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263B1 - 양변기의 절수 및 자동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절수 및 자동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263B1
KR101789263B1 KR1020150121254A KR20150121254A KR101789263B1 KR 101789263 B1 KR101789263 B1 KR 101789263B1 KR 1020150121254 A KR1020150121254 A KR 1020150121254A KR 20150121254 A KR20150121254 A KR 20150121254A KR 101789263 B1 KR101789263 B1 KR 101789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rine
inner cylinder
lift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5203A (ko
Inventor
김경현
Original Assignee
에스에이엔인터내셔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이엔인터내셔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에이엔인터내셔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1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263B1/ko
Publication of KR20170025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12Flushing device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소변에 따라 물의 량을 조절하는 절수기능을 부여하고, 용변을 본 다음 일어나면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자동배수기능을 부여한 양변기의 절수 및 자동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저수탱크(10)의 배수통로(11)에 설치되어 대,소변에 따라 설정된 물을 배수시키는 승강개폐구(110)를 구비하는 배수제어기(100); 배수제어기(100)의 상부에 연결되어 승강개폐구(110)와 연결되는 승강레버(210)를 구비하는 외통(200); 외통(200)의 상부에 장착되어 승강레버(210)를 승강시키는 대,소변가압부(310)(320)를 각각 구비하는 캡(300); 대,소변가압부(310)(320)를 각각 작동시키도록 저수탱크덮개(20)에 구비되는 대,소변버튼(400)(410); 외통(200)의 내부에 내장되어 상면으로 내부와 통하도록 형성된 제1,2입출구(510)(520)를 구비하는 하부가 개방된 내통(500); 내통(500)의 내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레버(210)와 연결되는 승강링(600); 내통(500)의 제1입출구(510)와 흡입공기를 발생하는 시이트(30)에 연결되어 시이트(30)의 흡입력으로 승강링(600)을 상승시켜 물을 자동배수하는 공기흡입호스(700); 내통(500)의 제2입출구(520)에 연결되어 수면(K)보다 높게 설치되는 공기배출호스(8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변기의 절수 및 자동배수장치{AUTOMATIC DRAINAGE DEVICE AND WATER SAVING FOR A CHAMBER POT}
본 발명은 양변기의 절수 및 자동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대변과 소변에 따라 배수되는 물의 량을 각각 조절하는 절수기능을 부여하여 경제적으로 물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용변을 본 다음 시이트에서 일어나면 자동적으로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자동배수기능을 부여하여 위생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양변기의 절수 및 자동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변기 시이트와 저수탱크 및 용변 처리기를 갖추고, 시이트에 앉아 용변을 본 다음 저수탱크의 물을 내리면, 내려가는 물이 용변 처리기를 통하여 배출되면서 용변을 정화조로 보내게 되어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용변을 본 다음 저수탱크의 물을 내릴 때 통상, 수동으로 작동하는 배수레버를 사용하여 저수탱크의 배수구를 개방시킴으로써, 물을 내려보내게 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용변 후, 사용자가 배수레버를 누르면 대변과 소변의 종류에 관계없이 저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모두 배수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이는 소변시에도 대변과 동일한 량의 물을 배수시켜야 하므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대변버튼과 소변버튼을 별도로 구비하여 대,소변버튼 가압에 따라 각각 배수되는 물로 용변을 세척할 수 있으므로, 소변 세척시 일정량의 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 양변기의 2단 배수밸브가 하기 특허문헌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7507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절수기능은 부여할 수 있으나, 용변을 본 다음 시이트에서 일어나면 자동적으로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자동배수기능이 결여되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근래에는 전기와 센서 등을 이용한 양변기의 자동배수장치가 제시되었으나, 이러한 자동배수장치는 전기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감전, 설치비용, 유지비용, 오작동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양변기의 배수와 관련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양변기의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에 시이트에서 일어나면 자동으로 저수탱크의 물이 배수되게 한 양변기의 배수제어장치가 하기 특허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0420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자동배수기능은 부여할 수 있으나, 대변과 소변에 따라 배수되는 물의 량을 각각 조절하는 절수기능이 결여되어 경제적으로 물을 절감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절수기능 및 자동배수기능이 부여된 