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9076A -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및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 Google Patents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및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9076A
KR20130109076A KR1020130105581A KR20130105581A KR20130109076A KR 20130109076 A KR20130109076 A KR 20130109076A KR 1020130105581 A KR1020130105581 A KR 1020130105581A KR 20130105581 A KR20130105581 A KR 20130105581A KR 20130109076 A KR20130109076 A KR 20130109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human body
rod
air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9942B1 (ko
Inventor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스트오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스트오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스트오토
Priority to KR1020130105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942B1/ko
Publication of KR20130109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942B1/ko
Priority to CN201480001019.6A priority patent/CN104736776B/zh
Priority to PCT/KR2014/008000 priority patent/WO201503420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4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seat or cover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seat or cover; Raising or lowering seat and/or cover by flushing or by the flushing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2Seats with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변자 하중을 감지하는 인체감지부의 승강동작과 연동하여 후레쉬밸브의 작동 및 공기의 흡입배출에 의한 후레쉬밸브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및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및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Direct water type non-power auto-flush of chamber pot}
본 발명은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변자 하중을 감지하는 인체감지부의 승강동작과 연동하여 후레쉬밸브의 작동 및 공기의 흡입배출에 의한 후레쉬밸브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및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는, 가정이나 건물의 화장실에 설치되어 용변자의 용변 후, 용변이 레버의 가압에 따라 배수되는 세척수와 함께 정화조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나, 최근에는 레버의 수동조작이 아닌, 수압을 이용하여 물내림이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2781호로 공개된 바 있다.
선 공개된 특허는, 변좌시트에 용변자 착좌시, 용변자 하중으로 개방되는 수로를 통해 수도전의 물이 작동부로 공급되고, 작동부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으로 실린더로드를 가압하여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이동시킴과 동시에 실린더로드의 이동거리에 따라 용변자의 대소변을 판단하고, 용변자 탈좌시, 압축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실린더로드를 이동시킨 물을 물내림 장치로 공급함으로써,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가 배출되어 용변을 세척하였다.
그러나 선 공개된 특허는,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이 스프링의 장력보다 약할 경우, 실린더로드를 가압하여 이동시키지 못하므로 용변자의 대소변을 판단하지 못함과 아울러 물내림이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도전으로 공급되는 물이 정상 수압이라 하더라도 다수의 변기에서 용변을 동시에 세척할 경우, 수압이 분산되어 약해짐에 따라 대변판단 위치만큼 실린더로드가 전진하지 못해 소변량의 세척수가 배출되므로 용변의 잔변이 남아 변기가 막히거나 악취발생의 원인이 됨은 물론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고, 남은 잔변을 세척하기 위해 한번 더 수동으로 레버를 가압하여 물내림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의 수압으로 작동되는 작동부의 구성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부품의 구성이 많아 연결부위를 통한 누수 발생의 원인을 제공하거나 수로에 이물질 등이 쌓여 오동작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인체하중의 에너지만으로 대소변을 구분하여 변기 자동 물내림이 가능한 변좌시트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1981호로 등록된 바 있다.
선 등록된 특허는, 변좌시트에 앉는 용변자의 하중으로 변좌시트가 하강하면서 제1,2장진로울러의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장진와이어의 긴장력이 상실됨과 동시에 장진와이어에 고정된 장진와이어고정부재는 장진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물내림와이어의 단부가 고정된 물내림와이어고정부재에 장착된 착탈부재에 걸리면서 변좌시트의 하강으로 유체를 가압하면서 이동하는 접촉부재가 대소변구분판단부를 가압하면 소변으로 판단하고, 실린더로드가 대소변구분판단부를 가압하면 대변으로 판단한 상태에서 용변자가 변좌시트에서 탈좌하면, 판단된 대소변에 따른 통공의 개폐유무에 따라 유체의 이동량을 조절함과 동시에 변좌시트의 복원으로 제1,2장진로울러의 간격이 넓어짐에 따라 장진와이어가 긴장되면서 물내림와이어고정부재 및 물내림와이어를 잡아당겨 대소변이 대응하는 세척수가 변기본체로 배출되어 용변을 세척하였다.
그러나 선 등록된 특허는, 변좌시트에 착좌 및 탈좌하는 용변자의 하중으로 유체를 실린더로 공급할 때, 유체의 이동구조가 복잡하여 부품수가 증가하므로 조립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의 상승으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품의 연결부위를 통한 유체의 누유 위험으로 유지관리가 어려우며 불량률이 높아지고, 오일의 주입량과 온도변화에 따른 점도차에 따라 작동시간이 달라져 오동작이 발생함은 물론 별도로 장착된 수로개폐밸브의 온/오프 에러로 물을 안 내리거나 계속 내려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변자 하중을 감지하는 인체감지부의 승강동작과 연동하여 후레쉬밸브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구성이 간소화되어 부품수 감소로 인한 조립 간편 및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및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변자 하중을 감지하는 인체감지부의 승강동작과 연동하여 공기의 흡입 및 배출에 의해 후레쉬밸브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함은 물론 대소변 구분 휴지타임 자동 물내림 기능을 구현하여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및 직수형 가정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흡입하는 공기에 의해 자동 물내림이 작동하므로 누유 및 온도변화에 따른 오동작을 방지하거나 수로 및 유로 상의 이물질 등이 쌓여 막히지 않도록 하는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및 직수형 가정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는,
용변자가 변좌시트에 앉을 때, 시트스프링을 압축하면서 변좌시트의 하강동작을 안내하고, 용변자가 변좌시트에서 일어설 때, 시트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변좌시트의 상승동작을 안내하면서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와;
상기 인체감지부의 하강동작과 연동하여 후레쉬밸브 압력실의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인체감지부의 상승동작과 연동하여 후레쉬밸브 압력실을 개방시키면서 수도전의 세척수가 변기본체로 배수되어 용변을 세척하도록 하는 작동부와;
상기 인체감지부의 하강동작과 연동하여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고, 상기 인체감지부의 상승동작과 연동하면서 내부로 흡입되어 이동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작동부의 작동시간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는,
용변자가 변좌시트에 앉을 때, 시트스프링을 압축하면서 변좌시트의 하강동작을 안내하고, 용변자가 변좌시트에서 일어설 때, 시트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변좌시트의 상승동작을 안내하면서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와;
상기 인체감지부의 하강동작과 연동하여 인체감지부의 상승동작이 일어나기 전까지 이동하는 거리에 따라 용변자의 대소변을 구분하는 대소변구분부와;
상기 인체감지부의 하강동작과 연동하여 후레쉬밸브 압력실의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인체감지부의 상승동작과 연동하여 후레쉬밸브 압력실을 개방시키면서 수도전의 세척수가 변기본체로 배수되어 용변을 세척하도록 하는 작동부와;
