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2560Y1 - 변기용 수세장치 - Google Patents

변기용 수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2560Y1
KR200192560Y1 KR2020000006266U KR20000006266U KR200192560Y1 KR 200192560 Y1 KR200192560 Y1 KR 200192560Y1 KR 2020000006266 U KR2020000006266 U KR 2020000006266U KR 20000006266 U KR20000006266 U KR 20000006266U KR 200192560 Y1 KR200192560 Y1 KR 2001925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water
lever
toilet
flush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62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홍식
Original Assignee
구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홍식 filed Critical 구홍식
Priority to KR20200000062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25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25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25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2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having a single flush outlet and an additional float for delaying the valve clo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3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floa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 E03D5/09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the flushing element, e.g. siphon bell, being actuated through a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기용 수세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단이 배수캡(5) 중앙에 지지되고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고정관(15)과; 하단이 고정관(15)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공기실(22)을 가지는 플로트(21)와; 공기가 배출되는 플랙시블한 긴 길이의 관 형상이고 일단이 플로트(21) 내부에 연결되며 타단이 플로트(21)의 공기실(22) 하부보다 낮게 위치되는 공기관(25)과; 일단이 수조(1) 내측으로 연장형성되어 공기관(25)의 자유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수조(1)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이들 사이가 수조(1)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소변레버(40)와; 중앙부분이 힌지부위 내부에 위치되고 일단이 수조(1) 외측으로 연장되며 일단을 누르면 상측으로 들리도록 타단이 수조(1) 내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대변레버(60)와; 대변레버(60)의 타단과 플로트(21) 사이에 연결되는 대변끈(65)으로 이루어진 변기용 수세장치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대변시에는 플로트(21) 내의 공기가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플로트(21)가 상승된 상태에서 계속 떠 있다가 수조(1) 내의 물이 적정량 이상 배수되면 점점 낮아지는 수위에 따라 천천히 하강하면서 배수구(6)를 닫게 되므로 배수구(6)의 닫히는 시간이 비교적 지연되어 많은 물이 배출되며, 소변시에는 플로트(21) 내의 공기가 신속히 배출되면서 수압에 의해 플로트(21) 내부에 물이 차오르게 되어, 수위가 낮아지는 속도보다 플로트(21)의 하강속도가 더 빨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배수구(6)가 신속히 닫히게 되어 적은 양의 물만 배수되므로, 소변 또는 대변시에 배수되는 물의 양을 다르게 할 수 있게 되며, 결국 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변기용 수세장치{device for automatically flushing toilet bowls}
본 고안은 변기용 수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변과 대변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변기용 수세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화장실에는 수세식 변기가 설치되어 용변후에 수세레버를 눌러서 수조에 저장된 물을 변기로 공급하므로 변기내의 배설물을 하수구로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수세식 변기의 문제는, 수세레버를 누르면 소변과 대변에 상관없이 수조에 저장된 많은 량의 물이 모두 배출되므로, 그다지 많은 물이 배출되지 않아도 되는 소변시, 물의 낭비가 심하였다.
