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8063B1 -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063B1
KR101038063B1 KR1020080088064A KR20080088064A KR101038063B1 KR 101038063 B1 KR101038063 B1 KR 101038063B1 KR 1020080088064 A KR1020080088064 A KR 1020080088064A KR 20080088064 A KR20080088064 A KR 20080088064A KR 101038063 B1 KR101038063 B1 KR 101038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bidet
sanitary ware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9326A (ko
Inventor
조금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보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보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보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080088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063B1/ko
Publication of KR20100029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 E03D5/09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the flushing element, e.g. siphon bell, being actuated through a le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6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aerating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생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볼부의 림측과 제트수로에 세척수를 자동/수동으로 급수하며, 세척수의 역류시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역압의 압력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에 의하면, 볼부의 림측과 제트수로로 수도전의 세척수를 순차적으로 각각 급수하여 볼부의 용변 세척을 용이하게 하고, 볼부로 세척수를 급수하는 급수장치를 비데에 내설함으로써 비데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면서 미관을 미려하게 하며, 세척수의 역류시 발생하는 역압으로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역압의 압력차를 줄여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Figure R1020080088064
비데, 일체, 위생도기, 급수장치, 역류,

Description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device for water supply of bidet one body sanitary ware}
본 발명은 위생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볼부의 림측과 제트수로에 세척수를 자동/수동으로 급수하며, 세척수의 역류시 공기유입공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압력차를 줄여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는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는, 위생도기에 안착되어 조작부의 버튼 조작으로 노즐로 분사되는 온수를 통해 항문이나 국부를 세정하는 장치로, 상기 항문세정은 용변자가 대변을 본 후, 휴지를 사용하지 않고 항문을 세정하는 것이고, 상기 국부세정은 용변자 특히 여성의 소변 후, 국부를 세정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용변자의 용변 후, 위생도기의 볼부에 위치한 용변은, 저수조에 저장된 세척수나 수도전의 세척수가 급수장치를 경유하여 볼부로 공급되고, 상기 볼부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수로로 토출되면서 용변을 세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급수장치는 위생도기에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비데의 설치가 어려우며, 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세척수의 역류시, 볼부에 위치한 세척수가 순간적으로 급수관으로 역류되어 급수관의 세척수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고, 오염된 세척수가 급수관을 통해 화장실, 부엌 등으로 급수되므로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목적은 볼부의 림측과 제트수로로 세척수가 순차적으로 각각 급수되도록 하고, 급수장치를 비데에 내설함으로써 비데의 설치를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미관이 미려해지는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척수의 역류시 발생하는 역압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의해 역압의 압력차를 줄여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는,
급수부와;
상기 급수부의 제1,2관에 안착되는 공급조절부와;
상기 공급조절부의 필밸브가 동작되도록 급수부의 배수공을 개방하여 볼부의 림측과 제트수로로 세척수를 급수하는 작동부와;
상기 급수부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역류시, 역압 및 자중으로 하강하면서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에 의하면, 볼부의 림측과 제트수로로 수도전의 세척수를 각각 급수하여 볼부의 용변 세척을 용이하게 하고, 볼부로 세척수를 급수하는 급수장치를 비데에 내설함으로써 비데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면서 미관을 미려하게 하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에 의하면, 급수관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역류시 발생하는 역압 및 세척수의 낮아지는 수위에 의해 공기유입개폐부재가 하강하면서 개방되는 공기유입공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의해 역압의 압력차를 줄여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급수부(100)가 구성되고, 상기 급수부(100)의 제1,2관(120)(120')에 안착되는 공급조절부(200)가 구성되며, 상기 공급조절부(200)의 필밸브(220)가 동작되도록 급수부(100)의 배수공(131)을 개방하여 볼부(11)의 