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536Y1 - 양변기 절수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 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536Y1
KR200211536Y1 KR2020000024759U KR20000024759U KR200211536Y1 KR 200211536 Y1 KR200211536 Y1 KR 200211536Y1 KR 2020000024759 U KR2020000024759 U KR 2020000024759U KR 20000024759 U KR20000024759 U KR 20000024759U KR 200211536 Y1 KR200211536 Y1 KR 2002115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fixed
toilet
u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7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이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이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이상
Priority to KR20200000247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5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5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536Y1/ko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양변기의 물을 내리면 자동으로 대·소변의 배출용수를구분하여 배출하도록 한 양변기의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일반적인 양변기는 대소변 구분없이 일정한 배출용수를 사용하도록 이루어져 소변시에도 대변시와 같은 배출용수를 사용하게 되어 물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배출관(20)에 결합되어 입구에 흡착판(5)이 밀착대응되도록 된 연결관(4)과, 손잡이(14)와 줄(3)이 연결된 승하강봉(2)과, 연결관(4)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내부에 승하강봉(2)이 위치되는 가이드관(6)과, 중앙부가 중공되어 가이드관(6)에 끼워져 승하강되는 부구(7)와, 상기 부구(7)상면 일측의 돌출관(7b)과 호스(9)로 연결되어 외압이 없으면 폐쇄되어 부구가 뜨고 외압이 생기면 개구되어 부구(7)내에 물을 유입시켜 하강시킬 수 있도록 된 공기개폐장치(8)와, 일측단은 부구(7)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승하강봉(2)에 끼워진 추(13)에 고정된 합성수지 벨트(12)를 안내하여 추(13)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안내 롤러(10)로 절수장치(1)를 구성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소변 또는 대변을 구분하지 않고 기존의 방식대로 저수조 전면 일측에 설치된 손잡이를 하향으로 누르면 자동으로 대·소변 배출용수를 구분함으로써 확실한 절수효과를 갖도록 고안된 것이다.

Description

양변기 절수장치{ deviec water saving of stool toilet}
본 고안은 양변기의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양변기의 저수조 사이폰에 부구와 흡착판을 병행설치하여 절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시 부구의 작동이 소변과 대변시의 배출용수를 자동으로 구분하여 물을 내려 절수할 수 있도록 된 양변기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일반적인 양변기는 대소변 구분 없이 일정한 배출용수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어, 소변시에도 대변시와 같은 배출용수를 사용하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물을 낭비하였다. 따라서 가정에서는 양변기의 저수조에 벽돌을 넣어 물을 절수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소변의 배출용수를 구분하기 위해 저수조의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배출마개를 이중구조로 하여 대변시에는 작동레버를 아래로 눌러 많은 양의 물을 배출시키고 소변시에는 작동레버를 위로 올려 이중구조로된 배출마개의 보조마개만을 개구시켜 소량의 물이 배출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사용자가 구분하여 작동레버를 작동시켜야 하나 사용자들은 아래로 누르는 작동방법이 습관화되어 소변시에도 무의식중에 작동레버를 아래로 눌러 많은 양의 물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양변기의 급수관과 연결된 사이폰관 위치에 절수 장치를 설치하여 대소변에 알맞은 배출용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가이드관에 끼워진 부구가 수면에 뜬 상태에서 소변시 저수조의 손잡이를 당기면 승하강밸브가 상승한 후 추에 의하여 빨리 하강되어 닫히고 대변시에는 공기 개폐밸브가 열리면서 부구내의 공기를 유출시켜 물이 인입됨으로써 가이드관 하단으로 내려오는 동시에 승하강줄을 당겨 추를 상승시킴으로 상승된 흡착판이 서서히 하강하여 대변에 알맞는 배출용량의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 사용자는 용변후 통상의 방법과 같이 조수조의 손잡이를 아래로 당기면 절수장치의 부구가 용변의 종류에 알맞은 배출용수를 배출시켜 물을 절수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절수장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절수장치를 사용하기 전 배출관이 닫힌 상태의 단면 구성도.