상기 인체감지부의 하강동작과 연동하여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고, 상기 인체감지부의 상승동작과 연동하면서 내부로 흡입되어 이동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작동부의 작동시간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는,
용변자가 변좌시트에 앉을 때, 시트스프링을 압축하면서 변좌시트의 하강동작을 안내하고, 용변자가 변좌시트에서 일어설 때, 시트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변좌시트의 상승동작을 안내하면서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와;
상기 인체감지부의 하강동작과 연동하여 후레쉬밸브 압력실의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인체감지부의 상승동작과 연동하여 후레쉬밸브 압력실을 개방시키면서 수도전의 세척수가 변기본체로 배수되어 용변을 세척하도록 하는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변자 하중을 감지하는 인체감지부의 승강동작과 연동하여 후레쉬밸브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구성이 간소화되어 부품수 감소로 인한 조립 간편 및 제조원가의 절감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용변자 하중을 감지하는 인체감지부의 승강동작과 연동하여 공기의 흡입 및 배출에 의해 후레쉬밸브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함은 물론 대소변 구분 휴지타임 자동 물내림 기능을 구현하여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흡입하는 공기에 의해 자동 물내림이 작동하므로 누유 및 온도변화에 따른 오동작을 방지하거나 수로 및 유로 상의 이물질 등이 쌓여 막히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용이함은 물론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인체감지부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대소변구분부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작동부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조절부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
도 7 내지 도 17은 본 발명 변좌시트에 용변자가 앉을 때의 작동상태도
도 18 내지 도 26은 본 발명 변좌시트에서 용변자가 일어설 때의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인체감지부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대소변구분부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작동부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조절부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는, 용변자가 변좌시트(10)에 앉을 때, 시트스프링(130)을 압축하면서 변좌시트(10)의 하강동작을 안내하고, 용변자가 변좌시트(10)에서 일어설 때, 시트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해 변좌시트(10)의 상승동작을 안내하면서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100)(100')가 구성되며, 상기 인체감지부(100')의 하강동작과 연동하여 후레쉬밸브(20) 압력실(21)의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인체감지부(100')의 상승동작과 연동하여 후레쉬밸브(20) 압력실(21)을 개방시키면서 수도전의 세척수가 변기본체(11)로 배수되어 용변을 세척하도록 하는 작동부(300)가 구성되며, 상기 인체감지부(100')의 하강동작과 연동하여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고, 상기 인체감지부(100')의 상승동작과 연동하면서 내부로 흡입되어 이동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작동부(300)의 작동시간을 조절하는 조절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는, 용변자가 변좌시트(10)에 앉을 때, 시트스프링(130)을 압축하면서 변좌시트(10)의 하강동작을 안내하고, 용변자가 변좌시트(10)에서 일어설 때, 시트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해 변좌시트(10)의 상승동작을 안내하면서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100)(100')가 구성되며, 상기 인체감지부(100)의 하강동작과 연동하여 인체감지부(100)의 상승동작이 일어나기 전까지 이동하는 거리에 따라 용변자의 대소변을 구분하는 대소변구분부(200)가 구성되며, 상기 인체감지부(100')의 하강동작과 연동하여 후레쉬밸브(20) 압력실(21)의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인체감지부(100)의 상승동작과 연동하여 후레쉬밸브(20) 압력실(21)을 개방시키면서 수도전의 세척수가 변기본체(11)로 배수되어 용변을 세척하도록 하는 작동부(300)가 구성되고, 상기 인체감지부(100')의 하강동작과 연동하여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고, 상기 인체감지부(100')의 상승동작과 연동하면서 내부로 흡입되어 이동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작동부(300)의 작동시간을 조절하는 조절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체감지부(100)(100')는, 상기 변좌시트(10)에 관통된 통공(111)으로 결합되어 변좌에 안착되는 감지판(110)이 구비되고, 상기 변좌시트(10)에 관통된 후크결합공(121)에 결합되어 감지판(110)이 변좌시트(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후크(120)가 구비되며, 상기 감지판(110)과 변좌시트(10) 사이에 장착되어 변좌시트(10)를 복원시키는 시트스프링(13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300)는, 상기 인체감지부(100)에 구비된 감지판(110)에 장착되어 로드안내부재(320)의 배출공(323)과 작동캡(330)의 안내공(332)을 개폐하는 작동로드(310)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로드(310)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하도록 변좌시트(10)에 고정되는 로드안내부재(320)가 구비되며, 상기 로드안내부재(320)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작동로드(310)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이탈을 방지하는 작동캡(33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작동로드(310)는, 상단부 및 그 하부에 제1,2설치홈(311a)(311b)이 형성된 로드몸체(311)가 구비되고, 상기 제1,2설치홈(311a)(311b)에 장착되는 제1,2개폐부재(312)(312')가 구비되며, 상기 제1,2개폐부재(312)(312') 사이의 로드몸체(311)에 장착되어 로드안내몸체(321) 내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드부재(31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로드안내부재(320)는, 상기 작동로드(310)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로드안내몸체(321)가 구비되고, 상기 로드안내몸체(321)의 상단부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요입되어 물의 배수를 안내하는 배수안내홈(322)이 구비되며, 상기 로드안내몸체(321)의 하단부에 물을 배수시키도록 관통된 배출공(323)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작동캡(330)은, 상기 로드안내부재(320)에 장착되는 작동몸체(331)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몸체(331) 내부에 후레쉬밸브(20) 압력실(21)의 물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공(332)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조절부(500)는, 상기 변좌시트(10)에 고정되면서 공기배출공(511)이 형성된 조절몸체(510)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배출공(511)을 개폐하는 개폐부재(520)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5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530)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몸체(510) 내부로 승하강하면서 조절몸체(510) 내부공기를 공기배출공(511)으로 배출시키며, 상기 조절몸체(510) 외부공기를 흡입하도록 인체감지부(100')에 고정되는 승하강안내부재(5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승하강안내부재(540)에 관통된 통공(541)에 결합되어 통공(541)으로 흡입되어 이동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하는 공기량조절필터(550)가 구비되고, 상기 통공(541)에 체결되어 공기량조절필터(55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공기량조절필터(550)의 압축정도에 따라 공기의 이동량을 조절하는 볼트(56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승하강안내부재(540)의 하강이동시간을 조절하여 용변자의 휴지버리는 시간을 조절하는 휴지버리는 시간조절부(57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휴지버리는 시간조절부(570)는, 상기 승하강안내부재(540)의 상면에 돌출되는 휴지타임조절리브(571)가 구비되고, 상기 휴지타임조절리브(571)를 수용하도록 조절몸체(510)에 형성되는 리브착탈홈(572)이 구비되며, 상기 조절몸체(510)에 관통되는 휴지타임조절공(573)이 구비되고, 상기 휴지타임조절공(573)에 결합되어 휴지타임조절리브(571)가 리브착탈홈(572)에 결합 및 이탈되면서 휴지타임조절공(573)을 개폐하는 휴지타임조절개폐부재(574)가 구비된다.
