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255Y1 - 수세식 변기의 급수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수세식 변기의 급수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9255Y1
KR200169255Y1 KR2019990018566U KR19990018566U KR200169255Y1 KR 200169255 Y1 KR200169255 Y1 KR 200169255Y1 KR 2019990018566 U KR2019990018566 U KR 2019990018566U KR 19990018566 U KR19990018566 U KR 19990018566U KR 200169255 Y1 KR200169255 Y1 KR 2001692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check valve
supply pipe
u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5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영부
Original Assignee
주영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부 filed Critical 주영부
Priority to KR20199900185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2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2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원 고안은 수세식 변기의 급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용변을 보고난 후에 대변과 소변을 분리하여 물을 내릴수 있도록 손잡이를 이중으로 설치하여 물의 소비량을 줄일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 고안은 급수통(12)에 물을 공급하는 부력을 이용한 체크밸브를 설치한 변기용 급수통(12)과 급수관(4)의 상단면에 설치한 체크밸브(1)와 급수관(4)의 일측에 형성한 공기구(3)를 가진 통상의 변기용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급수관(4)과 공기구(3)의 사이에 제2의 급수장치인 체크밸브(2)를 체크밸브(1)의 위치보다 높게 설치하여 급수관(4)을 공기구(3)와 함께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의 체크밸브(1,2)에 연결된 급수레버( 8,9 )의 손잡이(10,11)를 눌러서 사용되도록 하여 소변과 대변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항 것이다.

Description

수세식 변기의 급수 조절장치{WATER CLOSET FEED WATER CONTROL VALVE}
본원 고안은 수세식 변기의 급수 조절장치에 관한것으로 상세하게는 용변을 보고난 후에 대변과 소변을 분리하여 물을 내릴수 있도록 손잡이를 이중으로 설치하여 물의 소비량을 조절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세식 변기의 급수 공급장치는 급수통에 채워진 일정량의 물을 대변과 소변의 구별없이 한번에 모두 사용되도록 하고있다.
따라서 대변시에는 적당한 량의 물이 사용되지만 소변의 경우에는 물의 량이 너무많게 되므로 필요없이 수 자원의 낭비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는 소변의 경우 하루에도 수회 이상의 물을 낭비하여야 하기때문이다.
이러한 수 자원의 낭비를 막기위하여 일반 가정에서는 급수통(12) 내의 물의 량을 줄이기 위하여 벽돌 등을 넣어 사용하였으나 이의경우 소변시에는 다소의 물을 아낄수 있었으나 대변시에는 물의 량이 적을 수도 있으므로 두번을 내려야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오히려 불편하기도 하고 물의 소비량도 그렇게 줄어드는 결과를 낳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공중 화장실의 남자용에는 소변과 대변을 분리하여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여자용의 경우에는 구분하지 못하므로 문제점이 많았다.
본원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급수통의 물의 량은 대변시에 사용되는 물의 량을 기준으로 하고, 소변과 대변에 사용되는 물의 량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두개의 체크밸브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대변시에는 급수통의 물을 하단부의 기존 체크밸브를 사용되게 하고 소변의 경우에는 기존의 체크밸브 보다 상측부에 설치한 체크밸브를 사용함으로써 공급되는 물의 량을 현저히 줄일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 하는데 있다.
제1도 : 본원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급수 조절장치의 조립 단면도.
(기존의 물을 공급하는 부력을 이용한 체크밸브에 관련하는 부위는 생략)
제2도 : 제1도에서 급수레버 및 손잡이를 단면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체크밸브(대변용) 2 : 체크밸브(소변용) 3 : 공기구
4 : 급수관 5 : 급수로 6,7 : 고정 핀
8,9 : 급수레버 8',9' : 당김 줄 10,11 : 손잡이
12 : 급수통 13,14,15 : 수면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원 고안은 급수통(12)에 물을 공급하는 부력을 이용한 체크밸브를 설치한 변기용 급수통(12)과 급수관(4)의 상단면에 설치한 체크밸브(1)와 급수관의 일측에 형성한 공기구(3)를 가진 통상의 변기용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급수관(4)과 공기구(3)의 사이에 제2의 급수장치인 체크밸브(2)를 체크밸브(1)의 위치보다 높게 설치하여 급수관(4)을 공기구(3)와 함께 연결되도록 하고, 각각의 체크밸브(1,2)에 연결된 급수레버(8,9)의 손잡이(10,11)를 눌러서 사용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원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물의 공급원인 부력을 이용한 체크밸브를 통하여 급수통(12)에 물이 공급되면 급수통의 물은 수면(15)까지 올라오게 되고,용변을 보고난 후에 소변일 경우에는 손잡이(11)를 누르게 되면 손잡이에 의하여 급수통(12)내의 급수레버(9)에 연결된 체크밸브(2)가 고정핀(7)을 중심으로 당겨지므로 체크밸브(2)는 열리게 되고 급수통(12)내의 수면(15)까지 채워진 물은 체크밸브(2)의 밸브시트의 높이와 같은 수면(14)까지의 물이 변기 속으로 공급되게 되므로 소변과 함께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대변의 경우에는 손잡이(10)를 누르게 되면 손잡이(11)도 함께 눌리게 되므로 손잡이(10,11)에 의하여 급수통(12) 내의 급수레버(8,9)에 연결된 체크밸브(1,2)가 모두 열리게 되므로 급수통(12) 내의 수면(15)까지 채워진 물은 체크밸브(1)의 밸브시트의 높이와 같은 수면(13) 까지의 물이 변기 속으로 공급되게되므로 종래와 동일하게 변기속의 대변과 함께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손잡이(10,11)를 서로 분리하여 설치하게 되면 상기와 동일한 결과를 가져오지만 체크밸브(1,2)는 각각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전자의 경우에는 기존의 제품에 부품의 교환만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되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그렇지 못한 단점이 있게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에서 알수 있듯이 본원 고안은 기존의 제품에다 부품을 교환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자원의 절약이 가능하고 그보다는 수 자원이 절약이 가능하게 되므로 경제적인 이익이 매우 크게 된다.

