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763B1 - 인체감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 Google Patents

인체감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763B1
KR101023763B1 KR1020080104910A KR20080104910A KR101023763B1 KR 101023763 B1 KR101023763 B1 KR 101023763B1 KR 1020080104910 A KR1020080104910 A KR 1020080104910A KR 20080104910 A KR20080104910 A KR 20080104910A KR 101023763 B1 KR101023763 B1 KR 101023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air
human body
sea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5805A (ko
Inventor
이재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에프
Priority to KR1020080104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3763B1/ko
Publication of KR20100045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4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seat or cover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seat or cover; Raising or lowering seat and/or cover by flushing or by the flushing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22Operating automa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24Operated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에 앉는 용변자 하중으로 공기를 배출하고, 용변자가 시트에서 이탈하면, 변기물내림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하는 1개 이상의 인체감지유닛과;
상기 인체감지유닛에서 흡입하는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로드가 승강하면서 사이폰덮개를 개방시켜 변기의 자동 물내림이 되도록 구성하는 변기물내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체감지유닛은, 상기 변기물내림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때, 용변자 하중으로 압축된 복원부재의 복원속도를 조절하여 변기물내림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 흡입시간을 지연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감지유닛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인체감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에 의하면, 시트에 앉은 용변자가 이탈할 때, 용변자 하중으로 압축된 복원부재의 복원속도를 조절하여 변기물내림부로부터 인체감지유닛으로 흡입되는 공기 흡입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시트에 앉은 용변자가 시트에서 잠깐씩 일어났다 앉았다 하는 탈착동작에 따른 변기 물내림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용변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인체감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 치에 의하면, 변기물내림부로부터 인체감지유닛으로 흡입되는 공기 흡입시간을 지연시켜 용변자의 용변 후, 용변을 닦아낸 휴지버리는 시간이 주어져 용이함과 아울러 용변과 휴지를 동시에 변기의 배출관으로 배출시킴으로 세척수를 절약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용변을 닦아낸 휴지를 휴지통에 보관하지 않기 때문에 악취 발생의 근원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화장실의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용변자 하중, 변기, 무전원, 자동 물내림, 공기,

Description

인체감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Human body sensor unit and non-power auto-flush device of chamber po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기물내림부로부터 인체감지유닛으로 흡입되는 공기 흡입시간을 지연시켜 용변자의 탈착에 따른 오동작을 방지함과 아울러 용변자의 용변 후, 용변을 닦아낸 휴지버리는 시간이 주어지도록 하는 인체감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는 재래식 대변기, 소변기, 양식 변기(대소변겸용) 등으로 구분되고, 양식 변기는 모두 수세식이며, 재래식 대변기는 수세식과 급취식이 있다.
상기 재래식 대변기로 비수세식의 것에는 변기의 가장자리만으로 밑이 뚫린 형과 앞쪽에 밑이 있고, 뒤쪽만 열려 있는 것 등이 있으며, 수세식의 것은 오물의 세정방식에 따라 후급수-전배수식, 사이펀제트식, 전급수-후배수식의 3종류로 나누 어진다.
양식 변기는 대/소변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도기제의 본체와 목제 에나멜칠 또는 플라스틱제의 변좌 및 뚜껑으로 되어 있고, 오물유출방법에 따라 사이펀제트식과 워시아웃식으로 나뉘며, 양식 변기의 일종에는 용변 후, 자동적으로 둔부를 온탕이 세정하고 온기가 나와 건조시키는 형식의 것도 있다.
이러한 변기 물내림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전기장치를 사용하였으나, 이는 전력 및 건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자동 물내림 장치가 작동하여 변기 물내림이 자동으로 수행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술은, 반드시 전원이 있어야만 동작하기 때문에 특별한 장소에만 설치 및 사용될 수 밖에 없었으며, 가격적인 부분과 관리적인 문제가 있어 대중화될 수 없는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적외선 센서적용 및 전기전자 제품들로서 외란 광에 의한 에러가 발생하는 등 습도로 인한 에러가 발생하고, 갑자기 건전지가 소모되면 물을 내리지 않아 다음 용변자들에게 오히려 불쾌감을 제공하게 되는 경우가 적지 않게 발생될 수 밖에 없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건 출원인은 2008년 특허 제10178호로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 및 그 제어방법을 출원한 바 있다.
