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884B1 - 비잠수형 로탱크용 역류방지 필밸브 - Google Patents

비잠수형 로탱크용 역류방지 필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884B1
KR101765884B1 KR1020150180826A KR20150180826A KR101765884B1 KR 101765884 B1 KR101765884 B1 KR 101765884B1 KR 1020150180826 A KR1020150180826 A KR 1020150180826A KR 20150180826 A KR20150180826 A KR 20150180826A KR 101765884 B1 KR101765884 B1 KR 101765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valve body
supply chamber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2544A (ko
Inventor
김승욱
Original Assignee
한일수지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수지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수지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0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884B1/ko
Publication of KR20170072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03D1/35Flushing valves having buoyanc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24Low-level flush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ck Valves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잠수형 로탱크용 역류방지 필밸브에 관한 것으로, 체크밸브형 급수실 내부의 진공을 방지함은 물론 급수시 진공 방지를 위한 통공의 수밀성을 극대화하여 통공을 통한 누수를 방지하고, 체크밸브형 급수실과 급수 커버의 결속력을 증대하여 고수압에 의한 급수가 이루어지더라도 급수 커버의 이탈을 막으며, 필밸브 몸체와 필밸브몸체 커버가 조립된 상태에서 필밸브몸체 커버의 회전을 막는 것이 가능하고, 필밸브 몸체와 수조의 결합부에서 수밀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잠수형 로탱크용 역류방지 필밸브는,상하 양측이 개방되면서 상부의 둘레부에 토출구가 구비된 관형이면서 하부가 급수부와 연결되어 물을 급수받는 한편 상부로 급수하는 관형의 필밸브 몸체(10)와; 상기 필밸브 몸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다이아프램 패킹(20)과; 수조의 물에 부유하며 상기 다이아프램 패킹의 개폐를 제어하는 부구(30)와; 상기 필밸브 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필밸브몸체 커버(40)와; 상기 필밸브 몸체의 둘레부에 상기 토출구와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물을 하부를 향해 급수되도록 하는 체크밸브형 급수실(50)과; 상하 양측이 개방된 관형이며 상부가 상기 급수실에 연결되고 하부가 수조와 연통하여 상기 급수실을 통해 급수되는 물을 수조에 배출하는 배출관(60)을 포함하고, 상기 체크밸브형 급수실은, 상기 토출구가 내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필밸브 몸체에 외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물이 유입되는 급수실 몸체(51), 상기 급수실 몸체의 외부측 개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급수실 커버(52), 상기 급수실 커버의 내주면에 상기 토출구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중앙에 통공(56)이 구비된 박스형의 에어유입블록(53), 상기 에어유입블록의 내부에 장착되며 평상시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토출구를 폐쇄함과 아울러 상기 통공을 개방하는 한편 물의 급수시 상기 에어유입블록의 통공을 폐쇄하는 체크밸브(54)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단부가 상기 에어유입블록의 상부에 고정되며 평상시 상기 토출구를 폐쇄함과 아울러 급수시 상기 에어유입블록의 전면에 지지되면서 상기 통공을 폐쇄하는 밸브 몸체(54a), 상기 밸브 몸체의 좌우 양측에 각각 상기 밸브 몸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급수시 상기 에어유입블록의 좌우 양측을 덮어 상기 통공을 폐쇄하는 한 쌍의 날개부(54b)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잠수형 로탱크용 역류방지 필밸브{FILL VALVE FOR LOW TANK}
본 발명은 로탱크용 필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크밸브형 급수실 내부의 진공을 방지함은 물론 급수시 진공 방지를 위한 통공의 수밀성을 극대화하여 통공을 통한 누수를 방지하고 또한 급수실 커버가 고수압에 의해 급수실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비잠수형 로탱크용 역류방지 필밸브에 관한 것이다.
통상 로우탱크에는 급수배관과 연결되어 수조내에 정해진 양의 물이 채워지도록 하는 필밸브가 구비된다.
