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7207Y1 - 좌변기용 수량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용 수량 조절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207Y1
KR0117207Y1 KR2019950003872U KR19950003872U KR0117207Y1 KR 0117207 Y1 KR0117207 Y1 KR 0117207Y1 KR 2019950003872 U KR2019950003872 U KR 2019950003872U KR 19950003872 U KR19950003872 U KR 19950003872U KR 0117207 Y1 KR0117207 Y1 KR 01172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clamp
adjust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38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1630U (ko
Inventor
권행자
Original Assignee
권행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행자 filed Critical 권행자
Priority to KR20199500038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7207Y1/ko
Publication of KR9600316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16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2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2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절수 장치는 기존의 좌변기에 설치하기가 어려워 따로 좌변기를 구입해야 할 뿐만 아니라 가격이 비교적 비싸 구입자의 부담이 커지게 되고, 수조(52)내부에 벽돌(B)을 넣는 것은 벽돌 가루가 발생되어 수조(52) 내부가 오염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조(52)의 저면 일측에 부구(55)가 설치된 밸브(54)에 직립으로 간헐 고정시킬 수 있고 자바라와 같이 수직 높이를 조절하여 물을 보유함으로써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절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좌변기용 수량 조절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수량 조절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수량 조절 장치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조립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탱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횡 단면도.
제5도는 일반적인 좌변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결합부2:클램프
3,3':탱크4:돌출부
5:개구부6:제1돌기
7:제1대응부 8:제2돌기
9:제2대응부
본 고안은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좌변기 사용시 경우에 따라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좌변기용 수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편안하게 앉은 자세에서 소변 또는 대변을 볼 수 있게 한 것으로, 일정한 물의 양을 수조에 미리 확보한 상태에서 사람이 소변 또는 대변을 본 후 상기한 물을 방출시킴으로써 소변 또는 대변을 정화조로 보내게 된다.
상기한 좌변기는 통상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이 앉을 수 있는 본체(50)와, 상기한 본체(50)에 배수공(51)으로 연결되어 있는 수조(52)와, 상기한 수조(52)에 설치되어 물을 일정한 양으로 유지함과 아울러 레버(53)작동 시 물을 본체(50)에 흘릴 수 있는 조절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조절 장치는 수조(52)에 직립 설치된 밸브(54)와, 상기한 밸브(54)에 설치되어 물의 수면을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한 밸브(54)를 개폐시키는 부구(55)와, 상기한 수조(52)의 배수공(51)을 측면에 힌지 연결되어 있는 개폐시키는 커버(56)와, 상기한 커버(56)에 일단이 연결됨과 아울러 수조(51)의 상단에 결합된 레버(53)에 타단이 연결된 와이어(5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좌변기는 사람이 용변을 본 후 레버(53)를 누르게 되면 여기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57)가 커버(56)를 상승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배수공(51)을 막고 있는 커버(56)가 상승하여 배수공(51)을 개방시키게 된다.
배수공(51)이 개방되면 수조(52)에 충만되어 있는 물이 이를 통해 본체(50)로 유입됨으로써 용변을 정화조(미 도시)로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수조(52)의 물이 배수공(51)을 통해 완전히 배출되면 커버(56)를 들어 올리는 힘이 소멸됨으로써 커버(56)는 다시 배수공(51)을 막게 됨과 아울러 수면을 따라 승강되는 부구(55)가 하강하면서 밸브(54)를 열어 수조(52)에 다시 물이 충만된다.
여기서, 상기한 레버(53)에 의한 커버(56)의 동작으로 방출되는 물의 양은 소변 및 대변 시에도 동일하기 때문에 절수를 위해 소변과 대변 시의 레버를 달리한 절수 장치가 개발되었다.
