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893B1 -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893B1
KR102007893B1 KR1020170120473A KR20170120473A KR102007893B1 KR 102007893 B1 KR102007893 B1 KR 102007893B1 KR 1020170120473 A KR1020170120473 A KR 1020170120473A KR 20170120473 A KR20170120473 A KR 20170120473A KR 102007893 B1 KR102007893 B1 KR 102007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valve
opening
wate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2036A (ko
Inventor
신현오
Original Assignee
신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오 filed Critical 신현오
Priority to KR1020170120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893B1/ko
Publication of KR20190032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4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seat or cover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seat or cover; Raising or lowering seat and/or cover by flushing or by the flushing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수조가 구비되는 변기본체에 시트가 회전토록 연결되고, 상기 시트에 앉는 사용자의 이탈시 배기토록 액튜에이터가 연동되는 배기밸브가 시트에 설치되며, 상기 배기밸브는 저수조의 내측에 공급배관을 개폐토록 하는 부구의 상단과 연결파이프로 연결되고, 상기 부구의 동작에 따라 배출관을 개방토록 설치되는 배출관개폐유니트가 설치되며, 저수조와 변기본체 및 배출관개폐유니트에 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멀티밸브가 구비되는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장치{A opening and shutting installation for drain valve of toilet bowl}
본 발명은 저수조가 구비되는 변기본체에 시트가 회전토록 연결되고, 상기 시트에 앉는 사용자의 이탈시 배기토록 액튜에이터가 연동되는 배기밸브가 시트에 설치되며, 상기 배기밸브는 저수조의 내측에 공급배관을 개폐토록 하는 부구의 상단과 연결파이프로 연결되고, 상기 부구의 동작에 따라 배출관을 개방토록 설치되는 배출관개폐유니트가 설치되며, 저수조와 변기본체 및 배출관개폐유니트에 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멀티밸브가 구비되는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배출 수조(水槽)를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 상부에 마련되는 시트, 상기 배출 수조와 상기 시트의 상부를 은폐시킬 수 있도록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변기커버, 상기 배출 수조 내의 오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용수탱크, 상기 용수탱크 내에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양변기는 용수탱크 내에 설치된 배수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저장된 물이 일시에 배출되게 하면서 사이펀 원리에 의해 변기내 오물을 정화시설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양변기에서, 용수탱크 내에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수단으로는, 용수탱크의 레버를 조작하거나,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물내림을 수행하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때, 레버를 조작하는 일반적인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에 의하면, 용수탱크의 내부에 배수밸브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배수구를 개폐시킬 수 있게 되는데, 배수밸브와 연결 형성되는 구동줄이 용수탱크의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라 구동줄이 당겨지게 되고, 구동줄과 연결되어 있는 배수밸브가 개방되면서 용수탱크 내의 물이 배출되게 된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종래의 특허 제1683263호에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장치의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변기커버가 수조(10)의 상부에서 본체(1)에 힌지(20)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용수탱크(4)에는 배출 수조(10) 내의 오물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저장된 물을 배출하도록 하는 배수밸브(5)가 그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수밸브(5)는 용수탱크(4) 내에 설치되는 오버플로우관(4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형성되며, 본체(1) 내에 형성되어 있는 사이펀관(도시되지 아니함)으로 연결되는 배수구(41)를 개폐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배출수단은 용수탱크 커버(50)에 설치되는 구동줄(6), 밀착부재(8) 및 변기커버(3)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9)로 이루어지며, 구동줄(6)이 당겨짐에 따라 상기 배수밸브(5)가 배수구(41)를 개방토록함으로써, 용수탱크(4) 내에 저장된 물이 상기 배수구(41)를 통해 본체(1)의 사이펀관으로 배출되게 된다.