양변기가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등록실용신안 제20-0427507호(등록일자 : 2006.09.21) 특허문헌 2 : 등록특허 제10-0930420호(등록일자 : 2009.11.30)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대변과 소변에 따라 배수되는 물의 량을 각각 조절하는 절수기능을 부여하여 경제적으로 물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양변기의 절수 및 자동배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변을 본 다음 시이트에서 일어나면 자동적으로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자동배수기능을 부여하여 위생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양변기의 절수 및 자동배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저수탱크의 배수통로에 대,소변에 따라 설정된 물을 배수시키는 승강개폐구가 구비된 배수제어기를 설치하고, 상기 배수제어기의 상부에 승강개폐구와 연결되는 승강레버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외통을 연결하며, 상기 외통의 상부에 승강레버를 승강시키는 대,소변가압부가 각각 구비된 캡을 장착하고, 상기 대,소변가압부를 각각 작동시키도록 저수탱크덮개에 대,소변버튼을 설치하며, 상기 외통의 내부에 상면으로 내부와 통하도록 제1,2입출구가 구비하는 하부가 개방된 내통을 내장하고, 상기 내통의 내부에 승강레버와 연결되는 승강링을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내통의 제1입출구와 흡입공기를 발생하는 시이트에 시이트의 흡입력으로 승강링을 상승시켜 물을 자동배수하는 공기흡입호스를 연결하고, 상기 내통의 제2입출구에 수면보다 높게 설치되는 공기배출호스를 연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내통의 내부 상측에는 공기층을 형성하는 간극이 형성되도록 승강링의 상승을 단속하는 간극유지용 스토퍼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내통의 양측에는 나사공이 형성된 고정부를 각각 돌출시키고, 상기 고정부의 나사공은 외통에 나사체결로 고정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내통의 내면과 승강링의 외면은 각각 샌딩처리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승강링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승강링의 저면 중앙에는 연결부를 일체로 돌출시키며, 상기 연결부는 승강레버에 연결구로 연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기흡입호스의 내경은 공기배출호스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 양변기의 절수 및 자동배수장치에 따르면, 대,소변에 따라 설정된 물을 배수시키는 승강개폐구가 구비된 배수제어기가 설치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대변과 소변에 따라 배수되는 물의 량을 각각 조절하는 절수기능을 부여하여 경제적으로 물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통의 제1입출구와 흡입공기를 발생하는 시이트에 시이트의 흡입력으로 승강링을 상승시켜 물을 자동배수하는 공기흡입호스가 연결되기 때문에, 용변을 본 다음 시이트에서 일어나면 자동적으로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자동배수기능을 부여하여 위생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4a,4b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레버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a,5b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링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절수 및 자동배수장치는 도 1 내지 도 5a,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저수탱크(10)의 배수통로(11)에 설치되어 대,소변에 따라 설정된 물을 배수시키는 승강개폐구(110)를 구비하는 배수제어기(100); 상기 배수제어기(100)의 상부에 연결되어 승강개폐구(110)와 연결되는 승강레버(210)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하는 외통(200); 상기 외통(200)의 상부에 장착되어 승강레버(210)를 승강시키는 대,소변가압부(310)(320)를 각각 구비하는 캡(300); 상기 대,소변가압부(310)(320)를 각각 작동시키도록 저수탱크덮개(20)에 구비되는 대,소변버튼(400)(410); 상기 외통(200)의 내부에 내장되어 상면으로 내부와 통하도록 형성된 제1,2입출구(510)(520)를 구비하는 하부가 개방된 내통(500); 상기 내통(500)의 내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레버(210)와 연결되는 승강링(600); 상기 내통(500)의 제1입출구(510)와 흡입공기를 발생하는 시이트(30)에 연결되어 시이트(30)의 흡입력으로 승강링(600)을 상승시켜 물을 자동배수하는 공기흡입호스(700); 상기 내통(500)의 제2입출구(520)에 연결되어 수면(K)보다 높게 설치되는 공기배출호스(8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 양변기의 절수 및 자동배수장치는 대,소변에 따라 물의 량을 각각 조절하는 절수기능과 용변을 보고 일어나면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자동배수기능을 부여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 양변기의 절수 및 자동배수장치는 배수제어기(100), 외통(200), 캡(300), 대,소변버튼(400)(410), 내통(500), 승강링(600), 공기흡입호스(700) 및 공기배출호스(8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제어기(100)는 저수탱크(10)의 배수통로(11)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배수제어기(100)에는 대,소변에 따라 설정된 물을 배수시키는 승강개폐구(1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배수제어기(100)는 승강개폐구(110)의 상승높이에 따라 대변과 소변시 배수되는 물의 량을 각각 조절하는 것으로, 이러한 배수제어기(100)의 승강개폐구(110)가 높게 상승하면 대변을 처리할 수 있도록 많은 량의 물이 배수되고, 반대로 배수제어기(100)의 승강개폐구(110)가 낮게 상승하면 소변을 처리할 수 있도록 적은 량의 물이 배수되기 때문에 소변시 경제적으로 물을 절약할 수 있다.
