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830Y1 -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기능이 부가된 비데 - Google Patents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기능이 부가된 비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830Y1
KR200441830Y1 KR2020070006678U KR20070006678U KR200441830Y1 KR 200441830 Y1 KR200441830 Y1 KR 200441830Y1 KR 2020070006678 U KR2020070006678 U KR 2020070006678U KR 20070006678 U KR20070006678 U KR 20070006678U KR 200441830 Y1 KR200441830 Y1 KR 2004418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idet
supplied
water tank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6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동물내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동물내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동물내림
Priority to KR20200700066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8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8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8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24Low-level flush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04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with valves with own buoyancy
    • E03D1/306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with valves with own buoyancy with articulated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8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flushing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2Automatic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2001/147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having provisions for active interruption of flu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소변에 따라 설정된 세정수를 배수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수도전으로부터 비데의 물통으로 이동되는 물을 작동부로 공급 및 작동부로 공급된 물을 역배수시킬 수 있도록 물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밸브와;
상기 밸브의 개방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으로 일정거리 상승하면서 수조의 배출구가 개방되도록 사이폰덮개를 상승시키는 작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 기능이 부가된 비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을 구성함으로써, 수도전으로부터 비데의 물통으로 이동되는 물을 작동부로 공급받고, 작동부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으로 사이폰덮개를 상승시키므로 수조내에 전기가 들어가지 않아 감전의 위험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부품의 간소화로 유지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사이폰덮개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작동부가 오버플로우어관의 어느 위치 즉, 수조에 저장된 물속에도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위치에 제한이 없으므로 설치 호환성을 물론 설치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어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전기를 이용한 모터방식이 아니고 수도전으로부터 비데의 물통으로 이동되는 물을 공급받은 물의 수압을 이용함으로써 장기적인 사용에도 불구하고 고장률을 절감시킬 수 있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수도전으로부터 비데의 물통으로 이동되는 물을 공급받은 물의 수압으로 작동부에 의해 사이폰덮개의 개폐시간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대.소변에 설정된 물을 배수시킴으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밸브의 작동시간으로 대.소변에 대응하는 물을 배출시켜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비데, 자동 물내림,

Description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 기능이 부가된 비데{bidet with the function of automatic water dropping using of water pressure which is supplied to the baths of toilet bowls}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구성도
도 5a 내지 도 5g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어부 110: 착좌감지센서
200': 밸브 300": 작동부
340: 사이폰덮개연결부 350: 클램프
370: 호스 380: 승하강작동부
본 고안은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용변 후, 수도전으로부터 비데의 물통으로 이동되는 물을 공급받은 물의 수압으로 사이폰덮개를 자동으로 상승시킴과 동시에 수조의 배출구을 개방시키고, 개방된 배출구로 수조에 저장된 물이 배수되어 용변을 세척하는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 기능이 부가된 비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변을 보고난 후, 변기본체의 내부에 위치한 용변의 세척은, 사용자가 가압하는 수동레버에 의해 사이폰덮개가 오버플로우어관의 축을 중심으로 상부로 회전하면서 배출구을 개방하고, 개방된 배출구로 수조에 저장된 물이 배수되면서 변기본체에 위치한 용변을 정화조로 배출하는 세척을 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용변 후,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수동레버에 의해 대변과 소변에 관계없이 수조에 저장된 물을 모두 배수하여 변기본체의 내부에 위치한 용변을 세척하였으나, 이는 소변시에도 대변과 동일한 량의 물을 배수시켜야 하므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건 출원인은, 2002년 특허 제17445호로 출원하여 특허 제464635호로 등록받은 좌변기의 자동 절수장치와, 2003년 특허 제69221호로 출원하여 특허 제430047호로 등록받은 자동절수 시스템이 구비된 양변기 및 2005년 특허 제92567로 출원한 절수기능이 구비된 변기/비데의 자동물내림 장치 및 방법 등 다수의 특허를 고안하고, 실용신안을 고안한 바 있다.
