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626B1 - 비데용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비데용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626B1
KR102591626B1 KR1020220072892A KR20220072892A KR102591626B1 KR 102591626 B1 KR102591626 B1 KR 102591626B1 KR 1020220072892 A KR1020220072892 A KR 1020220072892A KR 20220072892 A KR20220072892 A KR 20220072892A KR 102591626 B1 KR102591626 B1 KR 102591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water supply
unit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성
전옥
Original Assignee
전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옥 filed Critical 전옥
Priority to KR1020220072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6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내부에 공급된 세척수의 이동을 제어하는 급수부, 물리적인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부의 이동 제어 동작을 조정하는 수동제어부 및 상기 급수부와 상기 수동제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비데용 급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데용 급수장치{Water supply device for bidet}
본 발명은 비데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세척수 공급을 제어하고 세척수를 절약할 수 있는 비데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는 도기(변기)에 장착되어 인체의 항문과 국부를 세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변자의 용변 후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세정수가 항문 또는 국부로 분사된다.
추가적으로 건조기를 통해 공급되는 온풍으로 항문 및 국부 주변에 잔존하는 물기를 건조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위생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남녀노소가 폭넓게 비데를 사용하고 있다.
비데는 상수관과 연결되며 상수관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저장하기 위한 물통이 구비되며 세척 조작 시 상기 물통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여 노즐을 통해 분사하도록 작동된다. 비데 내의 물통에는 물이 일정 수위로 항상 유지되며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전기 장치에 의해 급수 여부가 결정된다.
종래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기에 의해 작동하기 때문에 정전이 발생하는 경우 비데가 작동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급수장치의 효율이 떨어지거나 구조적으로 복잡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072호(2013.09.10. 등록, 발명의 명칭: 비데용 급수밸브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원이 없이 기계적으로 급수가 가능한 비데용 급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조작이 편리하고 세척수 급수가 원활한 구조를 가지는 비데용 급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내부에 공급된 세척수의 이동을 제어하는 급수부, 물리적인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부의 이동 제어 동작을 조정하는 수동제어부 및 상기 급수부와 상기 수동제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비데용 급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세척수는, 상기 급수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수동제어부 각각에 순차적으로 공급되어 각 내부공간에 압력을 인가하며, 상기 전기적 신호 및 상기 물리적인 압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야기되는 외부와의 압력차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급수부는, 상기 세척수의 유입을 허용하는 제1유입관, 상기 제1유입관으로부터 상기 세척수를 공급받는 제1압력공간, 상기 제1압력공간 내의 세척수가 배출되는 제1배출관, 상기 제1압력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개폐부, 상기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개폐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1급수제어부 및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압력평형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급수제어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개폐부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로드부, 일단은 상기 제1개폐부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은 압력평형관과 연결 및 연통되며, 상기 제1로드부의 이동을 가이딩하는 제1이동공간을 제공하는 제1로드가이더, 상기 제1로드가이더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공급된 전기를 통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부 및 상기 제1이동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제1로드부를 상기 제1개폐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로드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압력공간으로부터 상기 제1이동공간으로 유입된 세척수는 상기 제1이동공간의 끝단에 천공된 개방홀을 통해 상기 압력평형관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개폐부는, 일면이 상기 제1로드부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개폐하우징, 상기 제1개폐하우징의 타면에 결합되고, 일면의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1로드가이더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며 타면은 상기 제1배출관과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개폐막, 상기 제1개폐하우징의 중심부에 천공된 제1중심개폐홀 및 상기 제1개폐하우징의 가장자리부에 천공된 제1측면개폐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수동제어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세척수를 전달받는 제2유입관, 상기 제2유입관으로부터 상기 세척수를 공급받는 제2압력공간, 상기 제2압력공간 내의 세척수가 배출되는 제2배출관, 상기 제2압력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개폐부 및 상기 제2개폐부를 제어하는 제2급수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2급수제어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개폐부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로드부, 일단은 상기 제2개폐부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은 누름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로드부의 이동을 가이딩하는 제2이동공간을 제공하는 제2로드가이더, 상기 제2로드가이더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력발생부, 상기 제2이동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제2로드부를 상기 제2개폐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로드탄성부재, 상기 제2로드가이더와 연결되며, 상기 물리적인 압력이 인가되는 누름부 및 상기 압력이 인가되는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2로드가이더와 상기 누름부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자력발생부는, 상기 누름부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이동 방향을 갖도록 상기 제2로드가이더에 연결되며, 상기 자기장을 통해 상기 제2이동공간 상에서 상기 제2로드부의 이동을 야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2개폐부는, 일면이 상기 제2로드부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개폐하우징, 상기 제2개폐하우징의 타면에 결합되고, 일면의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2로드가이더와 접촉가능하게 구비되며 타면은 상기 제2배출관과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개폐막, 상기 제2개폐하우징의 중심부에 천공된 제2중심개폐홀 및 상기 제2개폐하우징의 가장자리부에 천공된 제2측면개폐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급수부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 상기 수동제어부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밸브는, 상기 급수부 및 상기 수동제어부 간의 세척수의 이동을 허용 또는 차단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정전이 일어나도 기계적으로 장치 내부에 수압차를 발생시킴으로써 원활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조적으로 장치 내부의 수압차 발생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계적 조작을 통해 급수가 이루어지더라도 급수력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장치 조립이 쉽고 내구성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아래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급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급수 장치의 정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부의 단면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부의 일 부분의 단면도를 확대하여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제어부의 단면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제어부의 일 부분의 단면도를 확대하여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제어부가 구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일단(일단부), 