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097Y1 - 변기용 수세장치 - Google Patents

변기용 수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097Y1
KR200198097Y1 KR2020000013256U KR20000013256U KR200198097Y1 KR 200198097 Y1 KR200198097 Y1 KR 200198097Y1 KR 2020000013256 U KR2020000013256 U KR 2020000013256U KR 20000013256 U KR20000013256 U KR 20000013256U KR 200198097 Y1 KR200198097 Y1 KR 2001980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valve
bellows
air
toilet
flush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2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홍식
Original Assignee
구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홍식 filed Critical 구홍식
Priority to KR20200000132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0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0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0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2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having a single flush outlet and an additional float for delaying the valve clo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03D1/35Flushing valves having buoyanc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 E03D5/09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the flushing element, e.g. siphon bell, being actuated through a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기용 수세장치에 관한 것으로, 힌지부(24)에 장공(25)이 형성된 체크밸브(21)와; 체크밸브(21)의 벨로우즈부(27) 상부에 돌출형성되고 내부가 벨로우즈부(27) 내부와 연결된 보조챔버(30)와; 일단이 벨로우즈부(27) 상부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연장부(26) 단부에 결합되는 작동레버(31)와; 외주면 둘레가 하부플랜지(22)의 결합홈에 결합되도록 판 형상의 플랜지(41)가 구비되고, 플랜지(41) 하부에 체크밸브(21)가 개폐될시 이를 배수구(12)측으로 안내하도록 다수의 안내편(42)(43)이 방사상으로 돌출형성되며, 체크밸브(21)의 내부의 공기실(28)과 배수구(12) 내부가 연결되도록 공기출입구멍(44)이 형성된 가이드(40)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변기용 수세장치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체크밸브(21)(21')의 벨로우즈부(27) 상부에 보조챔버(30)(50)(60)(70)(80)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체크밸브(21)(21') 외에 부구가 별도로 구비되었던 종래에 비해 부품수가 감소되고, 이에 따라 제작 및 조립 공수가 감소될 뿐 아니라 제조 원가가 절감되며, 대변시 체크밸브의 벨로우즈부(27)가 펼쳐진 상태에서 완전히 오픈되어도 공기실(28) 내부의 공기가 거의 배출되지 않아 체크밸브(21)(21')의 부력을 확실하게 유지시키므로, 체크밸브(21)(21')의 부력 저하로 인해 충분한 물이 배수되기 전에 체크밸브가 닫혔던 종래 문제가 해결되고, 변기에 따라 사이폰관(13)의 결합돌기(14)와 배수구(12) 사이의 거리가 약간씩 차이가 발생되어도 체크밸브(21)의 힌지부(24)에 형성된 장공(25)이 이를 보완하므로 체크밸브(21)의 힌지부(24)와 사이폰관(13)의 결합돌기(14) 사이의 결합이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으며, 보조벨로우즈부(51)(63)(71)에 의해 보조챔버(30)(50)(60)(70)(80) 내부의 공기량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소변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변기용 수세장치 {device for automatically flushing toilet bowls}
본 고안은 변기용 수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변과 대변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변기용 수세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화장실에는 수세식 변기가 설치되어 용변후에 수세레버를 눌러서 수조에 저장된 물을 변기로 공급하므로 변기내의 배설물을 하수구로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수세식 변기의 문제는, 수세레버를 누르면 소변과 대변에 상관없이 수조에 저장된 많은 량의 물이 모두 배출되므로, 그다지 많은 물이 배출되지 않아도 되는 소변시, 물의 낭비가 심하였다.
보통 정상적인 남자는 하루에 5-6차례 소변을 보므로 이에 가족 성원 수를 곱하면 한 가정에서 소변으로 인해 소비되는 물의 총량은 매우 많으며, 이를 다시 정화처리하는데 드는 비용도 낭비되는 물의 양에 따라 상대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대변 또는 소변시 물의 배출량을 다르게 할 수 있도록 도1 및 도2와 같은 변기용 수세장치를 개발하였다.
이는, 일측의 힌지부(3)와 타측의 연장부(4)를 가지는 하부플랜지(2)와 하부플랜지(2) 중앙에 하단 둘레가 연결된 벨로우즈부(5)로 이루어진 체크밸브(1)가 구비된다.