종래 로우탱크용 필밸브는 예를 들어 그 중심부에 급수로가 형성되며, 이 급수로의 둘레에는 그 상단부에서 급수로와 연통되며 그 하단부에서 수조와 연통되는 공급로가 형성되고, 이 급수로와 공급로의 상단 연통부에는 수로를 개폐하는 다이아후램패킹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다이아후램패킹의 상부에는 소정의 압력실이 마련되며, 이 압력실은 다이아후램패킹 중앙부의 관통공에 의해 급수로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압력실 상부에는 바디에 착탈 설치되는 바디덮개가 마련되고, 이 바디덮개의 중앙부에는 압력실을 수조와 연통되도록 하는 배출공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다이아후램패킹의 관통공과 바디덮개의 배출공은 그 위치에 따라 직경이 각기 다른 개폐핀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며, 이 개폐핀은 일측에 부자가 달린 부자레버에 의해 승강 작동된다. 따라서, 상기 필밸브는 수조에 정해진 양의 물이 채워진 경우, 상기 부자레버에 연결된 개폐핀이 하강되어 바디덮개의 배출공을 폐쇄하고 다이아후램패킹의 관통공을 개방하여 급수로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압력실에 채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압력실에 고압의 물이 채워지게 되면, 상기 다이아후램패킹은 그 상면 전체에 압력실의 고압이 작용됨에 반해, 그 저면 둘레부(수조와 연통되는 공급로 상부)에는 수조와 동일한 상대적으로 약한 압력이 작용되기 때문에 다이아후램패킹은 작용되는 압력차에 의해 하강되어 급수로와 공급로의 연통부를 폐쇄하여 수조에 공급되는 물을 차단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수조의 물이 로우탱크를 통해 정화조로 배출된 경우에는 상기 개폐핀이 부자레버의 작동에 따라 상승되어 다이아후램패킹의 관통공을 폐쇄하고, 압력실 상부의 배출공을 수조와 연통되도록 하여 압력실 내부의 물이 수조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다이아후램패킹은 급수로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상부로 들려져 급수로와 공급로를 서로 연통되도록 하여 급수로의 물이 수조에 공급되도록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다음과 같은 특허문헌이 있다.
특허문헌(등록실용신안 제20-0443660호)은 볼탭의 토출구 하부와 저수조측 배출관 사이에 형성된 진공방지기홈; 상기 진공방지기홈에 결합하며 진공방지기홈과 외부를 관통하는 통기구를 구비하는 진공방지기 몸체; 및 상기 토출구와 진공방지기홈이 접하는 면에 상기 진공방지기 몸체에 끼워지며, 상기 진공방지기 몸체의 통기부와 마주보는 진공방지 패킹으로 구성되는 진공방지기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방지 패킹은 평상시에는 자체 탄성력으로 인하여 상기 토출구측으로 닫힘상태를 통기구는 열림상태를 유지하며, 토출구에서 급수가 토출되면 상기 진공방지 패킹은 토출유체에 밀려 개방되며 통기구는 닫힘상태가 되는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으로서, 통기구가 평면상의 몸체에 천공되는 형태이고 패킹이 평면적 구조이며 따라서 급수시 패킹이 몸체의 내주면에 닿으면서 통기구를 폐쇄하는 것이기 때문에 급수 압력에 의해 패킹이 밀리게 되어 통기구가 개방됨으로써 물이 통기구를 통해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몸체가 진공방지홈에 돌기와 홈에 의한 끼움식으로만 조립되기 때문에 급수 압력에 의해 몸체가 진공방지홈에서 이탈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볼탭 덮개가 키방식을 통해 볼탭 몸체에 조립되기 때문에 볼탭 덮개의 회전이 가능하고 즉 볼탭 덮개의 분리 가능하므로 분실 위험이 있고 볼탭 덮개가 볼탭 몸체에 견고하게 조립된 것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볼탭 몸체와 수조의 결합부에서 누수를 막기 위하여 패킹이 적용되는데, 이 패킹이 테이퍼 단면으로만 구성되어 수조 바닥부와의 사이를 수밀하게 조성하지 못하고 수조의 홀을 통해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4366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체크밸브형 급수실 내부의 진공을 방지함은 물론 급수시 진공 방지를 위한 통공의 수밀성을 극대화하여 통공을 통한 누수를 방지하는 비잠수형 로탱크용 역류방지 필밸브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크밸브형 급수실과 급수 커버의 결속력을 증대하여 고수압에 의한 급수가 이루어지더라도 급수 커버의 이탈을 막으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필밸브 몸체와 필밸브몸체 커버가 조립된 상태에서 필밸브몸체 커버의 회전을 막으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밸브 몸체와 수조의 결합부에서 수밀성을 확보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비잠수형 로탱크용 역류방지 필밸브는, 상하 양측이 개방되면서 상부의 둘레부에 토출구가 구비된 관형이면서 하부가 급수부와 연결되어 물을 급수받는 한편 상부로 급수하는 관형의 필밸브 몸체와; 상기 필밸브 