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9668B1 - 수세식 좌변기용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수세식 좌변기용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668B1
KR100909668B1 KR1020070104318A KR20070104318A KR100909668B1 KR 100909668 B1 KR100909668 B1 KR 100909668B1 KR 1020070104318 A KR1020070104318 A KR 1020070104318A KR 20070104318 A KR20070104318 A KR 20070104318A KR 100909668 B1 KR100909668 B1 KR 100909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reservoir
flush toi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4802A (ko
Inventor
신효식
Original Assignee
신효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효식 filed Critical 신효식
Publication of KR20080034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802A/ko
Priority to CNA200810126255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1492932A/zh
Priority to PCT/KR2008/006130 priority patent/WO2009051430A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3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floa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12Means to prevent freezing of lavat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세식 좌변기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일반 가정 및 음식점의 실내나 야외에 설치된 화장실 내부에 마련된 수세식 좌변기를 세척하기 위한 급수장치를 바닥에 설치하여 보온처리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동파방지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저수조의 수리가 용이하도록 하고, 저수조에 유입되는 세수가 튀김과 노출되지 않도록 뚜껑이 설치되고, 그 내부에 부레를 마련하여 수직방향으로 연결하여 수위가 올라오면서 유입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수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하되, 상기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부레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설치하여, 저수조 내부의 수위를 조절하여 세수의 수압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수세식 좌변기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수세식 좌변기용 급수장치는,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세수를 저수조에 저장하고, 상기 저수조에 저장되어 있는 세수를 레버의 작동으로 배출관을 통하여 수세식 좌변기로 배출시키는 수세식 좌변기용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세식 좌변기가 설치되는 바닥면의 일측에 수직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되, 상측은 개방되고 하측 면에는 2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중공의 기둥형상의 저수조(4)와; 상기 저수조(4)의 상측으로 설치되어 세수의 튀김을 방지하는 덮개(5)와; 상기 저수조(4)의 하측 면에 형성된 1개의 관통홀에 설치되어 유입관(2)을 통하여 유입되는 세수를 제어하는 급수밸브(11)와; 상기 저수조(4)의 하측 면에 형성된 나 머지 관통홀에 설치되어 레버(4)의 작동으로 저수조(4)에 저장되어 있는 세수를 배출관(3)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밸브(8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수조(4)는 원형관 또는 다각형관 형태로 형성되고, 그 높이(h)는 100~150㎝이고, 그 단면적(A)는 50~120㎠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저수조(4)는 하측 면에 형성된 2개의 관통홀에 설치되는 상기 급수밸브(11)의 하측에 나사부(18a)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밸브(80)의 하측에 나사부(81a)를 형성하며, 상기 유입관(2)과 배출관(3)에 각각의 나사부(2a, 3a)를 형성하여, 상기 급수밸브(11)와 배출밸브(80)의 하측에 형성된 나사부(18a, 81a)와 유입관(2)과 배출관(3)에 형성된 나사부(2a, 3a)가 결합되어 저수조(4)가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수세식, 좌변기, 급수장치, 급수밸브, 배출밸브

Description

수세식 좌변기용 급수장치{Regulation equipment water supply for flushing toilet}
본 발명은 일반 가정 및 음식점의 실내나 야외에 설치된 화장실 내부에 설치되는 수세식 좌변기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수세식 좌변기를 세척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급수장치를 바닥에 설치하여 보온처리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동파방지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저수조의 수리가 용이하도록 하고, 저수조에 유입되는 세수의 튀김과 노출되지 않도록 뚜껑이 설치되고, 그 내부에 부레를 마련하여 수직방향으로 연결하여 수위가 올라오면서 유입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수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하되, 상기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부레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설치하여, 저수조 내부의 수위를 조절하여 세수의 수압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수세식 좌변기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가정 및 음식점의 실내나 야외에 설치되는 수세식 좌변기에 장착되는 급수장치는 수세식 좌변기의 전면 상부에 개방형 저수조를 마련하여 레버를 잡아당기면 배출구가 개방되면서, 상기 저수조의 높이에 의해 발생되는 수압으로 배출구를 통해 수세식 변기로 세수를 배출시켜 