선 등록된 특허와 선 출원된 특허는 사용자 감지시간으로 판단된 대.소변에 따라 모터를 회전시켜 대.소변에 대응하는 물을 배수하여 대.소변을 세척하므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나, 배출구을 개방시키도록 사이폰덮개를 상부로 회전시키는 모터는 반드시 수면위 즉, 오버플로우어관의 상단부에 설치해야 하는데, 이는 오버플로우어관의 높이 및 오버플로우어관에 모터를 고정시키는 방법, 수조의 크기에 따라 부품이 호환되지 않으면서 부품의 설치가 어려워 작업능률이 떨어지며, 이로 인해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인건비의 상승에 따른 경제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모터로 유입되는 물의 습기를 차단하기 위해 다양한 방수 방법을 개선해 가고 있는 실정이지만, 상기 모터로 유입되는 습기를 100% 차단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모터 내.외부의 온도차에 따라 발생하는 결로현상 즉, 습기에 의해 모터가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없게 됨과 아울러 모터의 손상 및 잦은 고장으로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목적은, 수도전으로부터 비데의 물통으로 이동되는 물을 공급받은 물의 수압으로 사이폰덮개가 상승 및 하강하면서 수조의 배출구을 개폐시키는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 기능이 부가된 비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이폰덮개의 상승 및 하강을 물의 수압으로 안내하는 작동부가 수조의 물에 잠긴 상태에서도 작동이 가능하므로 오버플로우어관의 설치위치에 제한이 없어 설치시간의 단축 및 호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를 사용하는 모터가 수조 내부에 들어가지 않음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 기능이 부가된 비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수도전으로부터 비데의 물통으로 이동되는 물을 공급받은 물의 수압으로 작동부에 의해 사이폰덮개의 개폐시간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대.소변에 설정된 물을 배수시킴으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밸브의 작동시간으로 대.소변에 대응하는 물을 배출시켜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 기능이 부가된 비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대.소변에 따라 설정된 세정수를 배수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수도전으로부터 비데의 물통으로 이동되는 물을 작동부로 공급 및 작동부로 공급된 물을 역배수시킬 수 있도록 물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밸브와;
상기 밸브의 개방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으로 일정거리 상승하면서 수조의 배출구가 개방되도록 사이폰덮개를 상승시키는 작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대.소변에 따라 설정된 세정수를 배수시키는 제어부(100)가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수도전으로부터 비데(20)의 물통(22)으로 이동되는 물을 작동부(300)로 공급 및 작동부(300)로 공급된 물을 역배수시킬 수 있도록 물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밸브(200')가 구성되며, 상기 밸브(200')의 개방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으로 일정거리 상승하면서 수조(10)의 배출구(11)가 개방되도록 사이폰덮개(13)를 상승시키는 작동부(300")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밸브(200')는, 상기 작동부(300")로 공급된 물이 역배수되도록 배수 관(220')이 형성된 삼방향 밸브로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300")는, 상기 비데(20)의 물통(22)과 연결된 밸브(200')에 연결되어 수도전으로부터 비데(20)의 물통(22)으로 이동되는 물을 비데(20)의 물통(22)과 다른 방향의 승하강작동부(380)로 공급하는 호스(370)가 구성되고, 상기 호스(370)로 공급되는 물의 압력으로 작동로드(382)가 일정높이 상승하며, 물의 압력이 해제되면 작동로드(382)가 원위치로 하강하도록 구비된 승하강작동부(380)가 구성되며, 상기 승하강작동부(380)의 작동로드(382)와 사이폰덮개(13)를 연결하여 작동로드(382) 상승 및 하강에 따라 사이폰덮개(13)를 상승 및 하강시키면서 수조(10)의 배출구(11)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사이폰덮개연결부(340)가 구성되고, 상기 승하강작동부(380)의 일측에 형합되어 오버플로우어관(12)의 외주면에 면접촉되도록 탄력있게 장착하는 클램프(350)로 구성된다.