Claims (1)

  1. 급수통(12)에 물을 공급하는 부력을 이용한 체크밸브를 설치한 변기용 급수통(12)과 급수관(4)의 상단면에 설치한 체크밸브(1)와 급수관(4)의 일측에 형성한 공기구(3)를 가진 통상의 변기용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급수관(4)의 일측에 제2의 급수장치인 체크밸브(2)와 밸브시트인 급수관(4)을 연장하여 형성하고 체크밸브(2)의 밸브시트인 급수관(4)의 일측에 다시 상기의 공기구(3)를 형성하며, 상기의 체크밸브(1)과 (2)를 당김줄(8')과(9')로 급수레버(8)과(9)에 연결하여 사용되도록 한 수세식 변기의 급수 조절장치.
KR2019990018566U 1999-08-30 1999-08-30 수세식 변기의 급수 조절장치 KR200169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566U KR200169255Y1 (ko) 1999-08-30 1999-08-30 수세식 변기의 급수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566U KR200169255Y1 (ko) 1999-08-30 1999-08-30 수세식 변기의 급수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9255Y1 true KR200169255Y1 (ko) 2000-02-15

Family

ID=19587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566U KR200169255Y1 (ko) 1999-08-30 1999-08-30 수세식 변기의 급수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2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8850A (en) Toilet with two flush modalities
CN108166597B (zh) 一种尿液收集水冲便器
DE69104246D1 (de) Spülkasten, insbesondere für die kontrollierte und unterschiedliche Spülung von Klosettbecken in Sanitärinstallationen und dergleichen.
KR100499662B1 (ko) 절수가 가능한 변기
KR200169255Y1 (ko) 수세식 변기의 급수 조절장치
CN200999373Y (zh) 一种节水箱式便池冲洗装置
KR200191298Y1 (ko) 절수변기
CN201539010U (zh) 直冲浮塞阀式便器
JP2001323530A (ja) 水洗トイレにおける洗浄水節水装置
CN2818588Y (zh) 马桶用水箱及使用该水箱的马桶和马桶洗脸盆联用节水装置
CN101105047A (zh) 智能节水坐便器
CN101191342A (zh) 卫生间节水系统装置
KR200192560Y1 (ko) 변기용 수세장치
KR200291589Y1 (ko) 절수가 가능한 변기
CN201206268Y (zh) 节水座便器
CN2425146Y (zh) 双阀分流式水箱抽水装置
CN2493663Y (zh) 折叠式多用坐便器
CN2534252Y (zh) 抽水马桶水箱的一种排水装置
CN2259442Y (zh) 抽水马桶的水箱
KR20020069688A (ko) 수세식 변기
CN2407048Y (zh) 管控节水型封水阀
KR200316416Y1 (ko) 변기용 절수 개폐밸브
CN2473234Y (zh) 一种二级冲厕器
KR200176314Y1 (ko) 양변기 수조의 입수량 조절절수 장치
KR200196480Y1 (ko) 변기용 수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