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2595A - 변기의 자동배수장치 - Google Patents

변기의 자동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2595A
KR20140132595A KR20130052003A KR20130052003A KR20140132595A KR 20140132595 A KR20140132595 A KR 20140132595A KR 20130052003 A KR20130052003 A KR 20130052003A KR 20130052003 A KR20130052003 A KR 20130052003A KR 20140132595 A KR20140132595 A KR 20140132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oilet
pipe
piston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2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문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쿼스
Priority to KR20130052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2595A/ko
Publication of KR20140132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5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2Arrangement of in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의 자동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지센서가 변기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를 감지하고 있다가 용변후 변기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지면 전자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수조의 배수구를 덮어주고 있던 배수덮개를 자동으로 열어주어 수조내에 담수되어 있는 물이 자동으로 변기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 변기의 자동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변기에 갖추어진 수조내에 수도전으로부터 연결되어 물이 급수되는 급수장치와, 수조의 바닥을 관통한 상태로 하여 오버플러워관이 연결된 배수관 및 상기 오버플러워관의 일측에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이를 중심으로 배수관을 개폐시켜 주는 배수덮개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배수덮개의 선단부 상면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끈의 타단이 배수장치와 연결되어 배수장치의 작동에 의해 연결끈으로 연결되어 있는 배수덮개를 열어주어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변기의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장치는 배수관과는 별도로 수조의 내부 바닥면에 위치하고, 상단부를 연결끈이 연결되도록 하여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작동하여 배수덮개를 열어줄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의 바닥면으로부터 연결되어 전자적인 신호에 의해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작동부재내로 급수와 단수를 수행하는 작동밸브와;
상기 변기의 일측 또는 변기가 설치되어 있는 주변의 벽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변기를 사용하는 사람을 감지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변기를 떠나면 변기의 사용이 완료된 것으로 인식하여 작동밸브를 작동시켜 수도전의 물이 작동부재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변기의 자동배수장치{AUTOMATIC FLUSHING APPARATUS IN WATER-CLOSET}
본 발명은 변기의 자동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지센서가 변기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를 감지하고 있다가 용변후 변기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지면 전자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수조의 배수구를 덮어주고 있던 배수덮개를 자동으로 열어주어 수조내에 담수되어 있는 물이 자동으로 변기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 변기의 자동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내에 대,소변을 보고난 이후에, 사용자가 직접 변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레버를 작동시켜 수조내의 바닥면에 갖추어져 있는 배수구를 차단시켜 주고 있는 배수덮개가 열리도록 하면, 수조내에 담수되어 있는 물이 개방된 배수구를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변기내에 있는 용변후의 대,소변을 깨끗히 세척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변기에 적용되어 있는 종래의 배수장치는 수조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작동레버를 사용자가 직접 작동시켜 배수관을 긴밀하게 덮어주고 있던 배수덮개를 열어주도록 하므로서, 수조내에 담수되어 있는 물이 배수관을 통해 배수가이루어지도록 되어있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수장치는 용변후 사용자가 직접 작동레버를 작동시켜주어야만 수조내에 담수되어 있는 물이 배수되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가 작동레버를 작동시켜 주기 않을 경우에는 변기내에 용변후의 대,소변이 그대로 남아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경우 다음의 사용자가 변기내에 있는 대,소변에 의해 역겨움을 느끼게 됨은 물론, 변기내에 잔류하고 있는 대,소변에 의해 청결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변기내에 대,소변이 그대로 있는 상태가 오래 지속될 경우에는 세균으로 인한 오염 및 질병이 발생될 우려가 있었던 것이며, 사용자가 직접 작동레버를 작동시켜 주어야 하는데, 많은 사람이 사용하게 되는 공공장소(휴게소, 관공서 등)의 화장실일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많은 사람이 화장실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사람마다 작동레버를 눌러주므로서, 상기 작동레버의 접촉에 의한 병균이 옮겨질 수도 있었던 것으로서, 사용자는 항상 이러한 우려를 갖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을 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시켜 주기 위해 최근에는 용변이 끝나게 되면 사용자가 직접 작동레버를 눌러주지 않아도 자동으로 배수덮개를 열어주어 수조내에 담수되어있는 물이 배수관을 통해 자동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변기를 항상 청결하고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동배수장치가 소개된바 있다.