상기 휴지타임조절개폐부재(574)의 복원을 안내하는 개폐복원부재(575)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휴지타임조절공(573)의 단부에 결합되어 휴지타임조절공(573)으로 흡입되어 이동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하는 공기량조절필터(576)가 구비되고, 상기 휴지타임조절공(573)에 체결되어 공기량조절필터(576)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공기량조절필터(576)의 압축정도에 공기의 이동량을 조절하는 휴지타임조절볼트(577)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대소변구분부(200)는, 상기 인체감지부(100)에 일측이 고정되는 실린더와이어(211)가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와이어(211) 타측이 고정되면서 실린더로드(213')가 결합되어 실린더몸체(210)에 결합되는 로드핀(213)이 구비되고, 상기 로드핀(213)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실린더몸체(210) 일측에 장착되는 제1캡(214)이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몸체(210) 타측에 장착되어 실린더로드(213')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실린더로드(213')의 이동시, 실린더몸체(210) 내외부로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홈(214a)이 형성된 제2캡(214')이 구비되며, 상기 제1캡(214)과 로드핀(213) 사이에 장착되는 실린더스프링(215)이 구비되고, 상기 제2캡(214')과 실린더로드(213') 사이에 위치하도록 실린더로드(213')가 장착되는 패킹(216)이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스프링(215)의 복원력으로 이동하는 실린더로드(213')에 의해 접촉부재(217')의 접촉유무에 따라 대소변으로 구분하는 대소변전환부재(217)가 구비되고, 상기 대소변전환부재(217)의 접촉유무에 따라 휴지버리는 시간조절부(570)의 리브착탈홈(572)에 관통된 소변량조절공(218)을 복원부재(220)의 복원력으로 개폐하는 소변량개폐부재(219)가 구비된다.
상기 실린더와이어(211)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인체감지부(100)에 형성된 로울러(212)가 구비된다.
상기 로드핀(213)이 실린더스프링(215)을 압축시키면서 복원될 시점과 실린더로드(213')가 대소변전환부재(217)를 가압할 시점에 실린더몸체(210) 내외부의 공기가 연통되도록 패킹(216)이 결합되어 이동할 수 있는 결합홈(213b)(213b')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소변량조절공(218)의 단부에 결합되어 소변량조절공(218)으로 흡입되어 이동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하는 공기량조절필터(221)가 구비되고, 상기 소변량조절공(218)에 체결되어 공기량조절필터(221)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공기량조절필터(221)의 압축정도에 따라 공기의 이동량을 조절하는 소변량조절볼트(222)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실린더로드(213')가 결합된 로드핀(213)의 내주면에 관통된 홈(213a)을 통해 실린더몸체(210)의 내외부에서 이동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실린더로드(213')와 로드핀(213) 사이에 장착되는 공기량조절필터(213c)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는, 용변자가 변좌시트(10)에 앉을 때, 시트스프링(130)을 압축하면서 변좌시트(10)의 하강동작을 안내하고, 용변자가 변좌시트(10)에서 일어설 때, 시트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해 변좌시트(10)의 상승동작을 안내하면서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100)(100')가 구성되며, 상기 인체감지부(100')의 하강동작과 연동하여 후레쉬밸브(20) 압력실(21)의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인체감지부(100')의 상승동작과 연동하여 후레쉬밸브(20) 압력실(21)을 개방시키면서 수도전의 세척수가 변기본체(11)로 배수되어 용변을 세척하도록 하는 작동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체감지부(100)(100')는, 상기 변좌시트(10)에 관통된 통공(111)으로 결합되어 변좌에 안착되는 감지판(110)이 구비되고, 상기 변좌시트(10)에 관통된 후크결합공(121)에 결합되어 감지판(110)이 변좌시트(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후크(120)가 구비되며, 상기 감지판(110)과 변좌시트(10) 사이에 장착되어 변좌시트(10)를 복원시키는 시트스프링(13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300)는, 상기 인체감지부(100)에 구비된 감지판(110)에 장착되어 로드안내부재(320)의 배출공(323)과 작동캡(330)의 안내공(332)을 개폐하는 작동로드(310)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로드(310)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하도록 변좌시트(10)에 고정되는 로드안내부재(320)가 구비되며, 상기 로드안내부재(320)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작동로드(310)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이탈을 방지하는 작동캡(33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작동로드(310)는, 상단부 및 그 하부에 제1,2설치홈(311a)(311b)이 형성된 로드몸체(311)가 구비되고, 상기 제1,2설치홈(311a)(311b)에 장착되는 제1,2개폐부재(312)(312')가 구비되며, 상기 제1,2개폐부재(312)(312') 사이의 로드몸체(311)에 장착되어 