선 출원된 특허는, 인체의 하중 감지에 따라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실린더동작부에서 자동 물내림 장치로 급수하면, 상기 자동 물 내림 장치에서는 물의 수압으로 로드가 상승하면서 사이폰덮개가 상향으로 이동하여 개방되는 수조의 배출공으로 세정수를 배출시키면서 변기의 자동 물내림이 작동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선출원 된 특허는, 인체하중을 감지에 따라 실린더동작부에서 자동 물내림 장치로 급수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이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이점은 있으나, 상기 변기의 자동 물내림은 수압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겨울철 한파시 동파되어 사용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건 출원인은 2008년 특허 제36114호로 공기압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를 출원한 바 있다.
선 출원된 특허는, 용변자가 변좌시트에서 탈좌하면, 변좌시트에 앉는 용변자의 하중으로 압축된 공기가 작동부로 공급됨과 동시에 이의 공기압으로 사이폰덮개를 상승하면서 수조의 배출공을 개방시켜 변기의 자동 물내림이 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선 출원된 특허는 공기를 이용하여 종래의 문제점인 겨울철 한파시 동파를 방지함으로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이점은 있으나, 용변자 하중으로 압축된 공기가 변좌시트에서 탈좌함과 동시에 작동부로 공급되기 때문에 용변자가 변좌시트에서 잠깐 일어나 앉을 경우, 용변자와 상관없이 변기의 자동 물내림이 구동되므로 용변의 세척을 두번 이상 해야하므로 용변 세척수의 낭비가 심할 뿐만 아니라 용변자의 용변시 신경을 많이 써야하므로 용변자가 쾌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 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변자 하중으로 압축된 복원부재의 복원시간을 조절하여 변기물내림부로부터 인체감지유닛으로 흡입되는 공기 흡입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는 인체감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변자 탈좌시, 변기물내림부로부터 인체감지유닛으로 흡입되는 공기 흡입시간을 지연시켜 시트에 앉은 용변자가 잠깐식 앉았다 일어났다 하는 탈착동작에 따른 변기 물내림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인체감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변자 탈좌시, 변기물내림부로부터 인체감지유닛으로 흡입되는 공기 흡입시간을 지연시켜 용변자의 용변 후, 용변을 닦아낸 휴지버리는 시간이 주어지도록 하는 인체감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인체감지유닛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는,
시트에 앉는 용변자 하중으로 공기를 배출하고, 용변자가 시트에서 이탈하 면, 변기물내림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하는 1개 이상의 인체감지유닛과;
상기 인체감지유닛에서 흡입하는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로드가 승강하면서 사이폰덮개를 개방시켜 변기의 자동 물내림이 되도록 구성하는 변기물내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체감지유닛은, 상기 변기물내림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때, 용변자 하중으로 압축된 복원부재의 복원속도를 조절하여 변기물내림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 흡입시간을 지연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인체감지유닛은, 시트에 앉는 용변자 하중으로 공기를 배출하고, 용변자가 시트에서 이탈하여 변기물내림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때, 용변자 하중으로 압축된 복원부재의 복원속도를 조절하여 변기물내림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 흡입시간을 지연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 인체감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에 의하면, 시트에 앉은 용변자가 이탈할 때, 용변자 하중으로 압축된 복원부재의 복원속도를 조절하여 변기물내림부로부터 인체감지유닛으로 흡입되는 공기 흡입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시트에 앉은 용변자가 시트에서 잠깐씩 일어났다 앉았다 하는 탈착동작에 따른 변기 물내림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용변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인체감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에 의하면, 변기물내림부로부터 인체감지유닛으로 흡입되는 공기 흡입시간을 지연시켜 용변자의 용변 후, 용변을 닦아낸 휴지버리는 시간이 주어져 용이함과 아울러 용변과 휴지를 동시에 변기의 배출관으로 배출시킴으로 세척수를 절약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용변을 닦아낸 휴지를 휴지통에 보관하지 않기 때문에 악취 발생의 근원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화장실의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인체감지유닛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변기물내림부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시트(10)에 