체크밸브(1)의 벨로우즈부(5) 상부와 연장부 사이에는 작동레버(6)가 연결되어 있고, 작동레버(6)의 일측 단부와 소변레버(10) 사이에는 소변끈(9)이 연결되며, 이 소변끈(9)에는 부구(11)가 결합된다.
그리고 벨로우즈부(5) 상부 일측과 대변레버(8) 사이에는 대변끈(7)이 연결된다.
이러한 종래 변기용 수세장치는, 대변튜브(도시안됨)를 눌러서 대변끈(7)을 당기면 도1과 같이 압축된 상태의 벨로우즈부(5)가 펼쳐지면서 내부의 공기실(5a)로 공기가 흡입되고 대변끈(7)이 계속 당겨지면 도2와 같이 체크밸브(1)가 오픈되며 오픈된 상태의 체크밸브(1)는 벨로우즈부(5)의 부력에 의해 체크밸브(1)의 닫히는 시간이 지연되므로 많은 양의 물이 배수된다.
한편, 소변튜브(도시안됨)를 눌러서 소변끈(9)을 당기면 체크밸브(1)의 벨로우즈부(5)가 압축된 상태에서 열리게 되어 벨로우즈부(27)의 부력이 존재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체크밸브(1)가 신속히 닫히게 되어 적은 양의 물이 배수된다.
따라서 소변 또는 대변시에 배수되는 물의 양을 다르게 할 수 있게 되며, 결국 물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변기용 수세장치는, 대소변시 배출되는 물의 양을 다르게 하기 위해 벨로우즈부가 형성된 체크밸브와 부구(11)를 각각 생산해야 하므로 부품수 증가에 따른 작업공정 증가, 원가가 상승되었고, 별도의 부구(11)를 소변끈(9)에 결합시켜야 하므로 조립고정이 증가되었다.
또한 종래 변기용 수세장치는, 대변레버 작동시 도2와 같이 벨로우즈부(5)가 펼쳐진 상태에서 오픈되어서 그 내부에 공기실(5a)이 형성되는데, 체크밸브(1) 하부가 넓게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체크밸브(1)가 완전히 열릴시 그 개방부를 통해서 비교적 많은 양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었고, 이에 따라 체크밸브(1)의 부력이 저하되어 대변시 적정량의 물이 배출되지 못한 상태에서 닫히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부품수가 절감되도록 한 변기용 수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벨로우즈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완전히 오픈되어도 공기실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거의 배출되지 않도록 한 변기용 수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변기용 수세장치는, 일측의 힌지부가 수조 내에 설치된 사이폰관 양측에 힌지결합되어 수조 바닥의 배수구를 개폐시키는 체크밸브가 설치된 변기용 수세장치에 있어서, 중앙이 관통되고 내주면 둘레에 링형 결합홈이 형성된 하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일측에 구비되고 사이폰관 양측에 결합되는 힌지부와, 하부플랜지 타측에 구비되는 연장부와, 하단 둘레가 하부플랜지의 대응 상부에 연결형성되고 상부가 밀폐된 벨로우즈부로 이루어진 공지의 체크밸브와; 체크밸브의 벨로우즈부 상부에 돌출형성되고 내부가 벨로우즈부 내부와 연결된 보조챔버와; 일단이 벨로우즈부 상부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연장부 단부에 결합되는 작동레버와; 외주면 둘레가 하부플랜지의 결합홈에 결합되도록 판형상의 플랜지가 구비되고, 플랜지 하부에 체크밸브가 개폐될시 이를 배수구측으로 안내하도록 다수의 안내편이 방사상으로 돌출형성되며, 체크밸브의 내부의 공기실과 배수구 내부가 연결되도록 공기출입구멍이 형성된 가이드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변기용 수세장치의 한 특징은, 배수구와 사이폰관 사이의 거리차에 따라 힌지부의 결합위치가 가변되도록, 힌지부에 장공이 형성된다.
본 고안 변기용 수세장치의 다른 특징은, 다수의 안내편 중, 힌지부에 근접한 하나의 안내편에 공기출입구멍이 형성된다.