상기와 같은 자동배수장치는 여러가지의 기술적 구성이 소개된 바 있으나, 이들은 모두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있어 제작단가가 높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오동작이 발생되어 정확한 배수작동을 수행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감지센서가 변기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를 감지하고 있다가 용변후 변기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지면 전자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수조의 배수구를 덮어주고 있던 배수덮개를 자동으로 열어주어 수조내에 담수되어 있는 물이 자동으로 변기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제작하여 제작단가를 낮추어 줌은 물론, 오동작이 없이 정확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변기에 갖추어진 수조내에 수도전으로부터 연결되어 물이 급수되는 급수장치와, 수조의 바닥을 관통한 상태로 하여 오버플러워관이 연결된 배수관 및 상기 오버플러워관의 일측에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이를 중심으로 배수관을 개폐시켜 주는 배수덮개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배수덮개의 선단부 상면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끈의 타단이 배수장치와 연결되어 배수장치의 작동에 의해 연결끈으로 연결되어 있는 배수덮개를 열어주어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변기의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장치는 배수관과는 별도로 수조의 내부 바닥면에 위치하고, 상단부를 연결끈이 연결되도록 하여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작동하여 배수덮개를 열어줄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의 바닥면으로부터 연결되어 전자적인 신호에 의해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작동부재내로 급수와 단수를 수행하는 작동밸브와;
상기 변기의 일측 또는 변기가 설치되어 있는 주변의 벽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변기를 사용하는 사람을 감지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변기를 떠나면 변기의 사용이 완료된 것으로 인식하여 작동밸브를 작동시켜 수도전의 물이 작동부재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는 수도전과 연결되어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관을 갖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하여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상,하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상면 중앙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피스톤축의 상단부에는 연결끈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레버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단부는 실린더 상면에 탄지되고, 하단부는 피스톤에 탄지되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되었던 피스톤이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피스톤의 일측에 오리피스공을 갖추고, 상기 오리피스공의 일측의 피스톤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실린더내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오리피스공을 차단시켜 주고, 물의 유입이 차단되면 자체의 무게에 의해 떨어져 오리피스공을 열어줄 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오리피스공의 일측에 갖추어진 관통공에 끼워져 상,하로 작동하는 작동축의 하단부에 실린더내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상승하여 오리피스공을 차단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차단판을 갖추어 주며, 상기 작동축의 상단에는 실린더내로 유입되던 물의 유입이 차단될 경우 자체의 무게에 의해 차단판을 하강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무게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감지센서가 변기를 사용하는 사람을 감지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변기를 떠나게 되면 변기의 사용이 완료된 것으로 인식하여 작동밸브를 작동시켜 수도전으로부터 직수되는 물이 배수장치의 실린더내로 유입되어 수압에 의해 탄성부에 의해 탄지되어 있는 피스톤을 상승시켜 배수관을 차단시켜 주고 있던 배수덮개를 열어주어 수조내에 담수되어 있던 물을 배수시켜 주므로서, 변기내에 용변을 깨끗이 세척함과 동시에 배수시켜 줄 수 있도록 하고, 실린더내로 유입되는 물의 유입을 차단시켜 주게 되면 물의 수압이 떨어져 탄성부를 압축시키면서 상승되어 있던 피스톤이 탄성부의 원상 복귀력에 의해 하부로 밀려 내려오면서 배수덮개를 잡아 당겨주었던 연결끈을 느슨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수조내에 담수되어 있던 물의 배수가 완료되면 배수된 물의 수위에 의해 열려 있는 배수덮개가 회동하여 배수관을 덮어주도록 하므로서, 사용자는 용변후 변기내의 용변을 배수시켜 주기 하여 배수버튼을 작동시켜 주지않아도 되는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배수버튼을 작동시켜 주지 않아도 자동으로 수조내의 물이 배수되어 변기의 용변을 깨끗이 세척 및 배수시켜 주므로서, 항상 청결함을 유지시켜 줄 수 있게 되는 효과 가 있는 것이다.
또한, 수조내에 위치하여 배수덮개를 열어줄 수 있는 배수장치가 단순히 실린더내에서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피스톤을 상승시켜 이의 상승 높이에 따라 배수덮개를 열어주고, 상기 배수덮개가 열리게 되면 탄성부의 탄성압력에 의해 피스톤을 하향시켜 주도록 하는 단순한 작동에 의해 배수 및 차단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어 그 구조가 단순하여 오동작이 없이 정확한 작동에 의해 배수 및 차단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된 상태를 보인 변기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로서,
도2a는 수조내에 물이 담수된 상태도.
도2b는 수조내에 담수된 물이 배수되는 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중 요부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단면도로서,
도3a는 실린더내로 물이 유입되지 않는 상태도.