용변자 하중으로 공기를 배출하고, 용변자가 시트(10)에서 이탈하면, 변기물내림부(200)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하는 1개 이상의 인체감지유닛(100)이 구성되고, 상기 인체감지유닛(100)에서 흡입하는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로드(220)가 승강하면서 사이폰덮개(22)를 개방시켜 변기의 자동 물내림이 되도록 구성하는 변기물내림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인체감지유닛(100)은, 상기 변기물내림부(200)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때, 용변자 하중으로 압축된 복원부재(140)의 복원속도를 조절하여 변기물내림부(200)로부터 흡입되는 공기 흡입시간을 지연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
상기 인체감지유닛(100)은, 장착부재(110)가 구비되고, 상기 장착부재(110)의 장착공(111)에 장착된 패킹(112)의 마찰력에 의해 복원부재(140)의 복원시간을 지연시키는 공기흡입조절부재(120)가 구비되며, 상기 공기흡입조절부재(120)를 수용하여 장착부재(110)에 장착하는 커버(130)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130)와 공기흡입조절부재(120) 사이에 장착되는 복원부재(1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부재(110)가 장착되는 장착공간(110')이 시트(10) 내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흡입조절부재(120)의 외주면에 공기이동홈(122)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130)는, 상기 장착부재(110)를 수용하도록 하부가 개방된 몸체(13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31)의 일측에 관통된 공기배출공(132)이 구비되며, 상기 공기배출공(132)을 개폐시키도록 몸체(131)에 고정구(133')로 고정되는 개폐부재(133)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31) 외주면의 하.상단부에 각각 관통된 제1,2공기구멍(134)(134')이 구비되며, 상기 제1공기구멍(134)과 연통되는 몸체(131)의 하단부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공기배출홈(135)이 포함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커버(130)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기이동량 조절밸브(150)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변기물내림부(200)는, 상기 인체감지유닛(100)과 연통되는 실린더(210)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210) 내면에 패킹이 밀착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인체감지 유닛(100)에서 흡입하는 공기의 흡입력으로 승하강하는 로드(220)가 구비되며, 상기 로드(220) 단부에 와이어를 고정하는 연결부재(230)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230)를 로드(220)에 고정하는 고정부재(240)가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210)와 로드(220) 사이에 장착되어 승강된 로드(220)를 복원시키는 로드복원부재(25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실린더(210)를 오버플로우어관(21)에 고정하는 실린더고정부재(26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고정부재(260)는, 상기 실린더(210)의 고정공(211)에 결합되는 벨크로테잎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10)에 앉는 용변자 하중으로 공기를 배출하고, 용변자가 시트(10)에서 이탈하여 변기물내림부(200)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때, 용변자 하중으로 압축된 복원부재(140)의 복원속도를 조절하여 변기물내림부(200)로부터 흡입되는 공기 흡입시간을 지연시키도록 인체감지유닛(100)이 구성된다.
상기 인체감지유닛(100)은, 장착부재(110)가 구비되고, 상기 장착부재(110)의 장착공(111)에 장착된 패킹(112)의 마찰력에 의해 복원부재(140)의 복원시간을 지연시키는 공기흡입조절부재(120)가 구비되며, 상기 공기흡입조절부재(120)를 수용하여 장착부재(110)에 장착하는 커버(130)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130)와 공기흡입조절부재(120) 사이에 장착되는 복원부재(1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0) 내부에 인체감지유 닛(100)이 장착되는데, 상기 인체감지유닛(100)의 장착부재(110)가 시트(10)의 장착공간(110')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체감지유닛(100)과 연통되는 변기물내림부(200)는, 수조(20)의 사이폰덮개(22)와 연결되도록 오버플로우어관(21)에 장착되는데, 상기 변기물내림부(200)의 실린더고정부재(260) 즉, 벨크로테잎이 실린더(210)의 고정공(211)을 통해 오버플로우어관(21)에 결합되면서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용변자가 변좌의 시트(10)에 앉으면, 도 5a 내지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0)에 앉는 용변자의 하중으로 시트(10)를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시트(10)의 장착공간(110')에 장착된 인체감지유닛(100)을 가압한다.
