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257Y1 -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257Y1
KR200202257Y1 KR2020000016347U KR20000016347U KR200202257Y1 KR 200202257 Y1 KR200202257 Y1 KR 200202257Y1 KR 2020000016347 U KR2020000016347 U KR 2020000016347U KR 20000016347 U KR20000016347 U KR 20000016347U KR 200202257 Y1 KR200202257 Y1 KR 2002022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packing
water
center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공석
Original Assignee
신우워토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66000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02257(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워토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우워토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6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2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2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2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2Arrangement of in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6Associated working of inlet and out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20Noise reduction fea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내핀을 따라 수직으로 승강하고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안내부재가 중앙에 형합되고 중심블록과 외곽 고정편의 사이에 하향으로 만곡되게 유동홈이 구비된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패킹의 유동홈 저면과 그 외곽의 저면을 받쳐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급수관 출구에 구비하여 패킹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개폐 동작이 정확하도록 함과 아울러 출구로 공급된 물을 원할하게 배출시켜 패킹과 지지부재 사이에 이물질이 끼지 않도록 함으로서, 소음을 방지하고 불필요하게 물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device for water supply in toilet a water tank}
본 고안은 양변기의 수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수조의 수위가 항상 적정량 유지되도록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양변기의 수조는 일정량의 물을 저수시켜 변기에 담긴 용변을 정화조로 배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며, 이러한 수조에는 수도배관과 연결되어 수조 내에 물이 항상 일정량 유지되도록 하는 급수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급수장치는 본건 출원인이 1996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0735호로 선출원한 바 있다. 선출원 고안은 연결관의 상단 중심에 하부가 폐쇄되고 상부가 개구된 배출구가 구비되고, 안내관의 하부 일측에 연결관의 일측으로 개구된 배출구가 구비되며, 안내관의 하부가 근접하게 일치하는 연결관의 내주면에 안내관보다 큰 직경으로 돌기가 구비되고, 연결관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캡이 구비되며, 이 캡의 상부 일측에 개폐공이 통공되고, 캡의 외주연 일측에 상기 배출구와 연통된 배출안내구가 구비되며, 캡의 내부와 연결관의 상부 사이에 개폐변이 개재되어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안내하여 수조로 급수시키는 밸브가 구성된다.
또한 사각봉체로 된 지지대의 양측면에 상단에서 하단의 소정 위치까지 걸림턱이 구성되고, 플로우트 몸체의 중앙에 지지대를 자유로이 승강 안내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안내홀이 구성되어 이 안내홀의 하단 양측에 걸림턱에 탄력있게 삽탈되는 후크가 구성되어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부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저면을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그 저면의 중앙에 패킹이 삽입되고, 지지대의 경사진 양면에 힌지가 돌설되며, 상기 밸브 캡의 일측에 통공된 개폐공을 상부로 연장한 개폐돌기가 입설되고, 그 양측에 힌지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한 쌍의 축수편이 구성되어 밸브를 직적 개폐시키는 개폐부가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선출원 급수장치는 급수 되는 방향으로 일측으로 치우쳐 있고, 패킹이 견고하게 지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급수시 패킹이 불안전하게 작동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급수 방향이 하부 중앙에 있고, 패킹이 비교적 견고하게 지지된 종래의 급수장치가 미국 특허 4,240,606호로 공지된 바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10)의 상부에 공간을 형성한 하우징(11)이 구비되고, 이 하우징(11)의 내부에는 패킹 지지부재(12)가 안착된다. 또한 하우징(11)의 상부에 복개되는 캡(13)에는 상기 패킹 지지부재(12)의 상면에 밀착되어 상부의 통기공(14)이 개방되면 수압에 의해 중앙이 핀(15)을 따라 상승하여 지지부재(16)의 유입홀(161)을 개방하는 패킹(17)이 구비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급수장치는 통기공(14)이 개방됨과 동시에 중앙이 상승할 때 급수관(10)을 통하여 지지부재(16)의 유입홀(161)로 물이 유입되는 과정에서 물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이 유입홀(161)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지 않고 지지부재(16)의 상면과 패킹(17)의 저면 사이에 끼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렇게 지지부재(16)의 상면과 패킹(17)의 저면 사이에 이물질이 끼게 되면 급수가 종료되어 통기공(14)이 폐쇄된 상태에서도 패킹(17)과 지지부재(16) 사이가 들떠 폐쇄되지 않음으로서 유입홀(161)을 통해 물이 계속 배수되어 소음이 발생함은 물론 물을 낭비하게 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패킹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개폐 동작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안내핀을 따라 수직으로 승강하고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안내부재가 중앙에 구비되고, 중심블록과 외곽 고정편의 사이에 하향으로 만곡되게 유동홈이 구비된 패킹과; 상기 패킹의 유동홈 저면과 그 외곽의 저면을 받쳐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급수장치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패킹 지지부재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 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도로서,