몸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다이아프램 패킹과; 수조의 물에 부유하며 상기 다이아프램 패킹의 개폐를 제어하는 부구와; 상기 필밸브 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필밸브몸체 커버와; 상기 필밸브 몸체의 둘레부에 상기 토출구와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물을 하부를 향해 급수되도록 하는 체크밸브형 급수실과; 상하 양측이 개방된 관형이며 상부가 상기 급수실에 연결되고 하부가 수조와 연통하여 상기 급수실을 통해 급수되는 물을 수조에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체크밸브형 급수실은, 상기 토출구가 내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필밸브 몸체에 외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물이 유입되는 급수실 몸체, 상기 급수실 몸체의 외부측 개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급수실 커버, 상기 급수실 커버의 내주면에 상기 토출구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중앙에 통공이 구비된 박스형의 에어유입블록, 상기 에어유입블록의 내부에 장착되며 평상시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토출구를 폐쇄함과 아울러 상기 통공을 개방하는 한편 물의 급수시 상기 에어유입블록의 통공을 폐쇄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단부가 상기 에어유입블록의 상부에 고정되며 평상시 상기 토출구를 폐쇄함과 아울러 급수시 상기 에어유입블록의 전면에 지지되면서 상기 통공을 폐쇄하는 밸브 몸체, 상기 밸브 몸체의 좌우 양측에 각각 상기 밸브 몸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급수시 상기 에어유입블록의 좌우 양측을 덮어 상기 통공을 폐쇄하는 한 쌍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잠수형 로탱크용 역류방지 필밸브에 의하면, 체크밸브의 구조적 특징을 통해 급수시 에어유입블록의 통공을 수밀하게 조성하고 특히 고수압의 급수가 이루어지더라도 체크밸브가 흔들림없이 통공을 페쇄함으로써 통공을 통한 누수를 막아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급수실 커버와 급수실 몸체가 돌기와 홈에 의해 끼움식으로 조립됨과 아울러 급수실 커버가 스크류 나사를 통해 급수실 몸체에 조립되어 고수압의 급수 압력이 급수실 커버에 가해지더라도 급수실 커버가 이탈되지 않으므로 급수실 커버와 급수실 몸체 사이를 통한 누수를 막아 제품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밸브몸체 커버와 필밸브 몸체의 조립부에 회전방지키가 적용되어 필밸브몸체 커버의 회전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필밸브몸체 커버의 분실을 막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평단면과 테이퍼단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평단면 패킹을 통해 수조의 바닥부와 수조의 홀 모두에서 수밀성을 확보함으로써 누수를 막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비잠수형 로탱크용 역류방지 필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비잠수형 로탱크용 역류방지 필밸브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비잠수형 로탱크용 역류방지 필밸브에 적용된 체크밸브의 작동 상태도.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비잠수형 로탱크용 역류방지 필밸브는, 수조 내부에 설치되며 급수수단(수도급수시설)으로부터 원수를 공급받는 필밸브 몸체(10), 필밸브 몸체(10)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필밸브 몸체(10)의 상단부를 개폐하는 다이아프램 패킹(20), 다이아프램 패킹(20)의 개폐를 제어하는 부구(30), 필밸브 몸체(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필밸브몸체 커버(40), 필밸브 몸체 내부에 급수되는 물을 수조 안에 급수하는 한편 수조 내부의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형 급수실(50), 급수실(50)과 연결되며 급수실(50)을 통해 급수되는 물을 수조 안에 배출하는 배출관(6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필밸브 몸체(10), 다이아프램 패킹(20), 부구(30), 필밸브몸체 커버(40) 및 배출관(60)은 종래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이므로 당업자의 실시가 가능하므로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본 발명에 의해 신규로 구성되는 기술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필밸브 몸체(10)는 상부와 하부가 각각 관통되는 관형이며 상부에는 필밸브몸체 커버(40)의 커버 조립부(11)가, 하부에는 수조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플랜지(12)가 갖추어진다.