타단(타단부) 및 끝단(끝단부)과 같은 표현은 어떠한 구성의 가장 끝 부분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그 주변부까지 포함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들어, 원기둥의 일단의 경우 원기둥의 양쪽 끝 일면만을 의미하지 않고 해당 일면과 인접하는 주변 측면의 일부까지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급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급수 장치의 정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부의 단면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부의 일 부분의 단면도를 확대하여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제어부의 단면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제어부의 일 부분의 단면도를 확대하여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제어부가 구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비데용 급수장치(10)는 상수원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내부에 저장하고, 저장된 세척수를 도기 등 외부로 배출시키는 급수부(1000), 급수부(1000) 내로 공급된 세척수의 배출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1급수제어부(1400), 급수부(1000) 내로 공급된 세척수의 배출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수동제어부(3000) 및 급수부(1000)와 수동제어부(3000)를 연결하는 연결부(200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데용 급수장치(10)는, 급수부(1000), 수동제어부(3000) 및 연결부(20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데용 급수장치(10)는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내부에 공급된 세척수의 이동을 제어하는 급수부(1000), 물리적인 압력에 기초하여 급수부의 이동 제어 동작을 조정하는 수동제어부(3000) 및 급수부와 수동제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20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수는 급수부(1000), 연결부(2000) 및 수동제어부(3000) 각각에 순차적으로 공급되어 각 내부공간에 압력을 인가하며, 전기적 신호 및 물리적인 압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야기되는 외부와의 압력차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세척수의 이동에 따라 각 구성요소에 압력이 인가되는 과정 및 이를 통해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세척수 배출 과정은 이하에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급수부(1000)는 상수원으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도기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수부(1000)는 전기적 신호 및 물리적 압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외부(예컨대, 도기의 내부 공간)로 세척수를 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급수부(1000)는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내부에 공급된 세척수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급수부(10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입관(1110), 제1압력공간(1200), 제1배출관(1120), 제1개폐부(1300), 제1급수제어부(1400) 및 압력평형관(15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수부(1000)는 세척수의 유입을 허용하는 제1유입관(111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유입관(1110)은 상수원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수원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내부에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급수부(1000)는 제1유입관(1110)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제1압력공간(1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압력공간(1200)은 제1유입관(1110)과 연통되는 제1압력공간A(1210) 및 제1배출관(1120)과 연통되는 제1압력공간B(1220)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압력공간B(1220)는 추후 상세하게 소개될 제1개폐부(1300)가 상하로 이동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제1압력공간A(1210)의 상부 측에 위치된다.
제1유입관(1110)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는 제1압력공간A(1210)에 유입된 후에 제1개폐부(1300)를 거쳐서 제1압력공간B(1220)로 유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개폐부(1300)가 제1배출관(1120)을 폐쇄하고 있는 경우, 제1압력공간B(1220)는 제1개폐부(1300)와 제1급수제어부(1400)의 일 구성인, 제1로드부(14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해당하며, 제1급수제어부(1400) 및 수동제어부(3000)가 모두 작동하지 않을 때, 세척수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1압력공간B(1220)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실시예에서, 급수부(1000)는 제1압력공간(1200) 내의 세척수가 배출되는 제1배출관(1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배출관(1120)은 도기의 내부 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배출관(1120)을 통해 배출된 세척수는 도기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급수부(1000)는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제1개폐부(1300)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1급수제어부(1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급수제어부(1400)는 제1개폐부(1300)를 제1배출관(1120) 방향으로 가압하는 외력을 조절함으로써 제1배출관(1120)으로 배출되는 세척수의 공급량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개폐부(130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급수제어부(1400)는 예컨대,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급수제어부(1400)는 제1하우징(1410), 제1로드부(1420), 제1로드가이더(1440), 코일부(1430), 제1로드탄성부재(146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급수제어부(14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하우징(14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1410)의 하단은 제1급수하우징(1100)과 결합되고, 제1하우징(1410)의 상단은 압력평형관(150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하우징(1410)은 충격에 민감한 코일부(1430)나 제1로드가이더(1440)와 같은 구성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급수제어부(1400)는 제1개폐부(1300)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로드부(1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로드부(1420)는 제1로드가이더(1440)가 제공하는 제1이동공간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로드부(1420)는 코일부(1430)가 형성하는 자기장에 의해 제1이동공간(1442) 상에서 상, 하로 이동될 수 있으며,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금속 재질의 제1로드부(1420)는 코일부(1430)를 통해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제1로드부(1420)는, 제1개폐부(1300)와 접촉하는 일단에 제1로드접촉부(1421)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로드부(1420)는 제1로드접촉부(1421)를 통해 제1개폐부(1300)와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1로드접촉부(1421)는 제1개폐부(1300)의 제1중심개폐홀(1330)에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제1로드접촉부(1421)가 제1중심개폐홀(1330)에 접촉되는 경우, 제1중심개폐홀(1330)을 통한 세척수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1로드접촉부(1421)가 제1중심개폐홀(1330)과 접촉되지 않은 경우, 제1중심개폐홀(1330)을 통해 세척수가 제1배출관으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제1로드접촉부(1421)는 제1로드부(1420)의 이동에 따라, 제1중심개폐홀(1330)을 통한 세척수의 이동을 허용하거나 또는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제1급수제어부(1400)는 일단은 제1개폐부(1300)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은 압력평형관(1500)과 연결 및 연통되며, 제1로드부(1420)의 이동을 가이딩하는 제1이동공간을 제공하는 제1로드가이더(14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로드가이더(1440)는 일단(1441)이 제1개폐부(1300)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1446)이 압력평형관(1500)과 연결되며, 제1로드부(1420)의 이동을 가이딩하는 제1이동공간(1442)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로드가이더(1440)는 내부에 제1로드부(14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간인 제1이동공간(1442), 제1이동공간(1442)의 끝단에 천공된 개방홀(1443), 개방홀(1443)과 압력평형관(1500) 사이에 위치되는 개방유로(1444) 및 제1로드가이더(1440)의 끝단 주변부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제1로드가이더(1440)로부터 압력평형관(1500)으로 유입되는 세척수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로드실링부(14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로드가이더(1440)의 일단(1441)은 제1개폐막(1320)과 접촉되고, 제1로드가이더(1440)의 타단(1446)은 압력평형관(1500)과 결합될 수 있다.