보통 정상적인 남자는 하루에 5-6차례 소변을 보므로 이에 가족 성원 수를 곱하면 한 가정에서 소변으로 인해 소비되는 물의 총량은 매우 많으며, 이를 다시 정화처리하는데 드는 비용도 낭비되는 물의 양에 따라 상대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소변 또는 대변시 물의 양을 다르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변기용 수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변기용 수세장치는, 바닥 일측에 배수구를 가지는 배수캡이 결합되는 공지의 수조와, 수조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과, 물공급관 상단에 연결되어 물공급밸브를 개페하는 개폐레버와, 개폐레버의 자유단에 연결되는 보조플로트로 이루어진 변기용 수세장치에 있어서, 하단이 배수캡 중앙에 지지되고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고정관과; 하단이 고정관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공기실을 가지는 플로트와; 공기가 배출되는 플랙시블한 긴 길이의 관 형상이고 일단이 플로트 내부에 연결되며 타단이 플로트의 공기실 하부보다 낮게 위치되는 공기관과; 일단이 수조 내측으로 연장형성되어 공기관의 자유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수조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이들 사이가 수조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소변레버와; 중앙부분이 힌지부위 내부에 위치되고 일단이 수조 외측으로 연장되며 일단을 누르면 상측으로 들리도록 타단이 수조 내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대변레버와; 대변용레버의 타단과 플로트 사이에 연결되는 대변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대변시에는 플로트 내의 공기가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플로트가 상승된 상태에서 계속 떠 있다가 수조 내의 물이 적정량 이상 배수되면 점점 낮아지는 수위에 따라 천천히 하강하면서 배수구를 닫게 되므로 배수구의 닫히는 시간이 비교적 지연되어 많은 물이 배출되며, 소변시에는 플로트 내의 공기가 신속히 배출되면서 수압에 의해 플로트 내부에 물이 차오르게 되어, 수위가 낮아지는 속도보다 플로트의 하강속도가 더 빨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배수구가 신속히 닫히게 되어 적은 양의 물만 배수되므로, 소변 또는 대변시에 배수되는 물의 양을 다르게 할 수 있게 되며, 결국 물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 변기용 수세장치의 한 실시예를 보이는 개략적 단면도
도2는 대변레버를 누른 상태를 보이는 개략적 단면도
도3은 소변레버를 누른 상태를 보이는 개략적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고정관 및 결합체를 보이는 분리 측단면도
도5는 도4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6은 도4 및 도5의 결합체를 보이는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인 고정관 및 결합체를 보이는 분리 측단면도
도8은 도7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9는 도7 및 도8의 결합체를 보이는 사시도
도10 및 도11은 고정관과 결합체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를 보이는 측단면도 및 그 평면도
도12는 도1의 요부를 확대한 부분 분리 단면도
도13은 본 고안 플로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개략적 단면도
도14는 연결관과 공기량조절관의 결합구조를 보이는 부분 분리 단면도
도15는 수조 일측에 설치되는 소변레버 및 대변레버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16은 소변레버의 작동부의 저면을 보이는 사시도
도17은 소변레버의 작동부와 대변레버의 결합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18 및 도19는 도17의 단면도들
도20은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 및 결합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21은 도20의 결합 단면도
도22 및 도23은 플로트의 또 다른 구조를 보이는 결합 단면도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조 5 ; 배수캡
7 ; 패킹 15,71,81 ; 고정관
16 ; 탄성홈 17 ; 멈춤돌기
21 ; 플로트 25 ; 공기관
28 ; 공기챔버 40 ; 소변레버
60 ; 대변레버 73,83 ; 결합체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1은 본 고안 변기용 수세장치의 한 실시예를 보이는 개략적 단면도로써, 이는, 수조(1)의 바닥 일측에 배수구(6)를 가지는 배수캡(5)이 결합된다. 이 수조(1) 내부에는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2)이 설치되고, 물공급관(2) 상단에 연결되어 물공급밸브를 개페하는 개폐레버(3)가 설치되며, 개폐레버(3)의 자유단에는 보조플로트(4)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수조(1) 내에는 본 고안의 특징인 고정관(15)과, 플로트(21), 공기관(25), 소변레버(40) 및 대변레버(60)가 더 설치되는바, 고정관(15)은 도1 내지 도3이나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 중앙에 탄성홈(16)이 형성되고, 상단 양측에 멈춤돌기(17)가 형성되며, 하단 외주에는 날개(18)가 형성되어서 배수캡(5)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관(15) 외주에는 수나사부(10)를 가지는 결합관(8)이 끼워지고, 결합관(8) 하단의 플랜지(9)에는 패킹(7)이 결합되어서 배수캡(5)의 배수구(6)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며, 결합관(8)의 수나사부(10)에는 본 고안의 한 특징인 플로트(21)의 암나사부(21a)가 체결된 후, 보조패킹(11) 및 지지너트(12)에 의해 기밀이 유지된다.
그리고 플로트(21)는 내부에 고정관(15) 내부와 연결되도록 공기실(22)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도12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으로 다수의 연결구멍(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연결구멍(23)에는 공기관(25)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다.
이 공기관(25)은 플로트(21)에 연결되는 연결관(26)과 후술할 소변레버(40)의 회동레버(53) 단부에 연결되는 배출관(27)으로 나누어지고, 이들 사이에는 공기챔버(28)가 구비되며, 이 공기챔버(28)는 개폐레버(3)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소변레버(40)의 작동시 공기관(25)이 유연하게 연동되려면 연결관(26)과 배출관(27)이 밸로우즈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소변레버(40)와 대변레버(60)가 수조(1)의 일측면에 설치되려면 이들을 지지할 부품이 구비되어 설치되야 하는바,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1)의 사각구멍(1a) 외측에 스토퍼(31)가 끼워진다.