세척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수세식 좌변기의 세척이 완료되면 배출구는 폐쇄되고 유입구가 개방되면서 세수가 저수조로 유입되어 상기 저수조의 유입구와 연결된 유입관의 측방향으로 연결된 별도의 부레에 의해 유입관이 폐쇄되어 수위조절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저수조는 내부에 유입관과 측방향으로 연결된 수위조절용 부레에 의해 수위가 올라오면서 유입관을 폐쇄하도록 함으로써 저수조의 내부에서 부레가 차지하는 면적이 요구되며 동시에 수압을 발생시키기 위해 수세식 변기의 소정의 높이에 위치시켜야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수세식 좌변기용 급수장치는, 저수조로 유입되는 세수는 소정을 수압을 가지고 유입관을 통하여 공급됨으로써 수압으로 인해 개방형 저수조에서 세수가 튀는 현상이 발생하여 주변을 지저분하게 하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세수 튀김이 발생하여 기분이 나쁘게 하거나 옷을 더럽히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저수조가 개방됨으로써 벌레 등과 같은 이물질의 투입을 허용하게 되어, 상기 이물질에 의하여 배출구가 막히게 현상을 발생시키고, 또한 겨울철과 같이 혹한의 경우 저수조의 보온이 용이하지 못하고, 상측이 개방되어 있음으로써 동파의 원인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을 유발시키는 단점이 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수세식 좌변기로 공급되는 세수에 소정의 수압을 부여하기 위하여 압축기(모터)를 설치하고, 상기 압축기로부터 부여되는 수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밸브와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급수장치를 제공하였으나, 이러한 급수장치는 압축기를 사용함으로써 압축기에 전력을 공급하여야 하는 단점과, 정전시 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을 초래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본 발명은,
세수를 저장하는 저수조를 화장실 바닥면에 설치함으로써 보온처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동시에 저수조에 덮개를 설치하여 세수의 튀김과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수세식 좌변기용 급수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저수조의 세수 수압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세식 좌변기용 급수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수세식 좌변기용 급수장치의 본 발명은,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세수를 저수조에 저장하고, 상기 저수조에 저장되어 있는 세수를 레버의 작동으로 배출관을 통하여 수세식 좌변기로 배출시키는 수세식 좌변기용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세식 좌변기가 설치되는 바닥면의 일측에 수직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되, 상측은 개방되고 하측 면에는 2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중공의 기둥형상의 저수조를 형성하고, 상기 저수조의 상측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덮개가 설치되고, 상기 저수조의 하측 면에 형성된 1개의 관통홀에 유입관으로 공급되는 세수를 제어하는 급수밸브가 설치되고, 또 다른 나머지 관통홀에는 레버의 작동으로 저수조에 저장되어 있는 세수를 배출관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밸브를 포함하도록 수세식 좌변기용 급수장치가 형성된다.
상기 저수조는 보통 원형의 관형태로 형성되나, 또는 다각형의 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저수조는 적정량의 세수를 저장하는 동시에 저장된 세수가 소정의 수압을 가지고 배출관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높이(h)는 100~150㎝으로 형성되고, 그 단면적(A)는 50~120㎠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저수조의 하측 면에 형성된 2개의 관통홀에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상기 급수밸브와 배출밸브에 형성된 나사부에 배관용 연결부재인 소켓, 니플 및 조인트 등을 이용하여 저수조를 고정설치한다.
삭제
상기 급수밸브는 유입관과 연결하는 유입구를 급수부의 내부 하측에 마련하여 개폐공을 외주연에 형성한 승강개폐구의 승강에 의해 유입구의 개폐가능케 하며, 상기 급수부의 중앙에는 급수공을 상부에 형성한 제어밸브를 마련하며, 상기 제어밸브의 상부에는 수위부와 하부에는 급수부를 형성하고, 상기 급수부의 중앙에는 급수관을 형성하되, 그 외주연에는 저수조와 통하는 배수구를 형성하며, 상기 급수관의 상면에는 승강핀을 통공에 마련한 탄성의 개폐판을 마련하고, 상기 수위부에는 수직방향의 연결바를 마련하되 상기 제어밸브의 급수공과 밀착되는 개폐편을 하단에 결합하고, 상부에는 부레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급수부와 고정핀에 의해 좌,우로 이동가능과 저수조의 수위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급수부 상부에는 연결공을 형성한 마개를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밸브는 외부와 연통하도록 다수개의 관통된 배출공이 형성되고, 하측으로 나사부와 배출구가 형성되어 배출관과 연설된 원기둥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레버의 작동으로 몸체 내부에서 승강되는 마개추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수세식 좌변기용 급수장치인 본 발명은,
저수조에 덮개를 설치하여 저수조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차단과 저수조 외측으로 세수의 튀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저수조가 화장실 바닥면에 설치됨으로써 보온처리가 용이한 특징으로 인하여 동파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저수조의 설치 높이가 낮아 저수조 내의 구성을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는 특징과, 부레의 높이조절이 용이하여 세수의 수압과 세수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수세식 좌변기용 급수장치를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수세식 좌변기용 급수장치(10)는 보통 수세식 좌변기(1)의 앞측에 설치되는 급수장치(10)는 세수가 공급되는 유입관(2)과 연설되어 세수가 공급되어 저수조(4)에 세수가 저장되고, 상기 저수조(4)에 저장되어 있는 세수가 좌변기(1)로 공급될 수 있도록 배출관(3)으로 연설된다.