제1압력공간A(1210) 및 제1압력공간B(1220)로 유입된 세척수는 제1이동공간(1442), 개방홀(1443), 개방유로(1444)를 차례로 지나 압력평형관(15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압력평형관(1500)을 채운 세척수는 연결부(2000)와 수동제어부(3000)를 가득 채울때까지 유입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제1급수제어부(1400)가 작동하거나, 수동제어부(3000)에 의해 세척수 공급을 통해 내부에 걸린 압력이 해소되기 전까지, 제1압력공간B(1220), 제1이동공간(1442), 개방홀(1443), 개방유로(1444), 압력평형관(1500), 연결부(2000) 및 수동제어부(3000) 내의 세척수는 대기압보다 더 높은 수압을 유지하게 된다.
실시예에서, 제1급수제어부(1400)는 제1로드가이더(1440)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공급된 전기를 통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부(143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부(1430)는 플랜지(1450)를 사이에 두고 제1로드가이더(1440)를 둘러싸며 제2로드가이더(3440) 내에 위치된 제1로드부(1420)의 이동을 제어하는 핵심 구성이다. 코일부(1430)에 전기가 공급되어 자기장이 발생되면 제1로드부(1420)는 이에 반응하여 제1로드가이더(1440)의 상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급수제어부(1400)는 제1이동공간(1442)에 구비되며, 제1로드부(1420)를 제1개폐부(1300)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로드탄성부재(14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일부(1430)에 전기 공급이 해제되면 제1로드부(1420)는 제1로드탄성부재(1460)에 의해 다시 제1로드가이더(1440)의 하단으로 이동하며 제1개폐부(1300)와 접촉될 수 있다. 즉, 제1개폐부(1300)는 제1로드부(1420) 및 제1로드탄성부재(1460)에 의해 제1배출관(1120)이 폐쇄되도록 제1배출관(1120) 방향으로 힘을 받을 수 있다. 플랜지(1450)는 코일부(1430)와 제1로드가이더(1440) 사이에 위치되는 구성이며, 코일부(1430)를 보호하는 구성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급수부(1000)는 제1압력공간(1200)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개폐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개폐부(1300)의 이동에 따라, 세척수가 제1배출관(1120)으로 이동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개폐부(1300)가 상부 방향(즉, 제1급수제어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세척수가 제1배출관(11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이동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1개폐부(1300)가 하부 방향(즉, 제1배출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세척수가 제1배출관(11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이동 공간이 확보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개폐부(1300)는 제1개폐하우징(1310), 제1개폐막(1320), 제1중심개폐홀(1330) 및 제1측면개폐홀(13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개폐부(1300)는 일면이 제1로드부(1420)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개폐하우징(13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개폐부(1300)는 제1개폐하우징(1310)의 타면에 결합되고, 일면의 가장가리부는 제1로드가이더(1440)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며, 타면은 제1배출관(1120)과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개폐막(1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개폐막(1320)은 가장자리부가 제1로드가이더(1440)와 접촉을 유지하면서 제1배출관(1120)을 개방할 수 있도록 모양이 변형될 수 있다. 제1개폐막(1320)의 모양 변형은 수압차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개폐막(1320)은, 세척수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모양이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 소재를 통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개폐부(1300)는 제1개폐하우징(1310)의 중심부에 천공된 제1중심개폐홀(13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개폐부(1300)는 제1개폐하우징(1310)의 가장자리부에 천공된 제1측면개폐홀(13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압력공간A(1210)에 유입된 세척수는 제1중심개폐홀(1330) 및 제1측면개폐홀(1340)을 차례로 통과하여 제1압력공간B(1220)로 유입된다. 제1압력공간B(1220)에서부터 압력평형관(1500)이 가득찰때까지 제1압력공간A(1210)로부터 세척수가 유입된다.
제1압력공간B(1220), 제1이동공간(1442) 및 압력평형관(1500)이 세척수가 의해 가득차면, 연결부(2000) 및 수동제어부(3000)에 세척수가 채워질 수 있다. 연결부(2000) 및 수동제어부(3000)에 세척수가 채워지는 경우, 제1압력공간B(1220) 내의 수압과 제1압력공간A(1210) 내의 수압은 평형을 이룬다. 평형을 이룬 수압은 대기압보다 높기 때문에 제1급수제어부(1400) 및 수동제어부(3000)의 작동이 없으면 제1개폐부(1300)는 제1배출관(1120)을 계속해서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압력공간B(1220) 내의 수압은, 제1압력공간B(1220) 내에 저장된 세척수에 의해 대기압보다 다소 높은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급수제어부(1400) 및 수동제어부(3000)가 작동하기 않을 때 제1압력공간A(1210), 제1압력공간B(1220) 및 제1유입관(1110)의 압력은 서로 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평형이 유지되는 압력은 대기압 보다 높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코일부(1430)에서 생성된 자기장으로 인해 적어도 일부가 금속으로 구성된 제1로드부(1420)는 제1이동공간(1442) 내에서 개방홀(1443) 방향(즉, 상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급수제어부(1400)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코일부(1430)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공급부(1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로드부(1420)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로드부(1420)의 제1로드접촉부(1421)는 제1중심개폐홀(1330)을 개방시킬 수 있다. 제1중심개폐홀(1330)이 개방됨에 따라 제1압력공간B(1220)는 제1중심개폐홀(1330) 및 제1배출관(1120)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며 수압이 대기압 수준으로 낮아진다. 