림측(11a)과 제트수로(11b)로 세척수를 급수하는 작동부(300)가 구성되고, 상기 급수부(100)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역류시, 역압 및 자중으로 하강하면서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급수부(100)는, 수도전과 연통되는 급수관(110)이 구비되고, 상기 급수관(110)에 결합되어 볼부(11)의 림측(11a)과 제트수로(11b)에 각각 연통되는 제1,2관(120)(120')이 구비되며, 상기 급수관(110)과 제1,2관(120)(120')을 고정시키면서 상기 제1,2관(120)(120') 상부에 배수공(131)이 각각 관통되는 덮개(1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공급조절부(200)는, 상기 급수부(100)의 제1,2관(120)(120')에 각각 안착되며, 일측에 내부가 관통된 결합봉(211)이 돌출되는 지지부재(210)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봉(211)에 결합공(221)이 결합되도록 지지부재(210)에 안착되어 급수부(100)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제1,2관(120)(120')을 각각 개폐시키는 필밸브(220)(220')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210)의 결합봉(211)에 장착되어 세척수의 공급을 조절하는 공급조절핀(23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300)는, 상기 급수부(100)의 배수공(131)을 전원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제1작동부(300a)가 구성되고, 상기 급수부(100)의 배수공(131)을 레버(410)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시키는 제2작동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작동부(300a)는, 솔레노이드밸브(310) 및 스텝핑모터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10) 및 스텝핑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32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2작동부(400)(400')는, 상기 급수부(100)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볼부(11)의 림측(11a)과 제트수로(11b)로 급수되도록 각각 가압하는 레버(410)(410')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410)에 의해 회전축(42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솔레노이드밸브(310)(310')의 코어(311)를 상승시켜 급수부(100)의 배수공(131)을 개방하는 회전부재(420)(420')가 구비되며, 상기 레버(410)(410')를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430)(43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입부(500)는, 상기 급수부(100)의 급수관(110)에 관통된 설치공(51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공기유입공(520)이 구비되고, 상기 설치공(510)에 설치돌기(531)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기유입공(520)을 개폐시키는 공기유입개폐부재(530)가 구비되며, 상기 설치돌기(531)에 장착되어 공기유입개폐부재(530)가 설치공(510)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54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상기 급수관(11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볼부(11)의 림측(11a)과 제트수로(11b)로 세척수의 급수를 안내하면서 세척수의 역류 발생시, 세척수의 역류 를 차단하는 역류방지부(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역류방지부(600)는, 상기 급수관(110)에 대향하게 관통된 급수공(111)(111')에 장착되어 세척수의 공급을 안내하는 공급안내부재(610)가 구비되고, 상기 공급안내부재(610)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결합되어 세척수의 공급을 안내하고, 세척수의 역류 발생시, 공급안내부재(610)를 폐쇄시키는 역류방지부재(62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역류방지부재(620)에 장착되면서 급수부(100)의 제1,2관(120)(120') 사이에 각각 위치하여 역류방지부재(620)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방지부재(63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본 건 출원인이 2008년 특허 제8875호로 출원한 위생도기(10)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위생도기(10)에 일체로 장착된 비데(B) 내부에 급수장치를 장착하는데,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부(100)의 제1관(120)이 볼부(11)의 림측(11a)과 연통되며, 상기 급수부(100)의 제2관(120')이 볼부(11)의 제트수로(11b)와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림측(11a)은 볼부(11)의 상부 내면을 말하는 것이고, 상기 제트수로(11b)는 볼부(11)의 하부에 관통된 통공을 말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급수부(100)의 급수관(11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으로 공기유입부(500)의 공기유입개폐부재(530)를 가압하고, 상기 공기유입개폐부재(530)는 공기유입공(520)을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비데(B)의 시트에 용변자가 앉아 용변을 본 후, 비데(B)의 시트에서 용변자 이탈하면, 제1작동부(300)의 제어부(320) 제어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310)(310')에 전원을 순차적으로 인가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대신 스텝핑모터로도 사용 가능하나, 여기서는 솔레노이드밸브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전원이 인가된 솔레노이드밸브(310)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스프링(312) 압축시키면서 코어(311)을 들어올림과 동시에 상기 급수부(100)의 배수공(131)을 개방하고, 개방된 배수공(131)으로 덮개(130)와 공급조절부(200)의 필밸브(220) 사이에 위치한 물이 배수되며, 상기 배수공(131)을 통과한 물은 배출공(132)을 통해 볼부(11) 내부로 배출된다.