더하여, 상기 용수탱크 커버(50)는 구동줄(6)을 용수탱크(4) 외부로 인출 및 인입시키기 위한 가이드 수단으로서,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는 용수탱크 커버(50)를 상하로 관통하는 제1인출공(501)이 형성되며, 상부면은 상기 밀착부재(8)가 상기고정부재(9)에 원활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하여 경사면(50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량체(61)는 용수탱크 내에서 상기 구동줄(6)의 일정 위치에 결합형성되게 되며, 상기 구동줄(6)이 배수밸브(5)를 개방시키는 작동을 할 때 상기 구동줄(6)의 이동 폭을 제한하는 역할을 함과 함께, 구동줄(6)이 신속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하여 밀착부재(8)가 평상시에 용수탱크 커버(50)의 돌출부(500)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504)에 접촉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배수밸브 개폐장치는, 용수탱크의 내측에 위치한 구동줄의 꼬임 등에 의해 정확한 동작이 힘들게 되고, 동작시 밀착부재의 낙하 등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며, 커버를 개방할 때 구동줄에 의해 커버의 이탈이 간섭되어 사용이 불편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의 공급없이 배수가 가능토록 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 및 설치가 가능토록 하며, 사용자가 변기시트에서 이탈시 자동적으로 배수후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주변의 간섭없이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소음 등의 염려가 없으면서 동작의 신뢰성을 제공토록 하는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저수조가 구비되는 변기본체에 시트가 회전토록 연결되고, 상기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이탈시 배기토록 액튜에이터가 연동되는 배기밸브가 시트에 설치되며, 상기 배기밸브는, 저수조의 내측에 멀티밸브와 연결되어 동작시키는 부구의 상단과 연결파이프로 연결되고, 상기 멀티밸브는, 급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각각 저수조, 배출관을 개폐하는 배출관개폐유니트 및 변기본체로 물을 공급토록 설치되는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개폐유니트는, 배출관을 개폐하는 캡에 연결되는 연결봉과, 일측이 상기 연결봉과 힌지연결되면서 다른 일측은 저수조 일측의 벽에 구비된 개폐버튼과 연결되어 개폐버튼의 누름동작시 연결봉을 상승토록 하는 지브와, 상기 지브의 하측에 실린가 구비되는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부구는, 고정바의 상단에서 이동가능토록 설치되어 물에 대한 상대높이의 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의 공급없이 배수가 가능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 및 설치가 가능하며, 사용자가 변기시트에서 이탈시 자동적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며, 주변의 간섭없이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지며, 소음 등의 염려가 없으면서 동작의 신뢰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배수밸브 개폐장치를 도시한 동작상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장치의 멀티밸브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이다.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 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장치의 다이어프램밸브를 도시한 측면도 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장치의 배수밸브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동작 상태도 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장치의 배수밸브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개폐장치(100)는, 저수조(110)가 구비되는 변기본체(130)에 시트(150)가 회전토록 연결될 때 상기 저수조(110) 및 시트(150)에 서로 대응토록 설치된다.
즉, 상기 시트(150)에 사용자가 변기 사용을 종료한 후 일어섰을 때 동작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150)에 앉는 사용자의 이탈시 배기토록 액튜에이터(210)가 연동되는 배기밸브(230)가 시트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시트(150)는 하부에 지지편(154)을 갖는 시트본체(151)의 상측에 쿠션재(153)가 구비되거나 별도의 쿠션재 없이 지지편을 갖는 시트본체(151) 만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더하여, 상기 배기밸브(230)는 저수조(110)의 내측에 설치된 멀티밸브(700)와 연결되어 동작시키는 부구(330)의 상단과 연결파이프(331)로 연결되고, 상기 부구와 멀티밸브는 고정바(600)에 의해 연결된다.
계속하여, 상기 멀티밸브(700)는, 물이 유입되는 급수관(190)을 통해 저수조(110)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배관(750)과 연결되고, 하기 배출관개폐유니트(400)와 가압배관(770)으로 연결되며, 오버플로우관(160)과 통하는 보충배관(790)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멀티밸브(700)는, 상기 급수관(190), 공급배관(750), 가압배관(770) 및 보충배관(790)과 통하면서 연결되는 저수조(110) 내측에 고정설치된 픽스캡(710)이 설치되고, 상기 픽스캡(710) 내경에서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면서 상기 고정바(600)의 일측과 연결되는 가변캡(730)이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가변캡(730)은, 고정바(600)의 동작에 대응하여 공급배관, 가압배관 및 보충배관의 개폐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공급구(731), 가압구(733), 보충구가(735) 형성되어 있으면서, 급수관(190)과 상시 열린 상태를 유지 가능토록 급수구(737)가 형성되어 있다.