본 고안 변기용 수세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보조챔버에, 그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보조벨로우즈부가 더 형성된다.
본 고안 변기용 수세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힌지부가 사이폰관 외주에 결합 지지되도록 원형 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안내편들 중 하나의 안내편에 플랜지 하부 중앙측으로 연장된 안내봉이 형성된다.
본 고안 변기용 수세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보조챔버의 상부가 개방되고, 이에 조절막대가 끼워맞춤되어, 조절막대의 삽입 깊이에 따라 보조챔버 내의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체크밸브의 벨로우즈부 상부에 보조챔버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체크밸브 외에 부구가 별도로 구비되었던 종래에 비해 부품수가 감소되고, 이에 따라 제작 및 조립 공수가 감소될 뿐 아니라 제조 원가가 절감된다.
또한 대변시 체크밸브의 벨로우즈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완전히 오픈되어도 공기실 내부의 공기가 거의 배출되지 않아 체크밸브의 부력을 확실하게 유지시키므로, 체크밸브의 부력 저하로 인해 충분한 물이 배수되기 전에 체크밸브가 닫혔던 종래 문제가 해결된다.
뿐만 아니라, 변기에 따라 사이폰관의 결합돌기와 배수구 사이의 거리가 약간씩 차이가 발생되어도 체크밸브의 힌지부에 형성된 장공이 이를 보완하므로 체크밸브의 힌지부와 사이폰관의 결합돌기 사이의 결합이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으며, 보조벨로우즈부에 의해 보조챔버 내부의 공기량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소변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1 및 도2는 종래 변기용 수세장치를 보이는 개략적 단면도 및 사용상태 단면도
도3은 본 고안 변기용 수세장치를 보이는 부분 분해 사시도
도4는 도3의 결합 단면도
도5 및 도6은 대변끈이 당겨진 상태를 보이는 사용상태 단면도들
도7은 소변끈이 당겨진 상태를 보이는 사용상태 단면도
도8 내지 도10은 본 고안 변기용 수세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부분 절개 사시도들
도11은 본 고안 변기용 수세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부분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배수구 13 ; 사이폰관
21,21' ; 체크밸브 24,24' ; 힌지부
25 ; 장공 27 ; 벨로우즈부
28 ; 공기실 30 ; 보조챔버
31 ; 작동레버 36 ; 대변끈
37 ; 소변끈 40 ; 가이드
44 ; 공기출입구멍 50,60,70,80, ; 보조챔버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변기용 수세장치를 보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2는 체크밸브가 닫힌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로써, 이는 배수구(12)를 개폐하는 체크밸브(21)와, 체크밸브(21)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보조챔버(30)와, 대변끈(36) 및 소변끈(37)이 각각 연결되는 작동레버(31)와, 체크밸브(21) 하부에 결합되어 이를 배수구(12)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40)로 이루어진다.
먼저, 체크밸브(21)는 중앙이 관통되고 내주면 둘레에 링형 결합홈(23)이 형성된 하부플랜지(22)가 구비된다. 이 하부플랜지(22) 일측에는 사이폰관(13) 양측에 결합되는 힌지부(24)가 구비되고, 하부플랜지(22) 타측에는 연장부(26)가 돌출 형성되며, 하부플랜지(22) 상면 둘레에는 내부에 공기실(28)이 형성되고 상부가 밀폐된 벨로우즈부(2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힌지부(24)에는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라 장공(25)이 형성되어 있어 변기의 종류마다 차이가 발생되는 사이폰관(13)과 배수구(12) 사이의 거리차를 보완하게 된다.
이러한 체크밸브(21)의 벨로우즈부(27) 상부에는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인 보조챔버(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바, 보조챔버(30)의 내부가 벨로우즈부(27)의 공기실(28)과 연결되어 있다.