상기 덮개(130)와 필밸브(220) 사이에 위치한 물이 배수공(131)으로 배수되면서 덮개(130)와 필밸브(220) 사이의 압력이 급격히 낮아짐과 동시에 수도전을 통해 급수관(11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급수공(111)에 장착된 역류방지부(600)의 공급안내부재(610)를 통과한다.
이때, 상기 공급안내부재(610)의 공급안내공(611)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이 역류방지부재(620)의 역류방지편(621)을 밀어내어 역류방지편(621)과 공급안내공(611) 사이의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으로 세척수가 제1관(120)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역류방지부재(620)의 돌기(622)에 역류방지부재(620)가 결합되고, 상기 역류방지부재(620)의 단부가 제1관(120)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역류방지부 재(620)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역류방지부(600)의 역류방지부재(620)를 통과하여 제1관(12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 압력에 의해 필밸브(220)가 상승하면서 제1관(120)을 개방한다.
상기의 과정으로 개방된 제1관(120)을 통해 볼부(11)의 상부인 림측(11a)으로 세척수가 급수됨과 동시에 림측(11a)으로 급수된 세척수는 볼부(11)의 내면을 선회하면서 세정한 후, 볼부(11)의 하부로 이동하는데, 이때, 상기 볼부(11) 내부에 부유하던 오물 등이 볼부(11)의 중앙부로 모이면서 볼부(11) 안의 수위가 상승한다.
또한, 상기 제1작동부(300)의 솔레노이드밸브(310) 작동 후, 제어부(320) 제어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310')에 전원을 인가하면, 밸브스프링(312')을 압축시키면서 코어(311')을 들어올림과 동시에 상기 급수부(100)의 배수공(131')을 개방하고, 개방된 배수공(131')으로 덮개(130)와 공급조절부(200)의 필밸브(220') 사이에 위치한 물이 배수되며, 상기 배수공(131')을 통과한 물은 배출공(132)을 통해 볼부(11) 내부로 배출된다.
상기 덮개(130)와 필밸브(220) 사이에 위치한 물이 배수공(131)으로 배수되면서 덮개(130)와 필밸브(220) 사이의 압력이 급격히 낮아짐과 동시에 수도전을 통해 급수관(11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급수공(111')에 장착된 역류방지부(600)의 공급안내부재(610')를 통과한다.
이때, 상기 공급안내부재(610')의 공급안내공(611')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이 역류방지부재(620')의 역류방지편(621')을 밀어내어 역류방지편(621')과 공 급안내공(611') 사이의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으로 세척수가 제2관(120')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역류방지부재(620')의 돌기(622')에 역류방지부재(620')가 결합되고, 상기 역류방지부재(620')의 단부가 제2관(120')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역류방지부재(620')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역류방지부(600)의 역류방지부재(620')를 통과하여 제2관(12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 압력에 의해 필밸브(220')가 상승하면서 제2관(120')을 개방한다.
상기의 과정으로 개방된 제2관(120')을 통해 볼부(11)의 제트수로(11b)로 급수되는 세척수가 제트수로(11b)를 통과하면서 트랩(미도시)의 곡선부를 넘어 정화조로 배출되며, 상기 정화조로 배출되는 세척수의 흡입작용에 의해 볼부(11) 내부에 위치한 오물과 세척수가 트랩을 통해 정화조로 배출된다.
상기의 과정으로 볼부(11) 내부에 위치한 오물 및 오물을 세척한 세척수가 정화조로 배출되면,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310')(3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순차적으로 중단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10')에 공급되는 전원이 중단되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10')의 코어(311')는 밸브스프링(312')의 복원력으로 복원되면서 덮개(130)의 배수공(131')을 폐쇄시킴과 동시에 급수관(110)을 통해 제2관(120')으로 급수되는 세척수의 일부가 지지부재(210')의 결합봉(211') 내부로 급수되며, 상기 결합봉(211') 내부로 급수되는 물이 공급조절핀(230')을 상승시키면서 공급조절핀(230')과 결합봉(211') 사이를 통해 필밸브(220')와 덮개(130) 사이의 공간으로 급수된다.