도3b는 수조내의 물을 배수시켜 주기 위해 실린더내로 물이 유입되는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변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확대단면도로서, 양변기(100)는 상면에 시트(210)와 뚜껑(220)이 덮여있는 변기본체(200)와, 상기 변기본체의 후면 상단에 수도전으로 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300)가 갖추어진다.
상기 수조(300)의 내측에는 수도전과 연결되어 물이 급수될 수 있는 급수장치(400)가 갖추어지는데, 급수장치는 수조내에 위치하여 수도전으로부터 물이 급수될 수 있는 급수관(410)과, 상기 급수관으로부터 연결된 작동레버(420)의 선단에는 물의 수위에 따라 부상하게 되는 부구(430)가 갖추어져 있다.
상기 급수장치(400)는 수조(300)내에 물이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부구(430)가 하부에 위치하여 급수관(410)을 열어주어 수도전으로부터 급수관을 통해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급수가 이루어지는 물이 수조내에 담수가 되는데, 이때 담수되는 물의 수위에 따라 부구(430)가 부상하게 되는 것이며, 담수되는 물의 수위가 일정한 수위가 되면 작동레버(420)의 끝단부분이 급수관(420)을 차단시켜 물의급수를 차단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급수장치(400)는 이미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 구성으로서, 그 구체적인 기술구성과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수조(300)의 일측 바닥면에는 변기본체(200)와 연결되어 물이 변기본체내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배수관(500)을 갖추게 되는데, 상기 배수관 일측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오버플러우관(510)을 갖추어 급수장치의 고장으로 인해 물이 지속적으로 급수가 이루어질 경우 상기 오버플러우관(510)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물이 수조(300)로 넘쳐 흐르는 일이 없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오버플러우관(510)의 하단측에 힌지축(610)을 기점으로 하여 회동되면서 배수관(500)을 개폐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배수덮개(600)를 갖추어준다.
또한, 상기 수조(300)내의 일측에 배수덮개(600)와 연결끈(620)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 상태에서 배수덮개를 개페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배수장치(700)를 갖추게된다.
상기 배수장치(700)는 배수관(500)의 일측이 되는 수조(300)의 내부 바닥면에 위치하고, 상단부에 갖추어진 레버(714)에 연결끈(620)이 연결되도록 한 상태에서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작동하여 배수덮개(500)를 열어줄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재(710)와, 상기 작동부재의 바닥면으로부터 연결되어 전자적인 신호에 의해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작동부재내로 급수와 단수를 수행하는 작동밸브(720), 그리고 변기의 일측 또는 변기가 설치되어 있는 주변의 벽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변기의 일정거리내에 있는 사람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센서(7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부재(710)는 수도전과 연결되어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관(711a)을 갖춘 실린더(711)를 갖추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하여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상,하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피스톤(712)을 갖추며, 상기 피스톤의 상면 중앙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피스톤축(713)의 상단부에는 연결끈(62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레버(714)를 갖추고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단부는 실린더 상면에 탄지되고, 하단부는 피스톤에 탄지되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되었던 피스톤(712)이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715)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712)의 일측에 오리피스공(712a)을 갖추고, 상기 오리피스공의 일측의 피스톤을 관통하는 관통공(712b)을 관통한 상태에서 실린더내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오리피스공을 차단시켜 주고, 물의 유입이 차단되면 자체의 무게에 의해 떨어져 오리피스공을 열어줄 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716)를 갖추게 되는데, 상기 개폐부는 관통공을 관통한 상태로 하여 상,하로 작동하는 작동축(716a)의 하단부에 오리피스공을 개폐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차단판(716b)을 갖추어 주며, 상기 작동축의 상단에는 무게추(716c)를 갖추어 준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발명은 급수장치(400)를 통해 수조(300)내부에 물이 급수되면 급수되는 물의 수위에 따라 부구(430)이 부상하다가 수조내에 담수되는 물의 일정 수위가 되면 작동레버(420)에 의해 급수장치(400)를 차단시켜 물이 더이상 수조(300)내로 급수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급수장치의 이상으로 인해 게속해서 물이 수조(300)내로 급수가 이루어질 경우에는 급수되는 물은 오버플러우관(510)을 통해 배수관(500)을 거쳐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어 수조내로 물이 넘치는 일이 없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수덮개(600)는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관(500)을 긴밀히 차단시켜 주고 있는 상태에 있는 것이며, 작동부재(710)인 실린더(711)내에 위치하고 있는 피스톤(712)은 탄성부(715)의 탄성력에 의해 도 2a 및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게 되는데, 상기 피스톤(712)에 갖추어져 있는 개폐부(716) 즉, 작동축(716a)은 무게추(716c)에 의해 하부로 이동한 상태에 