동시에 제1로드부(1420)에 의해 제1개폐부(1300)를 제1배출관(1120) 방향으로 가압했던 힘이 제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압력공간A(1210) 및 제1유입관(1110) 내의 세척수 압에 의해 제1개폐하우징(1310)이 제1로드가이더(1440) 방향으로 소정 거리 상승되고 제1배출관(1120)이 개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코일부(1430)에 전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제1로드부(1420)는 제1로드탄성부재(1460)에 의해 다시 제1개폐부(1300) 방향(즉, 하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로드접촉부(1421)는 다시 제1중심개폐홀(1330)을 폐쇄시키며 제1측면개폐홀(1340)을 통해 제1압력공간B(1220) 내에 세척수가 재공급됨에 따라 제1압력공간A(1210)와 제1압력공간B(1220) 내의 수압은 평형을 이루게 되며 제1배출관(1120)은 제1개폐부(1300)에 의해 다시 폐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동제어부(3000)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급수제어부(1400)가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작동되었을 때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데용 급수장치(10)는, 급수부(1000)와 수동제어부(3000)를 연결하는 연결부(20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000)는 급수부(1000)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2110), 수동제어부(3000)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2120) 및 제1연결부(2110)와 제2연결부(2120)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밸브(22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연결부(2110) 및 제2연결부(2120)는 세척수를 이동시키는 관의 형상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2000)는 예를 들어, 높은 압력에도 견고한 유지력을 갖도록 탄성 소재를 통해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진 않는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유입관(1110)을 통해 제1압력공간A(1210)에 공급된 세척수는, 제1압력공간B(1220), 제1이동공간(1442), 개방홀(1443), 개방유로(1444)를 차례로 지나 압력평형관(15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압력평형관(1500)을 채운 세척수는 연결부(2000)로 이동되어, 연결부(2000) 및 수동제어부(3000)를 가득 채울때까지 유입될 수 있다. 즉, 제1배출관(1120) 및 제2배출관(3120)을 통해 세척수가 배출되기 전에는 연결부(2000)의 내부는 세척수에 의해 외부 대기 기압보다 높은 다소 높은 압력이 인가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연결밸브(2200)는 급수부(1000) 및 수동제어부(3000) 간의 세척수의 이동을 허용 또는 차단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밸브(2200)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에 관련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밸브(2200)가 폐쇄위치로 회전되는 경우, 제1연결부(2110) 및 제2연결부(2120)가 분획됨에 따라, 급수부 및 수동제어부(3000) 간의 세척수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연결밸브(2200)가 개방위치로 회전되는 경우, 제1연결부(2110) 및 제2연결부(2120)가 연통됨에 따라, 세척수의 이동이 허용될 수 있다. 연결밸브(2200)를 통해 세척수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 및 허용함에 따라, 수동제어부(3000)를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기적 신호로만 급수부(1000)를 제어하고하는 경우에는 연결밸브(2200)를 폐쇄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급수부(1000)와 수동제어부(3000) 간의 세척수의 이동이 차단됨에 따라 수동제어부(3000) 내부에는 압력이 걸리지 않게되며, 이에 따라, 외부와의 압력 차에 의해 급수부(1000)를 제어할 수 없게된다. 또한, 예를 들어, 수동제어부(3000) 및 수동제어부(3000)에 포함된 부속 중 적어도 일부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연결밸브(2200)를 폐쇄 위치로 회전시켜 세척수의 이동을 제한시키고, 부속 교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연결밸브(2200)를 활용하여 수동제어부(3000)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동제어부(3000)는 물리적인 압력에 기초하여 급수부(1000)의 세척수 이동 제어 동작을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수동제어부(3000)는 상단에 구비된 누름부(347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압력을 인가받을 수 있으며, 해당 압력에 기초하여 제2배출관(3120)을 개방시켜 급수부(1000)로 하여금 제1배출관(1120)을 개방시키도록 할 수 있다. 즉, 수동제어부(3000)는 사용자의 물리적 압력에 기초하여 외부 대기와 연통됨으로써, 급수부(1000)의 제1배출관(1120)이 개방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수동제어부(3000)가 외부와 연통됨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 차에 의해 급수부의 제1배출관(1120)이 개방되도록 하는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수동제어부(3000)는, 제2유입관(3110), 제2압력공간(3200), 제2배출관(3120), 제2개폐부(3300) 및 제2급수제어부(34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동제어부(3000)는 연결부(2000)로부터 세척수를 전달받는 제2유입관(311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유입관(3110)은 제2연결부(2120)와 연결되어 급수부(1000)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전달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수동제어부(3000)는 제2유입관(3110)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제2압력공간(3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압력공간(3200)은 제2유입관(3110)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압력공간(3200)에 저장되는 세척수는 누름부(3470)의 동작에 의해 제2개폐부(3300)가 제2배출관(3120)을 개방하도록 함에 따라, 제2압력공간(3200)에 인가된 압력이 외부 기압과 평형을 이루게되며, 이에 따라, 제2압력공간(3200)과 연통된 연결부(2000) 및 급수부(1000) 또한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즉, 급수부(1000)의 제1압력공간(1200) 내에 세척수 공급에 의해 대기압보다 다소 높게 인가된 압력은, 연결부(2000)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어 대기압 수준으로 낮아진다. 이에 따라, 제1로드부(1420)에 의해 제1개폐부(1300)를 제1배출관(1120) 방향으로 가압했던 힘이 제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압력공간A(1210) 및 제1유입관(1110) 내의 세척수 압에 의해 제1개폐하우징(1310)이 제1로드가이더(1440) 방향으로 소정 거리 상승되고 제1배출관(1120)이 개방될 수 있다. 즉, 수동제어부(3000)는 누름부(3470)로 인가되는 물리적 압력에 의해 제2압력공간(3200) 내에서 제2개폐부(330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제2개폐부(3300)의 이동에 따라 제2압력공간(3200), 연결부(2000) 및 급수부(1000)가 외부와 연통되어 제1개폐부(1300)를 이동시켜 결과적으로, 제1배출관(1120)을 통해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동제어부(3000)는 누름부(3470)를 통해 인가된 물리적 압력에 기초하여 급수부(1000)의 연결부(2000)를 지나 압력평형관(1500), 개방홀(1443) 및 제1압력공간(1200)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여 압력을 저감시킴에 따라, 제1개폐부(1300)를 상승시켜 제1배출관(1120)을 통해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압력공간(3200)은 제2유입관(3110)과 연통되는 제2압력공간A(3210) 및 제2배출관(3120)과 연통되는 제2압력공간B(3220)로 구분될 수 있다. 제2압력공간B(3220)는 추후 상세하게 소개될 제2개폐부(3300)가 상하로 이동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제2압력공간A(3210)의 상부 측에 위치된다.