커버 조립부(11)는 필밸브 몸체(10)보다 큰 외경의 상부 개방형 원통형으로서 내부에 필밸브 몸체(10)와의 사이에 급수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급수공간과 대응하도록 둘레부에는 토출구(13)가 형성된다. 토출구(13)는 필밸브 몸체(10)의 상단부에서 오버플로우되어 상기 급수공간에 급수되는 물을 체크밸브형 급수실(50)에 토출하는 구멍이다. 토출구(13)는 체크밸브형 급수실(50)과 대향되는 면에 경사형의 밸브지지부(14)가 구성되며, 즉 밸브지지부(14)는 체크밸브형 급수실(50)의 체크밸브를 탄성 변형되도록 하는 경사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상기 체크밸브는 자체 탄성력(복원력)에 의해 밸브지지부(14)에 밀착되어 토출구(13)를 수밀하게 폐쇄한다.
필밸브 몸체(10)는 수조 안에 세워지며 이때 하부의 플랜지(12)가 수조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플랜지(12) 아래쪽의 나사봉부(16)가 수조의 홀에 관통된다. 이때, 급수되는 물이 수조의 홀을 통해 누수되지 않도록 플랜지(12)에는 평단면 패킹(15)이 적용되는 특징이 있다.
평단면 패킹(15)은 단면이 동일한 패킹 본체(15a), 패킹 본체(15a)의 저부에 둘레부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되는 곳에서 저부를 향해 가면서 단면적이 좁아지는 테이퍼 단면으로 형성되며 수조의 홀에 끼워져 지지되는 수밀부(15b)로 구성된다.
필밸브 몸체(10)는 나사봉부(16)에 나사 체결되는 록너트(17)를 통해 수조에 직립 상태를 유지하면서 세워져 설치된다.
나사봉부(16) 안에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스트레이너(18)가 적용된다.
다이아프램 패킹(20)은 필밸브몸체 커버(40) 안에 조립되는 패킹 가이드(21)에 설치되면서 필밸브몸체 커버(4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압력실(41)이 형성되도록 하고, 급수시 필밸브 몸체(10)의 상측 개방부를 개방하고 급수 완료시 필밸브 몸체(10)의 상측 개방부를 폐쇄한다.
다이아프램 패킹(20)은 압력실(41)의 압력 변화에 따라 탄성력을 통해 상승 또는 하강하고 이 과정에서 필밸브 몸체(10)의 상측 개방부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압력실(41)은 필밸브몸체 커버(40)에 형성되는 벤트홀을 통해 외부와 연통한다.
부구(30)는 수조 내부의 물에 부유하며 부구 레버(31)를 매개로 하여 필밸브몸체 커버(40)에 연결되며, 수조 내부의 물이 만수위에 도달하면 상승하여 필밸브 몸체(10)의 폐쇄를 통해 급수를 정지 제어하고 수조 내부의 물 배출로 물의 보충이 필요하면 하강하여 필밸브 몸체(10)의 개방을 통해 급수를 제어한다.
부구 레버(31)는 필밸브몸체 커버(4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부구(30)와 연결되어 부구(30)의 상승과 하강에 따라 압력실(41)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다이아프램 패킹(20)을 개폐 제어한다.
부구(30)는 부구 레버(31)에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수조에 담기는 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하고, 예를 들어 부구 레버(31)의 일면에는 다단의 돌기에 의한 레일이 형성되고 부구(30)의 일면[부구 레버(31)가 끼워지는 홀의 일면]에는 상기 레일에 높이 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돌기가 구성된다.
필밸브몸체 커버(40)는 내부에 다이아프램 패킹(20)이 설치되도록 저부를 향해 개방되는 홈이 구비된 구조이며 필밸브 몸체(10)의 상단부에 형성된 커버 조립부(11)에 끼움식으로 조립된다.