계속하여, 상기 급수관(190)은, 급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멀티밸브(700)로 공급 또는 차단토록 하는 다이어프램밸브(190A)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다이어프램밸브(190A)는, 상기 고정바(600) 끝단의 일면에 밀착 또는 이탈되어 저수조와의 열림,닫힘 상태를 선택가능토록 하는 압력배기공(750)이 형성된 봄베(191)가 구비되고, 상기 봄베는, 봄베의 공간을 분할하면서 상기 압력배기공의 개,폐상태에 따라 휘어진 상태가 조절되는 격막(193)이 설치되며, 상기 격막의 일측에 연결되어 격막의 휘어진 상태에 따라 멀티밸브로 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스템와셔(195)가 구비된다.
또한, 멀티밸브(700)의 가변캡(730)의 동작에 따라 배출관(350)을 개방토록 설치되는 배출관개폐유니트(37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배출관개폐유니트(370)는, 배출관을 개폐하는 캡(490)과, 상기 캡에 연결되는 연결봉(430)과, 일측이 상기 연결봉과 힌지연결되면서 다른 일측은 저수조 외측에 노출토록 설치되는 개폐버튼(450)과 연결되는 지브(410) 및 상기 지브의 하측에 실린더(47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470)는, 상기 가압배관(770)과 연결되어 상기 가압배관을 통해 살수하는 고정피스톤(471)과, 상기 고정피스톤에서 살수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상승가능토록 설치되는 가변컵(473)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더하여, 상기 액튜에이터(210)는, 하우징(270)의 내측에 리미트판(271)이 구비되면서 시트(150)에 금속(273)을 구비하며, 상기 금속에 대응되어 밸브판(450)을 승,하강시켜 개폐토록 배기밸브의 밸브판(450)에 마그네틱부재(47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금속 역시 마그네틱부재로 이루어져도 좋다.
또한, 상기 부구(330)는, 고정바(600)의 상단에서 이동가능토록 설치되어 저수조의 수위에 대한 상대 높이의 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바(600)에 구비되는 지지턱(610)과 상기 지지턱에 대응되는 탄성걸림턱(630)의 상호 작용에 의해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되어도 좋다.
그리고, 도2과 같이 상기 배기밸브(230)는 지지편(154)의 내측에 상기 배기밸브를 동작시키는 액튜에이터는 복원이 가능토록 스프링(590)을 구비하는 시트본체에 연결 설치되고, 도8과 같이 액튜에이터가 복원이 가능한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진 쿠션재(153)에 배기밸트(230)는 시트본체(151)에 연결된다.
또한, 도9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배기밸브(230)는 시트(150)를 변기본체(130)에 연결하는 브래킷(157)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150)에는 탄성이 작용토록 스프링이 연결되며, 상기 브래킷(157)에는 시트(150)가 힌지축(155)을 통하여 회전가능토록 연결된다.
이때, 상기 힌지축(155)에는 금속 또는 마그네트가 설치되고, 상기 금속에 대응토록 브래킷에 설치되는 배기밸브에 마그네틱부재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폐장치(100)는, 저수조(110)가 구비되는 변기본체(130)에 시트(150)가 회전토록 연결될 때 상기 저수조(110) 및 시트(150)에 서로 대응토록 설치되어 상기 시트(150)에 사용자가 변기 사용을 종료한 후 일어섰을 때 자동 동작토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이탈함과 동시에 물의 배수 및 배수후 저수조(110) 및 변기본체(130)로 물을 공급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150)에 앉는 사용자의 이탈시 배기토록 액튜에이터(210)가 연동되는 배기밸브(230)가 시트(150)에 상호 대응토록 설치되고, 도3과 같이 상기 배기배브(230)는 지지편(154)의 내측에 상기 배기밸브를 동작시키는 액튜에이터는 복원이 가능토록 스프링(590)을 구비하는 시트본체(130)에 연결 설치되어 스프링의 동작으로 액튜에이터가 복원되면서 배기밸브(230)가 닫히게 된다.
또한, 도8과 같이 액튜에이터가 복원이 가능한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진 쿠션재(153)에 배기밸브(230)는 시트본체(151)에 연결되어 미 사용시 쿠션재의 복원력으로 배기밸브(230)가 닫히게 된다.
더하여, 상기 배기밸브는 저수조의 내측에 설치된 멀티밸브와 고정바(600)로 연결되는 부구(330)의 상단과 연결파이프로 연결되어, 상기 시트(150)에 구비되는 배기밸브(230)가 개방될 때 연결파이프를 통하여 부구의 공기가 배출되면서 부력이 감소되어 각도조절 됨으로써 상기 멀티밸브(700)를 동작토록 한다.