이 스토퍼(31)는 중앙이 관통되고, 일측에 수나사부(32)가 형성되며, 타측에 링부(33)가 형성된다. 링부(33)의 내주면 외측 둘레에는 가이드홈(34)이 형성되어 있고, 링부(33)와 수나사부(32) 사이에는 수조(1)의 사각구멍(1a)에 끼워지도록 사각플랜지(35)가 구비되며, 스토퍼(31)의 수나사부(32)에는 고정링(36)이 체결되므로, 수조(1) 측면에 스토퍼(31)와 고정링(36)이 지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지지된 스토퍼(31)에 소변레버(40)가 설치되는바, 이는 작동부(41)와 연동부(49)로 대별된다.
작동부(41)는 내부에 하측으로 개방된 사각형 안착구멍(43)이 형성되고, 외주 일측에 안착구멍(43)과 연결된 절개홈(45)이 형성되며, 일측면 플랜지(42)에는 누름부(44)가 수조(1) 외측으로 돌출되고, 타측면에는 나사홈(47)이 형성되며, 나사홈(47) 양측에는 사각형 결합홈(48)이 형성된다.
연동부(49)는 원판(50) 양측에 작동부(41)의 결합홈(48)에 대향되도록 결합돌기(52)가 형성되고, 중앙에 관통구멍(51)이 형성되며, 원판(50) 일측에는 회동레버(53)가 길게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대변레버(60)는, 누름부(61)와 회동부(64)로 이루어지는데, 누름부(61)는 직육면체 형상이고, 저면에 지지홈(62)이 형성되되, 지지홈(62)이 작동부(41)의 안착구멍(43) 선단 하측에 지지되고, 지지홈(62) 일측면에 경사면(63)이 형성된다.
회동부(64)는 누름부(61) 후방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이 회동부(64)의 단부와 플로트(21) 사이에는 대변끈(65)이 연결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54는 소변레버(40)의 작동부(41)와 연동부(49)를 결합지지시키는 볼트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변기용 수세장치는, 결합관(8)을 고정관(15)에 끼우기 위해 결합관(8) 하단을 고정관(15) 상단에 대향시킨 후 하측으로 눌러 끼우면 고정관(15)의 탄성홈(16)이 오므라들면서 끼워지게 되며, 완전히 끼워지면 탄성홈(16)이 복원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관(26)을 도1 내지 도3, 도12에 도시한 다수의 연결구멍(23) 중 하나의 연결구멍(23)에 결합시키는데, 연결관(26)의 결합 위치에 따라 소변레버(40) 작동시 플로트(21) 내부에 남아 있는 공기량이 달라진다.
그리고 소변레버(40) 중, 회동레버(53)의 단부에 배출관(27)의 단부를 끼워 고정시키며, 회동레버(53) 단부에는 배출관(27)의 단부가 항상 플로트(21)의 공기실(22) 바닥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무게추(55)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소변레버(40)에 결합지지된 대변레버(60)는 지지홈(62)의 경사면(63) 때문에 누름부(61)가 후방측으로 제쳐질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실제로 긴 길이의 회동부(64)의 무게에 의해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변레버(40)의 후방이 하측으로 제쳐지게 되며, 누름부(61)의 하단이 전방 상측으로 들려지게 된다.
따라서 도1 및 도18과 같은 초기 상태에서 대변레버(60)의 누름부(61)를 누르면 도18에 도시한 회동부(64)의 단부의 위치(d)가 도19의 위치(D)와 같이 상승되므로 그만큼 대변끈(65)을 상측으로 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도2와 같이 플로트(21)가 상승되어 패킹(7)과 배수캡(5)이 분리되며, 수조(1) 내의 물이 배수구(6)로 배수된다.
여기서 플로트(21)가 어느 정도 상승되면 결합관(8)의 상단이 멈춤돌기(17)에 지지되므로 플로트(21)의 상승을 제한하여 더 이상 상승되지 못하도록 한다.