도 2와 도 3과 같이 이러한 상기 수세식 변기용 급수장치(10)는 크게 세수를 저장하는 저수조(4)와, 상기 저수조(4)의 상측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5)와, 상기 저수조(4)의 내측에 설치되어 세수가 유입되는 유입관(2)과 연설되어 유입되는 세수를 제어하는 급수밸브(11)와, 상기 저수조(4)의 내측에 설치되어 저수조(4)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레버(16)의 작동으로 저수조(4) 내에 저장되어 있는 세수를 배출관(3) 배출시키도록 상기 배출관(3)과 연설되는 배출밸브(80)로 구성된다.
상기 저수조(4)는 화장실 바닥면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원형의 관 또는 다각형(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관으로 형성되되, 하측은 2개의 관통홀을 가지는 바닥면이 형성되고, 상측은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저수조(4)의 크기는, 높이(h)가 100~150㎝이고, 그 단면적(A)는 50~120㎠이가 되도록 형성한다. 이는 좌변기에 적당한 수압과 적당한 세수량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크기이다.
상기 저수조(4)는 하측 면에 형성된 2개의 관통홀에 설치되어 있는 급수밸브(11)와 배출밸브(80)에 형성되어 나사부(18a, 81a)들에 의하여 저수조(4)는 바닥면에 고정설치된다.
즉, 저수조(4)의 하측 면에 형성된 1개의 관통홀에 설치되는 급수밸브(11)에 형성된 나사부(18a)는 저수조(4)의 하측 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소정의 길이(10~20㎜)만큼 돌출되고, 상기 돌출되어 있는 나사부(18a)는 유입관(2)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2a)에 직접 연결되고거나, 또는 소켓, 조인트와 같은 배관용 연결부재로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저수조(4)의 하측 면에 형성된 나머지 관통홀에 설치되는 배출밸브(80)에 형성된 나사부(81a)는 저수조(4)의 하측 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소정의 길이(10~20㎜)만큼 돌출되고, 상기 돌출되어 있는 나사부(81a)는 배출관(3)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3a)에 직접 연결되고거나, 또는 소켓, 조인트와 같은 배관용 연결부재로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저수조(4)가 고정설치된다.
상기 저수조(4)의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는 덮개(5)는 저수조(4)에 세수 공급시 세수 튀김을 방지하는 동시에 개구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덮개(5)의 일측에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이는 저수조(4)에 세수가 유입 또는 배출시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세수의 유입 및 배출이 원활하도록 하게 한다.