도3은 소변시의 절수장치 작동상태 단면 구성도.
도4는 대변시의 절수장치 작동상태 단면 구성도.
도5a 및 도5b는 본고안의 부구 공기 개폐장치 단면 구성도.
도6은 본 고안의 절수장치 설치상태 예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절수장치 2:승하강봉 3:줄
4:연결관 5:흡착판 6:가이드관
6a:지지판 6b:보강편 7:부구
7a:안내공 7b:돌출관 8:공기 개폐장치
8':외면 케이스 8a:스프링 8b:밸브
9:호스 10:안내롤러 11:지지대
12:합성수지 벨트 13:추 14:손잡이
15:물 넘침 방지관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양변기의 저수조내에 절수장치를 설치하여 소변과 대변에 알맞은 배출용수를조절할 수 있도록 된 절수장치에 있어서,
양변기 저수조(30) 내의 급수관(40)과 연결된 사이폰관 위치의 배출관(20)에 결합되어 입구에 흡착판(5)이 밀착대응되도록 된 연결관(4)과,
하단에는 연결관(4)에 대응되는 흡착판(5)이 고정되고 상부말단에는 줄(3)이 연결되어 저수조(30)의 물내림 손잡이(14)와 연결된 승하강봉(2)과,
지지판(6a)이 저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보강편(6b)으로 연결관(4)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내부에 승하강봉(2)이 위치되는 가이드관(6)과;
중앙부가 중공되고 양측에 합성수지 벨트(12)가 끼워지도록 안내공(7a)이 형성되어 가이드관(6)에 끼워져 승하강되는 부구(7)와,
상기 부구(7)상면 일측의 돌출관(7b)과 호스(9)로 연결되어 외압이 없으면 스프링(8a)이 탄발되어 밸브(8b)가 닫혀 부구가 뜨고 외압이 외부 케이스(8')가 핀에 끼워진 밸브(8b)를 상승시켜 개구되어 부구(7)내에 물을 유입시켜 하강시킬 수 있도록 된 공기 개폐장치(8)와,
상기 가이드관(6) 상단에 고정된 지지대(11) 양측에 유착되어 일측단은 부구(7)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승하강봉(2)에 끼워진 추(13)에 고정된 합성수지 벨트(12)를 안내하여 추(13)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안내 롤러(10)와,
상기 연결관(4) 일측에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부에는 배출관(20) 호스(9)가 삽입되도록 된 물 넘침 방지관(15)으로 이루어진 절수장치(1)의 구성이다.
미설명 부호 16은 연결관과 배출관을 연결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된 패킹이고, 50은 급수관에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저수조내에 알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수위조절 부구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의 절수장치(1)는 사용하지 않는 평소에는 좌판커버(도시없음)에 부착된 공기 개폐장치(8)가 닫힌 상태로서 부구(7)내에 공기가 충만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도2 및 도6과 같이 부구(7)가 수면에 떠 있는 상태가 되고, 승하강봉(2)의 하단 흡착판(5)은 배출관(20)과 결합된 연결관(4) 입구와 밀착된 상태를 이루고 추(13)는 흡착판(5) 상부에 위치되어 양변기의 저수조에는 물이 충만된 상태를 이룬다.