상기 승하강작동부(380)는, 상기 작동로드(283)가 승하강하도록 장착되는 몸체의 하단부에 호스(370)가 결합되어 호스(370)로 공급되는 물의 유입 및 배출을 안내하는 유입공(381')이 관통되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클램프(350)에 장착된 장착부재(351)의 장착홈(351a)이 형합되는 착탈안내돌기(321a)가 형성되며, 상단부에 상단부에 걸림홈(321d)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실린더(381)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381) 유입공(381') 상부에 위치하도록 실링부재(322')가 장착되어 실린더(381)를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작동로드(382)가 구비되며, 상기 작동로드(382)의 하강을 안내하는 탄성부재(323)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323)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작동로드(382)의 상승 및 하강을 안내하도록 실린더(381) 걸림홈(321d)에 걸림돌기(324')가 결합되는 고정지지구(324)로 구비된다.
상기 사이폰덮개연결부(340)는, 상기 승하강작동부(380)의 고정지지구(324)에 장착되어 당김끈(14)의 단부를 지지부재(341')에서 결합하는 당김끈고정구(341)가 구비되고, 상기 당김끈고정구(341) 상면에 밀착되어 당김끈(14)의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기어(342a)가 장착된 이동안내부재(342)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안내부재(342)를 작동로드(382)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343)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클램프(350) 일측에 장착되어 승하강작동부(380)의 착탈안내돌기(321a)에 장착되도록 장착홈(351a)이 형성되는 장착부재(351)가 구비되고, 상기 클램프(350)의 흘러내림과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오버플로우어관(12)의 외주면에 박혀 고정되는 뾰족한 돌기(350a)가 클램프(350) 내주면에 돌출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시트(S)에 앉는 사용자의 하중 또는 인체를 착좌감지센서(110)에서 감지하여 사용자의 용변을 판단하나, 상기 착좌감지센서(110)에서 일정시간(예를 들어 6초) 이상 지속적으로 감지할 경우에 한하여 사용자가 용변을 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사용자의 용변 후, 착좌감지센서(110)에서 사용자가 이탈하여 사용자를 감지하지 못하면, 착좌감지센서(110)에서 감지한 사용자 감지시간으로 사용자의 대.소변을 판단하고, 판단된 대.소변을 세척할 수 있도록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밸브(200')를 회전시켜 작동부(300")와 연통되도록 한 후, 연통된 밸브(200')를 통해 수도전으로부터 비데(20)의 물통(22)으로 이동되는 물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300")로 공급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밸브(200')는, 수도전으로부터 비데(20)의 물통(22)으로 이동되는 물을 작동부(300")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이 인가되면 개방하고, 전원이 차단되면 폐쇄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밸브(200')에는 작동부(300")로 공급된 물이 배수되도록 배수관(220')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작동부(300")로 유입되는 물은, 도 5b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370)를 경유하여 승하강작동부(380)의 유입공(381')을 통해 실린더(381)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실린더(381)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으로 작동로드(382)에 장착된 실링부재(322')를 가압하며, 상기 실링부재(322')를 가압하는 물의 수압 즉, 압력으로 작동로드(382)는 탄성부재(323)를 압축시키면서 실린더(381)의 내면을 따라 상부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승하강작동부(380)의 실린더(381) 상면에 고정지지구(324)로 고정된 당김끈고정구(341)의 지지부재(341')가 당김끈(14)의 일측을 수용하여 고정하고 있으므로, 상기 작동로드(382)에 고정볼트(343)로 고정된 이동안내부재(342)가 작동로드(382)와 같이 상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당김끈고정구(341)의 지지부재(341')에 단부가 고정된 당김끈(14)이 이동안내부재(342)의 롤러기어(342a)를 회전시키면서 상부로 이동하므로 당김끈(14)의 이동거리는 작동로드(382)의 상부 이동거리보다 2배 정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당김끈(14)이 상승함에 따라 당김끈(14)의 타측이 고정된 사이폰덮 개(13)는, 오버플로우어관(12)의 축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여 사이폰덮개(13)를 상승시키면서 수조(10)의 배출구(11)를 개방시키고, 개방된 배출구(11)로 수조(10)에 저장된 물이 배수되어 변기본체에 위치한 용변을 세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조(10)에 저장된 물의 완전배수시간이 8초라고 가정할 경우, 물의 배수시간이 6초가량 경과하면,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밸브(200')를 폐쇄시킨다.