상기 유입관(2)에 연설되는 급수밸브(11)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입관(2)의 나사부(2a)에 연설되도록 나사부(18a)를 외부의 하측에 형성하고, 유입구(14)를 내부 하측에 형성한 몸체(18)를 마련하여 개폐공(71)을 외주연에 형성한 승강개폐구(70)의 승강에 의해 유입구(14)의 개폐가능케 하며, 몸체(18)의 중앙에는 급수공(31)을 상부에 형성한 제어밸브(30)를 마련하여 상기 제어밸브(30)의 상부에는 수위부(60)와 하부에는 급수부(20)를 형성하고, 상기 급수부(20)의 중앙 에는 급수관(21)을 형성하되 그 외주연에는 저수조(4)와 통하는 배수구(22)를 형성하며 상기 급수관(21)의 상면에는 승강핀(52)을 통공(51)에 마련한 탄성의 개폐판(50)을 마련하고, 상기 수위부(60)에는 수직방향의 연결바(41)를 마련하되 상기 제어밸브(30)의 급수공(31)과 밀착되는 개폐편(40)을 하단에 결합하고, 상부에는 부레(42)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급수부(20)와 고정핀(61)에 의해 좌,우로 이동가능과, 저수조(4)의 수위조절이 가능하며, 급수부(20) 상부에는 연결공(12)을 형성한 마개(13)를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개폐편(40)과 부레(42)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바(41)의 끝단부에는 나사홈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바(41)의 나사홈에 부레(42)를 설치하되, 상기 부레(42)가 연결바(41)의 나사홈을 수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부레(42)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부레(41)의 설치높이 조정은 저수조(4)에 저장되는 세수의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바(41)는 끈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승강개폐구(70)는 유입구(14)로 유입되는 세수의 수압에 의해 승강가능케 하며 상기 승강개폐구(70)와 상기 유입구(14)의 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하부에 경사지게 형성하여도 무방하며 상부에는 유입구(14)를 통해 유입된 세수를 급수관(21)을 통해 유입가능케 외주연에 개폐공(71)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폐판(50)은 탄성의 재질로 형성하여 수압에 의해 하부의 급수관(21)과 밀착 또는 분리가 용이하게 하고, 상기 중앙에 형성된 통공(51)에서 승강핀(52)의 승강에 의해 상기 제어밸브(30)와 급수관(21)을 개폐가능케 하는 것이 다.
상기 저수조(4)의 내부에 설치되고 배출관(3)에 연설되어 저수조(4)에 일측에 형성된 레버(16)에 의하여 작동하는 급수밸브(80)는, 외부와 연통하도록 다수개의 관통된 배출공(81b)이 형성되고, 하측으로 나사부(81a)와 배출구(15)가 형성되어 배출관(3)과 연설된 원기둥형태의 몸체(81)와, 상기 몸체(81)의 내부에 수용되어 레버(16)의 작동으로 몸체(81) 내부에서 승강되는 마개추(82)로 구성된다.
즉, 수세식 좌변기(1)에 대변 또는 소변을 본 후에 좌변기(1)를 세척하기 위해 레버(16)를 젖히면 끈(17)과 연결된 마개추(82)가 상승하게 되면서 상기 배출밸브(80)의 배출공(81)에 통해 저수조(4)의 세수가 유입되어 배출구(15)를 거쳐 배출관(3)을 통해 배출되어 변기(1)를 세척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급수장치(10)는, 저수조(4)에 저장되어 있는 세수가 레버(16)의 작동으로 좌변기(1)를 세척하기 위해 배출관(3)을 거쳐 빠져나가게 되면, 저수조(4)의 내부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며, 이때 급수밸브(11)의 연결바(41)의 상부에 고정된 부레(42)는 수위에 의한 고정력이 떨어져 몸체(18)의 고정핀(61)에 의해 좌우로 기울어지게 되면서, 상기 연결바(41)의 하단에 결합된 개폐판(50)과 급수공(31)과 분리되면서 상기 급수부(20)와 수위부(60)가 통하게 되면서 상기 유입관(2)을 통해 유입을 허용한다.
이렇게 유입관(2)을 통해 유입되는 세수의 수압에 의해 유입구(14)와 밀착된 승강개폐구(70)는 상승하여 상기 유입구(14)와 승강개폐구(70)는 분리되면서 상기 급수부(20)로 세수가 유입되어 상기 승강개폐구(70)의 개폐공(71)을 통해 급수관(21)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급수관(21)과 밀착된 탄성의 개폐판(50)은 유입되는 수압에 의해 급수관(21)과 분리되고 급수관(21)으로 유입된 세수는 저수조(4)와 통하는 외주연에 형성한 배수구(22)를 통해 저수조(4)로 배출된다.
이때, 소량의 세수는 급수관(21)에서 개폐판(50)의 통공(51)에 마련된 승강핀(52)을 승강시켜 통공(51)을 통해 제어밸브(30)의 급수공(31)으로 이동하여 상기 급수공(31)과 밀착된 개폐편(40)을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급수공(31)을 열어 상기 수위부(60)로 유입시켜 다시 수위부(60)의 연결공(12)를 통해 저수조(4)로 배출하여 저수조(4)의 수위를 상승시킨다.