상기 필밸브(220')와 덮개(130) 사이의 공간으로 급수되는 물의 압력이 높아지고, 높아지는 물의 압력에 의해 필밸브(220')는 하강하여 제2관(120')을 폐쇄시키면서 제2관(12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급수를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 제2관(120')이 폐쇄될 때까지 제1관(120)으로는 급수관(110)으로부터 급수되는 세척수가 공급되어 볼부(11)의 내부에 저장되면서 일정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과정으로 솔레노이드밸브(310')에 의해 제2관(120')이 폐쇄된 상태에서 솔레노이드밸브(3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중단하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10)의 코어(311)는 밸브스프링(3120의 복원력으로 복원되면서 덮개(130)의 배수공(131)을 폐쇄시킴과 동시에 급수관(110)을 통해 제1관(120)으로 급수되는 세척수의 일부가 지지부재(210)의 결합봉(211) 내부로 급수되며, 상기 결합봉(211) 내부로 급수되는 물이 공급조절핀(230)을 상승시키면서 공급조절핀(230)과 결합봉(211) 사이를 통해 필밸브(220)와 덮개(130) 사이의 공간으로 급수된다.
상기 필밸브(220)와 덮개(130) 사이의 공간으로 급수되는 물의 압력이 높아지고, 높아지는 물의 압력에 의해 필밸브(220)는 하강하여 제1관(120)을 폐쇄시키며, 상기 제1관(12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급수를 정지시키면서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한편, 비데(B)의 시트에 앉아 용변중에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거나, 비데(B)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용변자의 용변 후,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전을 통해 급수관(11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으로 공기유입부(500)의 공기유입개폐부재(530)를 가압하고, 상기 공기유입개폐부재(530)는 공기유입공(520)을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제2작동부(400)의 레버(410)를 가압한다.
상기 레버(410)는 복원스프링(430)을 압축시키면서 덮개(130)에 고정된 일측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레버(410)의 가압돌기(411)가 회전부재(420)의 일단을 가압하면 상기 회전부재(420)의 타단은 회전축(421)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420)의 타단이 상향으로 회전하면서 솔레노이드밸브(310)의 코어(311)를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코어(311)는 밸브스프링(312)을 압축시키면서 상향으로 이동하여 급수부(100)의 배수공(131)을 개방하고, 개방된 배수공(131)으로 덮개(130)와 공급조절부(200)의 필밸브(220) 사이에 위치한 물이 배수되며, 상기 배수공(131)을 통과한 물은 배출공(132)을 통해 볼부(11) 내부로 배출된다.
상기 덮개(130)와 필밸브(220) 사이에 위치한 물이 배수공(131)으로 배수되면서 덮개(130)와 필밸브(220) 사이의 압력이 급격히 낮아짐과 동시에 수도전을 통해 급수관(11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급수공(111)에 장착된 역류방지부(600)의 공급안내부재(610)를 통과한다.
이때, 상기 공급안내부재(610)의 공급안내공(611)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이 역류방지부재(620)의 역류방지편(621)을 밀어내어 역류방지편(621)과 공급안내공(611) 사이의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으로 세척수가 제1관(120)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역류방지부재(620)의 돌기(622)에 역류방지부재(620)가 결합되고, 상기 역류방지부재(620)의 단부가 제1관(120)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역류방지부재(620)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역류방지부(600)의 역류방지부재(620)를 통과하여 제1관(12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 압력에 의해 필밸브(220)가 상승하면서 제1관(120)을 개방한다.
상기의 과정으로 개방된 제1관(120)을 통해 볼부(11)의 림측(11a)으로 세척수가 급수됨과 동시에 림측(11a)으로 급수된 세척수는 볼부(11)의 내면을 선회하면서 세정한 후, 볼부(11)의 하부로 이동하는데, 이때, 상기 볼부(11) 내부에 부유하던 오물 등이 볼부(11)의 중앙부로 모이면서 볼부(11) 안의 수위가 상승한다.