a는 폐쇄 상태이고,
b는 개방 상태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급수관 21: 출구
30: 개폐부 31: 패킹
32: 안내부재 33: 지지부재
40: 캡 41: 안내핀
42: 통기공 50: 작동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일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 상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급수장치는, 수조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중앙에서 외측으로 안내하여 수조로 급수시키는 급수관(20)과, 급수관(20)의 상부에 외부와 공기가 차단되면 급수관의 입구를 폐쇄시키고, 외부와 공기가 통하면 급수관의 입구를 개방하는 개폐부(30)로 구성되는 급수장치에 있어서, 캡(40)의 중앙에 하향으로 입설된 안내핀(41)을 따라 수직으로 승강하고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안내부재(32)가 중앙에 형합되고, 고정블록(311)과 외곽 고정편(312)의 사이에 유동홈(313)이 하향으로 만곡되게 구비된 패킹(31)과; 상기 패킹(31)의 유동홈(313) 저면과 그 외곽의 저면을 받쳐 지지하는 지지부재(32)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패킹(31)은, 소정 두께의 고정블록(311) 중앙에 설치공(311A)이 관통되고, 고정블록(311)의 상면을 얇게 외향으로 연장하여 그 가장자리에 하향으로 만곡된 유동홈(313)이 형성되며, 유동홈(313) 둘레의 외측에 상향으로 연장되어 캡(40)의 하부에 끼워 맞춤식으로 형합되는 고정편(312)이 구비된다. 또한 중심이 수직으로 관통되고 그 상부 소정 깊이를 큰 직경으로 단턱을 이루며 상단과 하단이 외향으로 확장된 안내부재(32)가 상기 고정블록(311) 중앙에 강제로 형합된다.
상기 패킹(31)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2)는, 중앙에 패킹(31)의 고정블록(311)이 자유로이 승강할 수 있도록 상부는 좁고 하부가 넓게 통공(331)이 형성되고, 이 통공(331)의 외곽 상면에 패킹(31)의 유동홈(313) 저면을 밀착되게 받쳐 지지하는 지지홈(332)이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부재(32)는 급수관(20)의 출구(21)에 일치하도록 안착시킨 후 패킹(31)이 고정된 캡(40)을 급수관(20) 상부에 끼워 형합하게 되면 안내부재(32)는 패킹(31)의 유동홈(313)과 그 외곽의 저면에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로 결합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급수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수조에 물이 차 있는 상태에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우트(미도시)가 연결된 작동대(50)가 캡(40)의 상부로 돌출된 통기공(42)을 막게 되면 캡(40)의 내부에는 진공 압력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패킹(31)의 고정블록(311)은 급수관(20)의 상부에 밀착되어 급수되지 않도록 폐쇄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조의 물이 변기로 배출되어 수위를 따라 플로우트가 하강하게 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우트(미도시)를 연결한 작동대(50)의 하단은 힌지(H)를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동하여 통기공(42)을 개방하게 된다. 이때 캡(40) 내부의 공기는 통기공(4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급수관(20)으로 공급된 물은 패킹(31)의 고정블록(311)을 밀어 출구(21)를 개방시킨다.
상기와 같이 급수관(20)의 출구(21)가 개방되면 물은 지지부재(32)의 통공(331) 내측의 공간을 경유하여 급수관(20) 일측으로 연결된 제1배출구(22)를 통해 수조로 배출되고, 제2배출구(23)를 통해 오버플로우어관으로 배출된다. 이때 수압에 의해 상승한 패킹(31)은 안내부재(32)가 안내핀(41)을 따라 상승하여 상부의 단턱(321)에 걸려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급수장치를 통하여 수조로 배출된 물이 적정량으로 플로우트에 의해 감지되어 플로우트와 연동하는 작동대(50)의 하부가 통기공(42)을 막게되면 캡(40)의 내부에 진공압력이 작용함과 동시에 패킹(31)은 다시 하강하여 급수관(20)의 출구(21)를 폐쇄시킴으로서 급수동작을 정지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안내핀을 따라 수직으로 승강하고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안내부재가 중앙에 형합되고 중심블록과 외곽 고정편의 사이에 하향으로 만곡되게 유동홈이 구비된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패킹의 유동홈 저면과 그 외곽의 저면을 받쳐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급수관 출구에 구비하여 패킹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개폐 동작이 정확하도록 함과 아울러 출구로 공급된 물을 원할하게 배출시켜 패킹과 지지부재 사이에 이물질이 끼지 않도록 함으로서, 소음을 방지하고 불필요하게 물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수도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중앙에서 외측으로 안내하여 수조로 급수시키는 급수관(20)이 구성되고, 급수관(20)의 상부에 외부와 공기가 차단되면 급수관(20)의 출구(21)를 폐쇄시키고, 외부와 공기가 통하면 급수관(20)의 출구(21)를 개방하는 개폐부(30)로 구성되는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캡(40)의 중앙에 하향으로 입설된 안내핀(41)을 따라 수직으로 승강하고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안내부재(32)가 고정블록(311)의 중앙에 형합되고, 고정블록(311)과 고정편(312)의 사이에 유동홈(313)이 하향으로 만곡되게 구비된 패킹(31)과;
    상기 패킹(31)의 고정블록(311)이 자유로이 승강할 수 있도록 상부는 좁고 하부가 넓게 통공(331)이 형성되고, 이 통공(331)의 외곽 상면에 패킹(31)의 유동홈(313) 저면을 밀착되게 받쳐 지지하는 지지홈(332)이 구비된 지지부재(32)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안내부재(32)는,
    중심이 수직으로 관통되고 그 상부에 큰 직경으로 단턱(321)을 이루며 상단과 하단이 외향으로 확장되어 고정블록(311)의 설치공(311A)에 강제로 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KR2020000016347U 2000-06-09 2000-06-09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KR2002022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347U KR200202257Y1 (ko) 2000-06-09 2000-06-09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347U KR200202257Y1 (ko) 2000-06-09 2000-06-09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257Y1 true KR200202257Y1 (ko) 2000-11-15