제2유입관(3110)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는 제2압력공간A(3210)에 유입된 후에 제2개폐부(3300)를 거쳐서 제2압력공간B(3220)로 유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개폐부(3300)가 제2배출관(3120)을 폐쇄하고 있는 경우, 제2압력공간B(3220)는 제2개폐부(3300)와 제2급수제어부(3400)의 일 구성인, 제2로드부(34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해당하며, 제2급수제어부(3400)가 누름부(3470)에 의해 작동하지 않은 때, 세척수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2압력공간B(3220)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실시예에서, 수동제어부(3000)는 제2압력공간(3200) 내의 세척수가 배출되는 제2배출관(3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배출관(3120)은 도기의 내부 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배출관(3120)을 통해 배출된 세척수는 도기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배출관(3120)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양은 제1배출관(1120)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 양 보다 적을 수 있다. 예컨대, 제2배출관(3120)이 외부와 연통됨에 따라, 연결부(2000) 및 급수부(1000)의 내부도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 경우, 수동제어부(3000) 및 연결부(2000)에 존재하는 일부 만이 제2배출관(31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며, 비교적 세척수의 공급 위치에 가까운 제1압력공간(1200)(즉, 세척수가 직접적으로 공급되는 제1유입관 인근)에 위치한 다량의 세척수는, 제1배출관(11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수동제어부(3000)는 제2개폐부(3300)를 제어하는 제2급수제어부(3400)를 포함할 수 있다. 누름부(3470)를 통해 인가되는 외력에 기초하여 제2급수제어부(3400)는 제2개폐부(3300)를 제2배출관(3120) 방향으로 가압하는 외력을 조절함으로써 제2배출관(3120)으로 배추로디는 세척수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급수제어부(34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34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하우징(3410)의 하단은 제2급수하우징(3100)과 결합되고, 제2하우징(3410)의 상단은 누름부(347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하우징(3410)은 충격에 민감한 자력발생부(3430)나 제2로드가이더(3440)와 같은 구성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2급수제어부(3400)는 제2개폐부(3300)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로드부(3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로드부(3420)는 제2로드가이더(3440)가 제공하는 제2이동공간(3441)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로드부(3420)는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자력발생부(3430)가 발생시키는 자기장에 의해 제2이동공간(3441) 상에서 상, 하로 이동될 수 있다. 금속 재질의 제2로드부(3420)는 자력발생부(3430)가 이동됨에 따라 형성되는 자기장에 반응하여 이동될 수 있다. 제2로드부(3420)는 제2개폐부(3300)와 접촉하는 일단에 제2로드접촉부(3421)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로드부(3420)는 제2로드접촉부(3421)를 통해 제2개폐부(3300)와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2로드접촉부(3421)는 제2개폐부(3300)의 제2중심개폐홀(3330)에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제2로드접촉부(3421)가 제2중심개폐홀(3330)에 접촉되는 경우, 제2중심개폐홀(3330)을 통한 세척수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2로드접촉부(3421)가 제2중심개폐홀(3330)과 접촉되지 않는 경우, 제2중심개폐홀(3330)을 통해 세척수가 제2배출관(3120)으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제2로드접촉부(3421)는 제2로드부(3420)의 이동에 따라, 제2중심개폐홀(3330)을 통한 세척수의 이동을 허용하거나 또는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제2급수제어부(3400)는 일단은 제2개폐부(3300)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은 누름부(3470)와 연결되며, 제2로드부(3420)의 이동을 가이딩하는 제2이동공간(3441)을 제공하는 제2로드가이더(34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로드가이더(3440)는 일단(1441)이 제2개폐부(3300)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1446)이 누름부(3470)와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2로드가이더(3440)는 내부에 제2로드부(34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간인 제2이동공간(34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이동공간(3441)에서 제2로드부(34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개폐부(3300)의 제2중심개폐홀(3330)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제2급수제어부(3400)는 제2로드가이더(344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력발생부(343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력발생부(3430)는 제2로드가이더(3440)의 외주면에 상, 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누름부(3470)에 연결되어 구비되며, 제2로드가이더(3440)의 내측에 위치한 제2로드부(3420)에 자기장을 인가하여 제2로드부(3420)를 상대 이동시킬 수 있다. 자력발생부(3430)는 제2하우징(3410)의 내부와 제2로드가이더(3440)의 외부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자력발생부(3430)는 자력발생본체(3431) 및 케이스부(3432)를 포함할 수 있다. 자력발생본체(3431)는 케이스부(3432)의 내부에 수용되며, 누름부(3470)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누름부(3470)의 이동에 연동되어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자력발생본체(3431)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예컨대,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부(3432)는 누름부(3470)에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 자력발생본체(3431)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케이스부(3432)는 제1케이스부 및 제2케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케이스는 제1케이스에 연결되는 것으로, 제1누름부(3470)에 연결되는 제1케이스의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을 커버하여 제1케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가 연결되며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자력발생본체(343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는 서로 마주보는 일면 상에서 서로를 향해 후크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케이스의 양측면의 내면에는 제2케이스의 양측면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후크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고, 제2케이스의 양측면의 외면에는 제1케이스의 양측면의 내면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후크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케이스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제2케이스에 형성되는 돌출부가 서로 걸립 결합되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로 둘러쌓이는 내부 공간 상에 자력발생본체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2급수제어부(3400)는 제2로드가이더(3440)와 연결되며, 물리적인 압력이 인가되는 누름부(347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누름부(3470)는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여 물리적인 압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자력발생부(3430)는 누름부(3470)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이동 방향을 갖도록 제2로드가이더(3440)에 연결되며, 자기장을 통해 제2이동공간(3441) 상에서 제2로드부(3420)의 이동을 야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자력발생부(3430)가 이동됨에 따라 제2로드부(3420)는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즉, 자력발생부(3430)는 자력을 통해 제2로드부(3420)를 제2이동공간(3441) 내에서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누름부(3470)가 물리적 압력에 의해 하강되는 경우, 자력발생부(3430) 또한 누름부(3470)와 동일한 방향으로 하강될 수 있으며, 자력발생부(3430)에서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제2로드부(3420)가 상승될 수 있다. 