또한, 상기 볼부(11)의 림측(11a)으로 세척수를 급수하기 위해 제2작동부(400)의 레버(410)을 가압한 상태에서 볼부(11)의 제트수로(11b)로 세척수를 급수하기 위해 제2작동부(400')의 레버(410')를 가압한다.
상기 레버(410')는 복원스프링(430')을 압축시키면서 덮개(130)에 고정된 일측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레버(410')의 가압돌기(411')가 회전부재(420')의 일단을 가압하면 상기 회전부재(420')의 타단은 회전축(421')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420')의 타단이 상향으로 회전하면서 솔레노이드밸브(310')의 코어(311')를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코어(311')는 밸브스프링(312')을 압축시키면서 상향으로 이동하여 급수부(100)의 배수공(131')을 개방하고, 개방된 배수공(131')으로 덮개(130)와 공급조절부(200)의 필밸브(220') 사이에 위치한 물이 배수되며, 상기 배수공(131')을 통과한 물은 배출공(132)을 통해 볼부(11) 내부로 배출된다.
상기 덮개(130)와 필밸브(220') 사이에 위치한 물이 배수공(131')으로 배수되면서 덮개(130)와 필밸브(220') 사이의 압력이 급격히 낮아짐과 동시에 수도전을 통해 급수관(11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급수공(111')에 장착된 역류방지부(600)의 공급안내부재(610')를 통과한다.
이때, 상기 공급안내부재(610')의 공급안내공(611')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이 역류방지부재(620')의 역류방지편(621')을 밀어내어 역류방지편(621')과 공급안내공(611') 사이의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으로 세척수가 제2관(120')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역류방지부재(620')의 돌기(622')에 역류방지부재(620')가 결합되고, 상기 역류방지부재(620')의 단부가 제2관(120')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역류방지부재(620')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역류방지부(600)의 역류방지부재(620')를 통과하여 제2관(12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 압력에 의해 필밸브(220')가 상승하면서 제2관(120')을 개방한다.
상기의 과정으로 개방된 제2관(120')을 통해 볼부(11)의 제트수로(11b)로 급 수되는 세척수가 제트수로(11b)를 통과하면서 트랩(미도시)의 곡선부를 넘어 정화조로 배출되며, 상기 정화조로 배출되는 세척수의 흡입작용에 의해 볼부(11) 내부에 위치한 오물과 세척수가 트랩을 통해 정화조로 배출된다.
상기의 과정으로 볼부(11) 내부에 위치한 오물 및 오물을 세척한 세척수가 정화조로 배출되면, 제2작동부(400')(400)의 레버(410')(410)에 가해진 압력을 순차적으로 해제시킨다.
상기 레버(410')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시키면, 상기 레버(410')의 회전으로 압축된 복원스프링(430')의 복원력으로 복원되면서 회전부재(420')의 일단에 가해진 압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부재(420')의 타단은 솔레노이드밸브(310')의 밸브스프링(312') 복원력으로 코어(311')을 복원시킨다.
이때, 상기 코어(311')는 회전부재(420')의 타단을 가압하여 회전축(421')을 중심으로 하향을 회전시키면서 덮개(130)의 배수공(131')을 폐쇄시킴과 동시에 급수관(110)을 통해 제2관(120')으로 급수되는 세척수의 일부가 지지부재(210')의 결합봉(211') 내부로 급수되며, 상기 결합봉(211') 내부로 급수되는 물이 공급조절핀(230')을 상승시키면서 공급조절핀(230')과 결합봉(211') 사이를 통해 필밸브(220')와 덮개(130) 사이의 공간으로 급수된다.