본 발명은 필밸브몸체 커버(40)의 조립 위치를 설정하고 회전을 방지하도록 회전방지키(42)가 적용될 수 있다.
필밸브몸체 커버(40)는 외경이 커버 조립부(11)의 내경보다 작으며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키돌기(43)가 돌출 형성된다. 필밸브 몸체(10)의 외주면에는 키돌기(43)가 끼움되는 키홀(19)이 형성된다.
필밸브몸체 커버(40)는 커버 조립부(11) 안에 삽입 조립되고 이들(11,40)의 크기상 이들(11,40) 사이에는 간격[키돌기(43)의 두께]이 형성되고 이 간격에 회전방지키(42)가 끼움 조립되며, 이를 통해 필밸브몸체 커버(40)의 회전을 방지한다.
회전방지키(42)는 커버 조립부(11)와 필밸브몸체 커버(40)의 사이에 끼움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상단부에서 외향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체크밸브형 급수실(50)은, 물의 급수시에는 필밸브 몸체(1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방향전환하여 배출관(60)으로 유도하며, 평상시에는 수조 내부의 물이 필밸브 몸체(10)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며, 급수실 몸체(51), 급수실 커버(52), 에어유입블록(53), 체크밸브(54)로 구성되고, 급수실 몸체(51)는 필밸브 몸체(10)와 일체형으로, 에어유입블록(53)은 급수실 커버(52)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급수실 몸체(51)는 토출구(13)가 내부와 연통하도록 필밸브 몸체(10)에 외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어 물을 배출관(60)에 공급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즉 토출구(13)의 둘레부에 천정부와 이 천정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측벽에 의해 급수실 커버(52)측이 개방되는 구조이고, 이때 저부는 배출관(60)이 형성되도록 한다.
급수실 몸체(51)는 외주면에 바람직하게 좌우 측벽의 상하 2개소, 총 4개소에 급수실 커버(52)가 조립되는 조립돌기(51a)(바람직하게 조립이 용이하도록 전방쪽이 경사진 돌기)가 구성된다.
급수실 몸체(51)의 내부에는 급수실 커버(52)의 조립을 위한 보스(51b)가 갖추어진다.
급수실 커버(52)는 판재의 형태로서 급수실 몸체(51)의 외부측 개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를 위하여 조립홀(52a)과 보스(52b)가 갖추어진다.
조립홀(52a)은 급수실 몸체(51)의 조립돌기(51a)에 끼워지며, 보스(52b)는 급수실 몸체(51)의 보스(51a)와 일치되어 스크류 나사(55)가 체결되도록 한다.
즉 급수실 커버(52)는 돌기와 홀에 의한 끼움식으로 조립됨과 아울러 스크류 나사(55)의 나사 체결로 조립되어 물의 급수시 큰 수압이 가해지더라도 급수실 몸체(51)에서 분리되지 않는 이점을 갖고 있다.
급수실 커버(52)에는 관형의 에어 벤트(58)가 갖추어질 수 있다. 에어 벤트(58)는 수조 내부의 에어가 유입, 체크밸브형 급수실(50) 내부의 에어를 수조 내부로 배출하는 기능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급수를 돕고 토출구(13)의 폐쇄를 도울 수 있다. 에어 벤트(58)는 엘보우 형태로서 급수실 커버(52)의 측면이면서 유입단이 에어유입블록(53)과 보스(52b) 사이에 배치되고 배출단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급수실 커버(52)의 상단과 근접되는 높이일 수 있다.
에어유입블록(53)은 급수실 커버(52)의 내주면에 토출구(13)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육면체 형태이고 중앙에 외부(비잠수형이므로 수조의 내부 공기층)와 연통하는 통공(56)이 구비된다.
에어유입블록(53)은 체크밸브(54)에 의한 통공(56)의 수밀성을 높이기 위하여 급수실 커버(52)의 내주면보다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기능이 가능한 모든 형태가 가능하다.