상기 배수제어기(100)의 상부 외주연에는 물을 내부로 유입시키는 다수의 개방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제어기(100)의 하부에는 패킹(131)이 구비된 배출관(130)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130)의 하부 중앙에는 배수통로(11)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부(140)가 나사(141)체결로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130)의 일측에는 오버플로우관(15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승강개폐구(110)는 배출관(130)의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안착되어 배출관(130)을 개폐시키고, 상기 승강개폐구(110)의 하부에는 배출관(130)의 상부에 기밀하게 밀착되는 개폐링(111)이 장착된다.
상기 외통(200)은 배수제어기(100)의 상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외통(200)의 내부에는 승강개폐구(110)와 연결되는 승강레버(210)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승강레버(210)와 승강개폐구(110)는 동시에 승강하게 되고, 상기 외통(200)에는 대,소변시 배수량을 각각 조절하는 조절구(220)(23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캡(300)은 외통(200)의 상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캡(300)에는 승강레버(210)를 승강시키는 대,소변가압부(310)(320)가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대,소변가압부(310)(320)는 스프링의 탄력을 받도록 캡(300)에 승강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상기 캡(300)의 하부에는 회동구(3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대,소변가압부(310)(320)의 하부에는 회동구(330)를 작동시키는 누름돌기(311)(321)가 각각 돌출되며, 상기 회동구(330)의 하부에는 승강레버(210)에 연결되는 연결레버(34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대변가압부(310)를 누르면 회동구(330)가 큰 회전각도로 회전하면서 연결레버(340)를 높게 상승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소변가압부(320)를 누르면 회동구(330)가 작은 회전각도로 회전하면서 연결레버(340)를 낮게 상승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대변가압부(310)를 누르면 회동구(330)에 의해 승강레버(210)와 승강개폐구(110)가 많은 물을 배수시키도록 높게 상승하게 되고, 상기 소변가압부(320)를 누르면 회동구(330)에 의해 승강레버(210)와 승강개폐구(110)가 적은 물을 배수시키도록 낮게 상승하게 된다.
상기 대,소변버튼(400)(410)은 대,소변가압부(310)(320)를 각각 작동시키도록 저수탱크덮개(20)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러한 대,소변버튼(400)(410)은 스프링의 탄력을 받도록 하우징(420)에 승강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대,소변버튼(400)(410)의 하부에는 대,소변가압부(310)(320)를 작동시키는 누름돌기(401)(411)가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대변버튼(400)을 누르면 배수제어기(100)의 승강개폐구(110)가 높게 상승하여 대변을 처리할 수 있도록 많은 량의 물을 배수시키고, 상기 소변버튼(410)을 누르면 배수제어기(100)의 승강개폐구(110)가 낮게 상승하여 소변을 처리할 수 있도록 작은 량의 물을 배수시킨다.