이때, 상기 인체감지유닛(100)의 공기흡입조절부재(120)는 변기(30)의 상면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용변자의 하중에 의해 커버(130)의 몸체(131)가 복원부재(140)를 압축시킴과 동시에 몸체(131)의 내측 하단부에 장착된 장착부재(110)는 장착공(111)에 결합된 공기흡입조절부재(120)의 하단부로 이동하는데, 상기 공기흡입조절부재(120)의 패킹(121)은 공기배출홈(135)을 통과하면서 몸체(13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공기흡입조절부재(120)와 몸체(131) 내측 사이에 위치한 공기를 가압하여 공기배출공(132)을 통해 커버(130)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공기배출공(132)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고정구(133')에 고정된 개폐부재(133)를 밀어 공기배출공(132)을 개방시키고, 개방된 공기배출공(132)으로 배출되며, 상기 공기흡입조절부재(120)와 커버(130) 몸체(131) 내측 사이에 위치한 공 기의 배출이 완료되면, 상기 개폐부재(133)는 자체의 탄성으로 복원되어 공기배출공(132)을 폐쇄시킨다.
또한, 상기 공기흡조절부재(120)의 하단부로 장착부재(110) 및 커버(130)의 몸체(131)가 이동하여 공기흡입조절부재(120)과 몸체(131) 내측 사이의 공기를 제2공기구멍(134')과 공기배출공(132)으로 배출한 만큼, 제1공기구멍(134)으로 몸체(131)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공기흡입조절부재(120)와 장착부재(110) 사이의 몸체(131) 내부에 보유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공기구멍(134)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이동량 조절밸브(150)에서 조절할 수 있는데, 상기 공기이동량 조절밸브(150)의 이동량조절부재(151)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공기구멍(134)의 개방되는 면적에 따라 공기의 유입되는 량을 조절하여 몸체(131)의 하강속도를 늦출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장착부재(110)와 커버(130)가 공기흡입조절부재(120)의 하단부로 하강하여 공기흡입조절부재(120)의 상부가 커버(130) 몸체(131) 내측 상면에 밀착되면서 정착부재(110)와 커버(130)의 하강동작이 정지됨과 동시에 상기 장착부재(110)의 패킹(112)은 공기흡입조절부재(120)의 공기이동홀(122)을 통과하여 공기흡입조절부재(120)의 외주면에 위치하여 장착공(111)을 폐쇄시키는데, 이때, 상기 패킹(112)과 공기흡입조절부재(120)에는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용변자의 용변 후, 용변자가 변좌의 시트(10)에서 탈좌, 즉 이탈하면, 압축된 복원부재(140)의 복원력이 생성되는데, 상기 복원부재(140)의 일 단이 밀착된 공기흡입조절부재(120)는 변기(30)의 상면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복원부재(140)의 타단이 밀착된 커버(130)의 몸체(131)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복원부재(140)가 가압하는 커버(130)의 몸체(131)는 복원부재(140)의 복원력으로 상부로 이동하려고 하나, 상기 장착부재(110)의 패킹(112)이 공기흡입조절부재(12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장착공(111)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므로 패킹(112)과 공기흡입조절부재(120)와의 마찰력을 상쇄시키면서 복원해야 하므로 복원부재(140)의 복원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복원부재(140)의 복원속도를 지연시킴으로써, 용변자가 시트(10)에서 잠깐 일어났다 앉았다를 반복하여도 인체감지유닛(100)에서 변기물내림부(200)의 공기를 흡입하지 않아 변기의 자동 물내림이 수행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용변자의 용변을 닦은 휴지의 휴지버리는 시간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과정에도 상기 복원부재(140)의 복원력으로 커버(130)의 몸체(131)가 상승함과 동시에 상기 몸체(131)의 하단부에 장착된 장착부재(110)가 상승하여 장착부재(110)의 패킹(112)이 공기흡입조절부재(120)이 공기이동홀(122)을 통과하면, 상기 공기흡입조절부재(120)와 장착부재(110) 사이의 몸체(131) 내부에 위치한 공기는 공기흡입조절부재(120)의 외주면과 장착공(111) 사이의 공간 및 제1공기구멍(134)을 경유하여 공기이동량 조절부재(150)를 통해 몸체(131) 외부로 빠르게 배출된다.
이때, 상기 공기흡입조절부재(120)와 커버(130) 몸체(131)의 내측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제2공기구멍(134')을 통해 변기물내림부(200)의 실린더(210) 내부 공기를 순간적으로 흡입하여 흡입력이 발생과 동시에 공기배출공(132)은 개폐부재(133)가 몸체(131)의 외부에서 폐쇄시키고 있으므로 상기 공기배출공(132)으로는 몸체(131)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는다.