있으므로서,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판(716b)이 오리피스공(712a)으로부터 떨어진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람이 변기(200)를 사용하기 위하여 변기에 앉게 되면, 이를 감지센서(730)가 감지하여 변기가 사용되고 있음을 인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용변이 끝나게 되면 변기로부터 떨어지게 되는데, 감지센서(730)로부터 감지되어 있던 사람이 감지되지 않게 되면, 변기의 사용이 끝나것으로 인식하여 작동밸브(720)의 작동으로 인해 수도전으로부터 물이 실린더(711)의 입수관(711a)을 통해 실린더 하부로 유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실린더(711) 하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면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탄성부(715)에 의해 탄지되어 있던 피스톤(712)이 상승을 하게 되는 것이고, 지속적으로 물이 유입되면 피스톤(712)이 상승을 수행함과 동시에 유입되는 수압에 의해 차단판(716b)이 상부로 밀려 올라가 오리피스공(712a)을 차단시켜 준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로 하여 지속적인 물의 유입으로 인해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715)를 압축하면서 피스톤(712)이 일정 높이로 상승하게 되면 상기피스톤의 피스톤축(713) 상단부에 갖추어져 있는 레버(714) 또한 함께 상승을 하게 되므로서, 상기 레버(714)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끈(620)의 당김에 의해 배수관(500)을 덮어주고 있던 배수덮개(600)가 힌지축(610)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면서 열리게 됨으로서, 수조(300)내에 담수되어 있던 물이 배수관(500)을 통해 빠져나가 변기내로 유입되면서 수압에 의해 변기내에 있는 용변을 깨끗히 세척 배수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이때, 작동밸브(720)는 실린더(711)내로 유입되는 피스톤(712)이 상승하여 배수덮개(600)가 열릴 수 있을 정도의 짧은 시간동안만 작동하면 되는 것으로서, 실험에 의해 배수덮개가 열릴 수 있는 설정시간(약 3~5초 정도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이 되면 자동으로 차단시켜 실린더(711)내로 물의 유입을 차단시켜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피스톤의 상승으로 인해 배수덮개(600)가 열려 배수관(500)을 통해 수조(300)내의 물이 배수되는 상태에서 작동밸브(720)의 작동이 차단되면 실린더(711)내로 유입되던 물의 유입 압력이 없어지게 됨에 따라 탄성부(715)를 강제 압축시켜 주면서 상승하던 피스톤(712)이 탄성부의 원상복귀 하려는 자체의 탄성 압력에 의해 하부로 밀려 내려오려는 힘이 발생됨과 아울러, 피스톤(712) 하단측에 위치하고 있는 실린더(711)내에 유입되는 물의 수압이 떨어지게 되면, 무게추(716c)가 자체의 무게에 의해 하부로 떨어지므로 인해 차단판(712b)도 하부로 떨어지므로서, 오리피스공(712a)이 개방되고 피스톤(712)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물은 오리피스공(712a)을 통해 상부로 빠져나감에 따라 피스톤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물의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상승하였던 피스톤(712)은 도 2a 및 도 3a와 같이 하부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피스톤이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피스톤축(713)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레버(714)도 함께 하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배수관(500)을 개방시켜 주고 있는 배수덮개(600)는 수조(300)내에 담수되어 있던 물의 내부에 잠겨져 있는 상태에서 열려있는 상태에 있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수조(300)내에 담수되어 있는 물은 배수관(500)을 통해 지속적으로 배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로 배수가 이루어지던 물의 수위가 열려져 있는 배수덮개(600)의 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이때부터 열려진 배수덮개(600)는 배수되는 물의 수위에 따라 서서히 닫히게 되어 최종적으로 배수덮개(600)가 배수관(500)을 차단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배수덮개(600)가 배수관(500)을 덮어주게 되면 이때부터는 급수장치로부터 급수가 이루어지는 물은 수조(300)내에 담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담수 되는 물의 수위에 따라 부구(430)가 부상하다가 일정한 수위가 되면 급수장치의 급수를 차단시켜 수조(300)내에 물이 담수 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가 다른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하게 되면 감지센서(730)가 이를 감지하고 있다가 변기의 사용이 완료되면 전자와 동일한 수단에 의해 수조내의 물을 자동으로 배수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300:수조 500:배수관
600:배수덮개 700:배수장치
710:배수부재 711:실린더
712:피스톤 712a:오리피스공
714:레버 715:탄성부
716:개폐부 716a:작동축
716b:차단판 712c:무게추
720:작동밸브 730:감지센서

Claims (4)

  1. 변기에 갖추어진 수조내에 수도전으로부터 연결되어 물이 급수되는 급수장치와, 수조의 바닥을 관통한 상태로 하여 오버플러워관이 연결된 배수관 및 상기 오버플러워관의 일측에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이를 중심으로 배수관을 개폐시켜 주는 배수덮개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배수덮개의 선단부 상면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끈의 타단이 배수장치와 연결되어 배수장치의 작동에 의해 연결끈으로 연결되어 있는 배수덮개를 열어주어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변기의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장치는 배수관과는 별도로 수조의 내부 바닥면에 위치하고, 상단부를 연결끈이 연결되도록 하여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작동하여 배수덮개를 열어줄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의 바닥면으로부터 연결되어 전자적인 신호에 의해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작동부재내로 급수와 단수를 수행하는 작동밸브와;