상기 대변버튼(400)의 상면에는 "대변" 등의 대변용 버튼임을 알리는 안내문구를 표시하고, 상기 소변버튼(410)의 상면에는 "소변" 등의 소변용 버튼임을 알리는 안내문구를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통(500)은 외통(200)의 내부에 내장되는 것으로, 이러한 내통(500)의 상면 중앙과 일측에는 내부와 통하도록 제1,2입출구(510)(520)가 각각 형성되고, 내통(500)의 하부는 개방된다. 이때, 상기 내통(500)은 외통(200)의 내부 최대한 높은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내통(500)의 제1,2입출구(510)(520)에는 공기유입호스(700)와 공기배출호스(800)가 각각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내통(500)의 내부 상측에는 공기층을 형성하는 간극(G)이 형성되도록 승강링(600)의 상승을 단속하는 간극유지용 스토퍼(53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간극(G)은 대략 1㎝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통(500)의 내부 상측에는 스토퍼(530)에 의해 항상 공기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승강링(600)의 승강작동이 한층 더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특히 승강링(600)의 승강작동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내통(500)의 양측에는 나사공(541)이 형성된 고정부(540)가 각각 돌출되고, 상기 고정부(540)의 나사공(541)은 외통(200)에 나사(S1)체결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외통(200)의 양측에는 나사(S1)가 끼워지는 구멍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승강링(600)은 내통(500)의 내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승강링(600)은 승강레버(210)와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승강링(600)과 승강레버(210) 및 승강개폐구(110)는 동시에 승강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내통(500)의 내면과 승강링(600)의 외면은 샌딩처리된다. 이때, 상기 내통(500)의 내면과 승강링(600)의 외면이 각각 샌딩처리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샌딩처리된 부분에는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어 마찰력을 증대시키므로 승강링(600)의 승강작동시 저수탱크(10)의 물이 승강링(600)과 내통(500) 사이에서 패킹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이에 의해 승강링(600)은 서서히 승강함과 동시에 별도의 패킹을 사용하지 않고도 내통(500)과 승강링(500) 사이로 물이 역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승강링(600)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링(600)의 저면 중앙에는 연결부(610)가 일체로 돌출되며, 상기 연결부(610)는 승강레버(210)에 연결구(620)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승강링(600)과 승강레버(210)는 연결구(620)를 통해 일체형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승강링(600)과 승강레버(210)는 동시에 승강하게 된다.
상기 공기흡입호스(700)는 내통(500)의 제1입출구(510)와 흡입공기를 발생하는 시이트(30)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공기흡입호스(700)는 시이트(30)의 흡입력으로 승강링(600)을 상승시켜 물을 자동배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시이트(30)는 사용자가 앉고 일어설 때 자체적으로 압축 또는 팽창되면서 압축공기 및 흡입공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시이트(30)는 내부에 공간(31)이 형성된 에어튜브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흡입호스(700)의 일단은 시이트(30)에 연결되고, 상기 공기흡입호스(700)의 타단은 양변기의 수도관(40)을 통해 저수탱크(10)의 내부로 인출되어 외통(200)을 관통한 상태에서 내통(500)의 제1입출구(51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외통(200)에는 공기흡입호스(700)가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배출호스(800)는 내통(500)의 제2입출구(520)에 연결되어 수면(K)보다 높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공기배출호스(800)의 일단은 수면(K)보다 높게 위치하고, 공기배출호스(800)의 타단은 외통(200)을 관통한 상태에서 내통(500)의 제2입출구(52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공기흡입호스(700)를 통해 도 5a에서와 같이 내통(500)의 내부로 압축공기가 유입될 때, 내통(500)으로 유입된 압축공기는 공기배출호스(800)를 통해 수면(K) 위로 배출되므로, 즉 압축공기가 저수탱크(10)의 물속으로 배출되지 않고 공기배출호스(800)를 통해 물 밖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물속 기포로 인하여 보글보글 거리는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통(200)에는 공기배출호스(800)가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기흡입호스(700)의 내경은 공기배출호스(80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기배출호스(800)를 공기흡입호스(700)보다 가늘게 형성한 이유는 시이트(30)에서 흡입공기가 발생할 때, 공기배출호스(800)의 흡입력보다 공기흡입호스(700)의 흡입력이 한층 더 크게 작용하도록 유도하여 승강링(600)을 공기흡입호스(700)의 흡입력으로 용이하게 상승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공기배출호스(800)는 공기흡입호스(700)보다 3분의 1정도 가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공기배출호스(800)의 상부에는 시이트(30)의 흡입작용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체크밸브(81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양변기에 소변을 본 후, 소변버튼(410)을 누르면 소변가압부(320)가 작동하여 승강레버(210)를 상승시키고, 승강레버(210)가 상승하면 동시에 배수제어기(100)의 승강개폐구(110)가 상승하여 배수통로(11)를 개방시키기 때문에, 저수탱크(200)의 물이 배출되어 소변을 처리하게 된다. 이때, 소변버튼(410)을 누르면 배수제어기(100)의 승강개폐구(110)가 낮게 상승하여 용변을 처리할 수 있도록 작은 량의 물을 배수시키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소변시 경제적으로 물을 절약할 수 있다.