한번 상승된 플로트(21)는 공기실(22)에 의한 부력 및 배수캡(5) 상부의 물의 흐름에 의해 물이 충분히 배수되어서 플로트(21)의 대부분이 수면 상측으로 들어날때까지 닫히지 않게 되며, 계속 배수됨에 따라 수압이 점차 감소되고 부력보다 플로트(21)의 자중이 더 커지게 되면 점차 하강되면서 패킹(7)에 의해 배수캡(5)이 닫히게 된다.
한편 배출관(27)의 하단은 무게추(55)에 의해 하측으로 당겨진 상태이고 그 하단의 위치가 하강상태의 공기실(22) 바닥보다 더 낮게 위치되므로 대변레버(60)에 의해 플로트(21)가 작동되는 동안 공기실(22) 내부의 공기가 배출관(2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대변레버(60)에 의해 플로트(21)가 상승되어 패킹(7)과 배수캡(5)이 한번 분리되면, 플로트 내부의 부력에 의해 물이 충분히 배출될때까지 플로트(21)가 하강되지 않으며 따라서 플로트의 하강시간이 지연된다.
한편 도3과 같이 소변레버(40)의 누름부(44)를 누르면 소변레버(40)와 함께 대변레버(60)가 동시에 회동도고, 이에 따라 대변끈(65)이 당겨지면서 플로트(21)를 상승시키게 되며, 회동레버(53)도 회전되면서 배출관(27) 하단을 플로트(21)보다 높게 상측으로 들어 올려진다.
이와 같이 플로트(21)가 상승되어 배수구(6)가 열리고 배출관(27) 하단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짐에 따라 수조(1) 내의 물이 배수됨과 동시에 공기실(22) 내부의 공기가 연결관(26) 및 공기챔버(28), 배출관(2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배출된 공기량만큼 수조(1) 내의 물이 수압에 의해 플로트(21)의 공기실(22) 내부로 유입된다.
여기서 배출되는 공기량은 연결관(26)의 결합위치에 따라 다른데, 연결관(26)이 플로트(21)의 하측의 연결구멍(23)에 결합되면 적은량의 공기만 배출되고, 플로트(21) 상측의 연결구멍(23)에 결합되면 많은량의 공기가 배출된다.
플로트(21) 내부의 공기가 배출됨과 동시에 물이 공기실(22) 내부로 유입되면 플로트(21)의 부력이 그만큼 작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적은량의 물만 배수되어도 플로트(21)는 하강되기 시작하며, 결국 플로트(21)의 하강시간이 짧아지게 되어 패킹(7)이 배수캡(5)을 신속히 닫게 되므로, 소변레버(40)를 누르면 적은량의 물이 배수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 변기용 수세장치는 대변레버를 누르면 많은 양의 물이 배수되고 소변레버(40)를 누르면 적은 양의 물이 배수되므로 물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도4 내지 도6은 본 고안 변기용 수세장치 중, 고정관(71)의 다른 실시예와 그 고정관(71)에 결합되는 결합체(73)를 보인 도면들로써, 먼저, 고정관(71)은 상단 중앙에 하측으로 탄성홈(16)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 양측에 멈춤돌기(17)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외주에 수나사부(7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에 결합되는 결합체(73)는, 상부에 원형링부(74)가 형성되어 배수캡(5) 내부에 위치되고, 원형링부(74) 하측에 다수의 탄성다리(75)가 구비된다. 또한 탄성다리(75) 하단들에는 암나사부(77)가 형성되고, 탄성다리(75) 중간 외주에는 배수캡(5) 하단에 지지되는 걸림턱(76)이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체(73)를 배수캡(5) 내부에 위치시키고 고정관(71)을 수나사부(72)와 결합체(73)의 암나사부(77)를 체결시키면 암나사부(77)의 내경이 수나사부(72)의 직경만큼 벌어지면서 결합체(73) 외주면이 배수캡(5) 내주면에 밀착지지되며, 고정관(71)을 계속 회전시킴에 따라 결합체(73)가 상승되면서 걸림턱(76)이 배수캡(5) 하단에 지지된다.
그러므로 고정관(71)을 결합체(73) 내부에 끼우고 회전시키는 작업으로 고정관(71)과 결합체(73)를 배수캡(5)에 고정지지시킬 수 있다.