제2로드부(3420)가 상승됨에 따라, 제2로드부(3420)의 제2로드접촉부(3421)가 제2개폐부(3300)의 제2중심개폐홀(3330)로부터 이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중심개폐홀(3330)이 개방되어 제2압력공간(3200)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제2급수제어부(3400)는 제2이동공간(3441)에 구비되며, 제2로드부(3420)를 제2개폐부(3300)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로드탄성부재(3450)를 포함할 수 있다. 누름부(3470)에 인가된 압력이 해소되어 누름부(3470)가 다시 상승될 수 있다. 누름부(3470)가 상승되는 경우, 자력발생부(3430) 또한 누름부(3470)와 동일한 방향으로 상승될 수 있으며, 자력발생부(3430)에서 발생된 자기장 및 제2로드탄성부재(3450)에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2로드부(3420)가 하강될 수 있다. 제2로드부(3420)가 하강되는 경우, 제2로드부(3420)의 제2로드접촉부(3421)는 제2개폐부(3300)의 접촉되며, 이에 따라, 제2중심개폐홀(3330)이 폐쇄될 수 있다. 즉, 제2개폐부(3300)는 제2로드부(3420) 및 제2로드탄성부재(3450)에 의해 제2배출관(3120)이 폐쇄되도록 제2배출관(3120) 방향으로 힘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제2급수제어부(3400)는 압력이 인가되는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제2로드가이더(3440)와 누름부(3470)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부(346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부(3460)는 누름부(3470)에 물리적인 압력이 인가되는 방향(예컨대, 하측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예컨대, 상측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외부 물리적인 압력에 의해 누름부(3470)가 하강된 이후, 누름부(3470)에 인가된 압력이 해소되는 경우, 스프링부(346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누름부(3470)가 다시 상승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수동제어부(3000)는 제2압력공간(3200)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개폐부(3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개폐부(3300)의 이동에 따라, 세척수가 제2배출관(3120)으로 이동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예컨대, 제2개폐부(3300)가 상부 방향(즉, 제2급수제어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세척수가 제2배출관(3120)을 통해 외보로 배출되는 이동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2개폐부(3300)가 하부 방향(즉, 제2배출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세척수가 제2배출관(31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이동 공간이 확보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2개폐부(3300)는 제2개폐하우징(3310), 제2개폐막(3320), 제2중심개폐홀(3330) 및 제2측면개폐홀(33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개폐부(3300)는 일면이 제2로드부(3420)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하우징(34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개폐부(3300)는 제2개폐하우징(3310)의 타면에 결합되고, 일면의 가장자리부는 제2로드가이더(3440)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며, 타면은 제2배출관(3120)과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개폐막(3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개폐막(3320)은 가장자리부가 제2로드가이더(3440)와 접촉을 유지하면서 제2배출관(3120)을 개발할 수 있도록 모양이 변형될 수 있다. 제2개폐막(3320)의 모양 변형은 수압차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개폐막(3320)은 세척수가 세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모양이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는 탄성 소재를 통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개폐부(3300)는 제2개폐하우징(3310)의 중심부에 천공된 제2중심개폐홀(33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개폐부(3300)는 제2개폐하우징(3310)의 가장자리부에 천공된 제2측면개폐홀(33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압력공간A(3210)에 유입된 세척수는 제2중심개폐홀(3330) 및 제2측면개폐홀(3340)을 차례로 통과하여 제2압력공간B(3220)로 유입된다. 제2압력공간B(3220)이 가득찰때까지 제2압력공간A(3210)로부터 세척수가 유입된다.
제2압력공간B(3220)에 세척수가 채워지는 경우, 제2압력공간A(3210) 내의 수압과 제2압력공간B(3220) 내의 수압은 평형을 이룬다. 평형을 이룬 수압은 대기압 보다 높기 ?문에, 제1급수제어부(1400) 및 누름부(3470)의 작동이 없으면, 제2개폐부(3300)는 제2배출관(3120)을 계속해서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압력공간B(3220) 내의 수압은 제2압력공간B(3220) 내에 공급된 세척수에 의해 대기압 보다 다소 높은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급수제어부(1400) 및 누름부(3470)가 작동하지 않을 때, 제1압력공간A(1210), 제1압력공간B(1220), 제1유입관(1110), 압력평형관(1500), 연결부(2000), 제2압력공간A(3210), 제2압력공간B(3220) 및 제2유입관(3110)의 압력은 서로 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평형이 유지되는 압력은 대기압 보다 높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누름부(3470)에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자력발생부(3430)가 도 8의 (a)를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자력발생부(3430)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금속으로 구성된 제2로드부(3420)는 제2이동공간(3441) 내에서 누름부(3470) 방향(즉, 상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도 8의 (b)와 같이, 제2로드부(3420)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로드부(3420)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로드부(3420)의 제2로드접촉부(3421)는 제2중심개폐홀(3330)을 개방시킬 수 있다. 제2중심개폐홀(3330)이 개방됨에 따라 제2압력공간B(3220)는 제2중심개폐홀(3330) 및 제2배출관(3120)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며 수압이 대기압 수준으로 낮아진다. 즉, 제2압력공간B(3220)는 제2중심개폐홀(3330) 및 제2배출관(3120)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며 수압이 대기압 수준으로 낮아진다. 동시에 제2로드부(3420)에 의해 제2개폐부(3300)를 제2배출관(3120) 방향으로 가압했던 힘이 제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2압력공간A(3210) 및 제2유입관(3110) 내의 세척수 압에 의해 제2개폐하우징(3310)이 제2로드가이더(3440) 방향으로 소정 거리 상승되고, 제2배출관(3120)이 개방될 수 있다. 이는, 제2압력공간(3200), 제2유입관(3110), 연결부(2000), 급수부(1000)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 수준으로 낮아지게 할 수 있다. 급수부(1000)의 내부 압력 즉, 압력평형관(1500), 제1압력공간B(1220)의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제1로드부(1420)에 의해 제1개폐부(1300)를 제1배출관(1120) 방향으로 가압했던 힘이 제거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제1압력공간A(1210) 및 제1유입관(1110) 내의 세척수 압에 의해 제1개폐하우징(1310)이 제1로드가이더(1440) 방향으로 소정 거리 상승되고 제1배출관(1120)이 개방될 수 있다.