상기 실린더(210) 내부에 흡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실린더(210) 내면에 패킹(221)이 밀착된 로드(220)를 상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로드(220)는 로드복원부재(250)를 압축시키면서 실린더(210) 상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로드(220)에 고정부재(240)로 고정된 연결부재(230)가 상승한다.
상기 연결부재(230)의 상승으로 연결부재(230)에 일단부가 고정된 당김끈(W)을 상부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당김끈(W)의 타단부가 고정된 사이폰덮개(22)는 오버플로우어관(21)의 축(미도시)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여 오버플로우어관(21)의 배수구(21')를 개방시키고, 개방된 배수구(21')를 통해 수조(20)에 저장된 물이 배수구(21')로 배수되어 변기본체에 위치한 용변을 세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용변을 세척하는 상태에서도 커버(130)와 장착부재(110)는 공기흡입조절부재(120)의 상단부로 복원부재(140)의 복원력으로 이동하여 공기흡입조절부재(120)의 패킹(121)이 공기배출홈(135)을 통과하면, 공기흡입조절부재(120)와 커버(130) 몸체(131) 사이의 흡입력이 제1공기구멍(134)과 공기배출홈(135)을 통해 몸체(131) 내부로 유입되는 대기압에 흡입력이 상쇄되면서 상실된다.
이때, 상기 변기물내림부(200)의 로드(220)를 상승시킨 공기의 흡입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로드(220)를 상승시킨 공기는 제1공기구멍(134) 및 공기흡입조절부 재(120)와 장착공(111) 사이의 공간을 통해 몸체(131)의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로드(220)는 로드복원부재(250)의 복원력 및 자중에 의해 실린더(210) 내측 하부로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로드(220)에 고정부재(240)로 고정된 연결부재(230)가 하강한다.
상기 연결부재(230)가 하강하면서 연결부재(230)에 일단부가 고정된 당김끈(W)이 사이폰덮개(22)의 지지력을 상실함과 동시에 상기 사이폰덮개(22)는 오버플로우어관(21)의 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전하여 오버플로우어관(21)의 배수구(21')를 폐쇄시키고, 배수구(21')가 폐쇄된 상태에서 배수된 물의 양만큼 수도전으로부터 수조(20)에 공급받아 저장한 후,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인체감지유닛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변기물내림부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
도 5a 내지 도 5i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인체감지유닛 110: 장착부재
120: 공기흡입조절부재 122: 공기이동홀
130: 커버 140: 복원부재
150: 공기이동량 조절밸브 200: 변기물내림부
210: 실린더 220: 로드
230: 연결부재 240: 고정부재
250: 로드복원부재 260: 실린더고정부재

Claims (8)

  1. 시트에 앉는 용변자 하중으로 공기를 배출하고, 용변자가 시트에서 이탈하면, 변기물내림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하는 1개 이상의 인체감지유닛과;
    상기 인체감지유닛에서 흡입하는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로드가 승강하면서 사이폰덮개를 개방시켜 변기의 자동 물내림이 되도록 구성하는 변기물내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체감지유닛은, 상기 변기물내림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때, 용변자 하중으로 압축된 복원부재의 복원속도를 조절하여 변기물내림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 흡입시간을 지연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감지유닛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체감지유닛은,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의 장착공에 장착된 패킹의 마찰력에 의해 복원부재의 복원시간을 지연시키는 공기흡입조절부재
    상기 공기흡입조절부재를 수용하여 장착부재에 장착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와 공기흡입조절부재 사이에 장착되는 복원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감지유닛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조절부재의 외주면에 공기이동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감지유닛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커버는,
    상기 장착부재를 수용하도록 하부가 개방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관통된 공기배출공과;
    상기 공기배출공을 개폐시키도록 몸체에 고정구로 고정되는 개폐부재와;
    상기 몸체 외주면의 하.상단부에 각각 관통된 제1,2공기구멍과;
    상기 제1공기구멍과 연통되는 몸체의 하단부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공기배출홈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감지유닛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기이동량 조절밸브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감지유닛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 내림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변기물내림부는,
    상기 인체감지유닛과 연통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면에 패킹이 밀착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인체감지유닛에서 흡입하는 공기의 흡입력으로 승하강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 단부에 와이어를 고정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를 로드에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실린더와 로드 사이에 장착되어 승강된 로드를 복원시키는 로드복원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감지유닛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7. 시트에 앉는 용변자 하중으로 공기를 배출하고, 용변자가 시트에서 이탈하여 변기물내림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때, 용변자 하중으로 압축된 복원부재의 복원속도를 조절하여 변기물내림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 흡입시간을 지연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감지유닛.