다음, 사용자가 대변을 보기 위해 시이트(30)에 앉으면 시이트(30)는 압축되면서 압축공기를 발생시키고, 압축공기는 도 5a에서와 같이 공기흡입호스(700)를 통해 내통(500)의 내부로 유입되며, 내통(500)으로 유입된 압축공기는 공기배출호스(800)를 통해 수면(K) 위로 배출된다.
변기 사용자가 변기 시이트(30)에 앉았다가 일어서면 시이트(30)가 수축되었다가 복원 팽창되면서 공기를 흡입하게 되고, 이 흡입공기의 흡입력이 공기흡입호스(700)를 통하여 내통(500)에 전달되고, 이때 흡입력에 의해 승강링(600)과 승강레버(210) 및 승강개폐구(110)가 동시에 상승하여 배수통로(210)를 개방해주기 때문에, 저수탱크(10)의 물이 도 5b에서와 같이 자동적으로 배출되어 용변을 처리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저수탱크(10)의 물이 배수되어 용변을 처리한 후에는 자중에 의해 승강링(600)과 승강레버(210) 및 승강개폐구(110)가 동시에 하강하여 배수통로(11)를 다시 폐쇄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저수탱크(10)에는 급수밸브를 통해 배수된 물의 량만큼 물이 자동으로 채워지면서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대,소변에 따라 설정된 물을 배수시키는 승강개폐구(110)가 구비된 배수제어기(100)가 설치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대변과 소변에 따라 배수되는 물의 량을 각각 조절하는 절수기능을 부여하여 경제적으로 물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내통(500)의 제1입출구(510)와 흡입공기를 발생하는 시이트(30)에 시이트(30)의 흡입력으로 승강링(600)을 상승시켜 물을 자동배수하는 공기흡입호스(700)가 연결되기 때문에, 용변을 본 다음 시이트(30)에서 일어나면 자동적으로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자동배수기능을 부여하여 위생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저수탱크 11 : 배수통로
20 : 저수탱크덮개 30 : 시이트
100 : 배수제어기 110 : 승강개폐구
200 : 외통 210 : 승강레버
300 : 캡 310 : 대변가압부
320 : 소변가압부 400 : 대변버튼
410 : 소변버튼 500 : 내통
510 : 제1입출구 520 : 제2입출구
530 : 스톱퍼 540 : 고정부
541 : 나사공 600 : 승강링
610 : 연결부 620 : 연결구
700 : 공기흡입호스 800 : 공기배출호스

Claims (6)

  1. 저수탱크(10)의 배수통로(11)에 설치되어 대,소변에 따라 설정된 물을 배수시키는 승강개폐구(110)를 구비하는 배수제어기(100);
    상기 배수제어기(100)의 상부에 연결되어 승강개폐구(110)와 연결되는 승강레버(210)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하는 외통(200);
    상기 외통(200)의 상부에 장착되어 승강레버(210)를 승강시키는 대,소변가압부(310)(320)를 각각 구비하는 캡(300);
    상기 대,소변가압부(310)(320)를 각각 작동시키도록 저수탱크덮개(20)에 구비되는 대,소변버튼(400)(410);
    상기 외통(200)의 내부에 내장되어 상면으로 내부와 통하도록 형성된 제1,2입출구(510)(520)를 구비하는 하부가 개방된 내통(500);
    상기 내통(500)의 내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레버(210)와 연결되는 승강링(600);
    상기 내통(500)의 제1입출구(510)와 흡입공기를 발생하는 시이트(30)에 연결되어 시이트(30)의 흡입력으로 승강링(600)을 상승시켜 물을 자동배수하는 공기흡입호스(700);
    상기 내통(500)의 제2입출구(520)에 연결되어 수면(K)보다 높게 설치되는 공기배출호스(800)를 포함하는 양변기의 절수 및 자동배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500)의 내부 상측에는 공기층을 형성하는 간극(G)이 형성되도록 승강링(600)의 상승을 단속하는 간극유지용 스토퍼(5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절수 및 자동배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500)의 양측에는 나사공(541)이 형성된 고정부(540)가 각각 돌출되고, 상기 고정부(540)의 나사공(541)은 외통(200)에 나사(S1)체결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절수 및 자동배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500)의 내면과 승강링(600)의 외면은 샌딩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절수 및 자동배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링(600)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링(600)의 저면 중앙에는 연결부(610)가 일체로 돌출되며, 상기 연결부(610)는 승강레버(210)에 연결구(620)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절수 및 자동배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호스(700)의 내경은 공기배출호스(80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절수 및 자동배수장치.