상기 밸브(200')가 폐쇄되어 수도전으로부터 비데(20)의 물통(22)으로 물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 도 5e 내지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200')의 배수관(220')이 개방되면, 작동부(300")의 호스(370)로 공급된 물이 배수관(220')을 통해 변기본체로 배출됨과 동시에 실린더(381)에 내장된 물 또한 유입공(381')과 호스(370)를 경유하여 수조(10) 내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밸브(200')가 폐쇄되어 수도전으로부터 비데(20)의 물통(22)으로 이동되는 물이 작동부(300")로 공급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승하강작동부(380)의 실린더(381) 내부로 공급된 물을 수조(10) 내부로 배출시키는 다른 실시예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381)의 하단부에 물배출공(383)을 관통시킬 수 있으며, 상기 물배출공(383)의 체결안내공(383')에 배출양조절부재(384)를 회전가능하게 체결하여 수조(10)로 내부로 물을 배출하는 물배출공(383)의 개방면적에 따라 작동부(300")의 작동로드(382) 하강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로드(382)의 하강시간을 단축시키려면, 작동로드(382)의 중량을 늘릴 수 있도록 중량부(32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중량부(325)는 작동로드(322)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325a)에 중량부재(325b)를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중량부재(325b)는 물보다 비중이 높은 물질로 부식되지 않는 금속, 석재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부(325)가 포함된 작동로드(382)는 중량부(325)에서 증가된 무게만큼 실린더(381)의 하부로 빠르게 하강함과 동시에 작동로드(382)에 고정된 이동안내부재(342) 또한 작동로드(382)를 따라 빠르게 하강하면서 롤러기어(342a)에 맞물린 당김끈(14)이 사이폰덮개(13)의 지지력을 상실하게 된다.
상기 당김끈(14)의 지지력이 상실된 사이폰덮개(13)는, 오버플로우어관(12)의 축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전하면서 수조(10)의 배출구(11)를 폐쇄시키며, 상기 배출구(11)가 폐쇄된 상태에서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수조(10)에 저장하는데, 상기 수조(10)에서 배수된 물의 양만큼 수도전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수조(10)에 저장한 후,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에서 판단된 대.소변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물을 배수시키려면,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밸브(200')의 개방시간을 조절하면서 작동부(300")의 작동에 따라 수조(10)에 저장된 물을 변기본체로 배수시켜 용변을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변에 대응하는 물을 배수시키기 위해 오버플로우어관(12)의 축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는 사이폰덮개(13)의 중량을 가중시키도록 무게추(M)를 사이폰덮개(13)에 장착할 수 있으며, 상기 밸브(200')가 폐쇄되면, 수조(10)에 저장된 물이 완전배수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이폰덮개(13)에 장착된 무게추(M)의 무게에 의해 사이폰덮개(13)가 하향으로 회전하여 배출구(11)를 폐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무게추(M)가 장착된 사이폰덮개(13)는, 밸브(200')의 개방시간(예를 들어 대변일 경우는 8초, 소변일 경우는 4초)으로 대.소변에 대응하는 물을 용이하게 배수시키면서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수도전으로부터 비데의 물통으로 이동되는 물을 작동부로 공급받고, 작동부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으로 사이폰덮개를 상승시키므로 수조내에 전기가 들어가지 않아 감전의 위험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부품의 간소화로 유지관리가 간편한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사이폰덮개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작동부가 오버플로우어관의 어느 위치 즉, 수조에 저장된 물속에도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위치에 제한이 없으므로 설치 호환성을 물론 설치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어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전기를 이용한 모터방식이 아니고 수도전으로부터 비데의 물통으로 이동되는 물을 공급받은 물의 수압을 이용함으로써 장기적인 사용에도 불구하고 고장률을 절감시킬 수 있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수도전으로부터 비데의 물통으로 이동되는 물을 공급받은 물의 수압으로 작동부에 의해 사이폰덮개의 개폐시간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대.소변에 설정된 물을 배수시킴으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밸브의 작동시간으로 대.소변에 대응하는 물을 배출시켜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삭제

Claims (10)

  1. 대.소변에 따라 설정된 세정수를 배수시키는 제어부(100)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수도전으로부터 비데(20)의 물통(22)으로 이동되는 물을 작동부(300)로 공급 및 작동부(300)로 공급된 물을 역배수시킬 수 있도록 물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밸브(200')와;
    상기 밸브(200')의 개방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으로 일정거리 상승하면서 수조(10)의 배출구(11)가 개방되도록 사이폰덮개(13)를 상승시키는 작동부(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 기능이 부가된 비데.