이때, 상기 멀티밸브(700)는 급수관(190)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저수조로 공급이 가능토록 저수조(110)와 통하는 공급배관(750)과 연결되고, 하기 배출관개폐유니트(770)를 개폐토록 가압배관과 연결되며, 변기본체(130)로 보충수를 공급토록 오버플로우관(160)과 통하는 보충배관(790)과 연결되어 수위에 따라 각도조절이 되는 부구(330)에 대응하여 저수조(110)와 변기본체(130)에 물을 공급하거나 배출관개폐유니트(400)를 동작시키게된다.
자세하게, 상기 멀티밸브(700)는, 상기 급수관(190), 공급배관(750), 가압배관(770) 및 보충배관(790)과 통하면서 연결되는 저수조 내측에 고정설치된 픽스캡(710)과, 상기 부구(330)의 일측에 힌지 연결된 고정바(600)와 연결되어 픽스캡 내경에서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가변캡(730)이 구비되며, 상기 가변캡(730)은, 부구의 일측에 연결되는 고정바(600)의 회전에 대응하여 공급배관(750), 가압배관(770) 및 보충배관(790)의 개폐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공급구(731), 가압구(733), 보충구(735)가 형성되어 있으면서 급수관과 상시 열린 상태를 유지 가능토록 급수구(737)가 형성되어 있어, 픽스캡(710) 내측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된 가변캡(730)이 수위에 따라 변동되는 부구(330)에 연동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급수관으로 부터 유입되는 물을 공급배관, 가압배관 및 보충배관으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즉, 도4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조에 물이 없는 상태에서는 부력을 받지 못하는 부구(330)가 하사점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연동되는 가변캡(730)의 공급구(731)와 보충구(735)는 공급배관(750)과 보충배관(790)의 열린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급수관(190)을 통해 유입되는 물이 공급배관(750)과 보충배관(790)을 통하여 각각 저수조(110)와 오버플로우관(160)으로 물을 공급하게되고, 저수조에 물이 공급되어 부구(330)가 상사점에 위치하게 되면 이에 연동되는 가변캡(730)은 픽스캡(710)과 통하는 공급배관(750), 보충배관(790) 및 가압배관(770)을 닫아 물의 공급을 중단토록 하게 되며, 사용자가 시트(150)에 앉은 후 다시 시트로부터 이탈하게 되면 배기밸브(230)가 개방되어 연결파이프(331)를 통해 부구의 공기기 배출되면서 부력이 감소되어 일정각도 꺾임으로써, 부구(230)에 연결된 가변캡(730)이 일정 스트로크로 회전하여 픽스캡(710)에 연결된 가압배관(770)을 열어 배출관개폐유니트(400)를 동작시켜 배출구를 열어 저수조(110)의 물을 변기본체(130)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관개폐유니트(400)는, 배출관(180)을 개폐하는 캡(490)에 연결되는 연결봉(430)과, 일측이 상기 연결봉과 힌지연결되면서 다른 일측은 저수조 일측의 벽에 구비된 개폐버튼(450)과 연결되어 개폐버튼의 누름동작시 연결봉(430)을 상승토록 하는 지브(410)와, 상기 지브의 하측에 구비되는 실린더(470)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더(470)는, 가압배관(770)과 연결되어 상기 가압배관을 통해 살수하는 고정피스톤(471)과, 상기 고정피스톤(471)에서 살수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상승가능토록 설치되는 가변컵(473)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픽스캡(710)에 연결된 가압배관(77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고정피스톤(471)을 통해 살수되면 가변컵(473)을 상승시킴으로써 지브(410)를 상승토록 하여 상기 지브에 연결되는 연결봉(430)과 캡(490)을 동작시켜 배출관(180)을 개방함으로써 자동 배수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개폐유니트(370)는, 일반적인 변기와 같이 저수조(110)의 외측에 노출토록 설치되는 개폐버튼(400)과 상기 개페버튼과 연결되는 지브(410)로서 연결되어 사용자가 개폐버튼을 동작시켜도 배수가 가능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액튜에이터(210)는, 하우징(270)의 내측에 리미트판(271)이 구비되면서 배기밸브(230)에 마그네틱부재를 구비하는 밸브판(450)이 연결되는 구성으로 시트에 구비되는 금속과 마그네틱부재가 서로 부착되면서 밸브판이 개방되고, 상기 밸프판(450)은 리미트판에 의해 상향이 제한되면서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배기밸브를 닫게 된다.