따라서 사용자가 소변 후 저수조(30)의 조절 손잡이(14)를 아래로 내리면 손잡이와 승하강봉(2)상단에 연결된 줄(3)이 당겨져 승하강봉(2)을 승강시키게 되므로 추(13)와 흡착판(5)도 함께 승강되어 연결관(4)의 입구를 개방시켜 물을 변기로 배출하면 도3과 같은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소변 후 손잡이를 하향시켜 흡착판(5)과 추(13)를 상승시킨 상태에서는 도5a와 같이 공기 개폐장치가 폐쇄된 상태로서 부구(7)에는 공기가 충만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하강되지 않고 계속 수면 위에 떠있게 되므로 승강되었던 흡착판(5)은 추(13)와 승하강봉(2)의 중량에 의해 급속히 하강되어 저수조(30)내의 물이 1/3가량 배출되면 연결관(4)의 입구와 밀착되므로 물은 더 이상 배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대변시에는 남녀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자가 변기의 좌판에 오래 앉자 하중을 가하므로 좌판커버 저면에 부착된 공기 개폐장치가 압축되어 도5b와 같이 개방된 상태를 이루므로 부구(7)내의 공기는 돌출관(7b)과 개폐장치를 연결한 호스(9)를 통하여 서서히 외부로 유출되는 동시에 부구(7) 내에는 물이 유입되면서 부구(7)는 하강되어 합성수지 벨트(12)를 당겨 흡착판(5)을 누르고 있던 추가 상승된 상태를 이룬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대변을 마친 후 손잡이(14)를 하향시키면 줄(3)이 당겨져 도4와 같이 승하강봉(2)을 상승시켜 연결관(4)을 개방한 상태가 되므로 대변 배출수용량에 알맞은 물이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저수조의 물이 완전히 배출된 후에는 공기 개폐장치(8)가 다시 도5a와 같이 닫히고 급수관(40)에서는 물이 공급되므로 물이 서서히 상승됨과 동시에 부구(7)내에는 공기가 충만된 상태에서 수면으로 부상하게 되어 도2와 도6과 같이 사용하기 전상태를 이룬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여자의 경우 좌판에 앉자서 소변을 본다 하더라도 소변보는 시간이 1분내에서 이루어지므로 공기 개폐장치가 개방되더라도 부구(7)내의 공기는 호스(9)를 통하여 완전히 배출되기까지는 2분 이상 소요되도록 호스(9)의 길이와 공기 배출량을 설정한 상태이다.
따라서 부구(7)의 공기는 일부량만 유출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를 하향시켜 승하강봉(2)을 상승시키더라도 부구(7)는 계속 수면에 떠있는 상태가 되고 상승된 승하강봉(2)과 추(13)는 흡착판(5)을 눌러 바른 속도로 하강되어 연결관(4)의 입구를 폐쇄시켜 물을 절약하게 된다.
본 고안의 양변기 절수장치(1)는 사용자가 대·소변에 관계없이 저수조의 손잡이를 아래로 눌러 물을 배출시키면 자동으로 대·소변 배출용수를구분하여 소변시에는 저수조 내에 저장된 물이 1/2정도 배출토록 함으로써 절수효과를 갖도록 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연결관(4) 일측에 연통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물넘침 방지관(15)은 급수관(40) 상단에 설치된 수위조절 부구(50)가 고장나 물이 계속 유출될 경우 저수조 위로 넘치는 것을 방지토록 하고 급수관 물공급시 사이폰역할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공기 개폐장치(8)는 뚜껑과 몸체가 결합되고 내부에는 밸브(8a)가 스프링(8a)의 탄발력에 의하여 항상 닫혀있는 상태이고 사용자가 좌판에 하중을 가하면 몸체 외면 케이스(8')가 상승되면서 핀이 함께 상승되어 핀에 끼워진 밸브(8b) 역시 상승되어 호스가 개구되어 부구의 공기를 유출시킬 수 있도록 공기 개폐장치가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양변기 절수장치는 사용자가 소변 또는 대변을 구분하지 않고 기존의 방식대로 저수조 전면 일측에 설치된 손잡이를 하향으로 누르면 자동으로 대·소변의 배출용수 량을 구분함으로써 확실한 절수효과를 갖게된 것으로 사용자가 어린이 또는 노약자라 하여도 자연스럽게 절수되도록 함으로써 물의 낭비를 막아 차후에 물부족 현상이 초래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방지하고 수자원을 축적할 수 있도록 된 이점을 갖는다.