  2. 제1항에 있어서, 밸브(200')는,
    상기 작동부(300")로 공급된 물이 역배수되도록 배수관(220')이 형성된 삼방향 밸브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 기능이 부가된 비데.
  3. 제1항에 있어서, 작동부(300")는,
    상기 비데(20)의 물통(22)과 연결된 밸브(200')에 연결되어 수도전으로부터 비데(20)의 물통(22)으로 이동되는 물을 비데(20)의 물통(22)과 다른 방향의 승하강작동부(380)로 공급하는 호스(370)와;
    상기 호스(370)로 공급되는 물의 압력으로 작동로드(382)가 일정높이 상승하며, 물의 압력이 해제되면 작동로드(382)가 원위치로 하강하도록 구비된 승하강작동부(380)와;
    상기 승하강작동부(380)의 작동로드(382)와 사이폰덮개(13)를 연결하여 작동로드(382) 상승 및 하강에 따라 사이폰덮개(13)를 상승 및 하강시키면서 수조(10)의 배출구(11)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사이폰덮개연결부(340)와;
    상기 승하강작동부(380)의 일측에 형합되어 오버플로우어관(12)의 외주면에 면접촉되도록 탄력있게 장착하는 클램프(35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 기능이 부가된 비데.
  4. 제3항에 있어서, 승하강작동부(380)는,
    상기 작동로드(283)가 승하강하도록 장착되는 몸체의 하단부에 호스(370)가 결합되어 호스(370)로 공급되는 물의 유입 및 배출을 안내하는 유입공(381')이 관통되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클램프(350)에 장착된 장착부재(351)의 장착홈(351a)이 형합되는 착탈안내돌기(321a)가 형성되며, 상단부에 상단부에 걸림홈(321d)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실린더(381)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381) 유입공(381') 상부에 위치하도록 실링부재(322')가 장착되어 실린더(381)를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작동로드(382)가 구비되며, 상기 작동로드(382)의 하강을 안내하는 탄성부재(323)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323)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작동로드(382)의 상승 및 하강을 안내하도록 실린더(381) 걸림홈(321d)에 걸림돌기(324')가 결합되는 고정지지구(324)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 기능이 부가된 비데.