도7 내지 도9는 본 고안 변기용 수세장치 중, 고정관(81)의 또 다른 실시예와 그 고정관(81)에 결합되는 결합체(83)를 보인 도면들로써, 먼저, 고정관(81)은 상단 중앙에 하측으로 탄성홈(16)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 양측에 멈춤돌기(17)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링형홈(8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에 결합되는 결합체(83)는, 상부에 원형링부(84)가 형성되어 배수캡(5) 내부에 위치되고, 원형링부(84) 하측에 다수의 탄성다리(85)가 구비된다. 또한 탄성다리(85) 하단들에는 링형돌기(86)가 구비되고, 탄성다리(85) 사이에는 배수캡(5) 하단에 지지되는 탄성돌기(87)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배수캡(5) 상부에 결합체(83)의 하단을 위치시키고 결합체(83)를 하측으로 밀어 끼우면 탄성돌기(87)가 내측으로 변형되면서 삽입되고, 삽입완료 후, 탄성돌기(87)가 복원되어서 배수캡(5) 저면에 지지된다.
또한 고정관(81)을 결합체(83)의 링형돌기(86)에 눌러 끼우면 링형홈(82)에 링형돌기(86) 내주면이 끼워지면서 결합되며, 이와 같이 하여 고정관(81)과 결합체(83)가 배수캡(5)에 지지된다.
도10 및 도1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측단면도 및 그 평면도로써, 고정관(15)이, 상단 중앙에 하측으로 탄성홈(16)이 형성되고, 상단 양측에 멈춤돌기(17)가 형성되며, 하부 외주에 날개(18)가 형성되어 배수캡(5) 내주면에 일체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관(15)은 배수캡(5)에 일체로 지지되므로 상술한 것들보다 결합상태가 더욱 견고하다.
도13은 본 고안 플로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개략적 단면도로써, 서로 길이가 다른 제1관(93), 제2관(94), 제3관(95), 제4관(96)으로 이루어진 공기량조절관(92)이 구비되어, 공기량조절관(92) 하단이 플로트(91) 내부에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지도록 삽입되고, 상단이 플로트(91) 외측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그러므로 연결관(26)을 제1관(93) 내지 제4관(96) 중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면 소변레버(40) 작동시 배출되는 공기량도 a, b, c, d만큼 차이가 발생되며, 이에 따라 플로트(91)의 하강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14는 공기량조절관(92)과 연결관(26)의 결합구조를 보이는 개략적 부분 단면도이며, 공기량조절관(92) 상단에 톱니돌기(92a)를 형성하고, 연결관(26) 하단 내주에 톱니홈(26a)을 형성하면 고무재의 연결관(26)이 합성수지재의 공기량조절관(92)에 확실하게 결합된다.
도20은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 및 결합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21은 그 결합 단면도인바, 플로트(101) 내주면 하단에 결합관(107)의 수나사부(108)가 결합되도록 암나사부(102)가 형성되어 있고, 플로트(101) 둘레에는 상측으로 개방된 원통형 부력조절체(103)가 일체로 구비되어 그 내부에 수실(104)이 구비된다.
그리고 부력조절체(103) 일측에는 상측으로 개방된 배수홈(105)이 형성되고, 배수홈(105)의 오픈 길이를 조절하도록 이에 조절편(106)이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변기용 수세장치는 조절편(106)을 하강시켜서 부력조절체(103)의 배수홈(105) 완전히 닫으면 수실(104)에 가득찬 물의 중량에 의해 대변시 플로트(101)의 하강속도가 증가되고 조절편(106)을 조금씩 상측으로 당겨서 배수홈(105)을 점차 오픈시킴에 따라 부력조절체(103) 내의 물의 양이 감소하면서 플로트(101)의 부력이 그만큼 증가하므로 하강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플로트(101) 구조에 의해 대변시에도 배수구(6)의 닫히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22 및 도23은 플로트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결합 단면도로써, 플로트(111)의 상부 중앙에는 비교적 큰 지름의 공기량조절관(112)이 하나 구비된다. 그리고 이 공기량조절관()에는 밸브(113)가 결합되어 있고, 밸브(113) 상단에는 연결끈(115)이 연결되어 있으며, 밸브(113) 내부에는 상측으로 개방된 수실(114)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소변레버(40)를 누를시 도1의 배출관(27) 단부가 올려지는 것이 아니라 연결끈(115)이 당겨지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변기용 수세장치는, 소변레버(40)를 작동하기 전에는 수실(114)에 담겨진 물에 의해 밸브(113)가 중량체 역할을 하므로 공기량조절관(112) 상부를 밀폐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소변레버(40)를 누르면 연결끈(115)이 당겨지면서 밸브(113)가 열리게 되고 이에 따라 플로트(111)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신속히 배출되는 동시에 물이 유입되며, 결국 플로트(111)의 부력이 작아지게 되어 신속히 하강된다.