작동레버(31)는 ㄷ자 형상이고, 양단에는 결합돌부(29)에 결합되는 제1훅부(32)와 연장부(26)에 결합되는 제2훅부(33)가 형성된다. 제1훅부(32)측에는 제1고리(34)가 형성되어 있고, 제2훅부(33)측에는 제2고리(35)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훅부(33)와 제2고리(35)측 하부에는 제한턱(38)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가이드(40)는 외주면 둘레가 하부플랜지(22)의 결합홈(23)에 결합되도록 원판 형상의 플랜지(41)를 구비하고, 플랜지(41) 저면에는 체크밸브(21)가 개폐될시 이를 배수구(12)측으로 안내하도록 다수의 안내편(42)(43)이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다수의 안내편(42)(43) 중 하나의 안내편(43)에는 그 만곡부위를 따라 공기출입구멍(44)이 형성되어 있어 벨로우즈부(27)의 공기실(28)과 배수구(12)내부를 연결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변기용 수세장치는, 도4와 같은 닫힌 상태에서 대변튜브(도시안됨)를 누를시 대변끈(36)이 당겨지면서 체크밸브(21)의 벨로우즈부(27)가 도4와 같은 상태에서 도5과 같이 펼쳐지게 되고, 이에 따라 배수구(12) 내부의 공기가 벨로우즈부(27) 내부의 공기실(28)로 유입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대변끈(36)이 더 당겨지면 체크밸브(21)가 힌지부(24)를 중심으로 회동되어서 도6과 같이 오픈된다.
이와 같이 체크밸브(21)가 오픈되면 공기실(28)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벨로우즈부(27)에 공기챔버가 형성되어서 오픈된 체크밸브(21)가 물이 거의 다 배수될 때까지 닫히지 않게 된다.
여기서 대변끈(36)이 당겨져서 벨로우즈부(27)가 충분히 펼쳐지면 작동레버(31)의 제한턱(38)이 연장부(26) 일측에 지지되며, 따라서 대변끈(36)을 계속 당기더라도 벨로우즈부(27)는 더 이상 펼쳐지지 않으므로 벨로우즈부(27)가 무리하게 당겨져서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한편 소변튜브(도시안됨)를 눌러서 소변끈(37)이 상측으로 당겨지게 되면, 작동레버(31)의 제2훅부(33)가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게 되는데, 이때 제1훅부(32)는 체크밸브(21)의 결합돌부(29)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지렛대 원리에 의해 제1훅부(32)가 체크밸브(21)의 상부를 더욱 누르게 되어 벨로우즈부(27)가 펼쳐지는 것을 방지시키게 되며, 소변끈(37)이 계속 당겨지면 도7과 같이 벨로우즈부(27)가 압축된 상태에서 체크밸브(21)가 오픈된다.
이와 같이 벨로우즈부(27)가 압축된 상태에서 체크밸브(21)가 오픈되면 공기실(28)에 공기가 거의 들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보조챔버(30)만 부력을 갖게 된다.
따라서 체크밸브(21)는 보조챔버(30)에 의해 오픈되어 있지만, 보조챔버(30)의 부력이 그다지 크지 않고 보조챔버(30)가 체크밸브(21)의 최상측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체크밸브(21)의 오픈시간이 그다지 길지 않으며, 이에 따라 체크밸브(21)가 신속히 닫히게 되어 적은량의 물만 배수된다.
여기서 소변시 배수량을 조절하는 보조챔버(30)가 벨로우즈부(27) 상부에 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한번의 사출성형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부품수가 감소 및 제작 공정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 제작단가가 감소되며, 구입하여 각 가정에 설치시 조립공수가 절감된다.
한편 체크밸브(21) 하단에 본 고안의 한 특징인 가이드(40)가 체크밸브(21)하단에 결합되어서 다른 효과를 발생하는바, 가이드(40)가 체크밸브(21)의 하부플랜지(22)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공기실(28)과 배수구(12) 사이에는 공기출입구멍(44)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밀폐된다.
따라서 도4와 같은 상태에서 도5와 같이 벨로우즈부(27)가 펼쳐지게 되면 배수구(12) 내부의 공기가 공기출입구멍(44)을 통해 공기실(28) 내부로 유입되지만, 대변끈(36)이 더 당겨져셔 체크밸브(21)가 도6과 같이 오픈되더라도 공기실(28) 내부의 공기가 공기출입구멍(44)을 통해서 외부로 거의 배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대변시 체크밸브(21)가 완전히 오픈되어도 공기실(28)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상태이므로 체크밸브(21)는 비교적 큰 부력을 갖게 되며, 이에 따라 물이 충분히 배수되는 동안 닫히지 않게 된다.