에어유입블록(53)의 상면에는 체크밸브(54)가 고정되는 고정홈(57)이 형성된다. 고정홈(57)은 에어유입블록(53)의 좌우 폭보다 큰 체크밸브(54)를 적용할 수 있도록 에어유입블록(53)의 상부에 별도로 형성되는 고정판에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크밸브(54)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토출구(13)를 폐쇄하는 것이기 때문에 고정 위치도 중요하며 고정홈(57)이 에어유입블록(53)의 상면에 형성됨으로써 체크밸브(54)가 에어유입블록(53)의 상면과 직선으로 배치되는 것을 초기 위치로 하고 토출구(13)의 밸브 지지부(14)는 에어유입블록(53)의 상면보다 아래쪽에서 하향 경사지기 때문에 체크밸브(54)가 복원력에 의해 밸브 지지부(14)에 밀착됨으로써 토출구(13)를 수밀하게 밀폐한다.
체크밸브(54)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토출구(13)를 폐쇄하도록 고무 등을 재질로 하며, 에어유입블록(53)의 전면에 지지되면서 통공(56)을 폐쇄하는 면적의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밸브 몸체(54a), 밸브 몸체(54a)의 좌우 양측에 밸브 몸체(54a)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급수시 에어유입블록(53)의 좌우 양측을 덮어 통공(56)을 폐쇄하는 한 쌍의 날개부(54b)로 구성되며, 밸브 몸체(54a)의 상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고정홈(57)에 삽입 조립되는 고정부(54c)가 포함된다.
밸브 몸체(54a)는 평상시 토출구(13) 주변의 경사형의 밸브지지부(14)에 지지되어 토출구(13)를 폐쇄하는 한편 에어유입블록(53)의 통공(56)을 개방하여 수조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토출구(13)를 보다 큰 힘으로 폐쇄하며, 급수시 에어유입블록(53)의 전면에 지지되면서 통공(56)을 폐쇄하는 한편 토출구(13)를 개방하여 원활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날개부(54b)는 밸브 몸체(54a)의 좌우 양측에 연장 형성되며, 급수시 에어유입블록(53)의 좌우 양측벽에 지지되어 밸브 몸체(54a)가 통공(56)을 정확한 위치에 막도록 하고 강한 수압이 가해지더라도 밸브 몸체(54a)가 움직이지 않고 통공(56)을 막도록 하며 또한 초기 수압이 가해질 때 밸브 몸체(54a)를 통공(56)의 폐쇄위치로 신속하게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날개부(54b)의 마주하는 면에는 각각 날개부(54b)보다 작은 면적의 돌출부(54d)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돌출부(54d)는 에어유입블록(53)의 양측 벽면에 지지됨으로써 날개부(54b)의 두께가 얇더라도 밸브 몸체(54a)의 좌우 흔들림을 확실하게 막아준다. 이와 같은 기능을 위하여 날개부(54b)는 테이퍼 단면 즉 밸브 몸체(54a)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도 가능하다.
날개부(54b)는 평상시 통공(56)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밸브 몸체(54a)의 배면으로 유도하는 에어가이드의 기능도 겸하여 평상시 밸브 몸체(54a)에 의한 토출구(13)의 폐쇄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밸브 몸체(54a)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54e)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보강리브(54e)는 예를 들어 밸브 몸체(54a)의 외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직선형으로 도면에서처럼 2개가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보강리브(54e)는 도면에 도시된 형상과 수량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출관(60)은 상단부가 체크밸브형 급수실(50) 내부와 연결[바람직하게 급수실 몸체(51)와 일체로 형성]되어 체크밸브형 급수실(50)을 경유하는 물을 저부의 배출단을 통해 수조 내부에 배출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잠수형 로탱크용 역류방지 필밸브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1. 평상시.
수조 내부가 만수위를 유지하면 수조에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 때는 부구(30)에 의해 다이아프램 패킹(20)이 필밸브 몸체(10)의 상단 개구부를 폐쇄하고 있다. 아울러, 체크밸브(54)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밸브지지부(14)에 지지됨으로써 토출구(13)를 폐쇄한다. 따라서, 필밸브 몸체(10) 내부의 물은 체크밸브형 급수실(50)에 급수되지 못하여 수조 내부은 만수위를 유지한다.
이때, 체크밸브형 급수실(50) 내부에는 통공(56)을 통해 수조 내부의 에어가 유입되며, 에어의 압력에 의해 체크밸브(54)가 통공(56)을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체크밸브(54)의 날개부(54b) 사이로 에어가 유도됨으로써 체크밸브(54)는 토출구(13)를 막은 상태를 유지한다.