상기 필밸브(220')와 덮개(130) 사이의 공간으로 급수되는 물의 압력이 높아지고, 높아지는 물의 압력에 의해 필밸브(220')는 하강하여 제2관(120')을 폐쇄시키면서 제2관(12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급수를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 제2관(120')이 폐쇄될 때까지 제1관(120)으로는 급수관(110)으로부터 급수되는 세척수가 공급되어 볼부(11)의 내부에 저장되면서 일정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작동부(400')의 레버(410')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여 제2관(120')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제2작동부(400)의 레버(410)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레버(410)의 회전으로 압축된 복원스프링(430)의 복원력으로 복원되면서 회전부재(420)의 일단에 가해진 압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부재(420)의 타단은 솔레노이드밸브(310)의 밸브스프링(312) 복원력으로 코어(311)을 복원시킨다.
이때, 상기 코어(311)는 회전부재(420)의 타단을 가압하여 회전축(421)을 중심으로 하향을 회전시키면서 덮개(130)의 배수공(131)을 폐쇄시킴과 동시에 급수관(110)을 통해 제1관(120)으로 급수되는 세척수의 일부가 지지부재(210)의 결합봉(211) 내부로 급수되며, 상기 결합봉(211) 내부로 급수되는 물이 공급조절핀(230)을 상승시키면서 공급조절핀(230)과 결합봉(211) 사이를 통해 필밸브(220)와 덮개(130) 사이의 공간으로 급수된다.
상기 필밸브(220)와 덮개(130) 사이의 공간으로 급수되는 물의 압력이 높아지고, 높아지는 물의 압력에 의해 필밸브(220)는 하강하여 제1관(120)을 폐쇄시키면서 제1관(12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급수를 정지시키면서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한편, 상기 급수관(11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수도전으로 역류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하여 낮아지는 세척수의 수위 및 자중에 의해 공기유입 부(500)의 공기유입개폐부재(530)가 하강하는데, 상기 공기유입개폐부재(530)의 설치돌기(531)는 설치공(510)을 따라 하강하면서 공기유입공(520)을 개방시킴과 동시에 대기중의 공기가 공기유입공(520)을 통해 급수관(110) 내부로 공급되면서 역압의 압력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설치공(510)으로 설치돌기(531)가 하강하는 공기유입개폐부재(530)는 상기 설치돌기(531)에 장착된 이탈방지편(540)이 설치공(510) 상면에 밀착되면서 공기유입개폐부재(530)의 하강동작을 정지시키면서 대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세척수가 역류하는 역압에 의해 역류방지부재(620)(620')의 역류방지편(621)(621)이 공급안내부재(610)(610)에 밀착되면서 공급안내공(611)(611')을 각각 폐쇄시키므로 제1,2관(120)(120')으로부터 세척수의 역류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도전을 통해 세척수가 급수관(110)으로 다시 공급되면, 상기 급수관(11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설치공(510)에 설치돌기(531)가 장착된 공기유입개폐부재(530)는 상승하여 공기유입공(520)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급수관(11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공기유입개폐부재(530)가 공기유입공(520)을 폐쇄시키면서 급수장치의 동작을 대기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 제1작동부에 의해 세척수를 볼부에 급수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 제2작동부에 의해 세척수를 볼부에 급수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7은 세척수 역류시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급수부 110: 급수관
120,120': 제1,2관 130: 덮개
200: 공급조절부 210,210': 필밸브
220,220': 지지부재 300: 작동부
300a: 제1작동부 310,310': 솔레노이드밸브
320: 제어부 400,400': 제2작동부
410,410': 레버 420,420': 회전부재
430,430': 복원스프링 500: 공기유입부
510: 설치공 520: 공기유입공
530: 공기유입개폐부재 540: 이탈방지편
600: 역류방지부 610,610': 공급안내부재
620,620': 역류방지부재 630,630': 밀림방지부재

Claims (10)

  1. 급수부와;
    상기 급수부의 제1,2관에 각각 안착되면서 내부가 관통된 결합봉이 돌출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봉에 결합공이 결합되도록 지지부재에 안착되어 급수부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제1,2관을 각각 개폐시키는 필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결합봉에 장착되어 세척수의 공급을 조절하는 공급조절핀이 구비된 공급조절부와;
    상기 공급조절부의 필밸브가 동작되도록 급수부의 배수공을 개방하여 볼부의 림측과 제트수로로 세척수를 급수하는 작동부와;
    상기 급수부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역류시, 역압 및 자중으로 하강하면서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급수부는,
    수도전과 연통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에 결합되어 볼부의 림측과 제트수로에 각각 연통되는 제1,2관과;