Family

ID=19660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347U KR200202257Y1 (ko) 2000-06-09 2000-06-09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2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086B1 (ko) 2005-05-26 2006-10-13 손현자 양변기의 급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086B1 (ko) 2005-05-26 2006-10-13 손현자 양변기의 급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4086B1 (ko) 양변기의 급수장치
CN109386924B (zh) 一种加湿器下水控制结构
KR200202257Y1 (ko)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CN110106948B (zh) 一种防虹吸马桶水箱进水阀
KR200348995Y1 (ko) 양변기의 급수장치
JPH10196837A (ja) 給水制御装置
US6880181B2 (en) Apparatus for delaying the closing of a toilet flapper valve
KR100263368B1 (ko) 양변기의배수량조절장치
KR100775609B1 (ko) 저수압에서도 작동 가능한 자동물내림장치의 실린더구조
KR200301081Y1 (ko)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KR0138379Y1 (ko) 양변기 저수조의 급수장치
KR200198386Y1 (ko) 양변기용 수위조절장치
KR200168532Y1 (ko) 물탱크용 자동수위조절장치
KR200277618Y1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0327577Y1 (ko) 흡배기밸브
KR200335731Y1 (ko)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KR100839444B1 (ko) 급수밸브
KR200364715Y1 (ko) 에어벤트 밸브
KR200286818Y1 (ko)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JPH0310217Y2 (ko)
KR200202940Y1 (ko) 절수용 로우 탱크볼탭
KR200301096Y1 (ko)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KR200246243Y1 (ko) 수위 조절용 밸브장치
KR200283239Y1 (ko) 수위조절장치
KR200243351Y1 (ko) 자연배출식 수세식 변기의 오동작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611

Effective date: 20050311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40204

Effective date: 20050314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40303

Effective date: 2005051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40112

Effective date: 2005052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