2. 급수시.
수조 내부의 물을 사용하면 부구(30)가 하강하고 부구(30)의 하강에 의해 다이아프램 패킹(20)이 상승 작용함으로써 필밸브 몸체(10)의 상단부가 개방되고 따라서 필밸브 몸체(10) 내부의 물이 체크밸브형 급수실(50)에 급수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부구(30)의 하강은 부구 레버(31)의 회전 운동으로 전달되어 필밸브몸체 커버(40) 내부의 압력실(41)에 압력 변화가 발생하고, 따라서, 다이아프램 패킹(20)이 상승작용하여 필밸브 몸체(10)의 상단부가 개방된다. 이상의 공정은 종래와 동일하다.
필밸브 몸체(10)의 상단부를 오버플로우한 물은 수압에 의해 체크밸브(54)를 밀어 체크밸브형 급수실(50) 안에 유입되고 배출관(60)을 통해 하강하다가 수조 내부에 보충된다.
이때, 체크밸브(54)는 수압에 의해 뒤로 밀리게 되고, 한 쌍의 날개부(54)가 에어유입블록(53)의 양측을 덮도록 밀리면서 자연스럽게 밸브 몸체(54a)가 에어유입블록(53)의 전면에 지지되어 에어유입블록(53)의 통공(56)이 폐쇄된다.
따라서, 체크밸브형 급수실(50) 내부에 유입되는 물은 통공(56)을 통해 누수되지 못하고 배출관(60)을 통해서만 수조의 바닥부로 보충된다.
이상의 공정을 통해 수조 내부에 물이 보충되면 부구(30)가 상승하고, 부구(30)의 상승에 의해 다이프램 패킹(20)이 하강하여 필밸브 몸체(10)의 상단 개구부가 폐쇄된다.
동시에 체크밸브(54)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여 토출구(13)를 폐쇄한다.
10 : 필밸브 몸체, 11 : 커버 조립부
12 : 플랜지, 13 : 토출구
14 : 밸브 지지부, 15 : 평단면 패킹
16 : 나사봉, 17 : 록너트
20 : 다이이프램 패킹, 30 : 부구
40 : 필밸브몸체 커버, 50 : 체크밸브형 급수실
51 : 급수실 몸체, 52 : 급수실 커버
53 : 에어유입블록, 54 : 체크밸브
55 : 스크류 나사, 56 : 통공
60 : 배출관,

Claims (4)

  1. 상하 양측이 개방되면서 상부의 둘레부에 토출구가 구비된 관형이면서 하부가 급수부와 연결되어 물을 급수받는 한편 상부로 급수하는 관형의 필밸브 몸체와;
    상기 필밸브 몸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다이아프램 패킹과;
    수조의 물에 부유하며 상기 다이아프램 패킹의 개폐를 제어하는 부구와;
    상기 필밸브 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필밸브몸체 커버와;
    상기 필밸브 몸체의 둘레부에 상기 토출구와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물을 하부를 향해 급수되도록 하는 체크밸브형 급수실과;
    상하 양측이 개방된 관형이며 상부가 상기 급수실에 연결되고 하부가 수조와 연통하여 상기 급수실을 통해 급수되는 물을 수조에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체크밸브형 급수실은, 상기 토출구가 내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필밸브 몸체에 외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물이 유입되는 급수실 몸체, 상기 급수실 몸체의 외부측 개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급수실 커버, 상기 급수실 커버의 내주면에 상기 토출구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중앙에 통공이 구비된 박스형의 에어유입블록, 상기 에어유입블록의 내부에 장착되며 평상시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토출구를 폐쇄함과 아울러 상기 통공을 개방하는 한편 물의 급수시 상기 에어유입블록의 통공을 폐쇄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단부가 상기 에어유입블록의 상부에 고정되며 평상시 상기 토출구를 폐쇄함과 아울러 급수시 상기 에어유입블록의 전면에 지지되면서 상기 통공을 폐쇄하는 밸브 몸체, 상기 밸브 몸체의 좌우 양측에 각각 상기 밸브 몸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급수시 상기 에어유입블록의 좌우 양측을 덮어 상기 통공을 폐쇄하는 한 쌍의 날개부를 포함하며,