누름부(3470)를 통한 압력 인가가 중단되는 경우, 제2로드부(3420)는 제2로드탄성부재(3450)에 의해 다시 제2개폐부(3300) 방향(즉, 하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누름부(347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스프링부(346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자력발생부(3430) 및 누름부(3470)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며,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기 전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즉, 스프링부(3460)에 의해 도 8의 (a)와 같이, 누름부(3470) 및 제2로드부(3420)가 상승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2로드접촉부(3421)는 다시 제2중심개폐홀(3330)을 폐쇄시키며 제2측면개폐홀(3340)을 통해 제2압력공간B(3220) 내에 세척수가 재공급됨에 따라 제2압력공간A(3210)와 제2압력공간B(3220) 내의 수압은 평형을 이루게 되며 제2배출관(3120)은 제2개폐부(3300)에 의해 다시 폐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압력공간(3200), 제2유입관(3110), 연결부(2000), 압력평형관(1500), 개방홀(1443), 제1압력공간(1200) 및 제1유입관(1110)에는 세척수가 순차적으로 가득 채워지게 되며, 제1압력공간A(1210)와 제1압력공간B(1220) 내의 수압은 평형을 이루게 되며 제1배출관(1120)은 제1개폐부(1300)에 의해 다시 폐쇄될 수 있다. 즉, 제2배출관(3120)이 제2개폐부(3300)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세척수가 공급됨에 따라, 제1배출관(1120)이 제1개폐부(1300)에 의해 폐쇄되며, 결과적으로, 세척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급수부(1000), 연결부(2000), 제2압력공간(3200) 내에 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데용 급수장치(10)는 무전원, 기계적 방식으로 사용자가 수동제어부(3000)의 누름부(3470)를 누르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제2급수제어부(3400), 구체적으로, 제2로드부(3420)에 동력을 전달하여 제2로드부(3420)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제2로드부(3420)에 이동에 따라 제2배출관(3120)의 개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배출관(3120)이 개폐되는 경우, 제2압력공간(3200)이 외부와 연통되며, 이에 따라, 연결부(2000) 및 급수부(1000)의 내부도 순차적으로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급수부(1000) 내부 구체적으로, 제1로드부(1420)에 의해 제1개폐부(1300)를 제1배출관(1120) 방향으로 가압했던 힘이 제거되게 하며, 제1압력공간A(1210) 및 제1유입관(1110) 내의 세척수 압에 의해 제1개폐하우징(1310)이 제1로드가이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상승되어 제1배출관(1120)이 개방되도록 한다. 즉, 수동제어부(3000)는 누름부(3470)로 인가되는 물리적 압력에 의해 제2압력공간(3200) 내에서 제2개폐부(330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제2개폐부(3300)의 이동에 따라 제2압력공간(3200), 연결부(2000) 및 급수부(1000)가 외부와 연통되어 제1개폐부(1300)를 제1압력공간(1200) 내에서 상승시켜 결과적으로, 제1배출관(1120)을 통해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동제어부(3000)는 누름부(3470)를 통해 인가된 물리적 압력에 기초하여 급수부(1000)의 연결부(2000)를 지나 압력평형관(1500), 개방홀(1443) 및 제1압력공간(1200)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여 압력을 저감시킴에 따라, 제1개폐부(1300)를 상승시켜 제1배출관(1120)을 통해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정리하면, 연결부(2000)를 통해 급수부(1000)에 연결된 수동제어부(3000)는, 외부 대기의 압력과 연결부(2000) 및 급수부(1000) 내부의 압력이 연통되도록 하는 메커니즘을 통해 급수부(1000)의 세척수 이동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비데용 급수장치 1000: 급수부
1100: 제1급수하우징 1110: 제1유입관
1120: 제1배출관 1200: 제1압력공간
1210: 제1압력공간A 1220: 제1압력공간B
1300: 제1개폐부 1310: 제1개폐하우징
1320: 제1개폐막 1330: 제1중심개폐홀
1340: 제1측면개폐홀 1400: 제1급수제어부
1410: 제1하우징 1420: 제1로드부
1421: 제1로드접촉부 1430: 코일부
1440: 제1로드가이더 1441: 제1로드가이더 일단
1442: 제1이동공간 1443: 개방홀
1444: 개방유로 1445: 로드실링부
1446: 제1로드가이더 타단 1450: 플랜지
1460: 제1로드탄성부재 1470: 전기공급부
1500: 압력평형관 2000: 연결부
2110: 제1연결부 2120: 제2연결부
2200: 연결밸브 3000: 수동제어부
3100: 제2급수하우징 3110: 제2유입관
3120: 제2배출관 3200: 제2압력공간
3210: 제2압력공간A 3220: 제2압력공간B
3300: 제2개폐부 3310: 제2개폐하우징
3320: 제2개폐막 3330: 제2중심개폐홀
3340: 제2측면개폐홀 3400: 제2급수제어부
3410: 제2하우징 3420: 제2로드부
3421: 제2로드접촉부 3430: 자력발생부
3431: 자력발생본체 3432: 케이스부
3440: 제2로드가이더 3441: 제2이동공간
3450: 제2로드탄성부재 3460: 스프링부
3470: 누름부

Claims (10)

  1.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내부에 공급된 세척수의 이동을 제어하는 급수부;
    물리적인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부의 이동 제어 동작을 조정하는 수동제어부; 및
    상기 급수부와 상기 수동제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부는, 상기 세척수의 유입을 허용하는 제1유입관, 상기 제1유입관으로부터 상기 세척수를 공급받는 제1압력공간, 상기 제1압력공간 내의 세척수가 배출되는 제1배출관, 상기 제1압력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개폐부, 상기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개폐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1급수제어부 및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압력평형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급수제어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개폐부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로드부, 일단은 상기 제1개폐부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은 압력평형관과 연결 및 연통되며 상기 제1로드부의 이동을 가이딩하는 제1이동공간을 제공하는 제1로드가이더, 상기 제1로드가이더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공급된 전기를 통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부 및 상기 제1이동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제1로드부를 상기 제1개폐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로드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압력공간으로부터 상기 제1이동공간으로 유입된 세척수는 상기 제1이동공간에 천공된 개방홀을 통해 상기 압력평형관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급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는,
    상기 급수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수동제어부 각각에 순차적으로 공급되어 각 내부공간에 압력을 인가하며, 상기 전기적 신호 및 상기 물리적인 압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야기되는 외부와의 압력차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급수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는,
    일면이 상기 제1로드부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개폐하우징;
    상기 제1개폐하우징의 타면에 결합되고, 일면의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1로드가이더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며 타면은 상기 제1배출관과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개폐막;
    상기 제1개폐하우징의 중심부에 천공된 제1중심개폐홀; 및
    상기 제1개폐하우징의 가장자리부에 천공된 제1측면개폐홀;
    을 포함하는,
    비데용 급수장치.