이때, 상기 밸프판이 배기밸브를 받으면 부구의 공기배출이 방지되어 일반적인 부구와 동일하게 부력이 작용되어 저수조의 수위에 대응하여 각도조절이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부구(330)는, 고정바(600)의 상단에서 이동가능토록 설치되어 물에 대한 상대 높이의 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되어 물의 절약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또한, 도6 및 도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배기밸브(230)는 시트(150)를 변기본체(130)에 연결하는 브래킷(157)에 설치되어 시트(150)의 누름 후 상승동작시 밸브가 동작토록 된다.
이때, 상기 시트(150)에는 탄성이 작용토록 스프링이 연결되어 사용자가 이탈시 시트가 자동상승하면서 금속과 마그네틱부재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155)에 금속 또는 마그네트가 설치될 때 상기 금속에 대응토록 브래킷에 설치되는 배기밸브에 마그네틱부재가 설치되어 시트에서 사용자가 이탈시 금속과 마그네틱부재가 서로 부착되면서 밸브판이 개방되고, 상기 밸프판(450)은 리미트판에 의해 상향이 제한되면서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배기밸브를 닫게 된다.
또한, 상기 급수관(190)은, 다이프램밸브(190A)가 구비되어 부구(330)의 동작에 의해 유입되는 물을 멀티밸브(700)로 공급 또는 차단토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다이어프램밸브(190A)는, 부구와 연결된 고정바 끝단의 일면에 밀착 또는 이탈되어 저수조(110)와의 열림,닫힘 상태가 조절되는 압력배기공(750)이 형성된 봄베(191)가 구비되고, 상기 봄베는, 봄베의 공간을 분할하면서 수압에 의해 절곡상태가 조절되는 격막(193)이 설치되며, 상기 격막의 일측에 연결되어 급수관을 열고 닫는 스템와셔(195)가 구비되어 있어, 부구가 상사점에 위치하여 이에 연결된 고정바의 끝단이 압력배기공(750)을 막고 있을 때는 격막(193)의 상단에 있는 물의 압력에 의해 격막의 펴짐상태가 유지되어 급수관(190)의 닫힘상태를 유지하고, 부구의 공기가 배기밸브(230)를 통하여 배출되어 각도가 변경되면 이에 연결된 고정바의 끝단이 압력배기공(750)을 열어 격막의 상단에 있는 물을 압력배기공을 통하여 저수조로 배출함으로써 격막이 절곡되어 상기 격막에 연결된 스템와셔를 열어 급수관을 통해 멀티밸브로 물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110...저수조 130...변기본체
150...시트 230...배기밸브
330...부구 400...배출곤개폐유니트
470...실린더 700...멀티밸브
710...픽스캡 730...가변캡
600...고정바

Claims (5)

  1. 저수조가 구비되는 변기본체에 시트가 회전토록 연결되고,
    상기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이탈시 배기토록 액튜에이터가 연동되는 배기밸브가 시트에 설치되며,
    상기 액튜에이터는, 시트에 연결되는 하우징 또는 브래킷의 내측으로 리미트판이 구비되면서 시트 또는 시트를 연결하는 힌지축에 금속이 구비되고, 상기 금속에 대응되어 자력이 작용되는 마그네틱부재가 배기밸브를 개방하는 밸브판에 설치되고,
    상기 배기밸브는, 저수조의 내측에 멀티밸브와 연결되어 동작시키는 부구의 상단과 연결파이프로 연결되고,
    상기 멀티밸브는, 급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각각 저수조, 배출관을 개폐하는 배출관개폐유니트 및 변기본체로 물을 공급토록, 저수조와 통하는 공급배관과 연결되고, 배출관개폐유니트를 개폐토록 가압배관과 연결되며, 변기본체로 보충수를 공급하는 오버플로우관과 통하는 보충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개폐유니트는, 배출관을 개폐하는 캡에 연결되는 연결봉과, 일측이 상기 연결봉과 힌지연결되면서 다른 일측은 저수조 일측의 벽에 구비된 개폐버튼과 연결되어 개폐버튼의 누름동작시 연결봉을 상승토록 하는 지브와, 상기 지브의 하측에 구비되는 실린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더는, 지브를 상승시켜 캡을 개방가능토록 가압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가압배관을 통해 살수하는 고정피스톤과, 상기 고정피스톤에서 살수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상승가능토록 설치되는 가변컵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멀티밸브는, 저수조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에 대응하여 상사점에 도달한 부구의 동작에 의해 저수조 배출관개폐유니트 및 변기본체에 물의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시트에서 사용자의 이탈시 배기밸브를 개방시켜 부구의 공기를 배출하여 회전하는 동작에 의해 배출관개폐유니트를 동작시켜 배출관을 개방토록 하며,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수위에 대응하여 각도가 변경되는 부구의 동작에 의해 저수조와 변기본체에 물을 공급토록 상기 급수관, 공급배관, 가압배관 및 보충배관과 통하면서연결되는 저수조 내측에 고정설치된 픽스캡과, 상기 부구의 일측에 힌지 연결된 고정바와 연결되어 픽스캡 내경에서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가변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변캡은, 부구의 일측에 연결되는 고정바의 회전에 대응하여 공급배관, 가압배관 및 보충배관의 개폐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공급구, 가압구, 보충구가 형성되어 있으면서, 급수관과 상시 열린 상태를 유지 가능토록 급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은, 부구의 동작에 의해 상기 유입되는 물을 멀티밸브로 공급 또는 차단토록 하는 다이어프램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다이어프램밸브는, 고정바 끝단의 일면에 밀착 또는 이탈되어 저수조와의 열림,닫힘 상태를 선택가능토록 하는 압력배기공이 형성된 봄베가 구비되고,