  5. 제3항에 있어서, 사이폰덮개연결부(340)는,
    상기 승하강작동부(380)의 고정지지구(324)에 장착되어 당김끈(14)의 단부를 지지부재(341')에서 결합하는 당김끈고정구(341)가 구비되고, 상기 당김끈고정구(341) 상면에 밀착되어 당김끈(14)의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기어(342a)가 장착된 이동안내부재(342)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안내부재(342)를 작동로드(382)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343)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 기능이 부가된 비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350) 일측에 장착되어 승하강작동부(380)의 착탈안내돌기(321a)에 장착되도록 장착홈(351a)이 형성되는 장착부재(351)가 구비되고, 상기 클램프(350)의 흘러내림과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오버플로우어관(12)의 외주면에 박혀 고정되는 뾰족한 돌기(350a)가 클램프(350) 내주면에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 기능이 부가된 비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381) 하단부에 호스(370)로 공급된 물을 수조(10) 내부로 배출시키도록 관통되는 물배출공(383)을 포함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 기능이 부가된 비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배출공(383)의 체결안내공(383')에 회전가능하게 체결하여 수조(10) 내부로 물을 배출하는 물배출공(383)의 개방면적에 따라 작동부(300")의 하강속도를 조절하는 배출양조절부재(38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 기능이 부가된 비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200')의 개방시간을 조절하여 대.소변에 대응하는 물이 작동부(300")의 작동에 따라 배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수조로 공 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 기능이 부가된 비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폰덮개(13)가 상승하여 개방한 수조(10)의 배출구(11)를 용이하게 폐쇄시키도록 사이폰덮개(13)에 장착되는 무게추(M)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 기능이 부가된 비데.
KR2020070006678U 2007-04-23 2007-04-23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기능이 부가된 비데 KR2004418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678U KR200441830Y1 (ko) 2007-04-23 2007-04-23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기능이 부가된 비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678U KR200441830Y1 (ko) 2007-04-23 2007-04-23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기능이 부가된 비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830Y1 true KR200441830Y1 (ko) 2008-09-09

Family

ID=41649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678U KR200441830Y1 (ko) 2007-04-23 2007-04-23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기능이 부가된 비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83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067B1 (ko) 2011-08-02 2013-03-18 이규동 양변기용 물내림 장치
KR20210141182A (ko) * 2020-05-15 2021-11-23 정준우 좌변기용 세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067B1 (ko) 2011-08-02 2013-03-18 이규동 양변기용 물내림 장치
KR20210141182A (ko) * 2020-05-15 2021-11-23 정준우 좌변기용 세정기
KR102487636B1 (ko) * 2020-05-15 2023-01-12 정준우 좌변기용 세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6652B1 (ko)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기능이 부가된 비데
KR100764836B1 (ko) 수압을 이용한 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
KR101535278B1 (ko) 최저의 인체하중과 최소의 착좌스위치 동작으로 변기 물내림 기능을 극대화시킨 장진 가압돌기가 형성된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TW201636479A (zh) 沖水閥配件和併入該配件的馬桶沖水系統
KR200441830Y1 (ko)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기능이 부가된 비데
US7937782B2 (en) Water saving device for a toilet
KR101535277B1 (ko) 최저의 인체하중과 최소의 착좌스위치 동작으로 변기 물내림 기능을 극대화시킨 와이어 당김방식이 구비된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200439595Y1 (ko)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기능이 부가된 비데
KR100942041B1 (ko) 직입식 양변기의 물내림 장치
KR101427304B1 (ko) 좌변기의 공기압식 자동물내림장치
KR100775609B1 (ko) 저수압에서도 작동 가능한 자동물내림장치의 실린더구조
KR101230354B1 (ko) 양변기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KR100986216B1 (ko) 양변기 급수제어밸브의 수로전환장치
KR100882947B1 (ko) 자동물내림 비데의 실린더 압력 개폐장치
KR102258606B1 (ko) 대소변 구분 절수 플러쉬밸브
KR102195889B1 (ko) 물탱크용 및 직수형 후레쉬밸브용 양변기 겸용 정전시 계속 물내림 해지장치
KR100263368B1 (ko) 양변기의배수량조절장치
KR200445807Y1 (ko) 상부버튼형 자동 물내림장치
KR200437206Y1 (ko) 자동물내림장치의 실린더로 물공급을 안내하는 필밸브
CN2642859Y (zh) 节水坐便器
KR101010343B1 (ko) 양변기
KR200440466Y1 (ko) 자동물내림 비데의 실린더 압력 개폐장치
KR20100009972U (ko) 절수형 변기 수조
KR101108715B1 (ko)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
KR101009369B1 (ko) 수세식변기용 절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