도8은 본 고안 보조챔버(5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부분 발췌 사시도로써, 원통형 보조챔버(50) 중간부분에 보조벨로우즈부(51)가 더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보조챔버(50)를 상측으로 당기거나 하측으로 눌러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이 하여 보조챔버(50) 내부의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보조챔버(50) 내부의 공기량을 조절하여서 소변시 닫히는 시간을 조절하므로 배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9는 보조챔버(6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부분 분리 사시도로써, 상측에 구형 부구(61)와, 체크밸브(21)의 벨로우즈부(27)와 부구(61)를 연결하고 내부에 빨대형상의 공기통로(64)를 가지는 플랙시블관(62)과, 플래시블관(62) 중간부분에 형성된 보조벨로우즈부(63)와, 플랙시블관(62)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클립(65)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조챔버(60)는 수압에 의해 플랙시블관(62) 양측이 밀착되어도 중앙의 공기통로(64)에 의해 상부의 부구(61)와 공기실(28)이 항시 연결된다.
한편 보조챔버(6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서 소변시 배수량을 조절하려면, 보조벨로우즈부(63)를 적절히 펴거나 오므린 후 플랙시블관(62) 양측에 클립(65)을 끼워서 고정시키므로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10과 같이 보조챔버(70)의 중간부분에 요철 형상의 보조벨로우즈부(71)를 형성시키고, 상하단에 걸림턱(73)이 형성된 클립(72)을 구비하여서 조절된 길이를 지지시킬 수도 있다.
도11은 본 고안 변기용 수세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분해 사시도로써, 원통형 보조챔버(80)의 상단을 개방시키고, 이에 끼워맞춤되도록 봉형상의 조절막대(81)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챔버(80) 내부에 조절막대(81)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여서 보조챔버(80) 내부의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힌지부(24')를 원형 링형상으로 구비하고, 다수의 안내편 중 하나의 안내편(42')에 안내봉(42')을 형성할 수 있는바, 이 안내봉(42')은 플랜지(40') 하부 중앙측으로 연장형성된다.
그러므로 탄성을 가지는 링형 힌지부(24')를 벌려서 결합돌기(14) 하측의 사이폰관(13) 외주면에 끼우고, 안내봉(42')은 배수구(12)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체크밸브(21')는 링형 힌지부(24')에 의해 사이폰관(13)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되려 하지만 안내봉(42')에 의해 배수구(12)를 벗어나지 못하게 되며, 안내봉(42')에 의해 체크밸브(21')가 오픈된 상태에서도 배수구(12)측으로 안내되면서 닫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변기용 수세장치에 의하면, 체크밸브(21)(21')의 벨로우즈부(27) 상부에 보조챔버(30)(50)(60)(70)(80)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체크밸브(21)(21') 외에 부구가 별도로 구비되었던 종래에 비해 부품수가 감소되고, 이에 따라 제작 및 조립 공수가 감소될 뿐 아니라 제조 원가가 절감되며, 대변시 체크밸브의 벨로우즈부(27)가 펼쳐진 상태에서 완전히 오픈되어도 공기실(28) 내부의 공기가 거의 배출되지 않아 체크밸브(21)(21')의 부력을 확실하게 유지시키므로, 체크밸브(21)(21')의 부력 저하로 인해 충분한 물이 배수되기 전에 체크밸브가 닫혔던 종래 문제가 해결되고, 변기에 따라 사이폰관(13)의 결합돌기(14)와 배수구(12) 사이의 거리가 약간씩 차이가 발생되어도 체크밸브(21)의 힌지부(24)에 형성된 장공(25)이 이를 보완하므로 체크밸브(21)의 힌지부(24)와 사이폰관(13)의 결합돌기(14) 사이의 결합이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으며, 보조벨로우즈부(51)(63)(71)에 의해 보조챔버(30)(50)(60)(70)(80) 내부의 공기량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소변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Claims (6)

  1. 일측의 힌지부가 수조 내에 설치된 사이폰관 양측에 힌지결합되어 수조 바닥의 배수구를 개폐시키는 체크밸브가 설치된 변기용 수세장치에 있어서,
    중앙이 관통되고 내주면 둘레에 링형 결합홈(23)이 형성된 하부플랜지(22)와, 상기 하부플랜지(22) 일측에 구비되고 사이폰관(13) 양측에 결합되는 힌지부(24)와, 상기 하부플랜지(22) 타측에 구비되는 연장부(26)와, 하단 둘레가 상기 하부플랜지(22)의 대응 상부에 연결형성되고 상부가 밀폐된 벨로우즈부(27)로 이루어진 공지의 체크밸브(21)와;