  8. 청구항 7에 있어서, 인체감지유닛은,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의 장착공에 장착된 패킹의 마찰력에 의해 복원부재의 복원시간을 지연시키는 공기흡입조절부재와;
    상기 공기흡입조절부재를 수용하여 장착부재에 장착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와 공기흡입조절부재 사이에 장착되는 복원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감지유닛.
KR1020080104910A 2008-10-24 2008-10-24 인체감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101023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910A KR101023763B1 (ko) 2008-10-24 2008-10-24 인체감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910A KR101023763B1 (ko) 2008-10-24 2008-10-24 인체감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805A KR20100045805A (ko) 2010-05-04
KR101023763B1 true KR101023763B1 (ko) 2011-03-21

Family

ID=42273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910A KR101023763B1 (ko) 2008-10-24 2008-10-24 인체감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37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493B1 (ko) 2013-09-03 2015-02-02 이동진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의 대소변구분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36917B (zh) * 2012-11-30 2014-03-12 时寿斌 自动冲水座便器
KR101498239B1 (ko) * 2013-09-03 2015-03-05 이동진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의 조절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369Y1 (ko) * 1989-05-06 1992-04-10 윤여복 좌변기용의 물배출장치
KR200211536Y1 (ko) 2000-08-31 2001-01-15 주식회사이상 양변기 절수장치
KR100756652B1 (ko) 2006-11-30 2007-09-07 주식회사 자동물내림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기능이 부가된 비데
KR100764836B1 (ko) 2006-09-04 2007-10-09 이재통 수압을 이용한 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369Y1 (ko) * 1989-05-06 1992-04-10 윤여복 좌변기용의 물배출장치
KR200211536Y1 (ko) 2000-08-31 2001-01-15 주식회사이상 양변기 절수장치
KR100764836B1 (ko) 2006-09-04 2007-10-09 이재통 수압을 이용한 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
KR100756652B1 (ko) 2006-11-30 2007-09-07 주식회사 자동물내림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기능이 부가된 비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493B1 (ko) 2013-09-03 2015-02-02 이동진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의 대소변구분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805A (ko) 2010-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6393B1 (ko)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JP6384740B2 (ja) 人体荷重のみで空気の排出及び吸入制御機能を備えた水タンク用無電源自動洗浄水供給便座、及び水タンク用無電源自動洗浄水供給便座
KR20100064623A (ko) 인체감지유닛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100960157B1 (ko) 인체감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101023763B1 (ko) 인체감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20090084162A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 및 그 제어방법
KR101023764B1 (ko) 인체감지유닛을 이용한 후레쉬밸브 직수형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JP6304383B2 (ja) 人体荷重のみで空気の排出及び吸入制御機能を備えた無電源自動洗浄水供給便座の調節部
KR20130109076A (ko)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및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US8037553B2 (en) Tankless ventilated toilet with bidet
KR100980398B1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무전원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로제어장치
KR100946392B1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물을 무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로제어장치
JP2015505345A (ja) 水槽がない超節水及び騒音低減型洋式便器
CN208219792U (zh) 一种折叠式隐藏小便器
KR101014790B1 (ko) 장진부재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및방법
CN105696668A (zh) 一种基于电子和手动分别控制的电子马桶
KR101327834B1 (ko) 자동 양변기
KR102060382B1 (ko) 휴지버리는 시간을 대·소변에 따라 자동 제어하는 무전원 자동물내림 장치
JP3737434B2 (ja) 洋式小便器
CN115461514A (zh) 马桶动态冲水法及动态冲水式防臭防溅水无水箱马桶
KR20090101022A (ko) 수압을 이용한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
KR101221835B1 (ko) 자동물내림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KR100960156B1 (ko) 공기압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101020101B1 (ko) 수압 및 인체 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무전원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제어장치
CN215483378U (zh) 一种虹吸式马桶的防堵塞冲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