    급수 압력이 상기 급수실 커버에 가해지더라도 상기 급수실 커버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급수실 커버와 상기 급수실 몸체 사이를 통한 누수를 방지하도록 상기 급수실 커버와 급수실 몸체가 돌기와 홈에 의해 끼움식으로 조립됨과 아울러 상기 급수실 커버가 스크류 나사를 통해 상기 급수실 몸체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잠수형 로탱크용 역류방지 필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수실 몸체와 상기 밸브 몸체의 대향면에는 서로 일치되는 보스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보스에는 상기 스크류 나사가 체결되어, 상기 밸브 몸체가 상기 급수실 몸체에 나사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잠수형 로탱크용 역류방지 필밸브.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필밸브 몸체의 내주면과 상기 필밸브몸체 커버의 외주면 사이에 조립되어 상기 필밸브몸체 커버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잠수형 로탱크용 역류방지 필밸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필밸브 몸체의 저부에 형성되며 수조에 지지되는 플랜지의 저부에 끼움되는 평단면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평단면 패킹은 단면이 동일하게 형성되며 저부가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 수밀하게 지지되는 패킹 본체, 상기 패킹 본체의 저부에 둘레부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되는 곳에서 저부를 향해 가면서 단면적이 좁아지는 테이퍼 단면으로 형성되며 수조에 지지되는 수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잠수형 로탱크용 역류방지 필밸브.
KR1020150180826A 2015-12-17 2015-12-17 비잠수형 로탱크용 역류방지 필밸브 KR101765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826A KR101765884B1 (ko) 2015-12-17 2015-12-17 비잠수형 로탱크용 역류방지 필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826A KR101765884B1 (ko) 2015-12-17 2015-12-17 비잠수형 로탱크용 역류방지 필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544A KR20170072544A (ko) 2017-06-27
KR101765884B1 true KR101765884B1 (ko) 2017-08-10

Family

ID=59514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826A KR101765884B1 (ko) 2015-12-17 2015-12-17 비잠수형 로탱크용 역류방지 필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8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086B1 (ko) * 2005-05-26 2006-10-13 손현자 양변기의 급수장치
KR200441703Y1 (ko) * 2007-05-01 2008-09-03 이수인 (주)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086B1 (ko) * 2005-05-26 2006-10-13 손현자 양변기의 급수장치
KR200441703Y1 (ko) * 2007-05-01 2008-09-03 이수인 (주)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544A (ko) 201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37853A1 (zh) 自闭式节水装置、方法及便器
KR100634086B1 (ko) 양변기의 급수장치
CN108315967B (zh) 一种洗涤剂和/或柔顺剂投放盒及洗衣机
JP2016037743A (ja) 洗濯機防水パンのトラップ配管構造
KR101765884B1 (ko) 비잠수형 로탱크용 역류방지 필밸브
US9756988B2 (en) Gravity shower
CN110106948B (zh) 一种防虹吸马桶水箱进水阀
KR101674159B1 (ko) 욕조 배수장치
CN210315847U (zh) 一种防虹吸马桶水箱进水阀
CN210263268U (zh) 一种马桶水箱进水阀
KR101172525B1 (ko) 플로팅밸브
CN110117978B (zh) 一种马桶水箱进水阀
CN113167063B (zh) 自动马桶清洁装置
KR101132763B1 (ko) 비데와 변기용 자동 물내림의 선택사용이 가능한 후레쉬 밸브 장치
WO2018135578A1 (ja) 浴室ユニット、浴室ユニットの施工方法および排水栓
KR101228989B1 (ko) 변기 소음 줄임 장치
CN210507671U (zh) 一种阀座可拆卸的马桶水箱进水阀
KR102055170B1 (ko)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JP3080541U (ja) 浮子式止水装置
JP6822634B2 (ja) 排水配管
KR200384559Y1 (ko)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KR200242652Y1 (ko) 에어벤트
KR860001210Y1 (ko) 수세식 변기용 수조의 급수장치
KR200283239Y1 (ko) 수위조절장치
KR101942391B1 (ko)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