로드안내몸체(321) 내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드부재(31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로드안내부재(320)는, 상기 작동로드(310)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로드안내몸체(321)가 구비되고, 상기 로드안내몸체(321)의 상단부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요입되어 물의 배수를 안내하는 배수안내홈(322)이 구비되며, 상기 로드안내몸체(321)의 하단부에 물을 배수시키도록 관통된 배출공(323)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작동캡(330)은, 상기 로드안내부재(320)에 장착되는 작동몸체(331)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몸체(331) 내부에 후레쉬밸브(20) 압력실(21)의 물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공(332)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인체감지부(100)(100')와 작동부(300) 만으로도 작동이 되고, 인체감지부(100)(100')와 작동부(300) 및 조절부(500)만으로도 작동이 되나, 하기에서는 인체감지부(100)(100')와 대소변구분부(200), 작동부(300) 및 조절부(500)를 포함한 구성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좌시트(10)에 인체감지부(100)(100')와 작동부(300), 조절부(500) 및 대소변구분부(200)를 설치하는데, 상기 작동부(300)는 후레쉬밸브(20)의 압력실(21)과 호스로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 용변자가 변좌시트(10)에 앉으면,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변자 하중에 의해 변좌시트(10)가 하향으로 이동되면서 변좌시트(10)에 관통된 인체감지부(100)(100')의 통공(111) 및 후크결합공(121)으로 감지판(110)의 돌기(110') 및 후크(120)가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변좌시트(10)와 감지판(110) 사이에 위치한 시트스프링(130)을 압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변좌시트(10)와 감지판(110) 사이의 시트스프링(130)을 압축하면,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체감지부(100)에 일측이 고정된 대소변구분부(200)의 실린더와이어(211)가 변좌시트(10)와 인체감지부(100)의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실린더와이어(211)의 긴장력이 상실되고, 긴장력이 상실된 실린더와이어(211)는 실린더스프링(215)의 압축된 복원력으로 로울러(212)를 회전시키면서 로드핀(213) 및 실린더로드(213')를 실린더몸체(210)의 타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실린더스프링(215)은 실린더몸체(210) 일측에 장착된 제1캡(214)과 로드핀(213) 사이에 장착되어 압축된 복원력으로 로드핀(213)을 가압할 수 있으며, 상기 실린더로드(313')는 실린더몸체(210) 타측에 장착된 제2캡(214')을 통해 돌출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로드(213')의 이동으로 패킹(216)이 결합홈(213b')을 통과하면서 결합홈(213b)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2캡(214') 내주면과 홈(214a)을 폐쇄시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로드(213')의 이동으로 제1캡(214)을 통해 실린더몸체(2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로드핀(213)과 실린더로드(213') 사이에 장착된 공기량조절필터(213c)의 압축정도에 따라 공기의 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실린더로드(213')의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린더스프링(215)의 복원력으로 이동하는 실린더로드(213')가 대소변전환부재(217)를 가압하지 못해 대소변전환부재(217)에 내장된 접촉부재(217a)와 소변량조절공(218)에 내장된 접촉부재(217b)가 붙어 있으면, 소변으로 판단하고, 상기 실린더로드(213')가 이동하여 대소변전환부재(217)를 가압하여 대소변전환부재(217)에 내장된 접촉부재(217a)와 소변량조절공(218)에 내장된 접촉부재(217b)가 떨어지면 대변으로 판단하는데, 이는 접촉부재(217a)(217b)의 붙고 떨어짐에 따라 소변량개폐부재(219)가 복원부재(220)의 복원력으로 이동하면서 소변량조절공(218)의 개방면적을 개폐하여 용변자가 변좌시트(10)에서 일어서면, 조절몸체(510)로 흡입되어 이동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체감지부(100')의 감지판(110)에 장착된 작동부(300)의 작동로드(310)가 로드안내부재(320)의 내측 상단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작동로드(310)의 로드몸체(311)가 로드안내부재(320)의 로드안내몸체(321) 내측 상단부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로드몸체(311)의 제2설치홈(311b)에 장착된 제2개폐부재(312')는 로드안내부재(320)의 배출공(323)을 개방시키나, 슬라이드부재(313)가 로드안내몸체(321) 내부를 폐쇄하고 있으므로 압력실(21)에 저장된 물이 배수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로드몸체(311)가 로드안내몸체(321) 내측 상단부로 이동하여 제1설치홈(311a)에 장착된 제1개폐부재(312)는 작동캡(330)의 작동몸체(331)에 형성된 안내공(332)을 폐쇄시켜 압력실(21)에 저장된 물이 배수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제2개폐부재(312')의 가압으로 슬라이드부재(313)가 로드안내몸체(321) 내측 상단부로 이동하면서 배수안내홈(322)을 개방하게 된다.