    상기 체크밸브(21)의 벨로우즈부(27) 상부에 돌출형성되고 내부가 상기 벨로우즈부(27) 내부와 연결된 보조챔버(30)(50)(60)(70)(80)와;
    일단이 상기 벨로우즈부(27) 상부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장부(26)단부에 결합되는 작동레버(31)와;
    외주면 둘레가 상기 하부플랜지(22)의 결합홈에 결합되도록 판 형상의 플랜지(41)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41) 하부에 상기 체크밸브(21)가 개폐될시 이를 배수구(12)측으로 안내하도록 다수의 안내편(42)(43)이 방사상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체크밸브(21)의 내부의 공기실(28)과 배수구(12) 내부가 연결되도록 공기출입구멍(44)이 형성된 가이드(40)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수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12)와 사이폰관(13) 사이의 거리차에 따라 상기 힌지부(24)의 결합위치가 가변되도록 상기 힌지부(24)에 장공(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수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안내편(42)(43) 중 힌지부에 근접한 하나의 안내편(43)에 상기공기출입구멍(4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수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챔버(50)(60)(70)에, 그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보조벨로우즈부(51)(63)(71)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수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24')가 상기 사이폰관(13) 외주에 결합지지되도록 원형 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안내편들 중 하나의 안내편(42')에 상기 플랜지(41') 하부 중앙측으로 연장된 안내봉(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수세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챔버(80)의 상부가 개방되고, 이에 조절막대(81)가 끼워맞춤되어, 상기 조절막대(81)의 삽입 깊이에 따라 보조챔버(80) 내의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수세장치.
KR2020000013256U 2000-05-09 2000-05-09 변기용 수세장치 KR2001980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256U KR200198097Y1 (ko) 2000-05-09 2000-05-09 변기용 수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256U KR200198097Y1 (ko) 2000-05-09 2000-05-09 변기용 수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097Y1 true KR200198097Y1 (ko) 2000-10-02

Family

ID=19655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256U KR200198097Y1 (ko) 2000-05-09 2000-05-09 변기용 수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09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524235A (ja) 可変式節水型洋式便器の汚水排出装置
JP5435606B2 (ja) 洋風便器のフィルバルブのリム側給水管物量調節弁
KR200198097Y1 (ko) 변기용 수세장치
JP7373244B2 (ja) 超節水型洋式便器
KR102214200B1 (ko) 양변기 수조의 가변식 보충수 공급장치
KR100263368B1 (ko) 양변기의배수량조절장치
KR200196480Y1 (ko) 변기용 수세장치
KR200192560Y1 (ko) 변기용 수세장치
KR200287466Y1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0202241Y1 (ko) 변기용 수세장치
KR101582074B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187584Y1 (ko) 변기용 수세장치
KR200187601Y1 (ko) 변기용 수세장치
KR200196526Y1 (ko) 변기용 수세장치
KR200271505Y1 (ko) 양변기의 물내림 조절장치
KR20100009972U (ko) 절수형 변기 수조
KR200344345Y1 (ko)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
KR200211708Y1 (ko) 변기용 수세장치의 체크밸브 구조
KR200197292Y1 (ko) 물탱크용 자동수위조절장치
KR20020069688A (ko) 수세식 변기
KR100280233B1 (ko) 변기용 수세장치
KR960010609Y1 (ko) 변기용 절수 더블 후레쉬밸브
KR200211536Y1 (ko) 양변기 절수장치
KR200202238Y1 (ko) 변기용 수세장치의 체크밸브 구조
KR200184930Y1 (ko) 변기용 수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