    상기 변기의 일측 또는 변기가 설치되어 있는 주변의 벽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변기를 사용하는 사람을 감지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변기를 떠나면 변기의 사용이 완료된 것으로 인식하여 작동밸브를 작동시켜 수도전의 물이 작동부재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자동배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수도전과 연결되어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관을 갖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하여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상,하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상면 중앙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피스톤축의 상단부에는 연결끈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레버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단부는 실린더 상면에 탄지되고, 하단부는 피스톤에 탄지되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되었던 피스톤이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자동배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일측에 오리피스공을 갖추고, 상기 오리피스공의 일측의 피스톤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실린더내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오리피스공을 차단시켜 주고, 물의 유입이 차단되면 자체의 무게에 의해 떨어져 오리피스공을 열어줄 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자동배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오리피스공의 일측에 갖추어진 관통공에 끼워져 상,하로 작동하는 작동축의 하단부에 실린더내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상승하여 오리피스공을 차단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차단판을 갖추어 주며, 상기 작동축의 상단에는 실린더내로 유입되던 물의 유입이 차단될 경우 자체의 무게에 의해 차단판을 하강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무게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자동배수장치.
KR20130052003A 2013-05-08 2013-05-08 변기의 자동배수장치 KR201401325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2003A KR20140132595A (ko) 2013-05-08 2013-05-08 변기의 자동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2003A KR20140132595A (ko) 2013-05-08 2013-05-08 변기의 자동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595A true KR20140132595A (ko) 2014-11-18

Family

ID=52453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2003A KR20140132595A (ko) 2013-05-08 2013-05-08 변기의 자동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25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42897A (zh) * 2019-04-17 2019-07-23 福建省博亿水暖科技有限公司 感应式自动冲水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42897A (zh) * 2019-04-17 2019-07-23 福建省博亿水暖科技有限公司 感应式自动冲水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6652B1 (ko)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기능이 부가된 비데
KR100735881B1 (ko) 비데로의 물공급을 안내하는 물공급장치가 구비된후레쉬밸브 직수형 변기의 자동 물내림 시스템
KR100850265B1 (ko) 후레쉬밸브 직수형 변기의 용변 사용자 하중을 이용한무전력 대.소변 배수기능이 구비된 자동 물내림 시스템
KR20130109076A (ko)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및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KR101023764B1 (ko) 인체감지유닛을 이용한 후레쉬밸브 직수형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20150046978A (ko) 양변기 물 내림 장치
KR20140132595A (ko) 변기의 자동배수장치
KR20170109111A (ko) 변기의 자동배수장치
KR101427304B1 (ko) 좌변기의 공기압식 자동물내림장치
KR20090101021A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물을 무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로제어장치
KR101460508B1 (ko) 절수형 양변기
JP2010511810A (ja) 便器用直水型自動フラッシング装置
KR200439595Y1 (ko)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기능이 부가된 비데
KR100986216B1 (ko) 양변기 급수제어밸브의 수로전환장치
KR100775609B1 (ko) 저수압에서도 작동 가능한 자동물내림장치의 실린더구조
KR100882947B1 (ko) 자동물내림 비데의 실린더 압력 개폐장치
KR101020102B1 (ko)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20150022496A (ko) 변기의 자동배수장치
KR20120105998A (ko) 자동 양변기
KR20120070876A (ko) 양변기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KR101221835B1 (ko) 자동물내림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KR200441830Y1 (ko)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기능이 부가된 비데
KR101789263B1 (ko) 양변기의 절수 및 자동배수장치
KR200211470Y1 (ko) 양변기 절수장치
KR200437206Y1 (ko) 자동물내림장치의 실린더로 물공급을 안내하는 필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201

Effective date: 201502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