그러므로 배수구(6)가 신속히 닫히게 되어 물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변기용 수세장치에 의하면, 대변시에는 플로트(21) 내의 공기가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플로트(21)가 상승된 상태에서 계속 떠 있다가 수조(1) 내의 물이 적정량 이상 배수되면 점점 낮아지는 수위에 따라 천천히 하강하면서 배수구(6)를 닫게 되므로 배수구(6)의 닫히는 시간이 비교적 지연되어 많은 물이 배출되며, 소변시에는 플로트(21) 내의 공기가 신속히 배출되면서 수압에 의해 플로트(21) 내부에 물이 차오르게 되어, 수위가 낮아지는 속도보다 플로트(21)의 하강속도가 더 빨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배수구(6)가 신속히 닫히게 되어 적은 양의 물만 배수되므로, 소변 또는 대변시에 배수되는 물의 양을 다르게 할 수 있게 되며, 결국 물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바닥 일측에 배수구를 가지는 배수캡이 결합되는 공지의 수조와, 상기 수조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과, 상기 물공급관 상단에 연결되어 물공급밸브를 개페하는 개폐레버와, 상기 개폐레버의 자유단에 연결되는 보조플로트로 이루어진 변기용 수세장치에 있어서,
    하단이 상기 배수캡 중앙에 지지되고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고정관과;
    하단이 상기 고정관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공기실을 가지는 플로트와;
    공기가 배출되는 플랙시블한 긴 길이의 관 형상이고 일단이 상기 플로트 내부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플로트의 공기실 하부보다 낮게 위치되는 공기관과;
    일단이 상기 수조 내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공기관의 자유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조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이들 사이가 상기 수조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소변레버와;
    중앙부분이 상기 힌지부위 내부에 위치되고 일단이 상기 수조 외측으로 연장되며 일단을 누르면 상측으로 들리도록 타단이 상기 수조 내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대변레버와;
    상기 대변레버의 타단과 플로트 사이에 연결되는 대변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수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71)이,
    상단 중앙에 하측으로 탄성홈(16)이 형성되고, 상단 양측에 멈춤돌기(17)가 형성되며, 하부 외주에 수나사부(7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수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81)이,
    상단 중앙에 하측으로 탄성홈(16)이 형성되고, 상단 양측에 멈춤돌기(17)가 형성되며, 하단 외주에 링형홈(8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수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15)이,
    상단 중앙에 하측으로 탄성홈(16)이 형성되고, 상단 양측에 멈춤돌기(17)가 형성되며, 하부 외주에 날개(18)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캡(5) 내주면에 일체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수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부에 원형링부(74)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캡(5) 내부에 위치되고, 원형링부(74) 하측에 다수의 탄성다리(75)가 구비되며, 탄성다리(75) 하단들에 암나사부(77)가 형성되고, 탄성다리(75) 중간 외주에 상기 배수캡(5) 하단에 지지되는 걸림턱(76)이 형성된 결합체(7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수세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부에 원형링부(84)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캡(5) 내부에 위치되고, 원형링부(84) 하측에 다수의 탄성다리(85)가 구비되며, 탄성다리(85) 하단들에 링형돌기(86)가 구비되고, 탄성다리(85) 사이에 상기 배수캡(5) 하단에 지지되는 탄성돌기(87)가 구비되는 결합체(8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수세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21) 측면에 다수의 연결구멍(23)이 수직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고, 다수의 연결구멍(23) 중 하나의 연결구멍(23)에는 상기 연결관(26)이 결합되며, 나머지 연결구멍(23)들에는 마개(24)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수세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서로 길이가 다른 다수의 공기량조절관(92)이 구비되어, 상기 공기량조절관(92) 하단이 상기 플로트(91) 내부에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지도록 삽입되고, 상단이 상기 플로트(91) 외측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수세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6) 결합 단부 내주에 톱니홈(26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량조절관(92) 상단 외주에 톱니돌기(9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수세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관(25) 사이에 공기챔버(28)가 구비되어 개폐레버(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수세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관(25)의 배출관(27) 및 연결관(26)이 밸로우즈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수세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레버(40)가,