또한, 도 13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좌시트(10)와 인체감지부(100')의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인체감지부(100')에 고정된 조절부(500)의 승하강안내부재(540)가 조절몸체(510) 내측 상단부로 이동하면서 조절몸체(510) 내부의 공기를 압축시킴과 동시에 압축된 공기가 개폐부재(520)를 가압하여 개방되는 공기배출공(511)으로 통과한 후, 이탈방지부재(5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승하강안내부재(540)가 조절몸체(510)의 내측 상단부로 이동하면서 승하강안내부재(540) 상면에 돌출된 휴지버리는 시간조절부(570)의 휴지타임조절리브(571)가 리브착탈홈(572)에 결합되면서 승하강안내부재(540)가 조절몸체(510) 내측 상단부로 이동하여 휴지타임조절개폐부재(574)를 가압함과 동시에 휴지타임조절개폐부재(574)는 개폐복원부재(575)를 압축시키면서 조절몸체(510) 내측 상단부로 이동하여 휴지타임조절공(573)을 개방시키고, 개방된 휴지타임조절공(573)을 통해 조절몸체(5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휴지타임조절리브(571)가 리브착탈홈(572)에 결합될 때, 리브착탈홈(572) 내부의 공기는 소변량조절공(218)을 통해 조절몸체(510) 외부로 배출되는데, 상기 소변량조절공(218)을 소변량개폐부재(219)가 복원부재(220)의 복원력으로 폐쇄시키고는 있으나, 리브착탈홈(572) 내부의 공기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소변량개폐부재(219)와 복원부재(220)를 밀어내어 소변량조절공(218)을 개방함과 동시에 소변량조절공(218)에는 공기안내홈(218')이 형성되어 있어 소변량개폐부재(219)가 소변량조절공(218)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리브착탈홈(572)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지타임조절공(573)과 소변량조절공(218)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휴지타임조절공(573)과 소변량조절공(218)에 장착된 공기량조절필터(576)(221)를 휴지타임조절공(573)과 소변량조절공(218)에 체결되는 휴지타임조절볼트(577)와 소변량조절볼트(222)에 의한 공기량조절필터(576)(221)의 압축정도에 따라 공기의 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변좌시트(10)에 앉은 용변자의 용변 후, 용변자가 변좌시트(10)에서 일어서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감지부(100)(100')의 시트스프링(130) 복원력으로 변좌시트(10)와 인체감지부(100)(100')의 간격이 넓어짐과 동시에 도 19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감지부(100')에 고정된 승하강안내부재(540)가 조절몸체(510) 내측 하단부로 이동하면서 조절몸체(51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고, 이에 따라 조절몸체(510) 외부 공기를 흡입한다.
이때, 상기 조절몸체(510)의 공기배출공(511)은 개폐부재(520)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므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지 못하고, 조절몸체(510)의 상면에 돌출된 휴지타임조절리브(571)가 리브착탈홈(572)의 하단부로 이동하면서 소변량조절공(218)과 휴지타임조절공(573) 및 통공(541)으로 외부공기를 흡입하는데, 상기 소변량조절공(218)과 통공(541) 및 휴지타임조절공(573)은 소변량조절볼트(222)와 볼트(560) 및 휴지타임조절볼트(577)에 의해 공기량조절필터(221)(550)(57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기량조절필터의 압축정도에 따라 공기의 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휴지타임조절리브(571)에 실링부재(미도시)가 리브착탈홈(572) 내면에 밀착되어 휴지타임조절리브(571)가 리브착탈홈(572)에서 이탈되는 시간을 지연시키며, 이 지연시간이 용변자의 휴지를 버리는 시간이다.
상기 휴지타임조절리브(571)가 리브착탈홈(572)에서 이탈함과 동시에 승하강안내부재(540)의 가압력이 해제된 휴지타임조절개폐부재(574)의 하강 및 개폐복원부재(575)의 복원력으로 이동하여 휴지타임조절공(573)을 폐쇄시키면서 소변량조절공(218)으로 흡입되어 이동되는 공기 량에 따라 승하강안내부재(540)의 복원시간을 지연시키는데, 상기 승하강안내부재(540)의 복원시간이 작동부(300)의 작동시간이다.
또한,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체감지부(100')의 시트스프링(130) 복원력으로 변좌시트(10)와 인체감지부(100')의 간격이 넓어짐에 따라 인체감지부(100')에 고정된 작동로드(310)의 로드몸체(311)가 로드안내부재(320)의 로드안내몸체(321) 하단부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로드몸체(311)의 제1설치홈(311a)에 결합된 제1개폐부재(312)가 작동캡(320)의 안내공(332)에서 이탈되기 전 까지는, 압력실(21)의 물이 배수되지 않음으로 용변을 세척할 수가 없다.
상기 로드몸체(311)가 로드안내몸체(321)의 하단부로 이동하면서 제1개폐부재(312)가 안내공(332)에서 이탈되면, 후레쉬밸브(20)의 압력실(21)의 물이 안내공(332)을 통해 로드안내몸체(321)의 배수안내홈(322)을 경유하여 배출공(323)으로 배수됨과 동시에 후레쉬밸브(20)를 통해 수도전의 물이 변기본체(10)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수도전으로부터 변기본체(10)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대소변구분부(200)의 소변량조절공(218)을 소변량개폐부재(219)가 폐쇄시켜 공기안내홈(218')으로 흡입되어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량 및 소변량개폐부재(219)의 소변량조절공(218) 개방으로 흡입되어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량으로 승하강안내부재(540)가 조절몸체(510) 내측 하단부로 이동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용변자의 하중으로 이동되어 실린더로드(213')와 대소변전환부재(217)의 접촉유무에 따라 구분된 용변자의 대소변에 대응하는 물을 변기본체(10)로 공급하여 용변을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대소변의 용변이 세척되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좌시트(10)와 인체감지부(100')의 간격이 넓어짐에 따라 로드안내부재(320)의 로드안내몸체(321) 하단부로 작동로드(310)의 로드몸체(311)가 이동할 때, 로드몸체(311)의 제1설치홈(311a)에 결합된 제1개폐부재(312)가 슬라이드부재(313)를 가압하여 로드안내몸체(321)의 하단부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로드몸체(311)의 제2설치홈(311b)에 결합된 제2개폐부재(312')가 로드안내부재(320)의 배출공(3230을 폐쇄시킨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부재(313)는 배수안내홈(322)의 단부를 통과하면서 로드안내몸체(321)를 폐쇄시키게 되고, 로드안내몸체(321) 내부가 폐쇄되면 후레쉬밸브(20)의 압력실(21)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면서 후레쉬밸브(20)에 의해 수도전의 물이 변기본체(10)로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후레쉬밸브(20)는 상기 압력실(21)의 물이 배수되면 피스톤이 승강하면서 개방되는 배수구로 수도전의 물이 변기본체(10)로 공급되고, 압력실(21)의 물이 저장되면 피스톤이 하강하면서 배수구를 폐쇄시켜 수도전의 물이 변기본체(10)로 공급되지 않는 통상의 밸브이다.