이렇게, 저수조(4)의 수위가 상승하면 상기 급수밸브(11)의 수위부(60)가 동시에 배수구(22)를 통해 수위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 수위부(60)에 마련된 부레(42)가 상승하면서 고정핀(61)에 의해 연결바(41)의 하단에 결합한 개폐편(40)이 좌,우 이동하면서 상기 제어밸브(30)의 급수공(31)과 밀착되어 수위부(60)로 유입되는 세수를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밸브(30)의 급수공(31)이 차단되면서 상기 제어밸브(30)와 개폐판(50) 사이에는 상기 통공(51)을 통해 유입되는 세수가 차단되면서 발생하는 수압으로 인해 상기 탄성의 개폐판(50)과 승강핀(52)을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의 급수관(21)과 밀착시켜 상기 제어밸브(30)와 급수부(20)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 급수부(20)로 유입되는 세수가 차단되면 상기 유입구(14)와 수압에 의해 상승된 승강개폐구(7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되면서 다시 유입구(14)와 밀착 되어 상기 급수밸브(30) 또는 저수조(4)의 세수가 유입관(2)로 흘러들어가는 역류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급수밸브(11)의 내부에서 배출된 세수는 저수조(4)의 수위를 상승하게 되면 수위에 의해 부레(42)가 상승하게 되면서 연결바(41)에 의해 다시 좌우로 회전하면서 하단에 결합된 개폐편(40)을 상기 제어밸브(30)의 급수공(31)과 밀착되어 상기 수위부(60)와 급수부(20)를 폐쇄되면, 상기 유입구(14)로 유입되는 세수의 수압이 제거되면서 다시 개폐판(50)은 하부의 급수관(21)과 밀착되고 상기 승강핀(52)은 하강하여 상기 급수관(21)과 제어밸브(30)를 단절시켜 제어밸브(30)로 세수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좌변기 2 : 유입관
3 : 배출관 4 : 저수조
10 : 급수장치 11 : 급수밸브
12 : 연결공 13 : 마개
14 : 유입구 15 : 배출구
16 : 레버 17 : 끈
18 : 몸체 20 : 급수부
21 : 급수관 22 : 배수구
30 : 제어밸브 31 : 급수공
40 : 개폐편 41 : 연결바
42 : 부레 50 : 개폐판
51 : 통공 52 : 승강핀
60 : 공간부 61 : 고정핀
70 : 승강개폐구 71 : 개폐공
80 : 배출밸브 81 : 배출공
82 : 마개추

Claims (6)

  1.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세수를 저수조에 저장하고, 상기 저수조에 저장되어 있는 세수를 레버의 작동으로 배출관을 통하여 수세식 좌변기로 배출시키는 수세식 좌변기용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세식 좌변기가 설치되는 바닥면의 일측에 수직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되, 상측은 개방되고 하측 면에는 2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중공의 기둥형상의 저수조(4)와;
    상기 저수조(4)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덮개(5)와;
    상기 저수조(4)의 하측 면에 형성된 1개의 관통홀에 설치되어 유입관(2)으로 유입되는 세수를 제어하는 급수밸브(11)와;
    상기 저수조(4)의 하측 면에 형성된 나머지 관통홀에 설치되어 레버(4)의 작동으로 저수조(4)에 저장되어 있는 세수를 배출관(3)을 통하여 배출시키는 배출밸브(8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좌변기용 급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4)는 원형관 또는 다각형관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좌변기용 급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4)의 높이(h)는 100~150㎝이고, 그 단면적(A)는 50~120㎠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좌변기용 급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4)는 하측 면에 형성된 2개의 관통홀에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상기 급수밸브(11)의 하측에 형성된 나사부(18a)와, 상기 배출밸브(80)의 하측에 형성된 나사부(81a)를 이용하여 저수조(4)를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좌변기용 급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밸브(11)는 유입관(2)과 연결하는 유입구(14)를 급수부(20)의 내부 하측에 마련하여 개폐공(71)을 외주연에 형성한 승강개폐구(70)의 승강에 의해 유입구(14)의 개폐가능케 하며,
    상기 급수부(20)의 중앙에는 급수공(31)을 상부에 형성한 제어밸브(30)를 마련하며,
    상기 제어밸브(30)의 상부에는 수위부(60)와 하부에는 급수부(20)를 형성하 고, 상기 급수부(20)의 중앙에는 급수관(21)을 형성하되, 그 외주연에는 저수조(4)와 통하는 배수구(22)를 형성하며,
    상기 급수관(21)의 상면에는 승강핀(52)을 통공(51)에 마련한 탄성의 개폐판(50)을 마련하고, 상기 수위부(60)에는 수직방향의 연결바(41)를 마련하되 상기 제어밸브(30)의 급수공(31)과 밀착되는 개폐편(40)을 하단에 결합하고, 상부에는 부레(42)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급수부(20)와 고정핀(61)에 의해 좌,우로 이동가능과, 저수조(4)의 수위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급수부(20) 상부에는 연결공(12)을 형성한 마개(13)를 결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좌변기용 급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밸브(80)는 외부와 연통하도록 다수개의 관통된 배출공(81b)이 형성되고, 하측으로 나사부(81a)와 배출구(15)가 형성되어 배출관(3)과 연설된 원기둥형태의 몸체(81)와; 상기 몸체(81)의 내부에 수용되어 레버(16)의 작동으로 몸체(81) 내부에서 승강되는 마개추(82)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좌변기용 급수장치.