KR1020150121254A 2015-08-27 2015-08-27 양변기의 절수 및 자동배수장치 KR101789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254A KR101789263B1 (ko) 2015-08-27 2015-08-27 양변기의 절수 및 자동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254A KR101789263B1 (ko) 2015-08-27 2015-08-27 양변기의 절수 및 자동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203A KR20170025203A (ko) 2017-03-08
KR101789263B1 true KR101789263B1 (ko) 2017-10-23

Family

ID=58403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254A KR101789263B1 (ko) 2015-08-27 2015-08-27 양변기의 절수 및 자동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2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606B1 (ko) * 2019-09-05 2021-05-31 송태광 대소변 구분 절수 플러쉬밸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420B1 (ko) 2008-06-19 2009-12-08 서찬복 양변기의 배수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507Y1 (ko) 2006-06-30 2006-09-27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용 2단 배수밸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420B1 (ko) 2008-06-19 2009-12-08 서찬복 양변기의 배수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203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8063B1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
KR101535278B1 (ko) 최저의 인체하중과 최소의 착좌스위치 동작으로 변기 물내림 기능을 극대화시킨 장진 가압돌기가 형성된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100764836B1 (ko) 수압을 이용한 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
KR100946391B1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64623A (ko) 인체감지유닛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20130109076A (ko)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및 직수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
KR20120092253A (ko) 인체 하중의 에너지만으로 변기 자동물내림이 가능한 변좌시트
KR101789263B1 (ko) 양변기의 절수 및 자동배수장치
KR100946392B1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물을 무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로제어장치
KR100942041B1 (ko) 직입식 양변기의 물내림 장치
KR20090099956A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무전원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로제어장치
KR100986216B1 (ko) 양변기 급수제어밸브의 수로전환장치
KR100959693B1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대소변에 대응하는 물을 무전원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이구비된 변좌시트
KR200453734Y1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수동급수장치
KR100978354B1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물을 무전원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이 구비된 변좌시트
KR100882947B1 (ko) 자동물내림 비데의 실린더 압력 개폐장치
KR100775609B1 (ko) 저수압에서도 작동 가능한 자동물내림장치의 실린더구조
KR20190032036A (ko)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장치
KR101553350B1 (ko) 양변기의 자동배수장치
KR20130072112A (ko)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
KR101184707B1 (ko) 대소변 구분 세척이 가능한 세척밸브
KR200445807Y1 (ko) 상부버튼형 자동 물내림장치
KR20100045805A (ko) 인체감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200441830Y1 (ko)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기능이 부가된 비데
KR20090101022A (ko) 수압을 이용한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