즉, 소변시와 대변시에 사용되는 레버를 달리함으로써 소변시에는 비교적 적은 양의 물을 배출시키고 대변시에는 많은 양의 물을 배출시킴으로써 절수를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수조(52) 내부에 벽돌(B)을 넣어 상기한 벽돌(B) 의 부피만큼 밸브(54)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양을 줄임으로써 절수를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절수 장치는 기존의 좌변기에 설치하기가 어려워 따로 좌변기를 구입해야 할 뿐만 아니라 가격이 비교적 비싸 구입자의 부담이 커지게 되고, 수조(52) 내부에 벽돌(B)을 넣는 것은 벽돌 가루가 발생되어 수조(52) 내부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의 좌변기에 부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여 구입에 부담이 없고 수조 내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좌변기용 수량 조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수조의 저면 일측에 부구가 설치된 밸브에 직립으로 간헐 고정시킬 수 있고 자바라와 같이 수직 높이를 조절하여 물을 보유함으로써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상세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수량 조절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수조(52)의 저면 일측에 부구(55)가 설치된 밸브(54)에 직립으로 간헐 고정시킬 수 있고 자바라와 같이 수직 높이를 조절하여 물을 보유함으로써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 수단이 결합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수조(52)의 저면 중앙에는 커버(56)가 밀착된 배수공(5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커버(56)는 레버(53)에 와이어(57)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한 조절 수단은 제2도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54)에 일측이 결합되도록 결합부(1)가 형성된 클램프(2)와, 상기한 클램프(2)에 결합되고 자바라와 같이 수축, 팽창하여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탱크(3)와, 상기한 클램프(2)와 탱크(3)를 간헐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결합 수단은 탱크(3)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4)와, 상기한 돌출부(4)와 결합되도록 클램프(2)에 형성된 개구부(5)로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한 돌출부(4)에는 클램프(2)와 탱크(3)의 간격 조절을 위한 다수의 제1돌기(6)가 직립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5)에는 이와 대응되는 제1대응부(7)가 개구부(5) 선단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개구부(5)와 돌출부(4) 결합 시 외부 충격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돌출부(4)의 저면에 형성된 제2돌기(8)와, 상기한 제2돌기(8)와 대응되도록 개구부(5)의 저면 하단에 형성된 제2대응부(9)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1돌기(6)와 제1대응부(7)가 선택 결합되면서 클램프(2)와 탱크(3)의 간격을 조절 할 수 있고, 제2돌기(8)와 제2대응부(9)가 결합되면서 클램프(2)에서 탱크(3)가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클램프(2)와 탱크(3)를 일체로 형성하여도 절수 효과는 동일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제1, 2돌기(6,8)와 제1, 2대응부(7, 9)를 결합시키면서 클램프(2)와 탱크(3)를 결합시키고 클램프(2)의 결합부(1)를 기존의 밸브(54)에 결합시켜 수량 조절 장치의 설치를 완료시킨다.
설치가 완료되면 탱크(3)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하게 되는 바, 이 상태에서 수조(52)에 충만되어 있는 물은 탱크(3)의 내부에도 들어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탱크(3)가 설치된 상태에서 소변 또는 대변을 본 후 사용자가 레버(53)를 누르게 되면 상기한 레버(53)와 연결된 커버(56)가 회전되면서 배수공(51)이 개방되어 물이 배출된다.
이때, 상기한 탱크(3) 내부에 충만되어 있는 물은 탱크(3)에 갇혀 있는 상태가 됨으로써 배수공(51)을 통해 배출되지 않고 남아 있게 된다.
즉, 수조(52)에 충만되어 있는 물 중에서 탱크(3) 내부에 남아 있는 양만큼은 배수공(51)을 통해 배출되지 않게 되어 배출되는 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수조(52) 내부의 물이 완전히 배수되면 수압을 받지 않는 커버(56)는 다시 배수공(51)을 막게 되고, 수면이 하강함에 따라 부구(55)가 하강함으로써 밸브(54)가 개방되어 수조(52)에 다시 물이 충만된다.