또한, 상기 인체감지부(100)의 시트스프링(130) 복원력으로 변좌시트(10)와 인체감지부(100)의 간격이 넓어짐에 따라 실린더와이어(211)가 긴장력이 발생하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와이어(211)의 긴장력으로 실린더스프링(215)을 압축시키면서 로드핀(213) 및 실린더로드(213')를 당겨 이동시킴과 동시에 실린더로드(213')의 이동으로 패킹(216)이 결합홈(231b)을 통과하여 결합홈(213b')으로 이동할 때, 제2캡(214')의 내주면과 홈(214a)을 개방하여 공기의 유입을 안내함은 물론 상기 로드핀(213) 및 실린더로드(213')의 이동에 따른 실린더몸체(210) 내부의 공기는 공기량조절필터(213c) 및 제1캡(214)을 경유하여 배출된다.
또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좌시트(10)와 인체감지부(100)(100')의 간격이 넓어짐에 따라 후크(120)가 후크결합공(121)에 걸리면서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재(217a)(217b)는 둘 다 자석이거나 어느 하나는 자석이고, 다른 하나는 금속재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인체감지부 110: 감지판
120: 후크 130: 시트스프링
200: 대소변구분부 210: 실린더몸체
300: 작동부 310: 작동로드
320: 로드안내부재 330: 작동캡
500: 조절부 510: 조절몸체
520: 개폐부재 530: 이탈방지부재
540: 승,하강안내부재 550: 공기량조절필터
560: 볼트 570: 휴지버리는 시간조절부

Claims (24)

  1. 용변자가 변좌시트(10)에 앉을 때, 시트스프링(130)을 압축하면서 변좌시트(10)의 하강동작을 안내하고, 용변자가 변좌시트(10)에서 일어설 때, 시트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해 변좌시트(10)의 상승동작을 안내하면서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100)(100')와;
    상기 인체감지부(100')의 하강동작과 연동하여 후레쉬밸브(20) 압력실(21)의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인체감지부(100')의 상승동작과 연동하여 후레쉬밸브(20) 압력실(21)을 개방시키면서 수도전의 세척수가 변기본체(11)로 배수되어 용변을 세척하도록 하는 작동부(300)와;
    상기 인체감지부(100')의 하강동작과 연동하여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고, 상기 인체감지부(100')의 상승동작과 연동하면서 내부로 흡입되어 이동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작동부(300)의 작동시간을 조절하는 조절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2. 용변자가 변좌시트(10)에 앉을 때, 시트스프링(130)을 압축하면서 변좌시트(10)의 하강동작을 안내하고, 용변자가 변좌시트(10)에서 일어설 때, 시트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해 변좌시트(10)의 상승동작을 안내하면서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100)(100')와;
    상기 인체감지부(100)의 하강동작과 연동하여 인체감지부(100)의 상승동작이 일어나기 전까지 이동하는 거리에 따라 용변자의 대소변을 구분하는 대소변구분부(200)와;
    상기 인체감지부(100')의 하강동작과 연동하여 후레쉬밸브(20) 압력실(21)의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인체감지부(100)의 상승동작과 연동하여 후레쉬밸브(20) 압력실(21)을 개방시키면서 수도전의 세척수가 변기본체(11)로 배수되어 용변을 세척하도록 하는 작동부(300)와;
    상기 인체감지부(100')의 하강동작과 연동하여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고, 상기 인체감지부(100')의 상승동작과 연동하면서 내부로 흡입되어 이동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작동부(300)의 작동시간을 조절하는 조절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감지부(100)(100')는,
    상기 변좌시트(10)에 관통된 통공(111)으로 결합되어 변좌에 안착되는 감지판(110)과;
    상기 변좌시트(10)에 관통된 후크결합공(121)에 결합되어 감지판(110)이 변좌시트(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후크(120)와;
    상기 감지판(110)과 변좌시트(10) 사이에 장착되어 변좌시트(10)를 복원시키는 시트스프링(130)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300)는,
    상기 인체감지부(100)에 구비된 감지판(110)에 장착되어 로드안내부재(320)의 배출공(323)과 작동캡(330)의 안내공(332)을 개폐하는 작동로드(310)와;
    상기 작동로드(310)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하도록 변좌시트(10)에 고정되는 로드안내부재(320)와;
    상기 로드안내부재(320)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작동로드(310)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이탈을 방지하는 작동캡(330)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310)는,
    상단부 및 그 하부에 제1,2설치홈(311a)(311b)이 형성된 로드몸체(311)와;
    상기 제1,2설치홈(311a)(311b)에 장착되는 제1,2개폐부재(312)(312')와;
    상기 제1,2개폐부재(312)(312') 사이의 로드몸체(311)에 장착되어 로드안내몸체(321) 내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드부재(313)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로드안내부재(320)는,
    상기 작동로드(310)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로드안내몸체(321)와;
    상기 로드안내몸체(321)의 상단부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요입되어 물의 배수를 안내하는 배수안내홈(322)과;
    상기 로드안내몸체(321)의 하단부에 물을 배수시키도록 관통된 배출공(323)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작동캡(330)은,
    상기 로드안내부재(320)에 장착되는 작동몸체(331)와;
    상기 작동몸체(331) 내부에 후레쉬밸브(20) 압력실(21)의 물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공(332)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8.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500)는,
    상기 변좌시트(10)에 고정되면서 공기배출공(511)이 형성된 조절몸체(510)와;
    상기 공기배출공(511)을 개폐하는 개폐부재(520)와;
    상기 개폐부재(5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530)와;
    상기 조절몸체(510) 내부로 승하강하면서 조절몸체(510) 내부공기를 공기배출공(511)으로 배출시키며, 상기 조절몸체(510) 외부공기를 흡입하도록 인체감지부(100')에 고정되는 승하강안내부재(540)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안내부재(540)에 관통된 통공(541)에 결합되어 통공(541)으로 흡입되어 이동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하는 공기량조절필터(550)와;
    상기 통공(541)에 체결되어 공기량조절필터(55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공기량조절필터(550)의 압축정도에 따라 공기의 이동량을 조절하는 볼트(56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안내부재(540)의 하강이동시간을 조절하여 용변자의 휴지버리는 시간을 조절하는 휴지버리는 시간조절부(57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휴지버리는 시간조절부(570)는,