  6.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내부에 공급된 세척수의 이동을 제어하는 급수부;
    물리적인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부의 이동 제어 동작을 조정하는 수동제어부; 및
    상기 급수부와 상기 수동제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수동제어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세척수를 전달받는 제2유입관, 상기 제2유입관으로부터 상기 세척수를 공급받는 제2압력공간, 상기 제2압력공간 내의 세척수가 배출되는 제2배출관, 상기 제2압력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개폐부 및 상기 제2개폐부를 제어하는 제2급수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급수제어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개폐부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로드부, 일단은 상기 제2개폐부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은 누름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로드부의 이동을 가이딩하는 제2이동공간을 제공하는 제2로드가이더, 상기 제2로드가이더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력발생부, 상기 제2이동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제2로드부를 상기 제2개폐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로드탄성부재, 상기 제2로드가이더와 연결되며, 상기 물리적인 압력이 인가되는 누름부 및 상기 압력이 인가되는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2로드가이더와 상기 누름부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비데용 급수장치.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발생부는,
    상기 누름부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이동 방향을 갖도록 상기 제2로드가이더에 연결되며, 상기 자기장을 통해 상기 제2이동공간 상에서 상기 제2로드부의 이동을 야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급수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폐부는,
    일면이 상기 제2로드부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개폐하우징;
    상기 제2개폐하우징의 타면에 결합되고, 일면의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2로드가이더와 접촉가능하게 구비되며 타면은 상기 제2배출관과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개폐막;
    상기 제2개폐하우징의 중심부에 천공된 제2중심개폐홀; 및
    상기 제2개폐하우징의 가장자리부에 천공된 제2측면개폐홀;
    을 포함하는,
    비데용 급수장치.
  10.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급수부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
    상기 수동제어부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밸브;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밸브는,
    상기 급수부 및 상기 수동제어부 간의 세척수의 이동을 허용 또는 차단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급수장치.
KR1020220072892A 2022-06-15 2022-06-15 비데용 급수장치 KR102591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892A KR102591626B1 (ko) 2022-06-15 2022-06-15 비데용 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892A KR102591626B1 (ko) 2022-06-15 2022-06-15 비데용 급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1626B1 true KR102591626B1 (ko) 2023-10-20

Family

ID=88514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892A KR102591626B1 (ko) 2022-06-15 2022-06-15 비데용 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6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0193A (ko) * 2009-09-17 2011-03-23 제이에스엠헬스케어 주식회사 위생 도기 급수 장치
KR101038063B1 (ko) * 2008-09-08 2011-06-01 주식회사 보보코퍼레이션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
KR101757863B1 (ko) * 2016-12-29 2017-07-17 주식회사 엔씨엠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
KR20200098103A (ko) * 2019-02-12 2020-08-20 전옥 비데용 급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063B1 (ko) * 2008-09-08 2011-06-01 주식회사 보보코퍼레이션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
KR20110030193A (ko) * 2009-09-17 2011-03-23 제이에스엠헬스케어 주식회사 위생 도기 급수 장치
KR101757863B1 (ko) * 2016-12-29 2017-07-17 주식회사 엔씨엠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
KR20200098103A (ko) * 2019-02-12 2020-08-20 전옥 비데용 급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2351A (en) Water-supply valve of a washing machine
KR102181021B1 (ko) 비데용 급수장치
US5573224A (en) Water-supply valve of a washing machine
KR101528309B1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자동 및 수동 겸용 급수장치
KR102591626B1 (ko) 비데용 급수장치
CN109386924B (zh) 一种加湿器下水控制结构
CN113982078A (zh) 一种实现提前刷圈的进水阀
US5503362A (en) Water-supply valve of a washing machine
CN110306635B (zh) 一种改善噪音的冲洗控制系统及方法
CN103362188A (zh) 储压节能冲洗水箱及减压排水阀
KR101046319B1 (ko) 자연 배출식 양변기
KR102007893B1 (ko)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장치
KR100597501B1 (ko) 산소공급용 안전기구
KR102500595B1 (ko) 비데용 급수장치
CN201554094U (zh) 轻按磁控陶瓷密封压力射流水箱
KR101181353B1 (ko) 솔레노이드 밸브
CN104294897B (zh) 一种用水压控制提升的开启装置及冲洗装置
KR200152597Y1 (ko) 전기압력밥솥에 있어서 압력배출용 솔레노이드밸브
CN208650197U (zh) 一种气动排水阀及其气路控制装置
KR20090120163A (ko)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CN115126059B (zh) 一种智能坐便器节水冲刷系统
KR200436828Y1 (ko) 비데용 세정수의 배압차단장치
KR0117207Y1 (ko) 좌변기용 수량 조절 장치
CN102031812B (zh) 轻按磁控陶瓷密封压力射流水箱
JPS5846818Y2 (ja) 浴中気泡マッサ−ジ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