여기서, 상기한 탱크(3) 내부에는 물이 차 있는 상태가 됨으로써 그 양만큼 수조(52)에 유입되는 물의 양은 감소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물의 양은 사용자가 탱크(3)을 확장시키거나 수축시켜 조절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탱크(3)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탱크(3') 내부의 저수량 및 제작 용이성에 따라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만 소정 곡률로 형성되어 접힐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즉, 탱크(3, 3')가 설치되는 장소에 적합하도록 여러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수조 내부의 밸브에 간헐 결합시킬 수 있는 클램프와 탱크를 기존 수조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격이 저렴하며 절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수조(52)의 저면 일측에서 부구(55)가 설치된 밸브(54)에 직립으로 간헐 고정시킬 수 있고 자바라와 같이 수직 높이를 조절하여 물을 보유함으로써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 수단을 수조(52)에 삽입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수량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조절 수단은 밸브(54)에 일측이 결합되도록 결합부(1)가 형성된 클램프(2)와, 상기한 클램프(2)에 결합되고 자바라와 같이 수축, 팽창하여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탱크(3)와, 상기한 클램프(2)와 탱크(3)를 간헐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수량 조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결합 수단은 탱크(3)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4)와, 상기한 돌출부(4)와 결합되도록 클램프(2)에 형성된 개구부(5)와, 상기한 돌출부(4)에 클램프(2)와 탱크(3)의 간격 조절을 위한 직립 형성된 다수의 제1돌기(6)와, 개구부(5)에 이와 대응되도록 선단에 형성된 제1대응부(7)와, 견고한 결합을 위해 돌출부(4)와 개구부(5)에 형성된 제2돌기(8)와 제2대응부(9)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수량 조절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탱크(3')는 접힐 수 있도록 모서리가 소정 곡률로 형성된 다각형으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수량 조절 장치.
KR2019950003872U 1995-03-07 1995-03-07 좌변기용 수량 조절 장치 KR01172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3872U KR0117207Y1 (ko) 1995-03-07 1995-03-07 좌변기용 수량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3872U KR0117207Y1 (ko) 1995-03-07 1995-03-07 좌변기용 수량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630U KR960031630U (ko) 1996-10-24
KR0117207Y1 true KR0117207Y1 (ko) 1998-05-15

Family

ID=19408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3872U KR0117207Y1 (ko) 1995-03-07 1995-03-07 좌변기용 수량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72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216B1 (ko) * 2013-06-03 2014-07-10 김정화 양변기 저수조용 세정제 정량 공급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8325B1 (ko) * 2000-05-12 2002-08-09 구홍식 변기용 수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216B1 (ko) * 2013-06-03 2014-07-10 김정화 양변기 저수조용 세정제 정량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630U (ko) 199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4986A (en) Water-saving device of water tank for flush toilet
JPS6149456B2 (ko)
US4710988A (en) Flush toilet
KR0117207Y1 (ko) 좌변기용 수량 조절 장치
US20070174960A1 (en) Odor control apparatus for drains
US3731324A (en) Water saving apparatus for water closets
GB2097436A (en) Toilet cistern incorporating hand-washing apparatus
KR100930420B1 (ko) 양변기의 배수제어장치
US3879765A (en) Water saving method for water closets
KR920002369Y1 (ko) 좌변기용의 물배출장치
KR200211470Y1 (ko) 양변기 절수장치
CA2167789A1 (en) Automatic back water valve system
CN209243840U (zh) 一种马桶
KR200243465Y1 (ko) 좌변기의 시트를 이용한 밸브자동개폐장치
USD370721S (en) Combined toilet flush valve seat and overflow tube
KR200187456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변기커버
KR20180063639A (ko) 양변기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102591626B1 (ko) 비데용 급수장치
JP2002097697A (ja) 洋風便器装置
KR100776046B1 (ko) 양변기용 가변식 사이폰관의 구동장치
KR200421785Y1 (ko) 소변기용 자동 급수 장치
KR0127588Y1 (ko) 양변기용 2단배수밸브 개폐장치
CN2272030Y (zh) 水箱排水阀
JP2001323537A (ja) バキュームブレーカ
JPS61165436A (ja) 便器洗浄用タン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