KR1020070104318A 2006-10-17 2007-10-17 수세식 좌변기용 급수장치 KR100909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A2008101262557A CN101492932A (zh) 2006-10-17 2008-07-28 冲洗式蹲便器用供水装置
PCT/KR2008/006130 WO2009051430A2 (en) 2007-10-17 2008-10-17 Flushing device for water closet toi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989 2006-10-17
KR20060100989 2006-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802A KR20080034802A (ko) 2008-04-22
KR100909668B1 true KR100909668B1 (ko) 2009-07-29

Family

ID=39574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318A KR100909668B1 (ko) 2006-10-17 2007-10-17 수세식 좌변기용 급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09668B1 (ko)
CN (1) CN10149293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980B1 (ko) * 2009-10-06 2012-02-14 최필선 가압 절수형 수세식 변기의 세척 장치
CN107062496B (zh) * 2017-01-15 2022-01-28 广东德尔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净化装置的加湿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433Y1 (ko) * 2000-08-03 2001-01-15 이정우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
KR200301081Y1 (ko) * 2002-08-02 2003-01-24 한관호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KR200348995Y1 (ko) * 2004-02-03 2004-04-29 정병호 양변기의 급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433Y1 (ko) * 2000-08-03 2001-01-15 이정우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
KR200301081Y1 (ko) * 2002-08-02 2003-01-24 한관호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KR200348995Y1 (ko) * 2004-02-03 2004-04-29 정병호 양변기의 급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92932A (zh) 2009-07-29
KR20080034802A (ko) 2008-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3047A (en) Toilet flushing system that allows use of gray water drained from a sink
US8156577B1 (en) Aerated bathroom fixture
KR100901186B1 (ko)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AU2005285716B2 (en) Passively discharging and water-saving toilet bowl
KR100909668B1 (ko) 수세식 좌변기용 급수장치
JP2008223219A (ja) 直立式洋式便器用の補助水槽装置
KR20170064307A (ko) 악취차단 기능을 가지는 실내용 배수트랩
JP5094873B2 (ja) 節水型洋式便器
JP5412779B2 (ja) 洋風大便器
JP2003313918A (ja) 便器用タンク装置
KR100263368B1 (ko) 양변기의배수량조절장치
KR20140071000A (ko) 좌변기의 공기압식 자동물내림장치
CN108360642B (zh) 一种泼式马桶
KR200330363Y1 (ko) 세면대 배수관용 악취방지장치
KR101132763B1 (ko) 비데와 변기용 자동 물내림의 선택사용이 가능한 후레쉬 밸브 장치
KR20170106528A (ko) 절수 양변기
CN108118765A (zh) 一种蹲坐两用无水箱便器
KR101124613B1 (ko) 절수형 변기
KR200287466Y1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CN2464820Y (zh) 坐便盆
KR200399352Y1 (ko) 양변기
JP7312025B2 (ja) ユニット便器
KR200408973Y1 (ko)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KR200297662Y1 (ko) 공간 확장형 접이식 좌변기 구조
KR200262177Y1 (ko) 수동형 직수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