    상기 승하강안내부재(540)의 상면에 돌출되는 휴지타임조절리브(571)와;
    상기 휴지타임조절리브(571)를 수용하도록 조절몸체(510)에 형성되는 리브착탈홈(572)과;
    상기 조절몸체(510)에 관통되는 휴지타임조절공(573)과;
    상기 휴지타임조절공(573)에 결합되어 휴지타임조절리브(571)가 리브착탈홈(572)에 결합 및 이탈되면서 휴지타임조절공(573)을 개폐하는 휴지타임조절개폐부재(574)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휴지타임조절개폐부재(574)의 복원을 안내하는 개폐복원부재(575)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휴지타임조절공(573)의 단부에 결합되어 휴지타임조절공(573)으로 흡입되어 이동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하는 공기량조절필터(576)와;
    상기 휴지타임조절공(573)에 체결되어 공기량조절필터(576)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공기량조절필터(576)의 압축정도에 공기의 이동량을 조절하는 휴지타임조절볼트( 577)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1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대소변구분부(200)는,
    상기 인체감지부(100)에 일측이 고정되는 실린더와이어(211)와;
    상기 실린더와이어(211) 타측이 고정되면서 실린더로드(213')가 결합되어 실린더몸체(210)에 결합되는 로드핀(213)과;
    상기 로드핀(213)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실린더몸체(210) 일측에 장착되는 제1캡(214)과;
    상기 실린더몸체(210) 타측에 장착되어 실린더로드(213')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실린더로드(213')의 이동시, 실린더몸체(210) 내외부로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홈(214a)이 형성된 제2캡(214')과;
    상기 제1캡(214)과 로드핀(213) 사이에 장착되는 실린더스프링(215)과;
    상기 제2캡(214')과 실린더로드(213') 사이에 위치하도록 실린더로드(213')가 장착되는 패킹(216)과;
    상기 실린더스프링(215)의 복원력으로 이동하는 실린더로드(213')에 의해 접촉부재(217')의 접촉유무에 따라 대소변으로 구분하는 대소변전환부재(217)와;
    상기 대소변전환부재(217)의 접촉유무에 따라 휴지버리는 시간조절부(570)의 리브착탈홈(572)에 관통된 소변량조절공(218)을 복원부재(220)의 복원력으로 개폐하는 소변량개폐부재(219)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와이어(211)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인체감지부(100)에 형성된 로울러(212)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로드핀(213)이 실린더스프링(215)을 압축시키면서 복원될 시점과 실린더로드(213')가 대소변전환부재(217)를 가압할 시점에 실린더몸체(210) 내외부의 공기가 연통되도록 패킹(216)이 결합되어 이동할 수 있는 결합홈(213b)(213b')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소변량조절공(218)의 단부에 결합되어 소변량조절공(218)으로 흡입되어 이동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하는 공기량조절필터(221)와;
    상기 소변량조절공(218)에 체결되어 공기량조절필터(221)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공기량조절필터(221)의 압축정도에 따라 공기의 이동량을 조절하는 소변량조절볼트(222)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로드(213')가 결합된 로드핀(213)의 내주면에 관통된 홈(213a)을 통해 실린더몸체(210)의 내외부에서 이동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실린더로드(213')와 로드핀(213) 사이에 장착되는 공기량조절필터(213c)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19. 용변자가 변좌시트(10)에 앉을 때, 시트스프링(130)을 압축하면서 변좌시트(10)의 하강동작을 안내하고, 용변자가 변좌시트(10)에서 일어설 때, 시트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해 변좌시트(10)의 상승동작을 안내하면서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100)(100')와;
    상기 인체감지부(100')의 하강동작과 연동하여 후레쉬밸브(20) 압력실(21)의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인체감지부(100')의 상승동작과 연동하여 후레쉬밸브(20) 압력실(21)을 개방시키면서 수도전의 세척수가 변기본체(11)로 배수되어 용변을 세척하도록 하는 작동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인체감지부(100)(100')는,
    상기 변좌시트(10)에 관통된 통공(111)으로 결합되어 변좌에 안착되는 감지판(110)과;
    상기 변좌시트(10)에 관통된 후크결합공(121)에 결합되어 감지판(110)이 변좌시트(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후크(120)와;
    상기 감지판(110)과 변좌시트(10) 사이에 장착되어 변좌시트(10)를 복원시키는 시트스프링(130)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300)는,
    상기 인체감지부(100)에 구비된 감지판(110)에 장착되어 로드안내부재(320)의 배출공(323)과 작동캡(330)의 안내공(332)을 개폐하는 작동로드(310)와;
    상기 작동로드(310)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하도록 변좌시트(10)에 고정되는 로드안내부재(320)와;
    상기 로드안내부재(320)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작동로드(310)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이탈을 방지하는 작동캡(330)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310)는,
    상단부 및 그 하부에 제1,2설치홈(311a)(311b)이 형성된 로드몸체(311)와;
    상기 제1,2설치홈(311a)(311b)에 장착되는 제1,2개폐부재(312)(312')와;
    상기 제1,2개폐부재(312)(312') 사이의 로드몸체(311)에 장착되어 로드안내몸체(321) 내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드부재(313)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로드안내부재(320)는,
    상기 작동로드(310)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로드안내몸체(321)와;
    상기 로드안내몸체(321)의 상단부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요입되어 물의 배수를 안내하는 배수안내홈(322)과;
    상기 로드안내몸체(321)의 하단부에 물을 배수시키도록 관통된 배출공(323)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24.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작동캡(330)은,
    상기 로드안내부재(320)에 장착되는 작동몸체(331)와;
    상기 작동몸체(331) 내부에 후레쉬밸브(20) 압력실(21)의 물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공(332)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KR1020130105581A 2013-09-03 2013-09-03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및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KR101389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581A KR101389942B1 (ko) 2013-09-03 2013-09-03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및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CN201480001019.6A CN104736776B (zh) 2013-09-03 2014-08-28 仅通过人体荷载而实现空气排出和吸入控制功能的直取水无电源自动下水座便器座垫以及直取水无电源自动下水座便器座垫