Claims (1)

  1. 양변기의 저수조내에 절수장치를 설치하여 소변과 대변에 알맞은 배출용수를조절할 수 있도록 된 절수장치에 있어서,
    양변기 저수조(30) 내의 급수관(40)과 연결된 사이폰관 위치의 배출관(20)에 결합되어 입구에 흡착판(5)이 밀착대응 되도록 된 연결관(4)과,
    하단에는 연결관(4)에 대응되는 흡착판(5)이 고정되고 상부말단에는 줄(3)이 연결되어 저수조(30)의 물내림 손잡이(14)와 연결된 승하강봉(2)과,
    지지판(6a)이 저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보강편(6b)으로 연결관(4)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내부에 승하강봉(2)이 위치되는 가이드관(6)과;
    중앙부가 중공되고 양측에 합성수지 벨트(12)가 끼워지도록 안내공(7a)이 형성되어 가이드관(6)에 끼워져 승하강되는 부구(7)와,
    상기 부구(7)상면 일측의 돌출관(7b)과 호스(9)로 연결되어 외압이 없으면 스프링(8a)이 탄발되어 밸브(8b)가 닫혀 부구가 뜨고 외압이 외부 케이스(8')가 핀에끼워진 밸브(8b)를 상승시켜 개구되어 부구(7)내에 물을 유입시켜 하강시킬 수 있도록 된 공기개폐장치(8)와,
    상기 가이드관(6) 상단에 고정된 지지대(11) 양측에 유착되어 일측단은 부구(7)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승하강봉(2)에 끼워진 추(13)에 고정된 합성수지 벨트(12)를 안내하여 추(13)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안내 롤러(10)와,
    상기 연결관(4) 일측에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부에는 배출관(20) 호스(9)가 삽입되도록 된 물 넘침 방지관(1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절수장치.
KR2020000024759U 2000-08-31 2000-08-31 양변기 절수장치 KR2002115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759U KR200211536Y1 (ko) 2000-08-31 2000-08-31 양변기 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759U KR200211536Y1 (ko) 2000-08-31 2000-08-31 양변기 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536Y1 true KR200211536Y1 (ko) 2001-01-15

Family

ID=73058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759U KR200211536Y1 (ko) 2000-08-31 2000-08-31 양변기 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53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763B1 (ko) 2008-10-24 2011-03-21 주식회사 에이에프 인체감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WO2021045349A1 (ko) * 2019-09-03 2021-03-11 진명홈바스(주) 변기밸브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763B1 (ko) 2008-10-24 2011-03-21 주식회사 에이에프 인체감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WO2021045349A1 (ko) * 2019-09-03 2021-03-11 진명홈바스(주) 변기밸브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0295B2 (ja) 溢れ防止補助水槽を有する洋風便器
KR101556583B1 (ko) 압축 트랩을 갖는 절수형 양변기
JP2006500496A (ja) 節水型洋風便器
KR200211536Y1 (ko) 양변기 절수장치
US5426794A (en) Vacuum assisted toilet with controlled vacuum
KR200211470Y1 (ko) 양변기 절수장치
KR200192560Y1 (ko) 변기용 수세장치
KR20190041980A (ko) 물내림개폐부를 일체화한 후레쉬밸브용 무전원 자동물내림 모듈
KR101108715B1 (ko)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
KR101009369B1 (ko) 수세식변기용 절수기
CN214302048U (zh) 一种不会阻塞的抽水马桶
CN215802045U (zh) 一种气动冲水阀及其下沉式侧按钮气控坐便器
KR102318753B1 (ko) 좌변기 절수장치
KR200220360Y1 (ko) 공기 개폐장치와 공기 주입기가 부착된 배출구 마개보조장치
KR20180063639A (ko) 양변기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100354526B1 (ko) 절수형 수세식 변기
KR20020069688A (ko) 수세식 변기
CN1075854C (zh) 圆筒高、低水箱洁具
US20180135283A1 (en) Flushing device for direct-outlet type toilet bowl
KR200196480Y1 (ko) 변기용 수세장치
KR20010044216A (ko) 양변기 저소음 자동 볼탑
KR200171952Y1 (ko) 양변기 물통의 배출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배수 개폐기
KR200187584Y1 (ko) 변기용 수세장치
KR0126555Y1 (ko) 변기용 수세장치
KR200206146Y1 (ko) 양변기의 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