    상기 급수관과 제1,2관을 고정시키고, 상기 제1,2관 상부에 배수공이 각각 관통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작동부는,
    상기 급수부의 배수공을 전원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제1작동부와;
    상기 급수부의 배수공을 레버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시키는 제2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1작동부는,
    솔레노이드밸브 및 스텝핑모터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제2작동부는,
    상기 급수부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볼부의 림측과 제트수로로 급수되도록 각각 가압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솔레노이드밸브의 코어를 상승시켜 급수부의 배수공을 개방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레버를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공기유입부는,
    상기 급수부의 급수관에 관통된 설치공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공기유입공과;
    상기 설치공에 설치돌기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기유입공을 개폐시키는 공기유입개폐부재와;
    상기 설치돌기에 장착되어 공기유입개폐부재가 설치공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의 급수관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볼부의 림측과 제트수로로 세척수의 급수를 안내하면서 세척수의 역류 발생시, 세척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역류방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부는,
    상기 급수관에 대향하게 관통된 급수공에 장착되어 세척수의 공급을 안내하는 공급안내부재와;
    상기 공급안내부재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결합되어 세척수의 공급을 안내하고, 세척수의 역류 발생시, 공급안내부재를 폐쇄시키는 역류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부재에 장착되면서 급수부의 제1,2관 사이에 각각 위치하여 역류방지부재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방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
KR1020080088064A 2008-09-08 2008-09-08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 KR101038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064A KR101038063B1 (ko) 2008-09-08 2008-09-08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064A KR101038063B1 (ko) 2008-09-08 2008-09-08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326A KR20100029326A (ko) 2010-03-17
KR101038063B1 true KR101038063B1 (ko) 2011-06-01

Family

ID=42179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064A KR101038063B1 (ko) 2008-09-08 2008-09-08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063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5029A (ko) * 2012-11-16 2014-05-29 코웨이 주식회사 도기 일체형 비데
KR101528309B1 (ko) * 2015-03-06 2015-06-11 (주) 아이젠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자동 및 수동 겸용 급수장치
KR20150134800A (ko) * 2014-05-23 2015-12-02 주식회사 삼홍테크 도기 일체형 비데의 물공급 장치
KR101639790B1 (ko) 2015-12-15 2016-07-15 주식회사 엔씨엠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수동급수장치
KR101642100B1 (ko) 2015-12-15 2016-07-22 주식회사 엔씨엠 역류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밸브
KR101642101B1 (ko) 2015-12-15 2016-07-22 주식회사 엔씨엠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밸브
KR20160145392A (ko) 2015-06-10 2016-12-20 심민우 전자제어 양변기 및 비데 일체형 양변기용 배수밸브장치
KR102082325B1 (ko) 2019-09-10 2020-02-27 임영균 비데 일체형 양변기에 사용되는 급수제어장치의 역류방지구조
KR20230057900A (ko) 2021-10-22 2023-05-02 정성의 비데일체형 양변기에 사용되는 급수제어기의 역류방지장치
KR102591626B1 (ko) * 2022-06-15 2023-10-20 전옥 비데용 급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094B1 (ko) * 2020-09-28 2021-12-01 김창호 위생도기용 급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9968A (ja) 1999-02-25 2000-11-07 Inax Corp 便器洗浄給水装置
JP2004225431A (ja) * 2003-01-24 2004-08-12 Toto Ltd 水洗便器装置
JP2004316806A (ja) 2003-04-17 2004-11-11 Toto Ltd 給水装置及びこの給水装置を用いた水洗便器