    내부에 하측으로 개방된 사각형 안착구멍(43)이 형성되고, 외주 일측에 안착구멍(43)과 연결된 절개홈(45)이 형성되며, 일측면 플랜지(42)에 누름부(44)가 돌출되고, 타측면에 나사홈(47)이 형성되며, 나사홈(47) 양측에 결합홈(48)이 형성된 작동부(41)와;
    원판(50) 양측에 상기 결합홈(48)에 대향되도록 결합돌기(52)가 형성되고, 중앙에 관통구멍(51)이 형성되며, 원판(50) 일측에 길게 연장된 회동레버(53)를 가지는 연동부(4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수세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레버(60)가,
    저면에 지지홈(62)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홈(62)이 작동부(41)의 안착구멍(43) 선단 하측에 지지되고, 지지홈(62) 일측면에 경사면(63)이 형성되는 직육면체의 누름부(61)와;
    누름부(61) 후방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단부에 대변끈(65)이 연결되는 회동부(6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수세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레버(40)의 회동레버(53) 하단에 무게추(5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수세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플로트(101) 내주면 하단에 결합관(107)의 수나사부(108)가 결합되도록 암나사부(10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로트(101) 둘레에 상측으로 개방된 원통형 부력조절체(103)가 일체로 구비되며, 부력조절체(103) 일측에 상측으로 개방된 배수홈(105)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홈(105)의 오픈 길이를 조절하도록 이에 조절편(106)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수세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플로트(111) 상단 중앙에 비교적 큰 지름의 원통형 공기량조절관(112)이 구비되고, 상기 공기량조절관(112)에 승강시 이를 개폐하도록 밸브(113)가 설치되며, 상기 밸브(113)에 연결끈(115)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수세장치.
KR2020000006266U 2000-03-07 2000-03-07 변기용 수세장치 KR2001925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266U KR200192560Y1 (ko) 2000-03-07 2000-03-07 변기용 수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266U KR200192560Y1 (ko) 2000-03-07 2000-03-07 변기용 수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2560Y1 true KR200192560Y1 (ko) 2000-08-16

Family

ID=19645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266U KR200192560Y1 (ko) 2000-03-07 2000-03-07 변기용 수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25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456A (ko) * 2001-07-05 2003-01-15 최종성 양변기의 물내림 레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456A (ko) * 2001-07-05 2003-01-15 최종성 양변기의 물내림 레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55218A (en) Self-venting tank valve for toilet tanks
AU2005285716B2 (en) Passively discharging and water-saving toilet bowl
MXPA04002688A (es) Mecanismo de descarga dual de agual.
US5325547A (en) Water closet tank flush valve
US4922556A (en) Flushing means
KR200192560Y1 (ko) 변기용 수세장치
CN201539010U (zh) 直冲浮塞阀式便器
US4842011A (en) Flushing means
KR100263368B1 (ko) 양변기의배수량조절장치
KR100753961B1 (ko) 소음예방 및 절수형 소, 대변기
KR200187584Y1 (ko) 변기용 수세장치
KR200187601Y1 (ko) 변기용 수세장치
KR200202241Y1 (ko) 변기용 수세장치
KR200196480Y1 (ko) 변기용 수세장치
KR20200137221A (ko) 양변기 수조의 가변식 보충수 공급장치
KR200198097Y1 (ko) 변기용 수세장치
CN214302048U (zh) 一种不会阻塞的抽水马桶
KR200192996Y1 (ko) 변기용 수세장치
KR100348325B1 (ko) 변기용 수세장치
KR950006223Y1 (ko) 양변기용 수압식 밸브
KR200206146Y1 (ko) 양변기의 절수장치
KR200169255Y1 (ko) 수세식 변기의 급수 조절장치
KR200202238Y1 (ko) 변기용 수세장치의 체크밸브 구조
KR200316416Y1 (ko) 변기용 절수 개폐밸브
KR20020069688A (ko) 수세식 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