    상기 봄베는, 봄베의 공간을 분할하면서 상기 압력배기공의 개,폐상태에 따라 휘어진 상태가 조절되는 격막이 설치되며,
    상기 격막의 일측에 연결되어 격막의 휘어진 상태에 따라 멀티밸브로 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스템와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장치.
KR1020170120473A 2017-09-19 2017-09-19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장치 KR102007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473A KR102007893B1 (ko) 2017-09-19 2017-09-19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473A KR102007893B1 (ko) 2017-09-19 2017-09-19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036A KR20190032036A (ko) 2019-03-27
KR102007893B1 true KR102007893B1 (ko) 2019-08-06

Family

ID=65906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473A KR102007893B1 (ko) 2017-09-19 2017-09-19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8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338B1 (ko) 2019-07-08 2019-11-08 손정우 플러싱밸브 개폐장치
KR102467443B1 (ko) * 2021-07-27 2022-11-14 신현오 양변기의 배수밸브 자동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6978A (ko) * 2013-10-23 2015-05-04 지성원 양변기 물 내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036A (ko) 201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6652B1 (ko)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기능이 부가된 비데
JP6176441B2 (ja) 洗浄水タンク装置の操作装置
KR102007893B1 (ko)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장치
JP2016180245A (ja) 排水弁装置、この排水弁装置を備えた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この洗浄水タンク装置を備えた水洗大便器
JP2016069873A (ja) 排水弁装置
KR101024365B1 (ko) 양변기 필밸브의 림측급수관 물량조절밸브
KR200432070Y1 (ko)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 지지장치
JP2013204268A (ja) 洗浄水タンク装置
KR100946392B1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물을 무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로제어장치
KR20150046978A (ko) 양변기 물 내림 장치
KR101072565B1 (ko)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
US4185339A (en) Water closet tank and inclined outlet valve ball element support therefor
JP4986460B2 (ja) 洗浄タンク装置
KR102002569B1 (ko)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장치
JP2021055449A (ja) 排水弁装置
KR101230354B1 (ko) 양변기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KR200439595Y1 (ko)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기능이 부가된 비데
JP6663559B2 (ja) 洗浄水タンク装置
KR100354527B1 (ko) 절수형 수세식 변기
KR101221835B1 (ko) 자동물내림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JP2009097174A (ja) 便器洗浄タンク装置
KR100664910B1 (ko) 양변기
EP3981927A1 (en) Hydraulic valve for dual-flush toilet flush
KR101135953B1 (ko) 양변기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KR102424052B1 (ko) 팔꿈치용 스위치를 구비한 좌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