JP2006045775A (ja) * 2004-07-30 2006-02-16 Inax Corp 便器洗浄方法及び便器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9968A (ja) 1999-02-25 2000-11-07 Inax Corp 便器洗浄給水装置
JP2004225431A (ja) * 2003-01-24 2004-08-12 Toto Ltd 水洗便器装置
JP2004316806A (ja) 2003-04-17 2004-11-11 Toto Ltd 給水装置及びこの給水装置を用いた水洗便器
JP2006045775A (ja) * 2004-07-30 2006-02-16 Inax Corp 便器洗浄方法及び便器洗浄装置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5029A (ko) * 2012-11-16 2014-05-29 코웨이 주식회사 도기 일체형 비데
KR102054290B1 (ko) * 2012-11-16 2019-12-10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도기 일체형 비데
KR20150134800A (ko) * 2014-05-23 2015-12-02 주식회사 삼홍테크 도기 일체형 비데의 물공급 장치
KR101581447B1 (ko) * 2014-05-23 2015-12-30 주식회사 삼홍테크 도기 일체형 비데의 물공급 장치
KR101528309B1 (ko) * 2015-03-06 2015-06-11 (주) 아이젠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자동 및 수동 겸용 급수장치
KR20160145392A (ko) 2015-06-10 2016-12-20 심민우 전자제어 양변기 및 비데 일체형 양변기용 배수밸브장치
KR101639790B1 (ko) 2015-12-15 2016-07-15 주식회사 엔씨엠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수동급수장치
KR101642100B1 (ko) 2015-12-15 2016-07-22 주식회사 엔씨엠 역류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밸브
KR101642101B1 (ko) 2015-12-15 2016-07-22 주식회사 엔씨엠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밸브
KR102082325B1 (ko) 2019-09-10 2020-02-27 임영균 비데 일체형 양변기에 사용되는 급수제어장치의 역류방지구조
KR20230057900A (ko) 2021-10-22 2023-05-02 정성의 비데일체형 양변기에 사용되는 급수제어기의 역류방지장치
KR102591626B1 (ko) * 2022-06-15 2023-10-20 전옥 비데용 급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326A (ko) 201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8063B1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
KR101071981B1 (ko) 인체하중의 에너지만으로 대소변을 구분하여 변기 자동물내림이 가능한 변좌시트
KR101757863B1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
KR101642101B1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밸브
KR101296342B1 (ko) 인체 하중의 에너지만으로 변기 자동물내림이 가능한 변좌시트
KR200453734Y1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수동급수장치
JP2016532797A (ja) 人体荷重のみで空気の排出及び吸入制御機能を備えた無電源自動水下ろし便座の調節部
KR100960157B1 (ko) 인체감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20120092254A (ko) 직수형변기에 적용하는 인체 하중의 에너지만으로 변기 자동물내림이 가능한 변좌시트
KR100980398B1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무전원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로제어장치
JP2019507265A (ja) 便座に着脱及び防水機能を備えた無電源自動洗浄装置のモジュール
JP2019503447A (ja) 着脱及び防水機能を備えた水タンク用無電源自動洗浄便座
KR100959693B1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대소변에 대응하는 물을 무전원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이구비된 변좌시트
KR20090101021A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물을 무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로제어장치
KR200453735Y1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역류방지장치
KR101198901B1 (ko) 후레쉬밸브 압력실의 물을 이용한 비데 물공급 기능이 구비된 이중개폐밸브 자동 물내림 비데
KR100882947B1 (ko) 자동물내림 비데의 실린더 압력 개폐장치
KR100705646B1 (ko) 절수기능이 구비된 변기/비데의 자동 물내림 장치 및 방법
US20220275618A1 (en) Unpowered automatic flushing module for flush valve having integrated flushing opening/closing portion
KR100775609B1 (ko) 저수압에서도 작동 가능한 자동물내림장치의 실린더구조
KR102060382B1 (ko) 휴지버리는 시간을 대·소변에 따라 자동 제어하는 무전원 자동물내림 장치
KR20100003033U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자동급수장치
KR101010343B1 (ko) 양변기
KR20180078387A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수동급수장치
KR100993337B1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림측 급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