PCT/KR2014/008000 WO2015034206A1 (ko) 2013-09-03 2014-08-28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및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581A KR101389942B1 (ko) 2013-09-03 2013-09-03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및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076A true KR20130109076A (ko) 2013-10-07
KR101389942B1 KR101389942B1 (ko) 2014-04-30

Family

ID=49631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581A KR101389942B1 (ko) 2013-09-03 2013-09-03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및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389942B1 (ko)
CN (1) CN104736776B (ko)
WO (1) WO201503420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493B1 (ko) * 2013-09-03 2015-02-02 이동진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의 대소변구분부
KR20160018623A (ko) * 2015-10-26 2016-02-17 주식회사 에어붐 탈부착 및 방수기능을 구비한 후레쉬밸브용 무전원 자동물내림 변좌시트
CN108560655A (zh) * 2018-07-04 2018-09-21 南京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重力感应马桶冲水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239B1 (ko) * 2013-09-03 2015-03-05 이동진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의 조절부
CN106801460B (zh) * 2016-12-30 2018-11-27 重庆市健隆家具有限公司 换气式蹲便器
KR102060381B1 (ko) * 2019-04-03 2019-12-30 주식회사 에어붐 물내림개폐부를 일체화한 후레쉬밸브용 무전원 자동물내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23828A1 (fr) * 1975-09-12 1977-04-08 Bourasseau Gilles Chasse d'eau automatique
TW414819B (en) * 1998-10-30 2000-12-11 Huang Tian Yau Body-weight controlled automatic flushing device for toilet
CN2604470Y (zh) * 2003-03-21 2004-02-25 张峰 一种家用自动冲水马桶
WO2005124037A1 (en) * 2004-06-18 2005-12-29 Kyoung-Suk O Automatic toilet flushing apparatus for use in toilet
KR100946393B1 (ko) * 2008-08-20 2010-03-19 주식회사 에이에프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100960157B1 (ko) * 2008-10-24 2010-05-28 주식회사 에이에프 인체감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20100064623A (ko) * 2008-12-05 2010-06-15 노태종 인체감지유닛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CN201433450Y (zh) * 2009-04-14 2010-03-31 昆明理工大学 重力踏板式自动冲水便池
CN202064432U (zh) * 2011-04-18 2011-12-07 王佳 一种新型节水自动排便装置
KR101071981B1 (ko) 2011-05-20 2011-10-11 (주)베스트오토 인체하중의 에너지만으로 대소변을 구분하여 변기 자동물내림이 가능한 변좌시트
CN202672303U (zh) * 2012-06-04 2013-01-16 彭静静 一种自动冲洗控制设备
CN102936917B (zh) * 2012-11-30 2014-03-12 时寿斌 自动冲水座便器
CN103216002B (zh) * 2013-04-26 2014-06-04 程勇 感应智能女性尿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493B1 (ko) * 2013-09-03 2015-02-02 이동진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의 대소변구분부
KR20160018623A (ko) * 2015-10-26 2016-02-17 주식회사 에어붐 탈부착 및 방수기능을 구비한 후레쉬밸브용 무전원 자동물내림 변좌시트
WO2017131423A1 (ko) * 2015-10-26 2017-08-03 주식회사 에어붐 탈부착 및 방수기능을 구비한 후레쉬밸브용 무전원 자동물내림 변좌시트
CN108560655A (zh) * 2018-07-04 2018-09-21 南京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重力感应马桶冲水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34206A1 (ko) 2015-03-12
CN104736776A (zh) 2015-06-24
CN104736776B (zh) 2016-08-17
KR101389942B1 (ko) 201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9075A (ko)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물탱크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및 물탱크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KR101389942B1 (ko)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및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KR101071981B1 (ko) 인체하중의 에너지만으로 대소변을 구분하여 변기 자동물내림이 가능한 변좌시트
KR101546066B1 (ko) 무전원 자동 물내림 일체형 양변기
JP6304383B2 (ja) 人体荷重のみで空気の排出及び吸入制御機能を備えた無電源自動洗浄水供給便座の調節部
KR101296342B1 (ko) 인체 하중의 에너지만으로 변기 자동물내림이 가능한 변좌시트
KR101487493B1 (ko)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의 대소변구분부
KR101296343B1 (ko) 직수형변기에 적용하는 인체 하중의 에너지만으로 변기 자동물내림이 가능한 변좌시트
JP6710860B2 (ja) 便座に着脱及び防水機能を備えた無電源自動洗浄装置のモジュール
CN108779632B (zh) 具有装卸及防水功能的水箱用无电源自动冲水坐便器座圈
KR101023764B1 (ko) 인체감지유닛을 이용한 후레쉬밸브 직수형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101647807B1 (ko) 탈부착 및 방수기능을 구비한 무전원 자동물내림 변좌시트의 대소변구분부
KR102060381B1 (ko) 물내림개폐부를 일체화한 후레쉬밸브용 무전원 자동물내림 모듈
KR102060382B1 (ko) 휴지버리는 시간을 대·소변에 따라 자동 제어하는 무전원 자동물내림 장치
KR20100045805A (ko) 인체감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101647808B1 (ko) 탈부착 및 방수기능을 구비한 후레쉬밸브용 무전원 자동물내림 변좌시트
KR101553350B1 (ko) 양변기의 자동배수장치
KR101282272B1 (ko) 변기 세척밸브
KR20170104892A (ko) 좌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
KR20140132595A (ko) 변기의 자동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