을 탄력설치하기 위하여 피스톤(26)의 중앙에 형성한 관통공(22b)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대직경부(29a)와, 상기 대직경부(29a)의 하부에 상기 대직경부(29a)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소직경부(29b)가 단턱이 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실(22a)은 그 내부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입공(28b)을 개폐변(27)의 하부중앙에 형성하고,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공(22b)은 밸브캡(22)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변(27)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그물망(28c)이 하부 중앙에 형성한 유입공(28b)의 입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30)는 본체(21)의 상부에 설치된 힌지결합구(22e)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회동바(31)와, 상기 회동바(31)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부구(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수조 내의 수위가 일정수준 이하로 내려가면 밸브캡(22)에 형성된 통공(22b)을 개방하고, 또 일정수준 이상으로 수위가 올라가면 상기 통공(22b)을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31)는 부구(35)를 설치할 수 있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의 소정거리에 걸쳐서 나사산(32a)을 형성하여 각 나사산(32a) 사이에 부구(35)를 임의의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홈(32b)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35)는 그 상부 중앙에 하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체결보스(35a)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보스(35a)는 상기 회동바(31)에 탄성적으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그 하단에 절개부(35d)가 형성되어 있고, 내주벽 둘레에는상기 회동바(31)에 형성한 나사산(32a)에 맞물릴수 있는 나사산(35b)과, 상기 회동바(31)에 형성한 홈(32b)에 끼워질 수 있는 걸림돌기(35c)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KR20020023223U 2002-08-02 2002-08-02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KR2003010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23223U KR200301081Y1 (ko) 2002-08-02 2002-08-02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23223U KR200301081Y1 (ko) 2002-08-02 2002-08-02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081Y1 true KR200301081Y1 (ko) 2003-01-24

Family

ID=41591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20023223U KR200301081Y1 (ko) 2002-08-02 2002-08-02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08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444B1 (ko) * 2006-10-17 2008-06-19 신효식 급수밸브
WO2009051430A2 (en) * 2007-10-17 2009-04-23 Hyo Shik Shin Flushing device for water closet toilet
KR100909668B1 (ko) * 2006-10-17 2009-07-29 신효식 수세식 좌변기용 급수장치
WO2011046287A2 (ko) * 2009-10-13 2011-04-21 주식회사 루트싸이언스 급수장치
KR200478218Y1 (ko) 2014-08-08 2015-09-10 명 균 이 수조내에서 회전 가능한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444B1 (ko) * 2006-10-17 2008-06-19 신효식 급수밸브
KR100909668B1 (ko) * 2006-10-17 2009-07-29 신효식 수세식 좌변기용 급수장치
WO2009051430A2 (en) * 2007-10-17 2009-04-23 Hyo Shik Shin Flushing device for water closet toilet
WO2009051430A3 (en) * 2007-10-17 2009-09-17 Hyo Shik Shin Flushing device for water closet toilet
WO2011046287A2 (ko) * 2009-10-13 2011-04-21 주식회사 루트싸이언스 급수장치
WO2011046287A3 (ko) * 2009-10-13 2011-06-16 주식회사 루트싸이언스 급수장치
KR200478218Y1 (ko) 2014-08-08 2015-09-10 명 균 이 수조내에서 회전 가능한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7781A (en) Float operated fill valve
US6142174A (en) Fill valve float arm connection
JP3182863U (ja) 節水弁
US8806669B2 (en) Toilet flush valve with reducing cross section valve seat
WO2011055745A1 (ja) 洗浄タンク装置及び水洗式便器
KR100634086B1 (ko) 양변기의 급수장치
US4341238A (en) Flushing means
KR200301081Y1 (ko)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US4945580A (en) Volume-selective water closet flushing system
US4431024A (en) Float-controlled valve for toilet flush tanks
US20060053542A1 (en) Adjustable toilet valve assembly
US4573495A (en) Hydrostatic ballcock assembly
KR100835312B1 (ko) 가습기 및 가습기용 보충수 물통
US4922556A (en) Flushing means
JP5024723B2 (ja) 便器洗浄水タンク装置
US6219855B1 (en) Toilet bowl in combination with pressurized flush tank
KR100402596B1 (ko) 배수배출장치
KR200348995Y1 (ko) 양변기의 급수장치
WO1996016234A1 (en) Inlet valve for cisterns
US4842011A (en) Flushing means
KR200290866Y1 (ko)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GB2330400A (en) Flush valve refill ring
KR200286818Y1 (ko)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JP2015190215A (ja) 排水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洗浄水タンク装置
CN215858047U (zh) 一种马桶水箱节水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